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산역

 

谷山驛
Goksan Station
'''곡산역'''

서울·지평 방면
대 곡
1.7 ㎞ →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bgcolor=#ffffff,#191919><width=120px>
← 1.6 ㎞ ||<width=120px><bgcolor=#8fc31e> [[수도권 전철 서해선|{{{#!html<div style="font-size:13px"><font color="#FFFFFF">서해선<br>(S10)</font>
]](미개통)

1.7 ㎞ →
}}}}}}

'''다국어 표기'''
영어
Goksan
한자
谷山
중국어
일본어
谷山(コクサン
'''주소'''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경의로 160 (백석동)
'''관리역 등급'''
무배치간이역
(문산역 관리 / 코레일 서울본부)
'''운영 기관'''
경의선




'''개업일'''
경의선
1967년 1월 9일
경의선
2009년 7월 1일
경의·중앙선
2014년 12월 27일

2023년 상반기
'''역사 구조'''
지상 2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1]
'''열차거리표'''
'''경의선'''
곡 산
1. 개요
2. 역 정보
3. 역 주변 정보
4. 고양시청 이전문제
5. 일평균 이용객
6. 승강장
7. 기타
8. 고양시의 교통

[clearfix]

1. 개요


[image]
[image]
[image]
곡산역의 모습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K323번,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경의로 160 (백석동)[2]에 위치해 있다.

2. 역 정보


역명은 내'''곡'''(內谷)과 '''산'''황(山黃)에서 한 글자씩 따서 지었다. 처음 곡산역이 만들어졌을 당시 위치가 내곡리와 산황리 사이에 있어 한 글자씩 차용하여 이름을 지었고, 근처의 역명들도 전부 이런 식이다. {ex: 백마역(백석+마두), 대곡역(대장+내곡), 교외선 대정역(대장+화정)}
하지만 정작 위치는 백석동이다. 원래 백석동은 백마역 동쪽을 가리키는 지명(백석 + 마두)이었으나 일산신도시 개발 과정에서 백마역 일대는 전부 마두동으로 편입되었고, 대신 백석동은 기존의 내곡동을 편입하면서 곡산역 부근까지 백석동으로 들어찬 것이다.
내곡리와 산황리, 그리고 열병합발전소가 세워지기 이전 백석리 야산 뒷쪽의 자연부락을 위해 만들어진 역이다. 철길 주변으로 여러 개의 마을이 있었지만 당시만 해도 버스는커녕 온통 흙길뿐이었던 오지였고, 이들 지역의 교통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지역 주민의 간곡한 요청으로 1967년 곡산역이 만들어졌다. 원래부터 사람 없는 간이역이긴 했지만 당시에는 곡산역 아니면 외부로 걸어나갈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없어서는 안 될 역이었고 지금도 이들 지역에서는 유용하게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도로가 포장되고 시간당 한 대 꼴로 마을버스가 생기면서 의존율이 크게 줄은 것도 사실이다. 때문에 예산낭비+시간낭비라고 심심찮게 까이는 건 덤.
1960년대 후반에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으며(경의선 역 중에서 상당히 일찍 개통한 편에 속한다), 이 당시에는 어느 정도 지역 수요가 있었다. 그러나, 1970년대 말부터 이 지역에 그린벨트가 걸리고 이농현상이 일어나[3] 1980년대 자동차 보급률이 늘어나면서 1980년 이후로 이용객이 감소하기 시작했고, 훗날 시간당 한 대 꼴로 마을버스가 들어오기 시작했으며 도로도 포장되었다. 그래서 나중에는 승강장 지붕에 구멍이 뚫려도 관리가 안 되는 등 영 시설이 엉망이기도 했다.
[image]
곡산역 구 역사 시절. 한탄강역처럼 간이 시설만 갖춰진 무인역 수준으로 역사라 할 것도 없었다. 표는 열차 내에서 살 수 있었다.
2008년부터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공사를 빨리 진척시키기 위해 아예 일시 폐역을 단행하였다. 이로써 경의선 통근열차가 정차하지 않고 고가로 이설된 대곡역 ~ 백마역 구간으로 통과하게 되었다. 통과 초기에는 구 곡산역을 차창으로나마 볼 수 있었다. 이때부터 전철 개통때까지 백마역으로의 연계 셔틀버스가 백마역 열차시각표에 맞춰서 운행했었다. 2009년 7월 1일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이 고가 이설선은 사라지고 원래대로 선형이 복귀하였다. 구 선로는 완전히 철거되어 부지는 곡산역 2번출구 방향 주차장으로 전용되었고, 선로는 반대편으로 이설되어 안전측선으로 놓아뒀으나 관리가 안 되는 상태이다.
전철역으로 다시 태어나기는 했으나 아직은 수요라 할 만한 주거지나 회사가 드물다. 2009년 4월부터 마을버스(073번)를 운행중이나, 1시간에 1대라는 처참한 수준의 배차간격을 자랑한다. 역 앞에 버스 정류소가 있으나, 정차하는 버스는 마을버스 073번 하나뿐이다.
곡산역 옆에는 무료로 개방되어있는 주차장이 있다. 1번출구 방향과 2번출구 방향에 각각 존재한다. 1번출구 방면 주차장은 이 역까지 자가용으로 온 후에 경의선으로 환승하는 승객도 존재한다. 출근 시간대 즈음에 가득 차서 역 앞의 경의로에도 줄이 생길 정도고, 퇴근 시간대를 넘긴 시간에 한산해진다. 주로 이 근처의 학교 교원이나 한국지역난방공사 고양지사, 한국동서발전 일산 열병합발전소 직원들이 이용하는 듯 하다. 2번출구 방향의 주차장은 주말에 이 지역 부동산 을 매매하러 오는 부동산 개발업자 외에는 사용하지 않아 많이 비어 있다. 왜냐하면 1번출구랑 2번출구랑 바로 가는 방법이 없기 때문. 건널목 몇개를 지하화했지만 1번출구 방면에서 2번출구 방면으로 차를 몰고 가려면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있는 데까지 나갔다 와야 한다.
2016년부터 전국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를 까는 사업 대상 역 중 하나로, 2017년 8월 25일부터 스크린도어 가동을 시작하였다. 지상 경의선 역들 중에서는 최초[4]이다. 역 이용객이 극히 적기 때문에 공사 진행속도가 빨랐다.
2018년 9월부터 2019년 2월까지 대곡소사선 공사에 따른 대곡역 선로 이설공사가 잡혀 있다. 이 때문에 곡산역과 대곡역 사이의 선로에 전류공급을 차단하여 일시적인 절연구간이 생성되었다.

3. 역 주변 정보


역 주변에 시설이라 할 만한 것이 한국지역난방공사, 즉 열병합발전소밖에 없다. 철도 갤러리 등의 사이트에서 '도저히 수요가 나올 것 같지 않은 역' 이라고 핀잔을 들은 바가 있다.[5] 역에서 1㎞ 남짓한 거리에 마을이 하나 있고, 집들이 역 북동쪽으로 드문드문 있다. 곡산역의 출구는 2개이며, 2번 출구는 존재감이 없는 수준. 역에서 1.2㎞ 가량 떨어져 있는 백석동 요진 와이시티 입주가 2016년 6월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신규 수요를 창출할 수 있지 않을 까 기대하였지만, 와이시티는 버스나 지하철을 통해 대곡역으로 가는 것이 더 편하기에, 현재로서는 수요가 늘어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백석근린공원에서 곡산역을 직선으로 이어주는 구름다리가 있다면 일산병원이나 요진와이시티 수요를 일부 가져올 수 있겠지만, 한국지역난방공사가 떡하니 버티고 있어 그러지도 못하니 공기수송을 면치 못하고 있다.
  • 1번 - 열병합발전소 방면
네이버 지도나 다음 지도에는 온통 숲으로 부자연스럽게 떡칠되어 있지만 여기가 메인 출구이다. 참고로 로드뷰로 보면 잘만 사진이 찍혀있는데 여기까진 미처 손을 못 댄 듯 하다.
  • 2번 - 산황동 방면
실제 산황동 마을회관까지 거리는 약 1㎞이다. 시골길 따라 물건너 천천히 여유롭게 논밭을 거닐다보면 나온다. 이쪽이 고양시청 이전부지로 떡밥이 나도는 곳이다.
그래도 공항화물청사역처럼 환승주차장 기능엔 충실해서 인근 주차장은 항상 만차다. 그나마 위안거리.
이 문단에 있던 "일산열병합발전소"에서 쓰레기 소각이 가능하다는 소리는 헛소리다.
실제로는 "고양환경에너지시설"이라고 하는 쓰레기 소각장은 따로 존재하고 있으며 해당 발전소는 LNG만을 연료로 쓰는 발전소다.
'요진 와이시티'에서는 이 시설들 전체를 혐오시설로 보기때문에 이런 견해를 써놓은듯 하다.

4. 고양시청 이전문제


이 지역에는 그린벨트가 걸려 있는데, 2002년 고양시청 이전 예정부지였기 때문이다.[6] 곡산역 2번 출구 쪽에다가 고양시청을 이전하고 곡산역, 대곡역, 대정역 이 구역에 행정타운 신도시를 건설하겠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고양시의 재정상황이 썩 좋지 않아 보류된 상태. 10년이 지난 2012년에 다시 고양시청 이전 떡밥이 풀리면서 이 지역의 땅값이 폭등한 적이 있다.[7] 하지만 당시 민선5기 최성시장은 고양시청 본청의 누수등 긴급보수와 간단한 외부단장만 하고 그대로 시청을 사용함으로 당분간은 시청을 이전할 뜻이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상식적으로 생각했을때 시청을 곧 이전할 예정이라면 외부단장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 만약에 고양시청이 곡산역으로 이전하게 된다면, 역명이 고양시청역으로 바뀔 가능성이 없진 않다.
물론 시청 이전 떡밥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고양시2019년 1월 신청사 건립의 후보군(群) 검토를 위한 기본계획 용역 최종보고회를 실시했다. 단 해당 보고회는 비공개로 진행되었다.

5. 일평균 이용객


곡산역을 이용하는 광역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경의선)'''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383명
591명
714명
758명
862명
939명
1,059명
1,103명
1,178명
1,108명
2019년
2020년
1,173명
'''924명'''
  • 수도권 전철 경의선 구간에서 가장 이용객이 적은 역이다. 이마저도 앞에서 서술한 무료 주차장을 이용하는 승객들의 비중이 상당하다. 무료 주차장마저 없었다면 대한민국 전철역 중 최저 승하차수로 다섯 손가락 안에 들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용객 수가 적다고 해서 폐역을 한다는 것은 힘들다. 바로 이 지역이 고양시청 이전 예정부지이기 때문이다.
  • 그래도 역세권에 비하면 이용률이 높은 편이다(...). 1번 출구 앞에는 열병합발전소가, 2번 출구에는 산과 들이 펼쳐져 있어 역세권이라는 게 아예 없는 수준이다. 역 앞의 극소수 전원주택을 제외하면 가장 가까운 마을이 걸어서 10분, 일산 와이시티까지는 걸어서 12분 거리이다.
  • 상기한 이유 때문에 곡산역은 자가용을 끌고 와서 열차로 갈아타는 수요가 많다. 출퇴근 시간에는 주차장이 꽉 차서 근처 도로에 불법 주정차를 하는 경우가 많다. 일산신도시 전체를 놓고 보면 극소수지만, 이런 환승객들 덕분에 2015년에 하루 평균 1천 명을 돌파했고 지금도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다.
  • 원래 통근열차 시절엔 귀차니즘으로 인해 종착역으로 표를 끊어줘서 곡산역 승하차량이 왜곡된 수치인 일 0.55명 등으로 집계되었으나 수도권 전철로 인해 정확히 집계되고 있다.
평시나 출퇴근시간이나 아예 사람이 없는 역은 아니라서 열차별로 문산 / 용산 방면 모두 열차마다 1~3명, 많으면 10명 이상이 타기도 한다. 주말에는 이 근처 그린벨트을 알아보러 오는 부동산 투자자나 부동산 업자, 건설업체 직원들이 이용하기도 한다.
[image]
2017년 3월 26일(일요일)에 경의선 연선에서 탈꼴찌에 성공했다. 승하차량 884명으로 804명에 그친 경의선 신촌역을 따돌린 것. 게다가 4월 넷째주 주말인 4월 22일과 23일에는 이틀 연속으로 경의선 신촌역의 승하차량을 압도적으로 앞질렀다. 도보 또는 차량을 통해 이 역을 이용하는 일산 와이시티 주민들이 조금씩 보이는 듯 하다.

6. 승강장


[image]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승강장 크게보기
백마
2


1
대곡
1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완행
홍대입구·서울·용산·지평 방면
2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완행
일산·운정·금촌·문산 방면
위아래로 각각 급행 대피역서울역행 열차가 시종착하는 역[8]이라, 중간에 끼인 곡산역이 하는 역할은 없다(...). 경의선 이용률 최하위에 화물 취급도 안 하는데 굳이 대피선을 깔 이유도 없어 상대식 승강장처럼 사용하고 있다. 다만 경의선 DMC 이북구간이 2복선 노반으로 설계되어 실제로는 2섬식 승강장에 대피선처럼 생긴 철길 부지가 따로 있다.

7. 기타



8. 고양시의 교통




[1] 승강장의 형식은 쌍섬식 구조로 지어졌지만 부본선 자리에 선로가 없어 사실상 상대식이다.[2] 백석동 1185-1번지[3] 서울 근교 지역도 이농현상이 있기는 하다. 지방(특히 호남, 경북 북부)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적을 뿐.[4] 사실은 두 번째이다. 2015년 개통 당시부터 설치된 야당역이 있다.[5] 관련게시물, 2009-06-23, 디시인사이드[6] 「고양시청 대장동 이전 논란」, 2002-12-05, 경향신문[7] 「고양시 내곡동 일대 또 투기로 ‘들썩’ 」, 2012-06-22, 서울신문[8] 2017년 7월 7일부터 대곡 착발 서울역행이 일산역으로 연장되어, 대곡 착발은 휴일에만 해당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