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명
1. 설명
假名. 한자풀이 그대로 가짜 이름을 말한다. 영어로는 Alias, Pseudonym[1] .
2. 종류
- 가명(假名): Alias, Pseudonym. 말 그대로 본인의 본명을 숨기기 위해 사용하는 가짜 이름. 그외 범죄관련 방송 등에서 신변보호 등의 이유로 본명을 공개하기 어려운 경우 이러한 '가명'을 사용한다.
- 필명[A] (筆名): Pen Name, 작가들이 소설, 책 등 글을 써서 발표할 때 사용하는 본명이 아닌 이름. 주로 단순히 다른 작가와 이름이 겹친다든가, 본명이 다소 촌스럽고 지향하는 작품 세계와 맞지 않을 경우 필명을 많이 사용한다. 또한 의도적으로 자신의 성별을 숨기거나 모호하게 하고자 남자는 여성스러운, 여자는 남성스러운 필명을 사용하기도 한다. 드라마 각본가의 경우는 필명보다 본명을 사용한다.
- 예명[A] (藝名): Stage Name, 연예인이 본명 이외에 따로 지어 부르는 이름. TV방송에 진출한 인터넷 방송인들은 닉네임을 예명으로 쓰기도 한다. 해외 스포츠 선수들 중에서도 헐크, 치차리토 등이 있다. 단순히 별명 수준이 아니라 아예 유니폼에 새기고 엔트리에 적히는 이름이므로 예명에 더 가깝다.
예명을 사용하는 이유는 대체로 작가들의 필명과 비슷하지만, 가명처럼 본인의 신변과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케이스가 AV 배우들. 또한 예명의 사용권이나 상표권이 소속사에 묶여있을 경우, 기존 소속사에서 나온 뒤 본래 예명을 사용하지 못하고 다른 예명을 사용하거나 아예 본명으로 회귀해버리는 경우도 있다. 다만 예명을 쓰는 방송인이나 유명인 등이 국회의원 출마 등 정치활동 등을 할 경우에는 예명을 사용할 수 없다. 이는 선거법상에 의한 것으로 해당되는 이들은 반드시 실명이나 본명으로 기재 또는 활동해야한다. 참고로 저작권 협회 가입이나 예술인 등록의 경우 대부분 예명 등록을 따로 할 수 있다.
- 별명(別名): Nick Name, 그 사람의 특징이나 개성을 반영하여 대신 부르는 명칭이다. 조폭들의 경우 뒷세계에서 본명대신 별명으로 활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주로 무기 이름(특히 쇠붙이나 둔기류)이나 동물 이름(특히 맹수/맹금류)을 많이 쓰는 편.
- 온라인 이름: Web alias, online alias, 인터넷상에서 사용하는 이름, 퓨디파이, 베노스, 앵그리 죠, 페이커(본명 이상혁) 등 유명 유튜버의 활동명이 경우에 해당한다. 실제로는 이것 또한 별명(Nickname)과 같은 표현으로 구분된다.
- 이명(異名): 본명 외에 달리 부르는 이름.
- 아호(雅號): 본명이나 자(字) 외에 편하게 부를 수 있도록 지은 이름.
- 통명(通名): 통칭(通称)이라고도 하며, 일본에 거주하는 외국인이[2] 사회생활의 편리성 등을 위해서 쓰는 일본식 이름. 단 이쪽은 정식으로 관공서에 등록하여 사용하는 것이므로[3] 본명과 같은 법적효력이 있다.[4]
- 링네임(Ring Name): 격투기 선수나 프로 레슬러들이 쓰는 활동명이며 본명을 링네임으로 쓰는 선수들도 많다. 아니, 서양에서 가장 흔힌 링네임이 미들네임을 빼고 이름과 성만 쓰는 것이다.
- 코드네임(Code Name): 정부기관이나 첩보기관 등에 소속된 요원들이 쓰는 이름. 소속기관의 특성상 타인에게 신상이 발각되면 안되기에 사용한다.
- 애칭: 가명이라기 보단, 원래 이름이 긴 경우 짧게 줄여 부르는 것이다.
본명을 두고 가명을 쓰는 이유는 본명을 들키면 안 되는 사정이 있어서이거나 친근하게 다가가기 위해서다. [5] 전자는 주로 반정부적인 인물[6] 의 경우이며 후자는 주로 예명이나 별명의 경우이다. 호나 자는 본명을 부르지 않기 위해 만든 것이지만 가명 취급하지 않는다. 창작물에서는 가명이 극의 흐름에서 중요한 떡밥이 되기도 한다. 개중에는 본명을 다시 짜깁기해서 만든 가명도 존재한다.[7]
예명이나 링네임 등 가명을 쓸 경우 애칭이나 아명을 사용하기도 한다.
3. 사례
3.1. 현실
- 외세에 저항하거나 기존 정부를 전복하려는 경우 당연히 잡아가려고 하기 때문에 가명을 썼다. 전자의 예시는 독립운동가[8][9] 가 있고 후자의 예시는 러시아 혁명 주도자들[10] 과 메이지 유신 주도자들[11] 이 있으며 둘 다 해당되는 경우로는 호찌민[12] 이 있다. 후자 중 많은 수는 거사 성공 이후 가명이 본명을 제치고 진짜 이름처럼 알려진 경우가 많다.[13] 참고로 우리가 한번쯤 들어보았을 이름 김일성 역시도 사실은 원래는 가명이었다! 당시엔 김일성이라는 가명을 쓴 사람이 많은 편이었다고 한다.[14] 김일성 역시 그 사례중 하나로 본명은 '김성주'였고 김일성은 가명이었는데 어느새 김일성이 본명의 자리를 차지했다.
- 성우가 야애니나 에로게같은 '어둠의 세계'에 출연할 때는 비공개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체적으로 가명을 쓴다. 꼭 어둠의 세계가 아니더라도 본명보다는 본명을 일부 변형시킨 가명을 출연명의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촌스럽거나 매우 특이한 이름의 일반인이 본인의 이름이 창피해 꼭 본명을 써야 하는 경우를 제외한 경우에는 세련된 가명을 쓰는 경우도 있다. 예) 하린(핑크판타지), 써니(소녀시대)
- 서양권이나 일본의 경우, 결혼하면 아내의 성이 남편을 따라 바뀌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미혼이던 시절 유명세를 얻었던 인물은 결혼 이후 예전 이름을 예명처럼 사용하고 바뀐 본명은 따로 놔두는 경우가 있다. J. K. 롤링[15] 이나 야노 시호가 대표적. 가상 인물이지만 명탐정 코난의 키사키 에리도 이 케이스에 해당한다.
- 미용사들중 일부는 가명을 쓰기도 하는데 딱 봐도 가명인 경우도 많으며, 자기 영어이름을 가명으로 쓰기도한다.
- 운동선수들, 특히 격투기 선수나 프로레슬러들이 링네임을 쓰는것도 가명 사용의 예인데 본명을 쓰는 경우도 있지만 특히 레슬러들의 경우 링네임이 가명인 경우가 많고, 성이나 이름중 하나가 가명인 경우도 있다.
- 화류계 종사자들도 가명을 쓰곤 하는데 가명 사용비율이 비교적 낮은편이고 의외로 본명을 많이 쓴다고 하지만 가명일 경우 지역이나 업소를 옮길때마다 바뀌기도한다고 한다.
- 국정원이나 FBI등 첩보기관에선 (특히 임무에 투입된 경우) 요원들한테 코드네임을 부여해주곤 한다.
- 한국에서 활동하는 중화권 출신 연예인의 경우, 본명을 한국 한자음으로 읽은 이름을 예명으로 삼기도 한다.
3.2. 창작물 속 인물들
단순한 가명이 아닌 직업 특성 상 코드네임이거나 링네임, 혹은 예명일 경우 괄호안에 표시.
- 가면라이더 포제 - 제이크
- 건그레이브 - 카바네 쥬지[16]
- 건담 시리즈
- 기동전사 건담 - 채프먼 길리엄
- 기동전사 건담 우주세기 전반 - 샤아 아즈나블, 세일러 마스
- 기동전사 건담 F91 - 철가면
- 기동무투전 G건담 - 마스터 아시아, 슈발츠 브루더
- 기동전사 건담 00 - 록온 스트라토스, 세츠나 F 세이에이, 티에리아 아데, 알렐루야 합티즘, 스메라기 리 노리에가, 닥터 모레노, 소마 필리스(마리 파파시), 게리 비아체, 미스터 무사도(충격의 반전)
-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 - 네오 로아노크, 알렉스 디노
- 기동전사 V건담 - 진 자하남
- 기동전사 Z건담 - 아폴리 베이, 포우 무라사메
- 신기동전기 건담 W - 히이로 유이, 트로와 바톤, 듀오 맥스웰[17]
- 신기동전기 건담 W Endless Waltz - 마리메이아 크슈리나다
- 길티기어 시리즈 - 솔 배드가이
- 나루토 - 나가토
- 냄새를 보는 소녀 - 타부, MF6 멤버들
- 눈물을 마시는 새 - 케이건 드라카[18]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시리즈 - 하이데른[19]
- 던전 앤 파이터 - 일섬의 레노[20] , 역대 듀란달들[21]
- 대런 섄 시리즈 - 하캇 멀즈
- 데스노트[22] - L, 와타리, 웨디, 아이버, 로저 러비, 미소라 나오미, 멜로, 니아, 매트, 앤소니 레스터, 존 맥켄로, 스테판 제반니, 할 리드너
- 데스티니 차일드 - 김순철/아쿠마가 키타로[23]
- 덴마 - 마빈, 스겔리온, 시타, 아인, 펜타곤 퀑 멤버들(엘드곤, 랜돌프, 제트), 표르도, 하도르, 햄
- 독전 - 브라이언
- 동쪽의 에덴 - 타키자와 아키라
- 드래곤 라자 - 아프나이델[24]
- 러브 라이브! 니지가사키 학원 스쿨 아이돌 동호회 - 유키 세츠나[25]
- 레 미제라블 - 장 발장, 테나르디에 - 장 발장은 마들렌, 윌팀 포슐르방이라는 가명을 쓰고, 테나르디에는 종드레트, 파방투, 테나르 남작 등의 가명을 사용한다.
- 룬의 아이들 데모닉 - 이카본 폰 아르님[26] , 샐러리맨
- 리그 오브 레전드 - 르블랑[27] 미스 포츈[28] , 야스오[29] , 진[30]
- 리틀 버스터즈! EX - 토키도 사야
- 마기아 레코드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외전 - 쿠로, 히이라기 사쿠라코
- 마징가 Z - 보스
- 메이플스토리 - 팬텀,[31] 은월,[32] 카데나, 하얀 마법사, 애런, 카인의 가명[33]
- 메트로놈 - 노온유
- 명탐정 코난 - 에도가와 코난, 하이바라 아이, 괴도 키드, 오키야 스바루, 검은 조직 조직원들의 코드네임
- 몬스터 - 볼프강 글리머, 프란츠 보나파르트, 로베르트
- 무대리 - 박준미[34]
- 무한의 리바이어스 - 오제 이쿠미
- 바라카몬 - 한다 세이슈
- 바람의 검심 - 히무라 켄신
- 베이블레이드 버스트 - 잭 더 선샤인
- 복학왕 - 최옷순[35]
- 블랙 베히모스 - 미니미니 큐트큐트, 윙첼 크리스티나
- 사이퍼즈 - 자네트, 시바 포, 잭 더 리퍼
- 서북의 저승사자 - 제롬(서북의 저승사자)
- 소년탐정 김전일 - 이츠키 요스케
- 슈발체스마켄 - 카티아 발트하임
- 슈퍼로봇대전 시리즈(?) - 레첼 파인슈메커
-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 사미르 듀란
- 스트라바간차 -이채의 공주- - 클라리스
- 시스터 프린세스 애니메이션 - 마미
- 아랑전설 시리즈 - 홍푸
- 아르센 뤼팽 시리즈 시리즈 - 아르센 뤼팽[36]
- 아메리카노 엑소더스 - 아메리카노 빈즈[37] , 김민지
- 아이카츠! - 유메사키 티아라
- 안녕 절망선생 - 후우라 카후카
- 암살교실 - 카야노 카에데
- 어이쿠! 왕자님 ~호감가는 모양새~ - 압둘라 무스타파
- 에빌리오스 시리즈 - 카체스 크림, 요제프, 샤쿠손, 테미스 에이트, 니콜라이 토르, 이자벨 이스마엘, 린
- 엘소드 - 유노, 청, 라비
- 여성향 게임의 파멸 플래그밖에 없는 악역 영애로 환생해버렸다… - 라나 스미스
- 역전재판 시리즈 - 고도 검사, 무쿠이 사토코, 텐류사이 에리스·마시스, 우라후시 카게로, 라미로아, 히가토리 류키, 카즈라 히미코, 시이나, 오구라 마스미, 타나카 타로
- 연예인 지옥 - 미스김[38] , 피도리[39] , 정지옥[40] , 씨드락[41] , 스머프[42]
- 오버워치 - 리퍼, 솔저: 76, 트레이서, 위도우메이커, 정크랫, D.Va, 로드호그, 메르시, 시메트라, 솜브라, 둠피스트, 레킹볼, 시그마
- 외모지상주의 - 강남건물주, 바스코, 제우스[43] , 라솔, 스토커[44] , 크리스탈[45] , 이지훈[46] , 진진[47] , 파워껌담[48] , 개웃겨, 막이래[49] , 점박이, MC농약두봉지, MC쌀가마니, DG]
- 원펀맨 - 히어로협회에서 히어로 네임을 지어준다.
- 원피스 - 해군 대장(료쿠규, 아오키지, 아카이누, 키자루, 후지토라)
- 유희왕 - 인섹터 하가, 다이노서 류자키, 마리크 이슈타르
- 은혼 - 지라이아, 츤포
- 이나즈마 일레븐 시리즈
- 인생존망 - 맴매손(핑크맨)[50]
- 제로게임 - J
- 제멋대로 카이조 - 야마다
- 좀비 랜드 사가 - 프랑슈슈(미나모토 사쿠라, 니카이도 사키, 미즈노 아이, 콘노 준코, 유우기리, 호시카와 릴리, 야마다 타에)[51]
-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 쌍칼
- 죠죠의 기묘한 모험 - 리사리사
- 지옥소녀 - 호네온나, 이치모쿠 렌, 와뉴도[52]
- 짱 - 테리[53]
- 창세기전 시리즈
- 철권 시리즈 - 마스터 레이븐, 레이븐[63] , 아머 킹, 밥, 킹[64] , 화랑, 바이올렛[65] , 럭키 클로에[66]
- 치즈인더트랩 - 토마스
- 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 C.C., V.V.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 - 알렉세이 보로딘
- 크리퍼스큘 - 바토리 슈피첸
- 클로저스 - 제이, 트레이너, 하피[67] , 김가면, 김철수 등
- 킬미, 힐미 - 오리온
- 탐정의 왕 - 서태혁, 흑사병
- 터닝메카드 시리즈 - 반다인[68] , 미스터 K, 프로페서 C, 닥터 X
- 테러맨 - 김봉춘
- 테일즈 오브 데스티니2 - 쥬다스
- 투하트2 - 마량선배
- 트리니티 블러드 - 이자크 페르난도 폰 캠퍼
- 티어즈 투 티아라 - 아로운, 리안논
- 파이널 판타지 11 프로마시아의 주박 - 밀도리온
- 푸규루 - 마○○○
- 프리드로우 - 동까
- 프리크리 - 하루하라 하루코(ハルハラ・ハル子)[69]
-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 - 페코린느
- 하야테처럼! - 마리아
- 하츠유키 사쿠라 - 시로쿠마
- 학생가의 살인 - 마쓰키 모토하루(←스기모토 준야)
- 합법해적 파르페 - 아니스
- 해리 포터 시리즈 - 볼드모트
- 해피니스 차지 프리큐어! - 시라유키 히메[70]
- 해피 시스터즈 - 조화영[71]
- 헛소리 시리즈 - 이짱
- 형형색색의 세계 - 카노우에 유마, 미나미 카나, 이치노세 아유무
- DARKER THAN BLACK - 헤이
- Doll 체인지 - DOLL을 장착한 대회 참가자들
- Fate 시리즈 - 서번트들, 스칸디나비아 페페론치노
- GUN X SWORD - 갈고리 손톱의 남자
- My Little Pony: Friendship is Magic - 스위티 드롭스[72]
- Summer Pockets - 카토 우미[73]
- The Doritos - 쿠키닷컴
- WORKING!! - 야마다 아오이, 야마다 키리오
- XXX HOLiC - 이치하라 유코[74]
3.3. 가명이 별명인 인물들
- 김태균(?)
- 닥터후 - 닥터(닥터후)[75]
- 단간론파 시리즈 - 셀레스티아 루덴베르크,제노사이더 쇼
- 도라에몽 - 퉁퉁이(자이안)[76] , 퉁순이(자이코)[77]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 쿈
- 아랑전설 시리즈 - 홍푸
-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 액셀러레이터
- 창세기전 3: 파트 2 - 레드 헤드
[1] "프세유도님"이 아니다. P가 묵음이라 "슈도님"이라고 읽는다.[A] A B 이것으로 검색 시 이 문단으로 넘어온다.[2] 대표적으로 재일교포.[3] 사실 일본의 통명 제도는 '통명을 사용하기 위해 먼저 관공서에 등록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사용하고 있는 통명을 관공서에 등록함으로써 법적 효력을 부여하는 것'이다.[4] 실제로 통명을 등록할 경우 본명이 아닌 통명을 가지고도 인감의 등록, 은행계좌의 개설, 부동산이나 자동차 등의 매매와 등록 등 신분증명이 필요한 행위가 모두 가능하다. 다만 외국인의 신분증명 서류로 재류카드만 사용할 수 있는 일부 기관의 경우는 통명 사용이 불가능하다. 대표적으로 유초은행. 재류카드를 관리하는 법무성에서는 통명에 대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지 않아 재류카드에는 통명을 기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여권을 필요로 하는 국제선 항공기 역시 통명으로는 이용할 수 없다. 국내선 항공기는 이용 가능.[5] 처음 만난 자리에서 정중하게 "미스터/미스/미세스 A(성)"라고 지칭하는 상대에게 "Please, call me B"라고 해주는데, 보통 편하게 이름 (퍼스트네임)을 부르라고 하거나 애칭이나 별칭을 언급한다. 예를 들어 버락 오바마를 만나 ""Mr.President(대통령님)"이라고 부르면 "Please, call me Barack" 혹은 "Call me Barry (애칭)"이라고 하든지. "My friends call me A (내 친구들은 날 A라고 부르죠"라면서 자연스레 별칭을 알려주기도 하는데, 영화 "엔드게임"에서는 이걸 비틀어서 알렉산더 피어스가 자신을 지칭하며 "이쪽은 알렉산더 피어스"라고 하는 토니 스타크의 말을 받아서 까칠하게 "(My friends call me Mr. Secretary (내 친구들은 날 사무총장님이라고 부르지)"라고 받는다. 즉, "편하게 대할 생각 말고 예의 갖춰!"란 의미로 기싸움을 한 것. 웃긴건 상대가 그딴 감투 따위 신경도 안 쓸 토르.[6] 정부가 잘못이어서 반정부 활동하는 사람이 옳은 사람일수도 있고 정부가 옳은데 잘못된 이유로 반정부 활동하는 것일수도 있으며 그냥 순수한 의미의 범죄자(?)일수도 있다.[7] 볼드모트나 사미르 듀란, 에밀 나루드, 대런 섄 시리즈 등이 이에 속한다.[8] 김구는 '백정선'이란 가명을 썼다고 한다. 출처는 이봉창의 의거 이후 일본의 조사기록. 김익상, 오성륜 등과 함께 황포탄 의거를 일으켰던 독립운동가 이종암 또한 독립운동 당시엔 '양건호'라는 가명을 썼다. 또 님 웨일스의 <아리랑의 노래>의 주인공으로 유명한 독립운동가 김산 또한 가명이며 본명은 장지락이다.[9] 해방 이후 민주운동가 중에서도 가명을 많이 썼을 법한데 독립운동가에 비하면 민주운동가가 가명을 썼다는 이야기는 거의 없다. 정치평론가 유재일씨에 따르면 주사파 계열에선 최상층부는 가명을 쓰고 다녔다고 한다. 대표적으로 강철서신으로 유명한 김영환씨의 가명이 강철이었다. 이는 정보기관의 추적을 피하기 위한 조치였으며 이들대신 감옥에 들어간 사람은 학생회장같이 들어난 사람이었다. 한가지 일화중 대학생 시절 서로 사겼던 남녀가 중년이 되어 다시 만났는데 남자의 이름이 전혀 다른걸 보면서 황당해 했다는 이야기가 있다.[10] 블라디미르 레닌, 트로츠키, 스탈린 등은 전부 가명이다.[11] 유신3걸 중 조슈 출신인 기도 다카요시의 본명은 가쓰라 고고로이며 바람의 검심에서는 계속 본명으로, 료마전에서는 극 초기에 본명으로 나온다. 사카모토 료마도 사이타니 우메타로라는 가명을 썼다.[12] 프랑스의 지배를 받던 베트남을 독립시킴과 동시에 프랑스 치하에서 껍데기만 남았던 응우옌 왕조를 완전히 멸망시켰다.[13] 서독 총리를 역임한 빌리 브란트도 반나치 투쟁 때부터 쓴 가명이다.[14] 그 한 예로 김좌진 장군을 암살한 이도 김일성[15] 단, 롤링의 경우 'J. K. 롤링'은 자신의 처녀시절 이름을 변형시킨 필명이다. 즉 예명과 필명이 복잡하게 얽힌 케이스.[16] 형과의 대화에서 가명으로 밝혀졌다.[17] 자신들의 이름을 모르기 때문에 붙여진 코드 네임이기 때문에 가명이지만 본명이나 다를 바 없다.[18] 결국 마지막까지 본명은 밝혀지지 않았다.[19] 실질적으로 본명이 불명이다[20] 친밀단계 대사에 의하면 가족과 얽히기 싫어서 본래 이름을 버리고 가명을 사용중이라고 밝힌다. [21] 플레이어 듀란달도 설정상 다른 캐릭터들처럼 칭호나 이명이 아닌 정말 가명으로서 사용한다.[22] 작품 내 세계관 자체가 이름이 밝혀지면 위험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캐릭터의 이름들은 가명이다[23] 학교에 잠입하기 위해 만든 학생증 상의 가명이다.[24] 결국 그의 이름은 마지막까지 나오지 않아서 일종의 맥거핀처럼 되어버렸다.[25] 엄격한 집안 때문에 스쿨 아이돌 활동 때는 신분을 숨기고자 가명을 사용한다. 본명은 나카가와 나나. [26] 많은 이들이 간과하는 사실인데 그의 본명은 아무도 모른다. 그는 천애고아였기 때문. 덕분에 그의 이름을 맹세에 넣을 수가 없어 약속의 사람들이 맹세에 묶여서 죽고 나서도 성불조차 못하게 되고 말았다. 어찌되었건 본명이나 다름없긴 하다.[27] 본명 이베인. 그러나 르블랑은 좀 애매한 구석이 있는게, 스토리상에서는 검은 장미단이라고 하는 그녀가 소속된 악의 집단이 있는데 거기서의 수장 역할을 하는 풀네임이 에밀리아 르블랑이고, 그런 지위를 물려받은 검은 장미단원의 본명이 이베인이다. 자세한 사항은 리그의 심판을 참조.[28] 본명 세라 포츈.[29] 난폭한 성질 때문에 온화해지라고 붙여준 이름. 본명은 따로 있다고 한다.[30] 풀네임 카다 진. 허나, 이마저도 가명이다. 본명은 그의 얼굴과 함께 미궁에 빠져 있는 상태.[31] 3차 전직 퀘스트에서 나오는데, 팬텀이라는 이름을 얻으면서 예전 이름을 버렸다고 한다. 본명을 말하려다 말고 그만두어서 메덕들의 애를 태운다.[32] 랑이 지어준 이름으로, 본명은 프리드가 지어줬다고 하나 공개되지 않았다.[33] 플레이어가 지은 이름이 가명이다. 본명은 카인.[34] 본명은 '박춘심'. 본명을 알고 있는 왕대리에게는 꼼짝을 못 하며 무대리가 '미스 박' 대신 '춘심 씨'라고 부르겠다고 엄포를 놓자 눈물을 흘리며 무릎꿇고 빈다.[35] 86화의 일부 대사에서 "시도시도 혜뎡이는 시도."로 보아 본명은 최혜정이다.[36] 뤼팽은 본명이지만 여러 인물들로 변장하며 각각의 인물에 맞는 가명을 사용한다.[37] 인간계의 철수와 영희의 집에 잠시 머무르고 갈 때 한정으로 이 때 가명은 '김영민'.[38] 2007년 6월 연재 당시 신연예인지옥 6편 첫 등장 때부터 12년 9개월 동안 미스김이란 가명으로 나오다가 2020년 2월 시점에서 후속작인 666부대 114편에 김지연이란 본명이 뒤늦게 나왔다.[39] 666부대 PX에 근무하는 상근예비역으로 본명은 한바다로 추측된다.[40] 이전 고참들이 이병 당시 정지혁에게 붙여진 가명이다.[41] 입대 초반 장동혁의 가명으로 순직했던 담당 성우와 이름과 별명이 같다.[42] 본명은 김구상[43] '가을 수련회 3'편을 통해 제우스 교관의 본명은 김희민으로 웹툰 작가인 기안84의 이름을 따왔다.[44] 117화 '스토커 5' 편을 통해 '(전자 충격기) 소지허가증 제 xxx호'에 적혀진 성명으로 보아 자신의 범행 사실을 은폐하기 위해 박미영으로 개명했기 때문에, 박미영은 스토커의 진짜 이름이 아니다. 단, 동명의 게임에는 스토커가 해골의 가명으로 나온다.[45] 161화에서 자신의 몸이 2개인 사실을 감추기 위해 영어 이름으로 유학파인 척 연기한다.[46] 174~177화 '박형석의 정체' 편에 나온 미남 박형석의 임시 가명으로 수정 아빠인 회장이 가짜 서류를 임시로 만들었다. 아이러니하게도 프리드로우의 이지훈(마산빠따)과 이름이 같다.[47] 예나의 가명으로 186화에서 이진성이 지어낸 가명이다.[48] 대포통장 에피소드에 나온 장진혁의 가명이다.[49] 개웃겨와 막이래일 경우 여중생이자 가출 청소년으로 본명이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에 끝말마다 입버릇을 붙인다.[50] 맴매손과 핑크맨의 본명은 김진우로 바뀐 역사에서 분홍색 복면을 쓰고 등장한다.[51] 순서대로 1호, 2호, 3호, 4호, 5호, 6호, 0호[52] 인간으로 위장하고 있을 때 각각 가명을 사용한다.[53] 본명이 매우 안습이라...[54] 자신의 본명은 물론 기억을 잃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지만 본명이나 다름 없다.[55] 본래의 정체인 암흑신 유스타시아도 사실 코드네임이지만.[56] 어렸을 때 기억을 잃고 헤메다가 크리스티나 황제에게 발견되어 앤이라는 이름을 받았다.[57] 특이하게도 자신의 라이벌인 샤른호스트라는 이름을 가명으로 사용한다. 진짜 샤른호스트는 철가면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한다.[58] 정확히는 가명이 아니고 개명한 이름.[59] 가명임에도 불구하고 살라딘 본인은 오히려 살라딘이라는 이름을 진짜 이름처럼 여긴다.[60] 정확히는 가명이라기보다는 직위명. 하지만 게임상에서는 하이델룬이 이름인 것처럼 표현하여 유저들을 낚는다.[61] 본래의 정체인 데미안 폰 프라이오스도 진짜 이름은 아니다. 기억을 잃었기 때문.[62] 본명은 엘리나로, 불행했던 과거를 버리기 위해 마리아라는 가명을 사용한다. 후에 마리아로서의 자신을 숨기기 위해 유블레인이라는 이름을 사용한다.[63] 이 둘은 코드네임[64] 이 셋은 링네임이다.[65] 엑셀렌트(excellent)라는 입버릇으로 보아 바이올렛의 정체는 리 차오랑이다.[66] 이쪽은 예명[67] 트레이너가 붙인 인식명이다. 본명은 언급된적이 없으며, 처리부대에 들어오기전엔 홍시영의 측근이였는데 홍시영도 하피를 '당신'이라고만불러서 본명은 아직까지도 불명.[68] 세뇌당했을 시절 붙여졌던 이름으로 본명은 김지훈인데, 익숙해졌다는 이유로 아무도 그 이름을 불러주지 않는다(...)[69] 일본어 명칭까지 기재하는 이유는, 본명은 저기서 한자 딱 한 자만 떼면 되기 때문.[70] 본명이 너무 길어 가명을 사용한다.[71] 본명은 어릴적 이름인 조영숙이다.[72] 가명이 봉봉, 본명이 스위티 드롭스라는 설정.[73] 정확히는 '카토'라는 성이 다르다.[74] 자신의 진짜 이름을 가르쳐 준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본인이 스스로 가명을 사용한다고 밝혔다.[75] 원래 쿈처럼 본명이 맥거핀이 될 뻔했으나 스티븐 모팻으로 인해 거대한 떡밥으로 변하였다. 뭐 그 떡밥이 "이름보다 의미가 중요하다"로 끝나버렸지만(...).[76] 다만 몇몇 한국판 에피 한정으로 '성'까지 나온 본명이 나온 적 있으나 근데 이게 한국판 에피마다 다 다르다(…).[77] 제작진이 모종의 이유로 일부로 이름을 안지어 준거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