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생대 생물목록
| '''시대별 생물목록''' | ||
| 고생대 생물목록 | 중생대 생물목록 | 신생대 생물목록 |
- 목이나 상과, 과를 대표하는 경우
- 대중적으로 유명하거나 교과서 등에서 중요하게 다뤄지는 생물
| 이름 | ||
| 존속시기 | 화석 산출지(산출지 국가) | 설명 |
1. 동물
1.1. 척삭동물문
| 하이코우이크티스 Haikouichthys | ||
| 캄브리아기 | 중국 후베이성 첸장시 캄브라이기 지층 | 현재까지 알려진 최초의 척삭동물 중 하나 |
| 피카이아 Pikaia | ||
| 캄브리아기 |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버지스(Burgess)산 버제스 셰일 | 최초의 척삭동물 자리를 빼앗긴 불명예의 주인공 |
1.1.1. 어류
| 사카밤바스피스 Sacabambaspis | ||
| 오르도비스기 | 볼리비아, 오스트레일리아, 아르헨티나, 오만 | 무악어류. |
| 아란다스피스 Arandaspis | ||
| 오르도비스기 | 미국 데스벨리 국립공원, 호주 노던 준주 앨리스 스프링스(Alice Springs) | 무악어류. |
| 스테타칸투스 Stethacanthus | ||
| 데본기 후기~석탄기 전기 | 유럽, 북아메리카 | 데본기 후기의 바다에 서식하던 원시어류. |
| 둔클레오스테우스 Dunkleosteus | ||
| 데본기 말기 | 북아메리카나 유럽, 북아시아 등지 | 데본기 바다 최강의 포식자 중 하나. |
| 코코스테우스 Coccosteus | ||
| 데본기 말기 | 북아메리카나 유럽, 북아시아 등지 | 데본기 바다와 민물을 오가는 둔클레오스테우스의 소형 버젼. |
| 에우스테놉테론 Eusthenopteron | ||
| 데본기 후기 | 캐나다 | 사지형어류와 초기 사지동물 진화의 아이콘인 고대 어류. |
| 틱타알릭 Tiktaalik | ||
| 데본기 후기 | 캐나다 | 육지로 상륙하기 시작했던 어류. |
| 보트리올레피스 Bothriolepis | ||
| 데본기 후기 | 북아메리카 | 데본기에 서식했던 판피어류. |
| 크세나칸투스 Xenacanthus | ||
| 데본기 후기~ 트라이아스기 | 전 세계 | 민물에 살던 원시상어. |
| 헬리코프리온 Helicoprion | ||
| 페름기 후기~트라이아스기 전기 | 러시아 | 나선형 모양의 기묘한 턱을 가진 원시 어류. |
| 히보두스 Hybodus | ||
| 페름기~백악기 후기 | 미국 엘버타 주 공룡공원, 영국 도싯 주 라임 리지스의 블루 라이어스 절벽 外 | 페름기 대멸종을 이겨내고 중생대를 살던 원시 상어. |
1.1.2. 양서류
| 아칸토스테가 Acanthostega | ||
| 데본기 | 그린란드 | 최초의 다리를 가진 척추동물. |
| 이크티오스테가 Ichthyostega | ||
| 데본기 후기 | 그린란드 동부지역 데본기 지층 | 가장 널리 알려진 고대 양서류. |
| 프로테로기리누스 Proterogyrinus | ||
| 석탄기 후기 | 미국 웨스트 버지니아 주 데본지 지층, 영국 | 석탄기의 거대했던 양서류. |
| 페데르페스 Pederpes | ||
| 석탄기 | 미국 | 육상을 걸어다닌 척추동물 중 가장 오래된 동물. |
| 에리옵스 Eryops | ||
| 페름기 전기 | 북아메리카 | 페름기의 거대한 육상 양서류. |
| 프리오노수쿠스 Prionosuchus | ||
| 페름기 전기~후기 | 남아메리카 | 지구 역사상 가장 거대했던 양서류. |
1.1.3. 파충류
| 페트롤라코사우루스 Petrolacosaurus | ||
| 석탄기 후기 | 북아메리카 | 현재까지 알려진 최초의 이궁류 파충류. |
| 힐로노무스 Hylonomus | ||
| 석탄기 후기 | 북아메리카 | 현재까지 알려진 최초의 무궁류 파충류. |
1.1.4. 단궁류
| 아르카이오티리스 Archaeothyris | ||
| 석탄기 후기 | 북아메리카 | 현재까지 알려진 최초의 단궁류. |
| 디메트로돈 Dimetrodon | ||
| 페름기 전기 | 북아메리카 | 가장 유명한 단궁류 중 하나. |
| 에다포사우루스 Edaphosaurus | ||
| 페름기 전기 | 북아메리카, 유럽 | 등에 달린 돛으로 유명한 초창기의 단궁류 중 하나. |
| 오피아코돈 Ophiacodon | ||
| 페름기 전기 | 북아메리카 | 돛 없는 디메트로돈형 단궁류. |
| 스페나코돈 Sphenacodon | ||
| 페름기 전기 | 미국 | 디메트로돈과 오피아코돈의 중간 모습을 한 단궁류. |
| 카세아 Casea | ||
| 페름기 전기 | 미국, 프랑스 | 코틸로린쿠스의 소형 버젼. |
| 바라놉스 Varanops | ||
| 페름기 전기~후기 | 북아메리카 | 페름기 동안 오래 살던 왕도마뱀을 닮은 반룡류. |
| 고르고놉스 Gorgonops | ||
| 페름기 후기 | 남아프리카 노던케이프(Northern Cape) 주 | 검치를 지닌 육식 수궁류. |
| 티타노수쿠스 Titanosuchus | ||
| 페름기 후기 | 남아프리카 노던케이프(Northern Cape) 주 | 페름기 후기 최강의 포식자 중 하나. |
| 안테오사우루스 Anteosaurus | ||
| 페름기 후기 | 남아프리카 노던케이프(Northern Cape) 주 | 페름기 후기 최강의 포식자 중 하나. |
| 리카이놉스 Lycaenops | ||
| 페름기 후기 | 남아프리카 노던케이프(Northern Cape)주 | 페름기 후기 중소형 포식자중 하나. |
| 스티라코케팔루스 Styracocephalus | ||
| 페름기 후기 | 남아프리카 노던케이프(Northern Cape) 주 | 특이한 초식성 단궁류. |
| 이노스트란케비아 Inostrancevia | ||
| 페름기 후기 | 러시아 | 페름기 후기 최강의 육상 포식자 중 하나. |
| 에오티타노수쿠스 Eotitanosuchus | ||
| 페름기 후기 | 러시아 | 페름기 후기 최강의 수상 포식자 중 하나. |
| 에스템메노수쿠스 Estemmenosuchus | ||
| 페름기 후기 | 러시아 | 페름기 후기 뿔이 특이한 단궁류. |
| 리스트로사우루스 Lystrosaurus | ||
| 페름기 후기~트라이아스기 전기 | 전 세계 | 페름기 대멸종에서 살아남아 지구 곳곳에서 널리 서식했던 정말 몇 안 되는 생물 중 하나. |
| 디키노돈 Dicynodon | ||
| 페름기 후기 | 남아메리카, 유럽, 아시아 | 페름기에 서식했던 단궁류. |
| 비아르모수쿠스 Biarmosuchus | ||
| 페름기 후기 | 러시아 | 페름기에 서식했던 단궁류. |
1.2. 절지동물문
| 마렐라 Marrella | ||
| 캄브리아기 | 버제스 셰일 | 캄브리아기의 크릴 |
| 삼엽충 Trilobite | ||
| 캄브리아기~페름기 | 전 세계 | 고생대 바다를 가장 오랫동안, 가장 널리 지배했던 생명체. |
| 요호이아 Yohoia | ||
| 캄브리아기 | 버제스 셰일 | 4개의 가시가 있는 부속지를 가진 절지동물 |
| 프테리고투스 Pterygotus | ||
| 실루리아기~데본기 | 화석 산출지 | 실루리아기 당시 최강의 포식자였던 바다전갈. |
| 리니엘라 Rhyniella | ||
| 데본기 | 스코틀랜드 | 현재까지 알려진 최초의 육각류. |
| 프네우모데스무스 Pneumodesmus | ||
| 실루리아기 | 스코틀랜드 | 육지생활에 적응한 최초의 육상 생물 중 하나인 원시노래기. |
| 아트로플레우라 Arthropleura | ||
| 석탄기 | 유럽 | 현재까지 존재한 모든 육상 무척추동물 중 가장 거대한 원시노래기. |
| 풀모노스코르피우스 Pulmonoscorpius | ||
| 석탄기 | 화석 산출지 | 몸길이 약 1m에 달하는 거대전갈. |
1.2.1. 곤충강
| 리니오그나타 Rhyniognatha | ||
| 데본기 | 영국 | 현재까지 알려진 최초의 곤충. |
| 메가네우라 Meganeura | ||
| 석탄기 | 영국, 프랑스 | 석탄기 하늘을 지배하던 거대 원잠자리. |
1.3. 연체동물문
| 위왁시아 Wiwaxia | ||
| 캄브리아기 | 버제스 셰일 | 캄브리아기의 단단한 껍질을 가진 무척추동물 |
| 넥토카리스 Nectocaris | ||
| 캄브리아기 | 버제스 셰일 | 캄브리아기에 서식한 두족류로 추정되는 무척추동물. |
| 오소콘 Orthocone | ||
| 오르도비스기~트라이아스기 | 화석 산출지 | 껍데기가 직선형이었던 앵무조개. |
1.4. 엽족동물문
| 아노말로카리스 Anomalocaris | ||
| 캄브리아기 전기~캄브리아기 후기 | 버제스 셰일 | 캄브리아기 최강의 포식자 |
| 오파비니아 Opabinia | ||
| 캄브리아기 | 버제스 셰일 | 캄브리아기의 이단아 |
| 할루키게니아 Hallucigenia | ||
| 캄브리아기 | 버제스 셰일 | 캄브리아기의 괴생명체 |
1.5. 기타
| 오토이아 Ottoia | ||
| 캄브리아기 | 버제스 셰일 | U자 형태의 굴을 파고 살던 육식동물. |
| 세이무리아 Seymouria | ||
| 페름기 전기 | 미국, 독일, 러시아 | 페름기에 서식했던 파충형류. |
| 에오기리누스 Eogyrinus | ||
| 석탄기 | 영국 | 석탄기의 거대했던 파충형류. |
2. 식물
| 글로소프테리스 Glossopteris | ||
| 페름기~트라이아스기 | 남반구 | 대륙이동설을 뒷받침하는 대표적인 화석 식물. |
| 칼라미테스 Calamites | ||
| 석탄기 | 화석 산출지 | 고대 속새류를 대표하는 식물. |
| 쿡소니아 Cooksonia | ||
| 실루리아기 | 화석 산출지 | '''최초의 육상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