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기동차

 


[image]
원본 링크
고기동차(하야테) 시승
고기동차(하야테) 시승 두번째
1. 제원
2. 상세
3. 파생형
3.3. 중거리 다목적 유도탄
3.4. 중박 견인차
3.5. 이동식 저공 레이더 장치 JTPS-P18
3.6. 위성 단일 통신 가반국 장치 JMRC-C4
3.7. 발연차
3.8. 항공전원차
3.9. 지휘통신차
3.10.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3.10.1. 만화 • 애니메이션
3.10.2. 영화
3.10.3. 게임
3.11. 둘러보기


1. 제원


'''高機動車こうきどうしゃ''' (疾風はやて)
'''고기동차 제원'''
'''중량'''
2.55t (공차중량)
3.4t (완비중량, 추정)
'''전장'''
4.91m
'''전폭'''
2.15m
'''전고'''
2.35m
'''엔진'''
토요타 15B-FTE 직렬 4기통 터보 디젤 엔진 (4,104cc)
'''변속기'''
토요타 ??? 4단 자동변속기
'''현가장치'''
독립식 더블 위시본
'''최대출력'''
150마력 (3,400rpm 에서)
'''최대속도'''
125km/h(도로)
'''톤당 마력'''
43.4hp/t(?!)
'''항속거리'''
860km
'''도섭 가능 심도'''
?m
'''주무장'''
74식 7.62mm 차재기관총 1정 또는 FN 미니미 5.56mm 경기관총1정
'''부무장'''
없음
'''탄약 적재량'''
7.62mm 기관총탄 ?발 또는 5.56mm 기관총탄 ?발
'''탑승인원'''
승무원 2명 + 보병 ~8명
'''방어력'''
불명, 포탄 파편 방호(추정)
'''장갑'''


2. 상세


일본 육상자위대의 주력 전술차량. 개발 모티브가 험비인 만큼, 그에 따라 파생형도 다양하다. 약칭은 High Mobility Vehicle의 약자인 HMV[1] 또는 고기(高機(コウキ)), 별명은 일본어로 질풍(疾風)을 뜻하는 하야테, 재패니즈 험비.
이 차의 특이한 점은 앞바퀴가 조향하면 동시에 뒷바퀴에도 조향을 한다. 이는 코너링을 할 때 용이하고, 커브길에 도랑이나 낭떠러지 경우에 뒷바퀴가 빠지지 않게 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3. 파생형


관용/민수용으로 토요타 메가크루저가 존재한다. 하지만 민수용으로는 재한된 수량만 판매되고, 주로 일본 경찰이나 일본 소방청 그리고 일본 항공자위대 및 일본 해상자위대 등에서 발주하고 있다. 메가크루저 경찰차는 포장도로의 비율이 낮은곳의 지역에서 자주 쓰인다.

3.1. 93식 근거리 지대공유도탄


[image]
[image]
'''93式きゅうさんしき 近距離きんきょり 地対空誘導弾ちたいくうゆうどうだん'''
'''93식 지대공 미사일 제원'''
'''중량'''
2.55t + ???kg
'''전장'''
4.91m
'''전폭'''
2.15m
'''전고'''
2.35m
'''엔진'''
토요타 15B-FTE 직렬 4기통 터보 디젤 엔진 (4,104cc)
'''변속기'''
토요타 ??? 4단 자동변속기
'''현가장치'''
독립식 더블 위시본
'''최대출력'''
150마력 (3,400rpm 에서)
'''최대속도'''
125km/h(도로)
'''톤당 마력'''
43.4hp/t(?!)
'''항속거리'''
860km
'''도섭 가능 심도'''
?m
'''주무장'''
91식 지대공유도탄 4연장 발사기 2기
'''추적/유도방식'''
적외선, 레이저 조준, 광학추적/CCD이미징, IRH
'''사거리'''
5km
'''추적거리'''
?km
'''부무장'''
없음
'''탄약 적재량'''
91식 지대공유도탄 8발
'''탑승인원'''
2명
'''방어력'''
불명, 포탄 파편 방호(추정)
'''장갑'''

1993년에 자위대가 제식 채용한 일본판 어벤저 미사일 시스템이며, 약칭은 "SAM-3", "근-SAM(近SAM)", 별명은 Closed Arrow. 91식 지대공유도탄 4연장 발사기 2개를 장착시키고, 발판 모양인 IFF 안테나, 가시광 TV카메라, 레이저 수광기, 적외선 센서, 레이저 발진기 등의 조준장치로 목표물(적기)에 조준하여 미사일을 발사하는 역할이다. 두 번째 사진과 같이 터렛이 머리의 움직임과 연동되며 적기를 바라보는 것으로 조준하는 헤드 마운트 장치를 사용하기도 한다.
육상자위대의 고사특과와 항공자위대, 해상자위대의 기지 방어용으로 쓰이고 있다.



3.2. 96식 다목적 유도탄 발사 시스템


[image]
'''96式きゅうろくしき 多目的たもくてき 誘導弾ゆうどうだん システム'''
96식 다목적 미사일 시스템 중 발사차량, 지상 유도 장치 차량(GGU, Ground Guidance Unit), 사격지휘장치 차량(FCU, Fire Control Unit), 관측기재 차량(OPU, Observation Post Unit)들이 고기동차의 파생형. 애칭은 "96 멀티(96マルチ)"이다.

3.3. 중거리 다목적 유도탄


[image]
'''中距離ちゅうきょり 多目的たもくてき 誘導弾ゆうどうだん'''
관련 동영상
2004년에 채용 및 배치한 79식 대주정/대전차 유도탄87식 대전차유도탄을 대체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미사일. 밀리파 레이더와 적외선 카메라가 달린 캐스터로 조준하여 미사일 쏴서 목표물(적의 상륙 주정(고속정)과 수륙양용차량, 전차)을 맞춘다.

3.4. 중박 견인차


[image]
'''重迫じゅうはく 牽引車けんいんしゃ'''
81mm 박격포 L16를 수송하는 역할인 73식 경트럭과 1/4t 트레일러와 더불어 박격포반에서 요긴하게 쓰이고 있는 차량. 프랑스에서 도입한 견인형식의 중(重)박격포 120mm 박격포 RT를 포구에 견인용 포구캡을 돌려서 잠그고 고기동차 후미에 있는 견인훅에 체결시키고 견인해서 이동한다.
차내에는 박격포탄을 적재할 수 있게 금속 받침대가 있다.

3.5. 이동식 저공 레이더 장치 JTPS-P18


[image]
[image]
'''低空ていくう レーダ 装置そうち JTPS-P18'''
육상자위대의 고사특과가 운용하는 저공 레이더(2차원 레이더). 사단 • 여단 예하 고사특과대대에 비치하여 저고도에 침투하는 적기와 적 헬기,순항 미사일등을 즉각적으로 탐지, 신속 대응, 지속적으로 대공정보처리시스템 등에 데이터 전송하는 역할.

3.6. 위성 단일 통신 가반국 장치 JMRC-C4


[image]
'''衛星えいせい 単一たんいち 通信つうしん 可搬局かはんきょく 装置そうち JMRC-C4'''
통칭 "TASCOM-X". 육상자위대 통신과가 운용한다. 방면대 및 사단 • 여단 등 상급부대에 있어 인공위성을 중계해서 음성과 데이터 통신을 하는 역할.

3.7. 발연차


'''発煙車''' (はつえんしゃ)
뒷쪽의 좌석을 없엔 하드탑 고기동차의 후부에 발연장비를 단 버전.

3.8. 항공전원차


'''航空電源車''' (こうくうでんげんしゃ)
육상자위대 항공과, 항공자위대에서 군용기 시동을 켤 때 이 차로 통해 전기를 넣어서 도와주는 역할.

3.9. 지휘통신차


'''指揮通信車'''
일반 고기동치 후부에 연락을 위한 무전기등이 갖춰저 있다.

3.10.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자위대가 나오는 매체라면 거의 대부분 나온다고 봐도 무방하다.

3.10.1. 만화 • 애니메이션



3.10.2. 영화



3.10.3. 게임



3.11. 둘러보기






[1] 그런데 이 약칭으론 구글에서 해당 정보를 찾을수 없다. 왜냐하면 HMV가 Hentai MAD Video의 약자이기도 하기 때문. 그렇다고 영칭인 'High Mobility Vehicle'로 검색하면 다른 나라의 전술 차량도 쭉 나오니 'Toyota Megacruiser' 나 'Megacruiser Military' 로 검색하는쪽이 낫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