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핀/게임

 


1. 개요
2. 자주 합동 방송하는 게임
3. 기타 게임 목록
3.1. #
3.2. A ~ C
3.3. D ~ F
3.4. G ~ K
3.5. L ~ P
3.6. Q ~ S
3.7. T ~ V
3.8. W ~ Z
3.9. ㄱ
3.10. ㄴ
3.11. ㄷ
3.12. ㄹ
3.13. ㅁ
3.14. ㅂ
3.15. ㅅ
3.16. ㅇ
3.17. ㅈ
3.18. ㅊ
3.19. ㅋ
3.20. ㅌ
3.21. ㅍ
3.22. ㅎ


1. 개요


꽃핀이 플레이 한 게임들을 기록하는 문서이다.
2015년 이전에는 꽃핀이 게임 스트리머라는 말에 아무도 이의를 제기할 수 없을 정도였는데, 시청자들이 지쳐 쓰러질 때까지 20시간씩 밤새면서 게임을 한적도 있다. 아프리카TV 시절 베스트 비제이를 따낸 영상도 메가맨 언리미티드 플레이 영상이었다. 특히, 메탈슬러그 3, 스노우 브라더스, 시뮬레이션을 많이 했다.
꽃핀의 게임 입맛은 게임성을 따지며 굉장히 특이하다. 심지어 2019년에도 '''CD롬으로 돌리는 18년 전 시뮬레이션 게임''' 같은 것을 직접 CD롬이 돌아가는 소리까지 들려주면서 플레이했던 적도 있다.
좋아하는 게임은 문명처럼 빠르지 않아도 되는 시뮬레이션, 고민이 필요없는 일직선 스토리, 가벼운 캐주얼 게임, 2시간내로 끝나는 게임들이 있다. RPG는 한번 시작하면 완전히 중독되어서 피하는 중이다. 또한 '''죽음, 반복, 노가다''' 게임은 트위치에서 유행하더라도 싫어한다. 방송에서 연두가 스펠렁키, 앙빅, 다크소울, 록맨 2.5D, 얼불춤을 하는 도네가 나오자 '연두는 어떻게 이런 게임만 할까?'라고 한 바 있다.
대전게임은 입문 난이도가 어렵지 않다면 즐기는 편이지만, 고인물이 너무 많거나, 초보자가 양학당하는 게임에는 흥미가 없는 듯 하다. 전반적으로는 손이 빠르지 않아도 되는 시뮬레이션을 좋아한다. 하지만 방송시간을 엄청 잡아먹는데다, 꽃핀은 '''게임에 완전히 몰입해버려서''' 코멘트조차 잊어버리고 밤새면서 할까봐서 라는 이유로 꺼리고 있다.
FPS에서의 샷발이나 AOS류의 스킬샷이나 교전 등 플레이 센스들은 나쁘지 않으나 전체적인 상황판단이나 파밍 속도가 늦을 때가 있어 합동 방송에서 오더가 좋을 경우에는 의외로 잘하는 모습도 보여주기도 하나 그렇지 않을때는 허무하게 죽는 경우도 잦아서 고점과 저점이 확실한 편이다.
2020년 하반기 부터는 게임 자체는 합동 방송이 아니면 자주 하지 않으며 가끔 혼자 게임방송을 하더라도 광고 방송이거나 친구들과 함께 즐기기 위해 연습을 하는 목적을 겸하는 경우도 잦다. 순수하게 게임을 좋아했던 예전에 비해 일이라는 인식이 생긴 이후로 예전보다 게임을 즐기기 힘들어졌다는 말을 간간히 하는 편.

2. 자주 합동 방송하는 게임



2.1. '''리그 오브 레전드'''


  • 항상 친구와 우정을 위하여 플레이한다. 2019년 까지의 주요 챔프는 르블랑, 일라오이, 나미. 미스 포츈, 모데카이저, 룰루 등 전부 숙련도가 필요한 챔프이며 의외의 스킬 센스를 지녔다.
  • 2016년 개구몽이 매주 일요일 오후 8시에 진행했던 핵극한팀랭 시즌 2에 고정멤버로 참가했다. 극한팀랭 멤버별 평가. 본인은 매우 뛰어난 실력이라고 주장했지만 그저 즐겜러. 2016년 2월 13일 진행한 극한일반을 마지막으로, 당분간은 진행하지 않겠다고 한다. 팀랭이 없어진 후 난이도가 너무 어려워졌다는 게 그 이유.
  • 2016년 2월 21일에는, 설레임 클럽 롤 대회 '설챔스'에서 약체로 평가 받던 팀이었으나, 우승 후보를 모두 제치고 우승을 했다. 2015년 설챔스에서 예선 탈락을 당한 것을 생각하면 장족의 발전. 더불어 하나나에게 패해 탈락을 했었는데, 결승에서 다시 만나 설욕을 했다.
  • 2016년 5월 22일 희대의 대작 브론즈송을 남긴 채 극한팀랭 시즌2는 종료됐다.
  • 2018년에 지누의 꼬드김으로 이틀정도 했다. 가그가 재미로 한판 하자고 하더니 '꽃핀 1일 노예권' 바꾸는 낚시에 걸려서 가그의 소원을 들어주기도 했다. 한번은 코렛트의 도발로 코렛트 VS 꽃핀 대결을 한 적이 있는데 코렛트한테 이겨버렸다.
  • 2018년 6월 9일 월드 오브 워쉽 스폰서 합방 후에도 뒤풀이로도 했다. 그것도 최근 롤을 자주하는 연두가 롤 친추를 받아달라고 하는 과정에서 롤을 다시 설치하였는데, 이때 후즈와 연두가 롤 합방을 진행해버리는 낚시를 당했다.
  • 2018년 8월 21일, 극한팀랭 3기 vs 4기 이벤트 매치 때문에 연습삼아 플레이 하였다. 2년 동안 롤을 제대로 하지 않아서 이름조차 모르는 신 캐릭터가 많았고, 상점이 어디있는지 찾는다거나 템트리를 시청자에게 물어보았다.
  • 2019년 2월 코렛트와의 롤 약속을 떠올리고 롤 실력을 쌓기 위하여, 빅헤드, 인지 등과 함께 잠깐 롤을 돌리면서 연습했다. 하지만 끔찍한 결과를 남긴채, 코렛트한테서는 "SKT에서 꽃핀님이 왜 필요하지? 설거지 담당인가?" 라는 드립을 듣는 굴욕을 당했다. 해당 영상
  • 2020년에도 5:5 내전이나 합동방송등으로 간간히 플레이한다. 주요 포지션은 서포터이며 나미, 룰루, 레오나를 주로 플레이하며 간간히 가끔 탑을 간다면 말파이트, 볼리베어와 같은 탱챔을 하거나 룰루를 탑을 쓰기도 한다. 미드를 한다면 르블랑을 주력으로 플레이하나, 주로 서포터를 하는 이유는 CS수급을 거의 못하기 때문인데 30분동안 100개대에서 노는 경우도 심심치 않다. 다만 스킬 활용이나, 합류 자체는 잘하기 때문에 한타로 역전하는 장면도 볼 수 있다.
  • 2020년 5월에는 우르프 모드를 잠시 플레이했다.
  • 2020년 8월 1일 감블러와의 듀오로 골드로 승격했다.
  • 2020년 11월 30일 탬탬버린과 삐부의 미드빵으로 시작된 탬삡내전에 삐부팀의 탑 라이너로 참가했다. 감블러에게 코칭 받았던 탑 레오나를 1, 2 세트에 선보이고 3세트에서는 말파이트를 픽했다. 결과는 3 대 0으로 승리

2.2. '''오버워치'''


라인 소싸움
【오버워치 경쟁전 평점 기록표 펼치기 · 접기】
<color=#373a3c> 오버워치 경쟁전 점수 기록표
날짜 [시즌]
경쟁전 점수
비고
2017년 04월 18일 [시즌 4]
2718점

2017년 05월 13일 [시즌 4]
2987점

2017년 05월 15일 [시즌 4]
3067점

2017년 05월 후반 [시즌 4]
3214점
마스터 목표 달성 실패
2017년 06월 30일 [시즌 5]
3275점
시즌 초 2900점으로 시작
2017년 11월 11일 [시즌 7]
2400점 대
2900점에서 쭉 떨어졌다
2017년 11월 26일 [시즌 7]
2656점

2017년 12월 10일 [시즌 7]
3008점

2018년 01월 초반 [시즌 8]
3000점 대 유지

2018년 05월~9월 [시즌 10]
2500 선
휴면으로 인한 평점 감소
2018년 09월 04일 [시즌 10]
최종 2665점

2018년 12월 08일 [시즌 13]
2400점 대 안착

2018년 12월 21일 [시즌 13]
2322점
2400점을 돌파했으나 수직낙하
2018년 12월 25일 [시즌 13]
2387점
12월 25일 새벽에 방송을 키지 않고 올렸다고한다.
2019년 01월 02일 [시즌 13]
2473점
13시즌 최종

  • 오버워치가 출시된 후로는 2차 콘텐츠가 되었다. 시즌2 플래티넘, 시즌4 다이아 때는 아나로 꽤 훌륭한 실력을 보였다. 최신(2019년)을 기준으론 주로 힐러를 하며 메르시, 모이라, 젠야타를 하며 그 중에서도 모이라를 가장 많이 한다.
  • 2017년 3월, 4시즌 북미섭에서 하루 만에 점수가 2300점대로 뚝 떨어져서 골드 꽃핀을 눌리는 밈이 생겼다. 4월에는 골딱에서 탈출하였으나, 이때부터 항상 1일 1골드런, 아로나민 골드 등 골드와 관련된 모든 영상을 도네한다.
  • 2017년 5월 들어 2800점대를 유지하고 있으나 3000점 가는 방송만 세 달 째이다.
  • 2017년 5월 15일 오후 11시 52분 방송에서 다이아를 찍고 3067점을 달성하였다. 이후 마스터까지 찍을 기세로 무섭게 점수를 올렸지만, 3214점으로 시즌을 마무리 하였다. 경쟁전 시즌 5에서도 2900점 후반대에 안착하여, 6월 30일 기준으로는 다이아인 3275점에 머무르고 있다.
  • 2017년 11월 11일 몇 달간 오버워치를 거의 하지 않아서 2900점, 2600점으로 뚝뚝 떨어지더니, 새 시즌 배치고사 결과 2400점대로 골드가 나와 버렸다. 골드빌런들은 열렬히 환호하였다.
  • 2017년 12월 10일, 트위터에 3008점으로 다시 다이아를 찍은 것을 인증하였다.
  • 2018년 초에는 다이아를 유지했으나, 오버워치를 하지 않게 되는 2018년 5월에는 플래티넘에 머물러있다.
  • 2018년 9월 4일 배치에서는 팀원들이 서로 싸우거나 심지어 막판은 팀원 한 명이 탈주하는 등 온갖 악조건 속에 2승 8패를 기록하였으나 2665점으로 플래티넘을 유지하였다.
  • 2018년 12월 8일 언급하길 2400점대(골드)에 안착하였다고 한다.
  • 2018년 12월 21일, 연속된 패배로 오전 10시 기준 2303점까지 떨어졌다. 오전 11시 18분 지누(인터넷 방송인)가 방송에 찾아와 꽃핀이 전날 경쟁전에서 만난 지누라는 닉네임의 상대가 본인이었냐고 질문하자 지누는 자신은 다이아 구간이라 꽃핀의 구간에선 같이 잡히지 않는다고 극딜을 넣었다.
  • 2019년 3-4월, 플래티넘 구간으로 약간 성적을 회복했다. 하지만 유저들의 실력이 올라서, 더 이상 위로 올라가기는 힘들어졌다. 심지어, 실버 친구들과 즐겜을 하던 와중에 600점이 떨어져서 하루만에 실버가 되어버렸다. 게다가 4월 폭풍의 서막 이벤트에서 머독과 관련해서, 완전히 멘탈이 붕괴될만한 사건을 연이서 겪어서 #1#2 실버에 고정되어 버렸다. 너무 충격적인 나머지, 주변인들도 놀리는 것을 잊어버렸다.
  • 2020년 4월 자유 경쟁전이 등장하고 감블러를 주축으로 구성된 경쟁전을 플레이하였다. 5월 31일에는 감블러를 중심으로 모인 내전을 하였다.[1]
  • 2020년에도 멤버가 모일 수만 있다면 합방을 하는 추세지만 워낙 하는 사람만 하는 게임이다 보니 합방을 보기 어려워진 게임이다.

2.3. '''배틀그라운드'''


  • 2017년 배틀그라운드를 시작하였다. 특히 2017년 5월 22일 첫 솔큐를 돌렸는데 5킬을 기록하며 그대로 1위를 해버렸다. 해우소 안으로 던져진 수류탄을 피해 나와서 던진 적을 죽이는 장면은 가히 명장면.
  • 실전에서는 매우 약하다. 전투력은 서든어택으로 단련된 실력 때문에 나쁘지 않으나, 어디에서 템이 나오고 어떻게 동선을 짜야 하는 지, 지식과 전술이 많이 부족하다.
  • 그래도 양민들 중에서는 잘하는 편이며, 총만 쏘면 되는 좀비모드 합방을 진행하는 연두의 방송에 참여해서는 여포 무쌍을 찍어 캐리하는 명장면을 찍었는데, 혼자 살아남은 1 vs 15의 상황에서 나머지 좀비를 모두 죽이고, 마지막 남은 좀비는 농락하면서 죽였다.
  • 전술의 부재로 인하여, 일반적인 게임에서는 최약체로 평가를 받는다.
  • 치킨쿤과의 '배틀그라운드 주머니 특집' 합방에서는 역대 주머니 특집 참여자 중 최약체 참가자 취급을 받았다. 우왁굳이 진행하는 트위치 배틀그라운드 랜덤 스트리머 대전 1, 2, 3회에 각각 참여하여 활약하였다. 아직 플레이타임이 100시간을 넘지 않는 배린이.
  • 주로 즐겜을 하며 합방을 하면 팀킬을 하는 등 헬파티, 친목파티의 모습을 자주 보여준다.
  • 배그의 인기가 확연히 떨어진 2020년 하반기에는 좀처럼 보기 힘든 게임이다 FPS를 한다면 레식이나 APEX를 하는 편.

2.4. '''레인보우 식스 시즈'''


  • 트위치에 레식 유행이 퍼질 때 지누의 권유로 시작했다. 주로 합방 때 하는데, 주로 트위치글라즈를 플레이 한다. 다만, 게임을 잘 숙지하기 보다는 노는 것을 중시하는지라, 트롤링 하는 모습을 자주 보여준다.
  • 지켜주지 못해 미안해.....
  • 지누를 죽인 놈들 복수하겠어! (지누:니가 죽였잖아!) : 꽃핀이 퓨즈의 월샷으로 같은 팀인 지누를 죽여버리고, 혼자서 모든 적 4명을 전멸시키면서 4:4게임에서 5명을 죽이고 MVP로 캐리했다. 지누는 이 게임에서 지누의 복수(?)를 외치는 꽃핀한테 "니가 죽였잖아!" 라고 황당해면서도 기묘한 꽃핀의 실력에 감탄했다.
  • 2020년에는 김똘복이나 악어크루 멤버들이 레식에 미쳐 사는지라 간간히 레식파티때 꽃핀을 부르는 모습도 보인다. 그중 몇몇은 레식을 한다고 하면 나타나는 레식 망령 수준.
  • 5월 하반기에 방송인끼리 레식 5인큐를 돌렸다. [2]

2.5. '''에이펙스 레전드'''


  • 첫 출시 때는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꽃핀의 취향상 어려워보이는 조작감, 속도감이 취향에 안 맞았던 것 같다. 하지만, 한국서버 정식 출시 기념으로 EA 스폰서 방송을 할 때는 굉장히 재미있어 했다. 실프, 김뚜띠처럼 평소에 친해지고 싶었던 방송동료, 그리고 감블러페뇨 같은 친구들과 새로운 게임을 합방할 수 있다는 사실이 굉장히 즐거워서 인듯.
  • 2019년 4월 22일에 샌드박스 네트워크의 '다 같이 놀자' 이벤트에 페뇨감블러와 함께 출전했다. 본래는 꽃핀의 휴방일인 월요일의 대회인데다, 전날 옵치 공방대회를 뛰었고 본래는 안 나간다고 했는데도 출연했다. 샌드박스의 시청자 확보용으로 참여했다는 추측이 있다.
  • 2020년 하반기에 APEX 핵이 줄어들자 간간히 주변 방송인들중 APEX를 즐기는 방송인들과 스쿼드를 플레이하는 경우도 있다.

2.6. '''마인크래프트'''


  • 2019년까지는 주로 3~5인과 함께 합방으로 야생모드를 플레이 했다. 이때 합방하는 스트리머를 놀리는 말투는 너무 웃기다. 포포서버도 한 적이 있는데 이때 꽃핀이 차분한 노래나 음악을 틀어주어서 몽환적인 느낌을 받을 때도 있다. 2020년에는 대규모 합방 위주로 참여했다.


2.7. GTA 5


  • 2020년 중반기 부터 김블루를 주축으로 하는 합동방송에서 자주 플레이하는 게임, 습격, 상황극 위주로 플레이하지만 딱히 클리어를 목적으로 한다보긴 어렵고 즐겜위주로 하다가 발전해가면서 클리어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실력자체는 잘하는 편은 아니지만 그래도 몇몇 습격을 깨는 모습을 보면 감각이 없는 편은 아니다.

2.8. 영원회귀: 블랙서바이벌


  • 2020년 하반기부터 주변 스트리머들이 플레이하기 시작하면서 자연스럽게 시작하게 된 게임, 키아라, 매그너스를 주로 플레이하며 3인정도의 스쿼드를 즐기는 경우가 가장 잦다. 교전 센스가 괜찮아서 파밍 운만 잘 따라준다면 1등도 심심찮게 하는 편이고, 스쿼드에서 실력자들과 같이 합동 방송할 경우에는 상위권에 자주 들어가는 모습을 보인다.

2.9. 데드 바이 데이라이트


  • # 1~2년전에 정말 많이 한 게임으로 살인마를 할 때 흥분하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즉처를 할 때 특히 목소리가 커지고 웃음소리도 마녀소리 같다.

3. 기타 게임 목록



3.1. #



3.2. A ~ C



3.3. D ~ F


  • Enviro Bear 2000 #
  • Escape F1rst 2 #1#2
  • Evolvo Plus! #

3.4. G ~ K



3.5. L ~ P


  • MasterrebooT: 2015년 플레이 #1, #2, #3, #4, #5, #6, #7, #8, #9, #10
  • Messenger Syndrome #
  • Mother Simulator #
  • Murderous Pursuit ## 2018년 9월 30일 플레이.
  • Museum #
  • One Hand Clapping #
  • One Hour One Life # 2019년 1월 6일 플레이. 한국어가 지원되지 않아[3] 영어로 진행하였으나 언어의 장벽을 뚫고 소통을 하는 재미를 보여주었다.
  • osu! 2017년 6월 26일 20분 정도 게임을 플레이 하였다.
  • Overcooked 시리즈 2018년 9월 20일 플레이
  • PACIFY #2019년 장기 휴방 기간에 방송을 끄고 호엥트로 멤버와 플레이했다.
  • Pixel Painter #
  • Pixevo #
  • Plague Inc. #
  • Please, Don't Touch Anything #
  • Poly Bridge 2020년 5월 30일 플레이.

3.6. Q ~ S


  • QWOP 항아리 게임을 만든 그 제작자가 만들었던 게임
  • Raft #요약본
  • Rake #
  • Rust
    • 공식 서버
    • 2018년 10월, 11월 스트리머 대규모 러스트 합방에 참가하여 강지, 액시스마이콜, 도짱, 빅헤드, 푸린 등과 팀을 이루어 제국을 건설해나갔다. 이때 꽃핀의 역할은 리더로 러스트 내 전쟁이나 건물 유지 및 확장은 강지가 주도하고 자신은 건물을 지을 위치를 정하거나 액시스 마이콜[4]이 수집해온 광물을 저장하는 창고를 정리하는 등의 사소한 일을 주로 했다. #1, #2, #3
    • 2019년 하반기에도 러스트 대규모 합방에 참여하였다. 중립구역이나 탈출맵 같은 소소한 플레이를 즐겼다.

3.7. T ~ V



3.8. W ~ Z


  • Yet another zombie defense #

3.9. ㄱ



3.10. ㄴ



3.11. ㄷ


#1#2#3#4#5#6#7#8#9#10#11#12#13#14

3.12. ㄹ


  • 더 라스트 오브 어스 2020년 6월 20일 플레이.
  • 원 덕(러버덕) #
  • 러스티 레이크 파라다이스 2018년 3월 8일 트위치로 방송하며 게임 클리어.
  • 러브앤프로듀서. 2018년 7월 19일 게임 플레이. #2019년 플레이
  • 레고 해리포터 시리즈
  • 레이어스 오브 피어 # 2016년 2월 26일 플레이 도중 너무 무서워 진행을 못 하겠단 이유로 중단했다.
  • 레프트 4 데드 2020년 중반기에 플레이.
  • 래트로폴리스 2020년 상반기에 플레이.
  • 더 롱 다크 (The Long Dark) 20년 5월 25일 플레이 시작하여 6월 6일에 에피소드 3 엔딩까지 보았다. #1#2
  • 루카노르 백작 2017년 9월 19일 게임 클리어.
  • 더 룸(게임) 2018년 1월 10일 게임 플레이.
  • 리틀 나이트메어 2017년 5월 1일 게임 플레이.
  • 링 피트 어드벤처 #
    • 11월 21일 꽃핀의 주최로 삐부, 감블러, 솔빈, 김뿡과 함께 링피트 대결을 했다. 1시간동안 스토리 모드를 플레이해서 가장 멀리간 사람이 1등으로 건강을 얻고 꼴등은 꽃핀이 사주는 공포게임 플레이를 걸고 대결을 펼쳤다. 삐부, 솔빈, 김뿡, 감블러는 캠을 켜고 플레이했는데 급속도로 지쳐서 정신이 나간듯한 곡소리와 함께 말수가 줄었고 특히 감블러는 거의 말 없이 플레이했다. 결과는 솔빈이 2-2 스테이지까지 클리어하고 1등, 감블러가 1스테이지 보스까지 클리어하고 꼴등을 해 공포게임을 플레이하게 되었다.

3.13. ㅁ



3.14. ㅂ



3.15. ㅅ


아프리카TV 시절에 자주했다. 트위치로 넘어선 직후에도 종종 하는 모습을 보였다. 꽃핀은 상당히 좋아했지만 아이디를 분실하고 나서는 하지 않는다.
아프리카 시절에 자주 하였고 트위치 초창기때도 간간히 했다.

3.16. ㅇ



3.17. ㅈ


  • 작은 하마 이야기 #
  • 저 오늘 쉽니다 #
  • 전략적 팀 전투'''
    • 2020년부터 자주 플레이하는 게임. 일명 쌈총이라고 불리우는 싸움꾼 총잡이 조합만을 사용하며 다른 조합을 일절 굴릴줄 모른다. 하지만 쌈총만을 운영하여 한달만에 브론즈에서 5월에 플레티넘을 찍는 모습을 보여줬다. 플래티넘을 찍고나서는 목표가 사라진 느낌이라 잘 안 킨다고 한다.
  • 제7호차
  • 제사상 차리기 #
  • 지구멸망 60초 전! #
  • 진정해! 스탈린! #
  • 좋은 피자, 위대한 피자 #
  • 짱구는 못 말려 4 # 2018년 10월 31일 할로윈 데이에 유튜브 영상용으로 클리어한 게임으로 이때 방제가 ‘이 날만을 위해 17년간 존버한 게임’이었다. 방송에서 밝히길 한 시청자가 게임 CD를 보내주었다고 한다.
  • 직진게임 #

3.18. ㅊ



3.19. ㅋ


  •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 #
  • 카트라이더
    • 2018년2019년2019년 2018년 11월 7일, 12월 18일 시청자들과 함께 플레이했다. 가끔씩 시청자들과 함께 게임하고 싶을 때 하는 듯 하다..
    • 스피드전에서는 막자로 인해 몸부림 치는 모습이 인상적이고 아이템전에서는 지속적으로 아이템에 의해 공격받을 때 성질이 매우 급해진다. 갑작스러운 기습에 당황하는 모습도 자주 보여준다.
  • 더 케이브 2018년 8월 4일 방송
  • 컵헤드 (Cup HEAD) 2017. 10. 08 트위치에서 방송
  • 크레이지 택시 #
  • 킹덤 뉴랜드 #
  • 킹덤(게임) #
  • 쿠키요미2 2018년 8월 22일 플레이.
  • 케페우스 M: 광고를 받아 플레이함. 2020년 4월 말 플레이 #

3.20. ㅌ



3.21. ㅍ


  • 판다팝 #
  • 포니 아일랜드(Pony Island) #
  • 더 포레스트(The Forest)
  • 포켓몬스터 실드 # 2020년 6월 16일~2020년 6월 18일 스토리모드를 플레이해서 결국 엔딩을 봤다. 2020년 6월 19일 DLC까지 모두 보면서 현재로써는 다음 컨텐츠가 나올 때까지 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포키팝 #
  • 포탈 2(PORTAL 2)
    • 15년 후즈와 함께 플레이. #1, #2, #3
  • 포트나이트 # 피버 가입 전에는 뜸하게 했으나 포트나이트를 많이 하게 된 시점은 개구몽조매력 등등 주변인들과 합방을 하면서부터이다. 피버 가입 후 개구몽과 합방할 때, 그리고 스스로도 가끔 찾아서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후 10월 20일 포트나이트 스트리머 대전: <우리 포나했어요> 여성 스트리머와 남성 프로게이머가 한 팀을 이루어 경쟁하는 대전에 참가하는 등 포트나이트를 하는 횟수가 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포트나이트가 시들해지면서 하지 않는다.
  • 프레젠터블 리버티 # 2016년 9월 3일 플레이.
  • 프렌즈 마블 #
  • 프리즌 아키텍트 # 2017년 4월 9일 플레이.
  • 프로스트펑크 보통 난이도로 2018년 7월 1일 게임을 클리어 하였다.
  • 프로젝트 윈터 #
  • 플래닛 코스터(Planet coaster)
  • 피스, 데스! 2017년 9월 27일 게임 플레이.
  • 퍼피티어 # 2016년 10월 14일 플레이.
  • 폴아웃 시리즈 다시보기 부재. 트위치로 이적 후 폴아웃 3를 플레이했다.[5] 재밌게 하나 싶었더니 며칠 만에 3편 스토리 진행을 모두 끝마친 뒤 2019년 2월 DLC는 구입하지 않고 4를 구입해 본편만을 플레이했다. 한번 시작하면 다음날 낮까지도 플레이하는등, 10시간 이상의 하드한 일정을 반복적으로 소화했다. 당연히 단기간에 레벨도 많이 오른 모습을 보여줬고, '핵폭탄을 날리는 얀데레', '사이버맨', '방사능 먹고 마시고' 등의 밈이 남았다.

3.22. ㅎ


  • 하스스톤 - # 2016년 추석 9월 15일 한 여름 밤의 카라잔 모험 모드를 한 적이 있다.
  • 하스피탈스톤
  • 하우스 플리퍼 #
  • 더 하울링(The Howling) #
  • 하이즈(H1Z1) #
  • 하프데드(HALF DEAD)
  • 학교괴담 #
  • 하이드 앤 쉬리크(Hide and SHRIEK) #1#2
  • 핸드 시뮬레이터 #1#2
  • 헬테이커 20.05.21 플레이 #
  • 휴먼 폴 플랫 #
  •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2017년 5월 초에 경찰 디바 스킨을 얻기 위해 딱 10판만 돌리고 접었다. 타 스트리머 도움도 있었지만 처음 하는 것 치고는 준수한 플레이를 보여주었다. 2017년 7월 8일 새벽 방송에서 호스팅으로 온 시청자들이 히오스를 연호하자 "히오스 진짜 재밌어? 딱 한 판만 해본다 그러면" 이라며 히오스를 켰다. 그러나 그 한 판에서 고통 받으며 탈탈 털리고 "이 게임을 다시 볼 일이 있을라나 모르겠네요" 라며 게임을 종료하였다. 2017년 7월 13일 연두, 후즈데드 바이 데이라이트 합방을 진행하다 어쩔 수 없이 끌려갔다. 2017년 7월 31일 방송 중 갑자기 히오스의 매력에 빠져서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넜다고 했다. 히오스 두 판을 플레이하였으며, 이 날 방종할 때도 히오스하러 간다고 하였다. 하지만 2018년부터는 히오스 하는 모습을 보여주지 않고 있다.
[1] 멤버 : 꽃핀, 감블러, 페뇨, 강지, 나나양, 탬탬버린, 지누, 실프, 치킨쿤, 뿡이, 막이마기, 이춘향[2] 멤버 : 꽃핀, 김똘복, 김뿡, 삐부, 탬탬버린[3] 현재 한국어어 패치가 완료된 상태이다.[4] 마재[5] 게임 초반에는 최적화 문제 때문에 애를 먹었다. 특정 스테이지에 진입하면 해당 스테이지에서의 전적이 완전히 초기화 된 뒤, 게임이 튕겨 버리는것 때문에 멘탈이 제대로 나가버렸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