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산동
1. 개요
대구광역시 동구에 있는 동. 법정동인 내동, 능성동, 덕곡동, 도학동, 미곡동, 미대동, 백안동, 송정동, 신용동, 용수동, 중대동, 지묘동, 진인동을 관할하는 행정동으로 행정복지센터는 지묘동 팔공보성타운2차아파트 옆에 있다.
2. 유래
이름의 유래가 된 공산은 팔공산의 옛 이름이다. 그 유명한 공산 전투에서 고려군이 후백제군에게 캐관광당하고 태조 왕건의 충직한 신하 8명을 잃었다고 하여 공산에서 팔공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는 전설이 있다. 당장 평광동의 실왕리, 지묘동의 파군재와 신숭겸 장군이 전사한 곳인 신숭겸장군유적지 등 공산 전투의 흔적이 곳곳에 남아 있다. 자세한 것은 대구광역시/공산 전투 관련 지명 참조. 원래는 달성군 공산면에 해당되는 곳이나 1981년 7월 1일 대구직할시에 편입되었다. 사실 더 오래 전인 1957년에도 대구시에 편입되었으나, 1963년 도로 달성군으로 환원되었다. 이후 1981년까지 달성군의 월경지로서 외롭게 남아 있다가 대구직할시 동구로 편입되면서 공산동으로 개편되었다. 이후 대구광역시 동구 공산동이 되었다.
3. 설명
북으로 경상북도 군위군 부계면, 동으로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과 경산시 와촌면, 하양읍, 남으로는 대구광역시 동구 봉무동, 도동, 평광동, 서쪽으로는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과 대구광역시 북구 연경동과 접하고 있다. 대구에서 가장 면적이 넓은 행정동인데, 그 수성구나 달서구보다 더 넓다.[2] 하지만 산지가 대부분이고 경사진 곳이 많아 실생활 면적은 좁은 편이다.
팔공산 도립공원을 끼고 있어 동 전체가 개발제한구역이다. 그래서 대도시라고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농촌과 산촌 풍경이 펼쳐진다. 또 대다수 지역이 공산댐으로 인해 상수원 보호지역으로 지정되어있다.[3] . 공산동행정복지센터가 소재한 지묘동을 제외한 대부분은 그냥 '''경상북도 팔공산군''' 수준의 시골이다.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과 군위군 부계면, 경산시 와촌면과 마주보고 있다. 물론 군위군 부계면은 팔공산에서 만나며, 자동차로 부계에 가고 싶으면 칠곡군 동명면 기성리를 통해 가야 하는데 문제는 이 곳으로 가는 고갯길인 한티재가 동계에 눈만 오면 미시령 구길같이 무조건 통제된다는 것. 지금은 팔공산터널이 개통되어 겨울에도 터널을 통해 통행이 가능하다.
팔공산 비로봉은 대구지역 TV 및 FM 송신소[4] 들이 있는 키스테이션국인데, 이들 중 KBS대구방송총국 팔공산 송신소의 주소는 대구광역시 동구 용수동 산 1번지(!)다.[5]
1982년 공산출장소가 행정동으로 개편될 때 공산1동과 공산2동으로 분리되어 있었으나 인구 감소로 1998년에 합쳐졌다. 이 흔적으로 지묘동에 위치한 새마을금고 지점명이 공산2동 새마을금고이다. 공산동도 동촌 쪽 전화 국번(980국)을 쓰지만 동촌에서 대단히 멀리 떨어져 있으며, 산으로 가로막힌 관계로 불로봉무동처럼 독립된 생활권을 이루고 있다.
4. 법정동
4.1. 내동
Nae-dong 內洞
내동은 미대동 안쪽에 있다고 해서 내동이라고 불렸다. 공산터널을 지나면 바로 나오는 동네로, 내동고가교(내동육교) 아래로 내려가면 동네 입구가 나온다.
4.2. 능성동
Neungseong-dong 能城洞
능성동은 예비군훈련장으로 유명하며,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음양리와 마주보고 있다. 대구광역시 달서구, 북구, 달성군을 제외하면 여기서 예비군 훈련을 받는다. 팔공1번 종점이 시경계에 있다. 909번 지방도를 따라 쭉 가면 경산시 와촌면이다. 과거에는 능성분교가 있었으나 지금은 건물의 흔적조차 찾을 수 없다.
4.3. 덕곡동
Deokgok-dong 德谷洞
덕곡동은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기성리와 맞닿아 있는 동네로, 팔공산순환도로가 지나가는 곳이다. 꽤 오지인 동네로, 101(-1)번이 도합 40회(휴일은 26회) 들어오는 것[6] 외에는 칠곡3번 파계사행이 1일 2회, 팔공3번(3월~11월 주말휴일 한정)이 50분 간격으로 뜸하게 들어온다. 그것도 지묘동 및 파계사로 가던 시절의 401번이 1일 8회만 다닌 것에 비해 꽤 늘어난 거다. 그래서 덕곡동 운행 시간대가 아니어도 101(-1)번 차량들은 이 동네의 팔공산순환도로를 통해 충전소가 있는 동명면으로 가서 가스를 충전하고 파계사로 돌아와 운행을 재개한다. 정신지체아동대상 특별교육기관인 대구선명학교, 2004년에 개교한 사립 대안학교인 달구벌고등학교 등이 덕곡동에 위치한다.
4.4. 도학동
Dohak-dong 道鶴洞
도학동은 동화사로 들어가는 길목에 있다. 학마을, 학부마을이라고도 불린다. 대구방짜유기박물관이 위치한다. 박물관으로 들어가는 2차선도로 쪽으로 도장마을과 북지장사가 있다. 도장마을과 그 아래에 있는 서당마을[7] 은 한때 고시생들이 하숙하러 몰려온 곳이었으나, 세월이 지나 하숙생들은 수도권이나 기숙학원 등으로 빠져나가고 지금은 노인들과 귀농인들만 남아 있다.
4.5. 미곡동
Migok-dong 米谷洞
미곡동은 백안삼거리가 나오기 전 신호등에서 신무동 쪽으로 좌회전하면 들어갈 수 있는데, 용수천을 따라 마을이 나있다.
4.6. 미대동
Midae-dong 美垈洞
미대동은 팔공로 기준으로 북쪽이 미대동, 남쪽을 구암마을, 구암동이라고 일컫는다. 구암마을에서 팜스테이를 할 수가 있다. 성재성당이라는 문화재가 있다.
4.7. 백안동
Baegan-dong 百安洞
백안동은 구 공산면 시절 면소재지였다. 그 흔적으로 공산초등학교, 공산중학교, 공산우체국, 팔공파출소가 이 동네에 있다. 지금이야 공산면이 공산동으로 바뀌고 그 중심지가 지묘동으로 바뀌면서 좀 안습해졌지만 지묘동을 제외하면 공산동 중에 가장 발달하였다. 지명은 백원사우에서 유래된 설과 마을 지세가 배와 같아서 처음에는 ‘배안’이라고 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백안'으로 고쳐졌다는 설이 있다. 팔공산 동화사지구로 가는 길과 갓바위지구/와촌으로 갈라지는 길이 갈라지는 백안삼거리가 있다.
4.8. 송정동
Songjeong-dong 松亭洞
송정동은 청주 한씨(淸州 韓氏) 집성촌으로 덕곡동 인근에 있고,[8] 신무동은 대구교육팔공산수련원과 팔공학생야영장이 북쪽 산에 있다. 원래 대구광역시 교육연수원이 있었으나, 2014년 9월 달서구 감삼동 구 감삼중학교 자리로 이전하고 대구교육팔공산수련원으로 리모델링되었다.
4.9. 신용동
Sinyong-dong 新龍洞
신용동은 용진마을에 노태우 前 대통령 생가가 있다. 다만 가는 시내버스가 전무하고 마을 끝자락에 있어서 가기가 정말 어렵다.
4.10. 용수동
Yongsu-dong 龍水洞
용수동은 위락시설인 동화시설집단지구가 있는 곳이다. 동화사, 팔공산 관광객으로 붐비는 곳으로 각종 식당과 모텔, 호텔, 자동차 극장이 존재한다.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와 온천시설도 있다. 이곳에 오는 버스는 급행1번과 팔공1번이 있는데, 팔공1번은 10회뿐이라 사실상 급행1번 독점구간이다.
4.11. 중대동
Jungdae-dong 中大洞
중대동은 파계사가 위치한 곳으로 카페와 식당이 길가에 즐비해있다. 그 외에는 모두 밭과 자연 부락으로 이뤄진 곳으로 서촌이라고도 한다. 공공청사로는 공산파출소, 자연염색박물관 등이 있다. 시내로 가는 버스는 101번과 101-1번이 전부다. 스타벅스 대구팔공산점이 있다.
4.12. 지묘동
Jimyo-dong 智妙洞
지묘동은 신숭겸장군유적지, 공산동행정복지센터가 있으며 은행 및 공공기관도 이 곳에 있다. 현재 공산동의 중심지다. 한들이라는 이름도 있다. 한 때 공산 전투가 일어났던 곳이며 신숭겸장군이 공산전투에서 패한 왕건을 슬기롭고 묘한 지략으로 탈출시켰다는 데서 유래했다는 전설이 있다. 이름의 유래가 된 사찰인 지묘사는 고려멸망과 함께 폐사됐다. 이 곳에서 고려군이 패했다는 의미로 파군재라는 언덕이 있다. 태조 왕건에서 유래한 왕산이 동네 뒷쪽에 서있고 아래로 동화천이 흐른다. 그 주변으로 아파트 단지와 상가들이 있다.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파군재IC가 신설될 예정이고 연경지구에 지묘동이 북구 연경동과 함께 지정되어 현재 택지개발이 한창 진행 중이다.
4.13. 진인동
Jinin-dong 眞仁洞
진인동은 갓바위로 가는 길목에 위치해있다. 진인동이란 이름은 자연부락인 진정마을과 인산마을에서 각각 따온 말이다.
4.14. 과거 공산면에 속한 지역
이외에 공산면이었던 곳은 동변동·서변동·연경동[9] , 평광동 등이 있었다.
5. 주요 시설
5.1. 공공청사
- 공산파출소 (중대동)
- 팔공파출소 (백안동)
- 공산119안전센터 (도학동)
- 공산동 행정복지센터 (지묘동)
5.2. 아파트
- 팔공보성아파트
- 팔공보성2차아파트
- 팔공보성3차아파트
- 태왕그린힐즈
- 왕산우방타운아파트
- 화성명산타운아파트
- 대구연경 LH천년나무2단지 [10]
- 대구연경 아이파크
- 연경지구 LH뉴웰시티 (예정)
모두 지묘동에 위치한다.
5.3. 교육
6. 교통
6.1. 버스
[1] 2020년 8월 주민등록인구[2] 공산동의 면적은 자그마치 83.84km², 동구 면적의 약 46%나 차지한다. 참고로 수성구 면적은 76.46km², 달서구 면적은 62.34km²다.[3] 2016년에 60% 이상 해제되었지만 여전히 많은 지역이 보존지역으로 남아있다.[4] 단 대구극동방송은 대구타워에 있고, 대구원음방송, 대구국악방송은 앞산에 있다. 그리고 CBS 음악FM이 대구에 개국한다면 앞산이 유력해 보인다.[5] 단 대구MBC와 TBC(대구CBS 표준FM, 대구CPBC, TBN대구교통방송과 함께 사용)는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주소를, 대구불교방송과 KT는 군위군 부계면 주소를 쓴다.[6] 96% 이상이 파계사 종착 전에 들어오며, 시내방향(하행)은 손에 꼽을 정도다. 그리고 하행은 무조건 서촌로를 통해 지묘동으로 내려간다. 회차점은 동명 - 동구의 시경계 못 가서 있는 선명학교 입구다.[7] 여기는 도학동이 아니라 백안동에 있다. 1970년대 중반 공산댐을 건설하면서 수몰지 주민들에 대한 보상책으로 세워진 작은마을인데, 당시 기준으로 번듯한 양식 건물이 많이 들어섰다. 새(新)마을이라고 불렀다. 서당마을 안쪽으로 들어가면 하동 정씨 선산 유적지가 있다.[8] 다만 대구송정초등학교는 송정동에 없고, 한참 멀리 떨어진 안심역이 있는 동구 괴전동에 있다. 하필 안심역 일대의 삼거리 이름도 송정삼거리다. 때문에 진짜 송정동에 있는 삼거리 이름은 없다.[9] 이 셋은 원래 성북면이었으나, 1938년 공산면에 편입되었다. 1957년 대구시에 편입되었다. 이중 동변동과 서변동은 1963년 대구시가 공산면을 다시 달성군으로 환원할 때 대구시에 잔류하였고, 구제가 실시될 때 북구 소속이 되었다. 1987년 동구에 속했던 연경동이 북구에 편입되었다. 그래서 연경동은 북구에서 유일하게 동촌 쪽 전화국번(980번대)을 쓴다. 이 3개 법정동은 전부 북구 무태조야동 관할이다.[10] 국민, 영구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