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사/한국/조선시대

 


1. 조선의 과학


1. 조선의 과학


조선시대의 과학사상은 고려 때까지 크게 발달해 온 하늘과 땅에 대한 우리의 사고 구조는 고려 말에 이르러 크게 반성되기 시작하였다. 14세기 이후 사회가 갑자기 유교화하기 시작하자 유교가 가지고 있던 보다 합리적인 사고방식이 이전의 전통적이며 비합리적인 태도를 공격하기 시작하였기 때문이다. 이 공격에 앞장선 소장유학자들은 이미 극도로 타락한 불교의 실태에 화살을 겨누었고, 그 밖의 미신적인 행태도 비판하였다. 이들의 선배격인 이색(李穡) 같은 학자들은 14세기 중반까지도 아직 불교 등에 대하여 그렇게 극단적 비판을 가하지는 않았다. 불교 그 자체는 훌륭한 가르침이지만 승려와 사찰이 타락하고 부패하여 있던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다음 세대의 학자들에 의하여 배불론(排佛論)이 날카롭게 펼쳐진 1390년 전후에 신진유학자들의 주장에는 날카로운 가시가 돋기 시작하였고, 그 근본을 이룬 것은 유교적인 과학사상이었다. 그들은 물론 승려들의 도덕적 타락이나 절의 지나친 경제적 팽창 등을 공격하고 있기도 하였지만, 또한 그들의 주요 공격대상은 불교적이거나 그 밖의 미신적인 관행들이었다. 특히, 자연에서 일어나는 재이(災異)들을 불교 또는 도교적인 기도(道場 또는 齋醮)로 물리치고, 기도를 통하여 나라의 운명을 연장하여 보겠다는 왕실의 태도를 맹렬히 비난한 것이다. 김자수(金自粹)·김초(金貂)·정도전 등 신진사대부들은 승려와 도사 등을 목베어 제거하고, 국가의 어려움은 귀신의 힘을 빌 것이 아니라 사람은 노력으로 극복할 것임을 강조하였다. 새 왕조의 건설에 밑거름이 된 이들의 반종교적이고 합리적인 과학사상은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도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특히, 15세기 이래 풍수지리설과 도참사상은 유교의 합리적인 태도에 억눌리기 시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