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논쟁(천문학)
Great Debate
대논쟁 혹은 커티스-섀플리 대논쟁[1]
20세기 초 천문학계를 뒤흔든 대형 논쟁.
커티스와 섀플리가 축으로 나눠져 벌인 논쟁이라 섀플리-커티스 논쟁이라고 하기도 한다. 주요 논점은 망원경의 발달로 전까진 존재를 모르던[2] 나선은하가 발견 되면서 시작되었다. 당시엔 은하라는 개념도 없었고 안드로메다 은하는 성운으로 불리던 시절이다. 결국 나선은하의 정체와 더불어 우주의 크기에 대한 논쟁이 벌어지게 되면서 일이 커진다.[3]
나선은하는 우리 은하와는 또 다른 섬우주이다.[4]
우주는 우리 은하 내의 일부이고 나선은하 역시 우리 은하 내의 천체이다.
이 대논쟁은 에드윈 허블이 안드로메다 은하 내의 세페이드 변광성을 발견하면서 종결을 맞이한다. 결론부터 말하면 '''커티스가 맞았다.''' 우주엔 수많은 별의 집단인 은하가 존재하는 것이었다. 이로서 우주는 넓고 섬우주의 개념은 은하로 확장되었다.
다만 커티스는 태양이 은하의 중심이라고 주장했고 섀플리는 은하의 바깥쪽에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부분은 섀플리가 맞았고 은하에 대한 개념도 새롭게 정비되었다.
대논쟁 혹은 커티스-섀플리 대논쟁[1]
1. 개요
20세기 초 천문학계를 뒤흔든 대형 논쟁.
커티스와 섀플리가 축으로 나눠져 벌인 논쟁이라 섀플리-커티스 논쟁이라고 하기도 한다. 주요 논점은 망원경의 발달로 전까진 존재를 모르던[2] 나선은하가 발견 되면서 시작되었다. 당시엔 은하라는 개념도 없었고 안드로메다 은하는 성운으로 불리던 시절이다. 결국 나선은하의 정체와 더불어 우주의 크기에 대한 논쟁이 벌어지게 되면서 일이 커진다.[3]
1.1. 커티스의 주장
나선은하는 우리 은하와는 또 다른 섬우주이다.[4]
1.2. 섀플리의 주장
우주는 우리 은하 내의 일부이고 나선은하 역시 우리 은하 내의 천체이다.
2. 결론
이 대논쟁은 에드윈 허블이 안드로메다 은하 내의 세페이드 변광성을 발견하면서 종결을 맞이한다. 결론부터 말하면 '''커티스가 맞았다.''' 우주엔 수많은 별의 집단인 은하가 존재하는 것이었다. 이로서 우주는 넓고 섬우주의 개념은 은하로 확장되었다.
다만 커티스는 태양이 은하의 중심이라고 주장했고 섀플리는 은하의 바깥쪽에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부분은 섀플리가 맞았고 은하에 대한 개념도 새롭게 정비되었다.
3. 관련 문서
[1] 영어 표기 상에선 Great를 빼고 쓰기 때문에 섀플리 - 커티스 논쟁이 맞긴 하다.[2] 천체 관측을 어느정도 해본 사람이면 알겠지만 어지간한 성능의 망원경으론 은하를 정확하게 관측할 수 없다.[3] 이해를 위해 이 문서예서 은하라는 용어를 사용할 뿐 이 당시엔 은하라는 개념이 없던건 둘째고 우주의 크기도 그렇게 크게 생각하지 않았다.[4] 섬우주는 철학자 이마누엘 칸트가 제창한 용어로 우리의 은하(당시에는 은하가 우주의 끝이었다.)의 바깥에 새로운 섬우주(은하)들이 펼쳐져 있다고 주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