슬라브족이여

 




1. 개요


세르보크로아트어 키릴 문자 : Хеј Словени
세르보크로아트어 라틴 문자 : Hej Sloveni
마케도니아어 : Еј, Словени
슬로바키아어 : Hej, Slovaci
선율이 폴란드 국가와 매우 유사하다. 아니, 살짝 차이가 나는 후렴부와 박자와 음정을 약간 조절한 것을 제외하면 두 노래의 선율은 '''아예 동일한 선율이다.''' 이렇게 된 것은 우연의 일치나 표절이 아니라 애초에 이 노래가 폴란드 국가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노래이기 때문이다.
1834년 당시 오스트리아 제국의 일부였던 슬로바키아의 시인인 사무엘 토마시크(Samuel Tomášik, 1813~1887)가 프라하를 방문했을 당시 체코의 중심 도시인 프라하에서 정작 체코어보다 독일어가 훨씬 많이 들리는 모습을 보고 큰 충격을 받았는데[1] 그 순간 토마시크의 머리 속에서 폴란드 노래(이자 훗날 폴란드의 국가가 되는) 폴란드는 아직 죽지 않았다가 떠올랐고 강한 영감이 떠오른 토마시크는 바로 노래의 가사를 자신의 민족인 슬로바키아인으로 바꾼 내용으로 개사했다. 이것을 나중에 슬로바키아인뿐만 아니라 슬라브인 전체를 가리키는 내용의 가사로 바꾸면서 지금의 노래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그 후 이 노래는 슬라브인들(특히 오스트리아 지배 하의 서슬라브인과 남슬라브인들) 사이에서 엄청난 인기를 끌었고 범슬라브주의의 상징과도 같은 노래가 되면서 여러 슬라브 국가들이 사용하게 되었다.

2. 사용 국가


시가 처음 나온 곳인 슬로바키아에선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타트라 산맥 위에 번개가 쳐도가 공식 국가로 되었을때도[2] 많이 불렸으며 나치 독일괴뢰국 시절에 해당되는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때에도 제1당에서 많이 불렸다.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에서는 유고슬라비아 민주공화국 시절인 1943년에 채택되어 사용되었으며[3] 그 이후 신유고 연방때에도 새로 국가를 지정하려 했으나, 이렇다할 지지를 받은 새로운 국가 후보가 없어서 이 곡을 2006년까지 사용했다가, 몬테네그로가 분리독립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요시프 브로즈 티토는 이 곡을 민족주의의 산물이라며 매우 싫어했지만 마땅히 국가로 지정할 곡이 없어 어쩔 수 없이 국가로 지정했다고 한다.
현재 이 노래를 국가로 사용하는 나라들은 없지만, 구 유고지역[4]에서 유고슬라비아 관련 행사를 할때 많이 애창되는 노래이다. 주위 사람들도 이에 맞춰서 자리에 일어나 전 국가에 대한 예의를 갖춘다.

3. 가사



3.1. 세르보크로아트어




키릴 문자
라틴 문자[5]
해석
1
Хеј Словени, јоште живи
Реч (Дух) наших дедова
Док за народ срце бије
Њихових синова
Hej Sloveni, jošte živi
Riječ (duh) naših djedova
Dok za narod srce bije
Njihovih sinova
여전히 살아있는 슬라브족이여,
우리 조상들의 (정신의) 그 단어,
후손들이 국가를 위해
가슴이 뛸때!
후렴
Живи, живи дух словенски
Живеће веков'ма
Залуд прети понор пакла,
Залуд ватра грома
Živi, živi duh slovenski
Živjet će vjekov'ma
Zalud prijeti ponor pakla
Zalud vatra groma
살아있고 살아있는 슬라브족의 정신이여,
세대를 넘어서도 살아있을거라네
지옥의 심연을 헛데이리
천둥번개의 불을 헛데이리라.
2
Нек' се сада и над нама
Буром све разнесе
Стена пуца, дуб се лама,
Земља нек' се тресе
Nek se sada i nad nama
Burom sve raznese
Stijena puca, dub se lama
Zemlja nek se trese
지금당장 우리위의 모든것들을
보라[6] 에 의해 날라가게해라
바위가 갈라지고, 오크나무가 부서지며
지진을 일으키자!
후렴
Ми стојимо постојано
Како клисурине,
Проклет био издајица
Своје домовине!
Mi stojimo postojano
Kako klisurine
Proklet bio izdajica
Svoje domovine!
우리는 굳건히 있을것이다.
거대한 절벽처럼
고향의 배신자가
해를 끼칠지라도!

3.2. 슬로베니아어



슬로베니아어
1
Hej Slovani, naša reč
slovanska živo klije
dokler naše verno srce
za naš narod bije
후렴
Živi, živi, duh slovanski,
bodi živ na veke,
grom in peklo, prazne vaše
proti nam so steke
2
Naj tedaj nad nami
strašna burja se le znese,
skala poka, dob se lomi,
zemlja naj se strese
후렴
Bratje, mi stojimo trdno
kakor zidi grada,
črna zemlja naj pogrezne
tega, kdor odpada!

3.3. 마케도니아어




3.4. 슬로바키아어




4. 영상




5. 관련 문서



[1] 여기에는 나름대로 사정이 있는 것이 보헤미아 왕국신성 로마 제국의 일부로 편입된 이후 독일 본토와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 독일인이 체코 영내로 이주해왔는데 이후 보헤미아는 주요 민족인 체코인 뿐만 아니라 프라하 등 대도시와 수데티를 중심으로 독일인 역시 인구의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특히 프라하는 30년 전쟁 이후 독일인의 이주가 가속화되면서 '''오히려 19세기 중반까지 독일인이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던 지역이었다.''' 프라하가 다시 체코인 다수지역이 된 것은 1848년 혁명 이후 체코 민족주의의 등장과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체코인들이 프라하로 대거 이주해 온 19세기 후반부터였다. 즉 이 당시에는 프라하에서 독일어가 더 많이 들리는 게 자연스러운 것이었다.[2] 당시에는 체코슬로바키아 시절이었으니 체코 국가인 나의 조국은 어디에?와 함께 연주되었다.[3] 나치 독일 침략 이전에 있었던 왕정 시절의 국가는 현 세르비아 국가와 현 크로아티아 국가, 구 슬로베니아 국가 선율이 합쳐져 있는 국가였다.[4] 특히 몬테네그로와 세르비아 지역.[5] 크로아티아어 기준으로 적힌 것이라, 세르비아어 기준으로 적힌 키릴 문자와 발음이 조금 다르다. 세르보크로아트어라는 큰 언어의 종류이기 때문에, 맞춤법 정도에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6] 아드리아 해 연안에서 부는 활강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