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 맨즈 스카이/함선

 



1. 개요
2. 함선
2.1. 셔틀(Shuttle)
2.2. 전투(Fighter)
2.3. 탐험(Explorer)
2.4. 운송(Hauler)
2.5. 엑조틱 (Exotic)
2.6. 리빙 쉽 (Alien)
3. 기술
3.1. 필수 기술
3.2. 무기 기술
3.3. 기타 기술


1. 개요


노 맨즈 스카이에 등장하는 함선과 기술에 대하여 다룬다.
기술은 기술 등급과 기술의 종류로 각각 나뉘고, 모든 기술은 설치된 장비의 인벤토리 한 칸을 차지한다.
쉽기술을 설치할 때 동일한 장치에 적용되는 기술을 붙여 놓으면 기술 아이콘에 굵은 테두리가 생기며 보너스가 주어진다.

2. 함선


함선 스펙 표기에 적혀있는 보너스 능력과 관련있는 '''S A B C''' 등급과 직접 표기되지 않았지만 함선 크기에 관련된 소형, 중형, 대형의 크기등급이 있다. 인벤토리가 중요한 게임인 만큼 함선의 가격은 특히 '''화물칸 슬롯 숫자'''에 상당한 영향을 받고 기술칸 슬롯 숫자는 가격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이때문에 S등급의 화물칸이 적은 함선보다 C급의 화물칸이 많은 함선쪽이 월등하게 비싸며 NPC가 몰고다니는 엑조틱 등급함선이 값이 싼 이유이기도 하다.
원래 소형, 중형, 대형의 구분은 화물칸 최대수와 관련이 있어서 소형만 존재하는 엑조틱급 함선은 화물칸 확장에 한계가 금세 왔지만 최신패치에서는 '''S A B C''' 등급이 화물칸과 기술칸 개조한계를 정하게 되어 S함선의 최대 용량은 화물칸 48칸에 기술칸 21칸까지 확장이 가능하게 되었다. 등급자체는 나노머신을 사용하여 올릴 수 있지만 게임 시스템상 나노머신을 대량으로 벌기 힘든 만큼 외관이 정말 맘에 드는 경우를 제외하면 부유한 항성계에서 S등급 함선을 사서 인벤토리 개조를 하는게 낫다.
  • 등급 업그레이드 시 필요한 나노머신량
등급
필요한 나노머신
A⇒S
5만
B⇒A
2만5천
C⇒B
1만
노 맨즈 스카이 위키에 수록된 함선 문서
이 밑은 게임에 등장하는 함선 종류 6가지를 설명한다. 함선들 디자인과 생김새는 함선 하나하나마다 다르지만 일단 같은 종류 끼리는 비슷해 보여서 눈에만 좀 익으면 멀리서도 함선이 어떤 종류인지 알 수 있다.

2.1. 셔틀(Shuttle)


[image]
'''셔틀(Shuttle)''' 종류 함선은 모든 특화와 효율이 고르게 조금씩 있다. 대신 뭐 하나가 특출나지 않아서 그냥 무난한 함선이다. (이 무난한 보너스는 발진 추진기 연료소모에도 동일하여 일반적인 함선은 25%이고 탐험급은 12.5%인데 셔틀은 그 중간인 16.67%이다.) 함선가격이 다른 것에 비해 싼 덕에 플레이 초반에 쓰기 무난하다.
  • 등급별 보너스
등급
공격력
방어막
하이퍼드라이브
S
15~20%
15~20%
15~20%
A
5~10%
5~10%
5~10%
B
0~5%
0~5%
0~5%
C
0%
0%
0%
C등급 셔틀은 모든 분야에서 보너스 0%란 경의적인 능력을 지니고 있다.
  • NPC가 이용하는 함선 스펙
등급
화물칸
기술칸
중형
19~28
5~8
소형
18~23
3~6
※셔틀엔 대형이 존재하지 않음

2.2. 전투(Fighter)


[image]
'''전투(Fighter)''' 종류 함선은 공격과 속도에 특화되어 있다. 등급이 높을 수록 공격 데미지와 이동 속도가 증가한다. 그런데 깡댐만 세고 방어막 효율이 아래 운송급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 전투 함선은 탱킹하면서 포탑식으로 적을 요격하는 게 아니라 기동하면서 피탄을 회피하며 한방 대미지로 승부를 보는 타입이므로 페이즈빔 같이 한방 화력이 세고 명중률이 높은 무기 위주로 장착하는 게 좋다. 게임내 함선 전투관련 요소가 적어서 강한 화력이 활약할 곳이 적은 것이 흠.
전사들의 종족인 바이킨이 지배하는 항성계에서 많이 볼 수 있다.
  • 등급별 보너스
등급
공격력
방어막
하이퍼드라이브
S
55~60%
15~25%
0%
A
35~50%
15~20%
0%
B
15~30%
5~10%
0%
C
5~10%
0%
0%
  • NPC가 이용하는 함선 스펙
등급
화물칸
기술칸
대형
30~38
5~12
중형
20~29
3~5
소형
15~19
2~4

2.3. 탐험(Explorer)


[image]
'''탐험(Explorer)''' 종류 함선은 하이퍼드라이브 효율에 특화되어 있다. 등급이 높을 수록 하이퍼드라이브 효율이 증가한다. 항성간 이동을 자주 한다면 엑조틱 또는 이 탐험 함선을 한 대 장만하는 게 좋다. 특히 이착륙이 잦으면 발진 추진 연료를 상당히 절약할 수 있다.
발진 추진기 연료 소모 기본값이 12.5%이다. 타 함급은 25%이므로 이착륙시의 연비가 두 배 좋다. 발진 추진기 B등급 모듈(연료 효율 업)과 S등급 모듈(연료 자동 충전)을 달아두면 연료충전이 거의 필요없을 정도로 편해진다. 광업과 탐험 위주의 플레이어에게 추천.
코벡스가 지배하는 항성계에서 많이 볼 수 있다.
  • 등급별 보너스
등급
공격력
방어막
하이퍼드라이브
S
0%
20~25%
60~80%
A
0%
10~15%
35~45%
B
0%
0~8%
20~30%
C
0%
0%
7~15%
  • NPC가 이용하는 함선 스펙
등급
화물칸
기술칸
대형
30~38
8~12
중형
20~29
5~8
소형
15~19
3~5

2.4. 운송(Hauler)


[image]
'''운송(Hauler)''' 종류 중형과 대형함선이 주류인 탓에 낮은 C등급에도 적재량이 큰 놈이 많다. 거대한 맷집에 어울리는 강력한 방어력을 자랑해서 함대함 전투시 꽤 튼튼하게 버틴다. 하지만 아무래도 기동성은 영 좋지 않다. 함대함 전투시에는 고정포탑처럼 한 자리에서 탱킹하면서 싸우는 스타일. 화물칸이 기본적으로 많은 탓에 가장 비싼 몸값을 자랑하는 함선이기도 하다. NPC가 몰고다니는 함선 중 최고등급에 가까운 A48+8의 경우 무려 1억 5200만을 호가한다.

  • 등급별 보너스
등급
공격력
방어막
하이퍼드라이브
S
10~20%
65~85%
30~35%
A
5~10%
40~50%
15~25%
B
0~5%
25~35%
5~10%
C
0%
12~20%
0~5%
장사를 주업으로 사는 종족인 겍이 지배하는 항성계에서 많이 볼 수 있다.
  • NPC가 이용하는 함선 스펙
등급
화물칸
기술칸
대형
40~48
6~8
중형
32~39
4~6
소형
25~31
2~4

2.5. 엑조틱 (Exotic)


특화 타입으로 '''엑조틱 (Exotic)'''[1]이 존재하며, 희귀성에 비해 기본 적재량은 꽤 작다[2]. 하지만 무기 위력이나 기동력, 하이퍼드라이브 효율이 매우 높다 (평균에서 +30~60%). 이 종류는 항성계당 '''단 하나'''만 스폰된다. 보면 하던 일 던지고 달려 가서 얻자. 다시 보기 힘들다.
  • 등급별 보너스
등급
공격력
방어막
하이퍼드라이브
S
35~50%
55~60%
50~65%
  • NPC가 이용하는 함선 스펙
등급
화물칸
기술칸
소형
15~20
4~6
※엑조틱엔 중형이나 대형이 존재하지 않음.
[image]
비행 중인 엑조틱 함선 두 대
탐험 특화 함선을 뛰어넘는 독보적인 모습이어서 한번 등장하면 눈에 확 띈다. 이 링크를 따라가면 엑조틱 함선들의 모습들을 볼 수 있는데, 동글동글 한것 부터 뾰족한 것, 오징어(...) 모양 [3] 등 해괴한 모습들이다. 희귀한 함선답게 탑승시 또는 내릴시 소리도 조금 다르고 이착륙시 모션도 형태에 따라 더 요란하다. 창은 곤충겹눈같은 느낌에 고풍스러운 은 혹은 금색 장식이 있다.
오직 S급만 있으며 30~35% 공격력, 55~60% 방어막, 50~65% 하이퍼드라이브 보너스가 있다. 기동성은 전투함급보다도 뛰어나면서 방어막은 운송함급으로 튼튼하기 때문에 주력함으로 굴리기 좋다. 대신 소형함만 존재하는 탓에 기본상태로는 다양한 운용이 힘들고 인벤토리 개조를 많이 필요로 한다.

2.6. 리빙 쉽 (Alien)


스페이스 아노말리에서 전용 미션을 클리어하여 모은 퀵실버 3200개로 교환가능한 아이템인 공허알을 전용 퀘스트를 통하여 부화시켜 만든 살아있는 생명우주선. 이 퀘스트 진행을 할려면 맨 처음 퀘스트부터 포탈이용이 필수이므로 메인 퀘스트를 포탈사용이 가능한 곳까지 진행하거나 포탈문자를 전부 습득해야만 한다.
일반적인 우주선과는 사용하는 모듈이 달라 경제 스캐너와 분쟁 스캐너등의 기술도 달 수 없고[4] 인벤토리도 화물22칸 기술21칸 고정으로 확장이 불가능하다. 각종 모듈 충전에 사용되는 자원도 일반적인 우주선과 체계가 다르다.
  • 등급별 보너스
등급
공격력
방어막
하이퍼드라이브
S
35~50%
10~25%
50~65%
엑조틱급과 동일하게 S등급만 존재하지만 방어막 보너스가 엑조틱보다 떨어진다.
  • 함선 스펙
등급
화물칸
기술칸
중형(?)
22
21

3. 기술



3.1. 필수 기술


모든 함선에 기본적으로 달린 기술이며 함선을 고철로 만들어 팔순 있어도 필수 기술을 해체할 순 없다. 함선이 기본적으로 날라다니기 위해선 발진 추진기와 펄스 드라이브가 필수이므로 추락한 함선을 발견해서 소유했을 경우 그자리에서 반드시 그 두가지를 수리해야만 다른 곳에서 우주선을 호출해도 날아오게 된다.
  • 발진 추진기
땅에서 이륙하기 위한 발진 시스템. 함선 발진 연료나 우라늄으로 충전하고 한번 발진할때 기본 25%를 소모하기 때문에 초반에는 상당히 귀찮다. 다른 추가 기술이 없고 제작기술만 2종류 존재한다.
발진 효율을 늘리는 기술을 얻기 전까진 발진 연료를 넉넉히 챙겨가자. 만약 발진 추진기는 0%이고 발진 연료용 재료도 없고 바깥엔 어그로 끌어서 레이져 쏴대는 센티넬들이 함선을 포위했다면... 발진 추진 연료보다는 우라늄이 충전하기엔 좀 더 좋다. 따로 가공할 필요도 없고 필요한 양만큼만 주유(?)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연구를 통해 자동충전기능을 추가 할 수 있는데, 0%에서 100%까지 차는데 약 16분 정도 걸린다. 급하게 이착륙을 반복하기엔 부족하지만 작업을 느긋하게 하는 사람에겐 도움이 큰 기능.
  • 펄스 엔진
빠르게 나아갈 수 있는 우주 추진체. 펄스 점프를 발동하여 평상시보다 수십배 빠르게 나아갈 수 있다. 추가 기술을 설치하여 기동성과 부스트, 펄스드라이브 출력을 상승 시킬 수 있고 삼중 수소나 황철석으로 충전한다. 삼중수소는 운석을 쏘다 보면 많이 얻을 수 있다. 삼중수소는 화물선 호위함의 전용미션파견시 필요한 호위함 연료제작에 들어가므로 초반외엔 황철석을 구입해서 충전용으로 사용하는게 좋다.
교전 중에는 펄스 엔진이 봉인된다. 운송함처럼 느린 함급은 행성으로 튀지 않는 한 해적을 따돌릴 수 없으므로 하이퍼드라이브로 점프해버리자.
FTL 추진 드라이브로, 다른 성계로 이동하기 위한 필수적인 시스템이다. 추가 기술을 설치하여 워프 셀 효율을 100% 증가시키거나, 하이퍼드라이브 거리를 늘릴 수 있다. 워프 셀로만 충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하이퍼드라이브 업그레이드를 제작할 수 있는데, 카드뮴 드라이브, 에메릴 드라이브, 인듐 드라이브로 각각 적색, 녹색, 청색 성계로 진입할 수 있게 해준다. 인듐 드라이브 하나만 있으면 모든 성계에 이동 가능. 이 기술들을 설치하지 않으면 함선으로는 해당 자원이 있는 성계에 진입할 수 없다. 다만 편법으로 화물선을 직접 워프시켜서 해당 항성계로 진입하는 수는 있다. 꼭 모든 함선에 인듐 드라이브를 달아야 할 필요는 없고 해당 성계의 행성에 착륙해서 다른 함선을 소환해 갈아타면 된다.
모든 함선에 기본적으로 부착되어있지만 예외적으로 맨 처음 시작할때 주어지는 기본 함선만은 하이퍼드라이브 설계도를 얻어 설치해야한다.
참고로 카드뮬 드라이브와 에메릴 드라이브엔 하이퍼드라이브의 업그레이드 모듈에 시너지를 주기 때문있기 인듐드라이브가 완성된 후에도 하이퍼드라이브 거리를 최대한 늘릴 목적으로 전부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 편향 방어막
기본적인 함선 방어막 시스템. 촉매 원소로 충전한다. 함선 방어막이 꺼지고도 피해를 어느정도 입으면 완전히 파괴된다. 추가 기술을 설치하여 방어막 강도를 높일 수 있다.
  • 포톤 캐논(광자포)
함선 기본 무기로 사정거리는 평균적인 1500u. 가장 무난하고 제거할수도 없어서(...) 후반까지도 쓰이는 무기이다. 추가 기술을 설치하여 발사 속도와 열 확산, 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3.2. 무기 기술


모든 함선에 기본적으로 달린 광자포를 제외한 무기는 추가로 장착해야한다.
  • 양전자 발사기
사정거리가 제일 짧은 750u인 함선용 샷건. 멀티툴의 샷건과 달리 우주에서는 거리가 꽤 벌어져있는 경우가 많고 가까워도 상대 함선이 금새 사정권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일반적인 거리감각으로 쓰기엔 좋지 않으며 근접해서 사용할 경우 무개조 상태에서도 꽤 높은 위력을 지닌다. 이 무기를 제대로 사용할려면 S급 강화 모듈 3개와 기술 모듈1개를 전부 달았을때 발휘하는데 적 우주선이 접근하길 기다렸다가 우주선 주변에 연사해서 뿌리면 여름날의 눈처럼 녹아버리는 적을 볼 수 있다. 또한 멀티툴 개조가 부족하여 센티넬 쿼드나 센티넬 워커를 상대하기 곤란할때 우주선을 발진시켜 지상공격용으로 쓰기에도 (우주선 탑재 무기중에서) 제일 편한 무기.
풀개조시 공격력 보너스가 없는 탐험급 우주선으로도 DPS가 약 1만1천이 나오는 무기.
제작에는 우라늄 200개와 기술 모듈 2개가 필요하다.
  • 인프라 나이프 가속기
사정거리 1500u인 빠르고 지속적인 연사 무기. 연사속도가 매우 빠르고 그만큼 빠르게 과열되지만, 또 빠르게 식는다. 다만 유도력이 다른 무기에 비해 크게 떨어진다.
제작에는 인 200개와 기술 모듈 2개가 필요하다.
  • 사이클로트론 발리스타
사정거리 1500u. 한발의 데미지가 강하지만 금방 과열되기 때문에 주력 무기로 쓰기엔 이렇다할 장점이 없다만, S급 모듈을 최대한 설치하면 냉각능력이 대폭 올라가 진가가 드러난다. 최신패치에선 S급 모듈의 공격력 증가율이 달랑 1%로 줄어든 탓에 위력이 많이 줄었다.
제작에는 다이옥사이트 200개와 기술 모듈 2개가 필요하다.
  • 페이즈 빔 (위상 광선)
우주용 채광 도구라지만 채광성능은 그닥 좋지 않다. 이 무기의 큰 장점은 레이저기 때문에 함선에 조준하고 쏘면 바로 맞고 사정거리가 일반적인 무기의 2배인 3000u라는것. 하지만 금방 과열되기 때문에 사용하기 어렵고 기본공격력이 낮은탓에 개조모듈을 최대한 달아도 함선 자체에 공격력 보너스가 낮으면 큰 위력을 못내는 문제가 있다.
제작에는 삼중 수소 100개와 기술 모듈 1개가 필요하다.
  • 로켓발사기
사정거리 5000u읜 로켓을 3발 발사한다. 3발을 발사하지만 데미지는 한번만 들어가는데, 단일 데미지로는 최강이다.[5] 다만 한번 발사하면 과열되기 때문에 발사하고 다른 무기로 공격하다가 다시 발사해야한다. 다른 기술과 달리 유일하게 이 무장만 강화용 모듈이 없고 장탄수를 늘리는 모듈만 존재한다.

3.3. 기타 기술


  • 순간이동 수신기
기존에는 50u 까지만 함선과 아이템 교환이 가능한데, 이 거리를 150u 까지 늘려준다. 거리를 늘려도 함선에서 제작등은 할 수 없다.
제작에는 반물질 1개와 기술 모듈 3개가 필요하다.
  • 경제 스캐너
성계의 경제 수준을 보여준다. 호황 이상의 성계에서는 S등급 출현률이 확실하게 올라가며며 부가적으로로 캐피탈 화물선이 잘 나온다는 말이 있다. (이에 관해선 분쟁등급쪽도 높아야한단 의견이 있음)
경제 스캐너의 또다른 용도는 행성표면에 있는 교역소 위치를 찾는 것인데 그냥 우주공간에서 사용할 경우 눈앞에 있는 행성이 아닌 멀리 떨어진 행성의 교역소를 찾아버리는 수가 있고 한번 교역소 위치를 찾아버리면 그곳에 착륙할때까지 새로운 교역소 검색이 안되는 문제가 있다. 만약 특정 행성에 있는 교역소를 찾고 싶을 경우 대기권돌입을 한뒤 경제 스캐너를 사용해야 한다.
제작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5개와 기술 모듈 1개가 필요하다.
  • 분쟁 스캐너
성계의 분쟁 수준을 보여준다. 센티널의 공격성이나 해적의 출현빈도에 관여한다.
제작에는 워커 두뇌 1개와 기술 모듈 1개가 필요한데 이 워커 두뇌는 지상 센티넬중 최고등급인 센티널 워커를 파괴해야지만 얻을 수 있다.
[1] 게임 내에서는 함선 분류에 이국적 이라고 써있다.[2] 이 때문에 함선 가격이 생각보다 저렴하다, 1~2천만 유닛(10~20 million Units) 정도[3] 모드로 비슷한 느낌으로 구현한 사람도 있다.[4] 대신 특수 성계 이동 가능 효과는 '''기본으로 탑재'''되어 있다.[5] 시작할때의 기본함선만으로도 한번에 3000이라는 데미지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