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룻배와 행인
1. 개요
한용운의 자유시, 서정시
2. 본문
3. 해석
1) 작품 자체에 중심을 두고 해석하는 방법 : 내재적 관점-절대론
시의 운율, 말하는 이, 작품의 형식과 구조 등을 중심으로 작품을 해석한다.
→ ‘나룻배와 행인’ - 남녀 간의 안타까운 사랑을 노래한 사랑 시로 해석할 수 있다.
2) 작품 밖에 중심을 두고 해석하는 방법 : 외재적 관점
① 반영론 : 작품과 현실과의 관계에 중심을 두고 해석하는 방법 작품에 나타난 현실이 실제 시대적 현실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에 중심을 두고 작품을 해석한다.
→ ‘나룻배와 행인’ - ‘행인이 떠났다는 것’은 ‘조국을 빼앗긴 상황’으로, ‘당신이 돌아오기를 기다린다는 것’은 ‘잃어버린 조국을 되찾기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② 표현론 : 작품과 작가와의 관계에 중심을 두고 해석하는 방법 작가의 생애, 체험, 사상, 감정 및 의도를 중심으로 작품을 해석한다.
→ ‘나룻배와 행인’ - ‘행인’은 ‘부처' 또는 '불교적 진리'를 의미하고, ‘나룻배’는 '중생'으로 해석할 수 있다.
③ 효용론 : 작품과 독자와의 관계에 중심을 두고 해석하는 방법 작품이 독자에게 어떤 가르침(인식적 차원), 교훈(윤리적 차원), 감동(미적 차원)을 주었는가에 중심을 두고 작품을 해석한다.
→ ‘나룻배와 행인’ - 해석의 정답이 있을 수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