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대학원
1. 개요
고려대학교의 대학원을 소개한 문서이다. 각 대학원을 캠퍼스별로 정리하였다.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의 단과대(학사관리 주관대학) 상징에는 가는 두 줄이 추가되어 있어서 학부 단과대 상징과 서로 구별할 수 있다. 전문대학원과 특수대학원의 경우에도 각 대학원의 상징이 존재하며 여기에도 가는 두 줄이 그어져 있다. 그리고 일부 전문대학원 및 특수대학원의 경우에는 일반대학원의 단과대 상징을 공유한다.
2. 일반대학원 #
일반대학원의 경우 행정적으로 캠퍼스 구분없이 통합 운영한다.[5] 캠퍼스에 상관없이 일반대학원 석사과정의 학번 코드는 02이며, 박사과정 및 석·박사통합과정의 학번 코드는 01이다. 공식적으로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생들은 '고려대학교 대학원 OO학과 XX과정' 소속이기에 단과대 구분이 무의미해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학사관리 주관대학'이라는 것을 설정하여 운용 중이다. 참고로 법학과의 경우 법과대학이 폐지됨에 따라 법학전문대학원에서 학사관리 주관대학 역할을 담당한다.
학과 뒤 쌍점 다음의 내용은 전공을 의미한다. 학부 과정이 따로 존재하지 않고 대학원 과정만 존재하는 학과가 독립적으로 홈페이지를 운영할 경우에는 해당 홈페이지 링크를 걸어두었다.
2.1. 서울캠퍼스
2.1.1. 법학전문대학원
[image]
2.1.1.1. 법정계
2.1.2. 경영대학
[image]
2.1.2.1. 상경계
2.1.3. 문과대학
[image]
2.1.3.1. 어문계
- 국어국문학과: 국어학, 고전문학, 현대문학, 한문학, 한국어문화교육학
- 영어영문학과: 영어학, 고전영문학, 근대영문학, 미국문화
- 독어독문학과: 독어학, 독문학, 독일어권지역학
- 불어불문학과: 불어학, 불문학
- 중일어문학과: 중국문학, 중국어학, 일본어학·교육, 일본문학·문화, 중일 지역·비교문화
- 노어노문학과: 노어학, 노문학, 러시아CIS지역학
- 서어서문학과: 서어학, 서문학, 서·중남미지역학
2.1.3.2. 인문계
- 철학과: 동양철학, 서양철학
- 사학과: 동양사, 서양사
- 한국사학과: 한국고대사, 한국중세사, 한국근현대사
- 언어학과: 이론언어학, 전산언어학, 기호학, 실용언어학
2.1.3.3. 사회계
2.1.3.4. 학과간 협동과정
- 과학기술학협동과정: 과학철학 및 과학사, 과학사회학, 과학관리학, 과학언론학
- 영상문화학협동과정: 영상문화학
- 비교문학비교문화협동과정: 비교문학비교문화이론
- 고전번역협동과정: 고전번역
- 문화유산학협동과정[C]
- 노동학협동과정: 노동학[D][10]
2.1.4. 생명과학대학
[image]
2.1.4.1. 상경계
- 식품자원경제학과[A] : 식품·보건경제학, 응용경제학
2.1.4.2. 생명환경계[E]
- 환경생태공학과: 생태학 및 환경생물학, 수질 및 토양환경, 생물재료공학, 환경계획 및 조경학, 환경복원 생태공학
2.1.4.3. 생명과학 및 생명공학계[E]
- 생명공학과: 의약나노바이오시스템, 분자생체공학, 시스템식품생명공학, 화학분자생명
- 생명과학과: 생화학, 분자생물학, 세포생물학, 분자의생명과학
- 식물생명공학과: 식물유전공학, 식물병리학 및 생리학
2.1.5. 정경대학
[image]
2.1.5.1. 법정계
2.1.5.2. 상경계
- 경제학과[13] : 경제학, 이론경제학, 재정학, 화폐금융론, 국제경제학, 노동경제학, 경제사, 발전경제학, 계량경제학, 산업조직론, 환경지역경제학, 거시경제학, 정치경제학, 의료경제학
2.1.5.3. 사회계
- 통계학과[A] : 응용통계학, 수리통계학
2.1.5.4. 학과간 협동과정
2.1.6. 이과대학
[image]
2.1.6.1. 이학계[E]
- 수학과: 대수학 및 수론, 위상수학, 해석학, 응용수학, 확률론, 기하학
- 물리학과: 핵물리학, 응집물질물리학, 양자광학, 입자물리학, 통계물리학, 비선형동력학 및 생물물리학
- 화학과: 물리화학, 분석화학, 무기화학, 유기화학, 생물화학, 고분자화학
- 지구환경과학과: 지질과학, 지질환경학, 지구물리학, 대기환경학
2.1.6.2. 학과간 협동과정
- 보험계리협동과정: 보험계리[B]
2.1.7. 공과대학
[image]
2.1.7.1. 공학계[E]
- 화공생명공학과: 화공생명공학
- 건축사회환경공학과: Built Environment, Smart Construction & Mobility, Water & Ecosystems, Energy Systems
- 건축학과: 건축계획학, 도시계획 및 도시설계
- 기계공학과: 기계공학
- 전기전자공학과: 반도체 및 나노, 신호 및 멀티미디어, 제어·로봇·시스템, 전기에너지, 컴퓨터공학, 통신 및 네트워크, 집적회로
- 신소재공학과: 신소재공학
- 산업경영공학과: 산업경영공학, 산업인공지능
2.1.7.2. 학과간 협동과정
- 메카트로닉스협동과정[C][F]
- 미세소자공학협동과정[A] : 반도체소자, 마이크로소자
- 마이크로/나노시스템협동과정[C][F]
- 바이오마이크로시스템기술협동과정[A] : 바이오마이크로시스템기술, 나노융합기술, 의공학
- 도시재생협동과정[C][F]
2.1.7.3. 계약학과
- 반도체시스템공학과[14][A] : 나노반도체재료 및 소자, 나노반도체 설계,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 나노포토닉스공학과[15][A] : 나노포토닉스
- 자동차융합학과[16] : 전자제어[B]
- 스마트융합학과[17][A] : 스마트융합
- 스마트도시학과[18] : 스마트도시
2.1.8. 의과대학
[image]
2.1.8.1. 의학계
- 의학과: 해부학, 생리학, 생화학, 병리학, 미생물학, 약리학, 예방의학, 기생충학, 법의학, 내과학, 외과학, 정형외과학, 신경외과학, 흉부외과학, 성형외과학, 소아청소년 과학, 산부인과학, 피부과학, 비뇨기과학, 이비인후과학, 안과학, 정신건강의학, 영상의학, 진단검사의학, 마취통증의학, 치과학, 재활의학, 신경과학, 가정의학, 응급의학, 방사선종양학, 핵의학, 의학교육학·의인문학, 통합의학
- 의과학과[A] : 의생명과학, 의공학, 바이오메디컬융합학[19]
2.1.8.2. 학과간 협동과정
2.1.9. 사범대학
[image]
2.1.9.1. 인문계
- 지리학과: 자연지리학, 인문지리학
2.1.9.2. 교육계
- 교육학과[A] : 영역별로 재구분한다.
- 교육핵심과학영역: 교육사철학, 교육과정학, 교육공학, 특수교육
- 교육심리과학영역: 교육심리학, 교육측정·통계, 상담
- 교육응용과학영역: 교육사회학, 인적자원개발 및 성인계속교육학, 교육행정학 및 고등교육학
- 교과교육학과: 수학교육, 역사교육
- 국어교육학과: 국어교육
- 영어교육학과: 영어교육
2.1.9.3. 가정계
- 생활과학과: 식품영양학, 아동학, 패션디자인 및 머천다이징, 소비자학, 가정교육학
2.1.9.4. 체육계
- 체육학과: 체육학
2.1.10. 간호대학
[image]
2.1.10.1. 간호계
- 간호학과[20] : 노인, 임상, 간호과학
2.1.11. 디자인조형학부
[image]
2.1.11.1. 예능계
- 디자인조형학과[B] : 산업디자인, 조형문화예술
2.1.11.2. 학과간 협동과정
- 창의융합디자인협동과정[C]
2.1.12. 미디어학부
[image]
2.1.12.1. 사회계
- 미디어학과: 미디어학
2.1.13. 보건과학대학
[image]
2.1.13.1. 사회계
- 헬스케어사이언스학과[A] : 보건법경제정책, 보건의료산업, 디지털보건통계
2.1.13.2. 이학계[E]
- 의생명융합과학과: 바이오식의과학, 바이오의과학
- 보건안전융합과학과: 방사선의과학, 임상검사과학, 환경보건안전
2.1.13.3. 보건계[E]
- 보건과학과: 재활과학, 치의기공학, 보건정책관리학, 역학·위해관리학, 환경보건학, 보건생명·식품과학
2.1.13.4. 공학계[E]
- 바이오의공학과: 바이오의공학
2.1.13.5. 학과간 협동과정
- 글로벌헬스협동과정[F] : 글로벌헬스
2.1.14. 정보대학
[image]
2.1.14.1. 공학계[E]
2.1.14.2. 학과간 협동과정
2.1.15. 정보보호학부
[image]
2.1.15.1. 공학계[E]
- 정보보안학과: 정보보안정책, 사이버국방, 금융보안, 디지털포렌식, 블록체인, 소프트웨어보안, 네트워크보안, 융합보안, 저작권디지털포렌식
2.2. 세종캠퍼스
2.2.1. 과학기술대학
[image]
2.2.1.1. 이학계
- 컴퓨터정보학과[21] : 전산과학, 지능컴퓨터시스템, 네트워크관리, 소프트웨어공학, 정보·통신 융합, 보안 및 병렬알고리즘, DB 및 데이터마이닝, 지능형 사이버·물리시스템, IoT&AI, 자율모바일아키텍처, 인공지능 및 의생명전산학
- 응용물리학과: 디스플레이·반도체, 응집물리학
- 신소재화학과: 소재유기화학, 소재물리화학, 소재무기화학, 정밀분석화학, 에너지소재
- 응용수학과[B] : 계산과학 및 암호학, 위상기하학 및 확률론
- 가속기과학과: 가속기과학, 가속기응용
2.2.1.2. 공학계
- 전자·정보공학과[22][23] : 전자·정보공학, 전자장 및 초고주파공학, 신호처리 및 통신공학, 컴퓨터시스템공학, 의용전자공학, 반도체공학, ICT융합기술
- 환경공학과: 환경공학
- 제어계측공학과: 메카트로닉스, 계측 및 센서, 스마트자동차부품
- 생명정보공학과: 생명정보공학
- 식품생명공학과: 식품생명공학
- 사이버보안학과[B] : 사이버보안
2.2.1.3. 학과간 협동과정
2.2.1.4. 계약학과
2.2.2. 약학대학
[image]
2.2.2.1. 약학계[E]
- 약학과: 임상약학, 산업약학, 약물과학, 생물약학, 보건사회약학
2.2.3. 공공정책대학
[image]
2.2.3.1. 상경계
- 경제통계학과: 응용미시계량경제학, 응용거시계량경제학, 국가통계학, 미시경제정책, 거시경제정책, 산업정책, 지역경제정책, 방송통신정책, 재정정책
2.2.3.2. 사회계
-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 사회정책
- 북한학과: 북한학, 통일정책
2.2.3.3. 이학계
- 응용통계학과[B] : 응용통계학, 이론통계학
2.2.3.4. 학과간 협동과정
- 국토및도시정책협동과정: 국토 및 도시정책
2.2.4. 글로벌비즈니스대학
[image]
2.2.4.1. 상경계
- 디지털경영학과: e-비즈니스, 인터넷 무역, EC시스템
- 기업경영학과[A] : 글로벌경영, 재무, 마케팅, 생산운영관리, 정보전략, 조직관리, 회계세무
2.2.4.2. 학과간 협동과정
- 글로벌언어문화협동과정[C]
- 융합기술시스템공학협동과정[C]
2.2.5. 문화스포츠대학
[image]
2.2.5.1. 인문계
- 문예창작학과: 문학창작, 공연·영상
- 고고미술사학과: 고고학, 미술사학
- 문화콘텐츠학과: 문화콘텐츠학
2.2.5.2. 체육계
- 스포츠융합학과: 스포츠과학, 스포츠비즈니스
3. 전문대학원
3.1. 서울캠퍼스
3.1.1. 법학전문대학원 #
[image]
- 법학전문석사과정(J.D. 과정: 로스쿨)
- 법학전문박사과정(J.S.D. 과정)
- 전문연구과정
3.1.2. 의학전문대학원(폐지) #
3.1.3. 경영전문대학원 #
[image]
- MBA 과정
- Korea MBA
- Executive MBA
- Finance MBA
- Global MBA
- Global MIM
- S³ Asia MBA
3.1.4. 국제대학원 #
[image]
- 석사과정
- 국제학과: 국제통상, 국제개발협력, 국제평화안보, 지역학
- 한국학과: 한국학
- 박사과정
- 국제학과: 국제통상, 국제협력
3.1.5. 정보보호대학원 #
[image]
- 석사과정
- 정보보호학과
- 금융보안학과
- 디지털포렌식학과
- 사이버보안학과
- 빅테이터응용 및 보안학과
- 정보보안학과(일반대학원 소속)
- 융합보안학과
- 블록체인학과
- 사이버안보학과(사이버사령부 소속 직원 계약학과, 현재는 종료))
- 박사과정
- 정보보호학과[26]
- 융합보안학과
- 블록체인학과
3.1.6. 에너지환경대학원(그린스쿨)[27]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공동 운영 #
[image]
- 석사, 박사, 석·박사통합과정
- 에너지환경정책기술학과: 신재생에너지, 첨단환경과학, 에너지환경정책
- 에너지시스템공학과
3.1.7. 기술경영전문대학원 #
[image]
- 석사과정
- 기술경영학과
- 국방기술경영학과
- 지식재산전략학과
- 박사과정
- 기술경영학과
- 국방기술경영학과
- 최고위과정
- 기술경영최고경영자과정
- 블록체인전략전문경영자과정
- 프로젝트관리전문가과정
- 프로젝트관리전문가과정(PMP)
- 글로벌프로젝트관리준전문가과정(CAPM)
- 기술금융전문가과정
- 벤처캐피털리스트(투자심사역)양성과정
3.1.8. KU-KIST융합대학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공동 운영 #
[image]
- 석사, 박사, 석·박사통합과정
- NBIT[28] 융합전공
3.2. 세종캠퍼스
3.2.1. 행정전문대학원[29] #
[image]
- 석사과정
- 행정학과
- 정책학과
- 박사과정
- 행정학과
- 정책학과
- 최고관리과정
4. 특수대학원
4.1. 서울캠퍼스
4.1.1. 법무대학원 #
[image]
4.1.2. 생명환경과학대학원 #
[image]
- 석사과정
- 식품공학과
- 응용경제학과
- 환경생태공학과
- 생명분자유전공학과
- 분자진단생명공학과
- 원예생명공학과
- 기후환경학과
- 최고위과정
4.1.3. 정책대학원 #
[image]
- 석사과정
- 국제관계학과
- 글로벌정치학과
- 도시 및 지방행정학과
- 경제정책학과
- 데이터통계학과
- 감사행정학과
- 조세재정학과
- 사회안정행정학과
- 국토경제학과
4.1.4. 공학대학원 #
[image]
- 석사과정
- 건축사회환경공학과
-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 산업디자인학과
- 지식재산학과
- 글로벌 건설엔지니어링학과
- 스마트제조학과
4.1.5. 교육대학원 #
[image]
- 석사과정
- 가정교육
- 간호교육
- 교육방법
- 교육사철학
- 교육정보
- 교육행정 및 고등교육
- 국어교육
- 기업교육
- 도덕·윤리교육
- 미술교육
- 상담심리교육
- 생물교육
- 수학교육
- 역사교육
- 영어교육
- 영재 및 특수교육
- 유아교육
- 일반사회교육
- 일어교육
- 지리교육
- 체육교육
- 컴퓨터교육
- 평생교육
- 한국어교육
- 최고위과정
- 교육/문화/체육 글로벌리더
- 교육경영 AMP
4.1.6. 보건대학원 #
[image]
- 석사과정(고려대학교의료원이 관리한다.)
- 환경 및 국제보건학과
- 역학 및 보건정보학과
- 보건정책 및 병원관리학과
- 보건통계학과
4.1.7. 컴퓨터정보통신대학원 #
[image]
- 석사과정
- 인공지능융합학과
- 소프트웨어공학과
- 빅데이터융합학과
- 소프트웨어보안학과
- 석사과정 계약학과
- 디지털금융공학과
- 디지털융합금융학과
4.1.8. 미디어대학원[30] #
[image]
- 석사과정
- 뉴미디어
- 저널리즘
- 광고·PR
- 영상엔터테인먼트
- 최고위 언론과정
4.1.9. 노동대학원 #
[image]
- 석사과정[31]
- 노동법학과
- 노동경제학과
- 노사관계학과
- 노동복지정책학과
- 인력관리학과
- 최고지도자과정
- 근로복지정책과정
- 노사관계전문가과정
4.1.10. 임상치의학대학원 #
[image]
- 석사과정(고려대학교의료원이 관리한다.)
- 치과교정학과
- 구강악악면외과학과
- 심미수복학과
- 고급치과보철학과
- 임플란트학과
4.2. 세종캠퍼스
4.2.1. 경영정보대학원 #
[image]
- 석사과정
- 경영학과: 경영관리, 경영정보, 회계금융, 조직관리, 국제경영
- 창업학과: 창업
4.2.2. 문화스포츠대학원[32] #
[image]
- 석사과정
- 사회복지학과[G]
- 문화예술학과
- 영어번역학과
- ICT콘텐츠학과
- 스포츠비즈니스학과
4.2.3. 의용과학대학원 #
[image]
[E]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석사과정만 개설되어 있는 전공의 경우를 제외하고 전부 석·박사통합과정 운용 중[1] 2019학년도 1학기까지는 정식명칭이 에너지환경정책기술대학원이었으나 해당년도 2학기부터 "정책기술"이 빠졌다[2] 기존에는 특수대학원인 '행정대학원'으로 정부대전청사 근처 고려대학교 대전교육관에 있었으나 2017학년도부터 전문대학원으로 전환하였으며 행정중심복합도시 세종 공동캠퍼스로 이전할 예정.[3] 구 언론대학원[4] 학부과정의 인문대학이 문화스포츠대학으로 개편되면서 인문정보대학원에서 개칭[5] 그렇지만 교육부에서는 일반대학원 역시 본교와 분교는 법적으로 서로 다른 학교라고 선을 긋고 있다.[A]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모든 전공에 석·박사통합과정 운용 중[6] 세법 포함[7] 경제법, 국제거래법 포함[8] 국제금융, 국제마케팅, 국제무역 포함[B] A B C D E F G H I J K 석사과정 전용[9] Business Analytics 전공은 1년 과정임[C] A B C D E F G H I J K L 전공 부재[D] A B 박사과정 전용[10] 석사과정은 특수대학원인 노동대학원에 설치되어 있다.[11] 석사과정생은 전부 정치외교학전공, 박사과정생과 석·박사통합과정생은 나머지 중 택일[12] 석사과정은 운용되지 않으며 박사과정과 석·박사통합과정이 운용된다.[13] 석사과정생은 전부 경제학전공, 박사과정생과 석·박사통합과정생은 나머지 중 택일[F] A B C D E 석·박사통합과정 운용 중[14] SK하이닉스와 계약[15] LG이노텍과 계약[16] 현대자동차와 계약[17] LG전자와 계약[18] 서울주택도시공사와 계약[19] 석·박사통합과정만 존재[20] 노인간호학(노인전공)과 임상간호학(임상전공)은 석사과정 전용이며, 전문간호사과정이다.[21] 석사과정생은 전부 전산과학전공, 박사과정생은 나머지 중 택일[22] 석사과정생은 전부 전자·정보공학전공, 박사과정생은 나머지 중 택일[23] ICT융합기술전공은 석사과정생도 진입 가능[24] 석사과정은 특수대학원인 의용과학대학원에 설치되어 있다.[25] 기능성 식품 제조 및 연구 분야 중소·중견기업과 계약(농림축산식품부 추진)[26] 석·박사통합과정도 운용[27] 2019학년도 1학기까지는 정식명칭이 에너지환경정책기술대학원이었으나 해당년도 2학기부터 "정책기술"이 빠졌다[28] Nano-Bio-Information-Technology[29] 기존에는 특수대학원인 '행정대학원'으로 정부대전청사 근처 고려대학교 대전교육관에 있었으나 2017학년도부터 전문대학원으로 전환하였으며 행정중심복합도시 세종 공동캠퍼스로 이전할 예정.[30] 구 언론대학원[31] 박사과정은 일반대학원 노동학협동과정으로 개설되어 있다.[32] 학부과정의 인문대학이 문화스포츠대학으로 개편되면서 인문정보대학원에서 개칭[G] A B 일반대학원에도 설치되어 있다.[H] A B C 박사과정은 일반대학원 의용과학협동과정으로 설치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