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티니 차일드:디펜스 워/카드
[image]
1. 개요
2. 차일드
2.1. 일반 등급
2.1.1. 잔다르크
2.1.2. 펜릴
2.1.3. 에슈
2.1.4. 털뭉치
2.1.5. 소녀탐정
2.1.6. 리자
2.1.7. 언노운
2.1.8. 시링크스
2.1.9. 아르테미스
2.1.10. 아르게스
2.1.11. 단두대
2.1.12. 프레이야
2.2. 희귀 등급
2.2.1. 티스베
2.2.2. 이미르
2.2.3. 오로라밈
2.2.4. 세이렌
2.2.5. 멀린
2.2.6. 키리누스
2.2.7. 에르메스
2.2.8. 자르라밈
2.2.9. 주피터
2.2.10. 네뷸라
2.2.11. 넵튠
2.2.12. 네이드
2.2.13. 마스
2.3. 에픽 등급
2.3.1. 다누
2.3.2. 마야우엘
2.3.3. 상아
2.3.4. 원
2.3.5. 미리나
2.3.6. 제미나
2.3.7. 모나
2.3.8. 다론
2.3.9. 브라우니
2.3.10. 타나토스
2.3.11. 네반
2.3.12. 파르라밈
2.4. 전설 등급
3. 마왕 후보생
1. 개요
데스티니 차일드:디펜스 워의 차일드와 마왕 후보생을 설명하는 문서이다.[1]
데스티니 차일드에서는 1~5성에 따라 차일드의 등급이 나뉘지만 데스티니 차일드:디펜스 워에서는 일반, 희귀, 에픽, 전설 등급으로 나뉘어져 있다.
또한, 공격형, 구속형, 방어형, 회복형, 보조형, 기타형[2] 으로 나뉘어져 있던 데스티니 차일드의 차일드 분류와 달리 데스티니 차일드:디펜스 워에서는 타워 디펜스 장르에 적합한 형태로 각 차일드의 기능에 따라 공격형, 보조 공격형, 지원형, 제어형, 특수형으로 재분류되어 있다.[3]
공격형은 주로 덱을 꾸릴 때 메인 딜러의 역할을 맡는 차일드이다.
보조 공격형은 말 그대로 서브 딜러 역할을 하거나 메인 딜러의 딜 효율을 높이는 역할, 또는 몬스터에게 디버프를 주는 역할을 한다.
지원형은 필드에서 주변 차일드에게 버프를 주거나 합체 시 자신의 스타 개수만큼 랜덤 차일드에게 이로운 효과를 주는 차일드이다.
제어형은 합체 시 특수 능력을 발휘하는 차일드로, 유저 간 대전에서는 상대 유저에게 디버프를 준다. 협동 모드에서는 상대에게 유리한 효과를 준다.[4]
특수형은 위의 네 가지 분류 계열에 포함되지 않는 특수 능력을 가진 차일드이다. 조커와 같은 역할을 하는 포지션이다.
각 차일드와 마왕 후보생 카드들은 가방을 오픈하거나 상점의 일일 특가 상품 구매, 일일 퀘스트 클리어 및 접속 보상 등의 방법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보통 랜덤으로 자신이 위치한 아레나 티어에서 획득 가능한 차일드 중에서 수집이 가능하다.
카드의 스펙업은 레벨업으로만 이루어지는데, 단순하게 같은 카드를 중복해서 일정량 이상 얻으면 다음 레벨로 레벨업이 가능하다. 특이하게도 등급에 따라 최초 획득 시 카드의 초기 레벨이 다르다. 일반, 희귀, 에픽, 전설 순으로 각각 1, 3, 6, 9 레벨로 시작하며 현재 레벨에 상관 없이 레벨업을 할 때마다 필요한 카드의 숫자가 2장, 4장, 10장, 20장, 50장, 100장, 200장, 400장으로 늘어난다.[5]
2. 차일드
2.1. 일반 등급
2.1.1. 잔다르크
전투 중 스타 개수와 강화수치가 오르면 광역 대미지와 1초 당 대미지가 증가한다.[6] 느린 공속 탓에 체력이 높은 단일 몬스터 대상으로는 효율이 급감한다.
2.1.2. 펜릴
전투 중 스타 개수와 강화수치가 오르면 랜덤 대미지의 최소 수치와 최대 수치가 상승한다.[7]
2.1.3. 에슈
전투 중 강화수치가 오르면 대미지와 1초 당 대미지가 증가하며 스타 개수가 오르면 공격 속도 또한 빨라진다.
2.1.4. 털뭉치
전투 중 스타 개수와 강화수치가 오르면 대미지와 1초 당 대미지가 증가한다. 무작위 몬스터를 공격하기 때문에 몬스터 웨이브의 규모가 커질수록 안정성이 낮다.
2.1.5. 소녀탐정
전투 중 스타 개수와 강화수치가 오르면 대미지와 1초 당 대미지가 증가한다.
2.1.6. 리자
가장 앞의 적에게 슬로우를 거는 공격을 한다. 전투 중 스타 개수와 강화수치가 오르면 대미지와 1초 당 대미지, 슬로우 지속 시간이 증가한다.
2.1.7. 언노운
유일하게 중독을 거는 차일드. 전투 중 스타 개수와 강화수치가 오르면 중독 대미지가 증가한다.
2.1.8. 시링크스
전투 중 스타 개수와 강화수치가 오르면 마나 생성량이 증가한다.
2.1.9. 아르테미스
전투 중 강화수치가 오르면 대미지와 1초 당 대미지가 증가하며, 스타 개수가 오르면 대형 몬스터 추가 대미지 배율도 증가한다. 체력이 높은 몬스터를 우선하여 공격하기때문에 공격하던 몬스터의 체력이 낮아지면 다른 몬스터를 공격한다. 그러니까 원킬이나 오버킬을 못 내면 죄다 샌다.
2.1.10. 아르게스
전투 중 강화수치가 오르면 대미지와 1초 당 대미지가 증가하며, 스타 개수가 오르면 연쇄 공격 몬스터 수도 1마리씩 증가한다. 대상 몬스터와 후방 몬스터의 거리가 멀어도 타격하며 연쇄 타격에 의한 대미지 감소같은 패널티도 없어서 오히려 잔다르크보다 정리가 잘 되는 편이다.
2.1.11. 단두대
전투 중 강화수치가 오르면 대미지와 1초 당 대미지, 즉사확률이 증가하며, 스타 개수가 오르면 1초 당 대미지와 공격 속도가 증가한다.몬스터 웨이브에서는 나름 괜찮은 효율을 보여주지만 보스전에서 많이 약한 모습을 보여준다.
2.1.12. 프레이야
약화 디버프를 걸어 받는 대미지를 증가시킨다. 전투 중 스타 개수와 강화수치가 오르면 대미지와 1초 당 대미지, 약화 대미지 증가량이 커진다.
2.2. 희귀 등급
2.2.1. 티스베
전투 중 스타 개수와 강화수치가 오르면 대미지와 1초 당 대미지가 증가한다. 티스베끼리 합체할 시 표기 수치의 2배만큼의 마나를 얻을 수 있다.
2.2.2. 이미르
전투 중 스타 개수와 강화수치가 오르면 대미지와 1초 당 대미지, 슬로우 몬스터 대미지가 증가한다. 즉 리자나 넵튠, 마야우엘이 덱에 없으면 쓸모가 없다.
2.2.3. 오로라밈
전투 중 스타 개수와 강화수치가 오르면 대미지와 1초 당 대미지가 증가한다. 단순 화력 기반 덱이라면 어떤 덱이든 일단 기용하는 편이다.
2.2.4. 세이렌
전투 중 스타 개수와 강화수치가 오르면 치명타 확률 증가량이 높아진다. 자신이 배치된 타일을 기준으로 상하좌우에 있는 차일드들의 치명타 확률을 높여준다. 키리누스와 비슷한 능력이지만 버프 효율이 떨어져서 잘 사용되지 않는다.
2.2.5. 멀린
전투 중 스타 개수와 강화수치가 오르면 대미지와 1초 당 대미지가 증가한다. 위치를 변경하는 것으로 타게팅형 디버프 대부분을 회피할 수 있다.
2.2.6. 키리누스
전투 중 스타 개수와 강화수치가 오르면 공격 속도 버프량이 높아진다. 자신이 배치된 타일을 기준으로 상하좌우에 있는 차일드들의 공격 속도를 빠르게 해준다.
2.2.7. 에르메스
전투 중 강화수치가 오르면 대미지와 1초 당 대미지가 증가하며, 스타 개수가 오르면 곰곰의 HP 배율과 곰곰이 주는 마나가 증가한다. 단일 디버퍼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2.2.8. 자르라밈
전투 중 스타 개수와 강화수치가 오르면 대미지와 1초 당 대미지가 증가한다. 유일하게 합체 시 스타 개수에서 손해를 보는 차일드이다. 덱이 잘 꼬이는 덱이나 합체 시 특수 능력이 발동되는 덱에서 사용된다. 보스 몬스터인 자르라밈 킹이 던져댄다.
2.2.9. 주피터
전투 중 스타 개수와 강화수치가 오르면 대미지와 1초 당 대미지, 마나 대비 대미지 비율이 증가한다. 견제에 매우 취약하고 초반 딜링이 매우 부족하기 때문에 극후반 딜링을 하기 위해 무한 디펜스에서만 쓰인다.
2.2.10. 네뷸라
전투 중 스타 개수와 강화수치가 오르면 최대 대미지가 증가한다. 공격 선딜도 매우 길고 타겟이 초기화되면 공격력도 10부터 다시 시작하기 때문에 웨이브 도중엔 선딜 모션만 취하면서 삐걱대다가 보스만 잡고 끝날 수도 있다. 간혹 선딜이 캔슬되어 바로 다음 타겟을 공격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래도 공격력은 초기화된다. 마스와 같이 써서 최소 공격력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도 있지만 그럴바엔 다른 차일드를 쓰는게 낫다.
2.2.11. 넵튠
전투 중 스타 개수와 강화수치가 오르면 슬로우 효율이 높아진다. 자신이 배치된 타일을 기준으로 상하좌우에 있는 차일드들에게 슬로우 효과를 부여해준다.
2.2.12. 네이드
전투 중 스타 개수와 강화수치가 오르면 광역 대미지와 1초 당 대미지가 증가한다. 광역 대미지로 양념을 한다는 점에 있어서 잔다르크의 상위 호환. 잔다르크보다 대미지가 강하고 무작위 몬스터를 공격하기 때문에 보조 딜러로서의 딜 누수가 적다.
2.2.13. 마스
전투 중 스타 개수와 강화수치가 오르면 대미지 추가량이 증가한다. 버퍼들 중에 유일하게 중첩 적용이 된다.
2.3. 에픽 등급
2.3.1. 다누
전투 중 강화수치가 오르면 대미지와 1초 당 대미지가 증가하고, 스타 개수가 오르면 추가로 버스트 공격 속도 증가량도 커진다.
2.3.2. 마야우엘
전투 중 강화수치가 오르면 슬로우 효과가 커지고 스타 개수가 오르면 추가적으로 공격 속도도 빨라진다. 모든 대상에게 슬로우를 걸지만 긴 공격 간격이 아쉬운 차일드이다.
2.3.3. 상아
전투 중 강화수치가 오르면 대미지와 1초 당 대미지가 증가하고, 스타 개수가 오르면 여기에 추가 소환 확률도 높아진다.
2.3.4. 원
전투 중 스타 개수가 오르면 대미지와 1초 당 대미지가 증가하고, 강화수치가 오르면 여기에 연결 당 대미지 증가량도 커진다. 제거티와 작동 원리가 비슷하지만 원은 배치에 상관 없이 상하좌우 방향으로 연결만 되면 대미지가 증가하므로 좀 더 안정적이다. 그 대신 공격 속도는 증가되지 않기 때문에 잘 갖춰진 제거티 덱과 비교하면 딜량이 훨씬 낮은 편이다.
2.3.5. 미리나
전투 중 스타 개수와 강화수치가 오르면 대미지와 1초 당 대미지가 증가한다. 상대 덱의 딜 효율을 깎아먹을 때 좋은 차일드이다.
2.3.6. 제미나
전투 중 스타 개수가 오르면 합체 시 디버프가 제거되는 차일드 수가 증가한다. '''이미 걸려있는''' 디버프는 해제할 수 있는 것이 그다지 없는데다가[8] 디버프 자체를 차단하는 마왕 후보생 이브가 있는 탓에 쓰일 일이 없는 차일드.
2.3.7. 모나
전투 중 강화수치가 오르면 대미지와 1초 당 대미지가 증가하고, 스타 개수가 오르면 합체 시 방어막을 쳐 주는 대상 차일드 수가 증가한다. 모나의 방어막이 씌워진 상태로 샤마시가 복제시, 공격력 디버프가 해제되면서 보호막이 깨진다.
2.3.8. 다론
전투 중 스타 개수와 강화수치에 무관한 능력을 갖는다. 운만 좋다면 첫 소환에 나온 1성 다론이 7성 메인 딜러로 변신할 수도 있다! 스타 개수를 올리는데 필요한 마나 소비량을 절감시켜 주기 때문에 후반 마나 보유량이 중요한 주피터 덱에서 핵심 차일드로 쓰인다.
2.3.9. 브라우니
전투 중 스타 개수와 강화수치가 오르면 대미지와 1초 당 대미지가 증가한다. 브라우니가 필드에서 가장 낮은 스타 개수인 시점에 합체시켜야 효율이 가장 좋다. 합체한 스타에서 스타 하나를 빼는 계산이기 때문에 합체 후 평균값의 스타가 되는 자르라밈과 합체하면 차일드가 사라질 수도 있다.
2.3.10. 타나토스
전투 중 스타 개수와 강화수치가 오르면 부여하는 즉사 확률이 높아진다. 자신이 배치된 타일을 기준으로 상하좌우에 있는 차일드들에게 소형 몬스터 즉사 확률을 부여해준다. 지원형 차일드 중에는 키리누스가 워낙 효율이 좋아 잘 사용되지 않는다.
2.3.11. 네반
전투 중 강화수치가 오르면 대미지와 1초 당 대미지가 증가한다. 스타 개수가 오르면 합체 시 랜덤하게 바뀌는 상대방의 차일드 숫자 또한 증가한다. 특수 조건부 화력 덱에 빅엿을 줄 수 있는 차일드지만, 그만큼 단순 화력 덱에는 줄 수 있는 영향이 적은 편이다.
2.3.12. 파르라밈
전투 중 강화수치가 오르면 대미지와 1초 당 대미지가 증가한다. 버프는 중첩 적용 되지 않는다.
2.4. 전설 등급
2.4.1. 아텐
전투 중 스타 개수와 강화수치가 오르면 대미지와 1초 당 대미지 그리고 중독 몬스터 대미지 증가 배율이 증가한다. 필연적으로 언노운과 같이 써야하는데 무작위 공격을 하다보니 다 잡아놓고 중독으로 죽게 두기도 해서 정말 재수가 없으면 웨이브 한 가운데만 뻥 뚫려있는 상황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2.4.2. 코스밈
전투 중 강화수치가 오르면 대미지와 1초 당 대미지가 증가하며, 스타 개수가 오르면 차일드 당 대미지 증가 배율이 추가로 증가한다.
또한 코스밈은 메인 딜러 격 차일드 가운데 유일하게 레벨업 시 공격 속도가 빨라진다. 카드를 중복으로 획득하여 스펙업을 하는 이 게임에서 레벨업당 스펙폭이 가장 큰 전설 등급 딜러다.
2.4.3. 제거티
전투 중 강화수치가 오르면 대미지와 1초 당 대미지가 증가하며, 스타 개수가 오르면 가로 빙고 대미지 증가 배율이 추가로 증가한다.
운빨이 많이 작용하지만 가로 세로 빙고가 잘 맞춰진다는 가정 하에 딜 효율이 매우 높다.
2.4.4. 오로라밈킹
전투 중 스타 개수와 강화수치가 오르면 대미지와 1초 당 대미지가 증가한다. 다양한 덱의 안정성을 강화시켜준다.
2.4.5. 베리트
전투 중 스타 개수와 강화수치가 오르면 대미지와 1초 당 대미지가 증가한다. 스타 개수가 높은 상태에서 합체할수록 특수 능력의 효율이 매우 높다.[9] 에픽 등급 차일드 상아의 명백한 상위 호환. 한 단계 낮은 스타의 자르라밈과 합체하여 필드의 스타 평균값을 높일 수도 있다.
2.4.6. 길티네
전투 중 스타 개수와 강화수치가 오르면 대미지와 1초 당 대미지가 증가한다. 상대방 필드를 조져서 1, 2라운드에 승리를 보고자 할 때 쓰이는 디버퍼 요원이다.
합체 시 상대 진영에 있는 차일드 중 하나의 별 수를 1개 감소시키는데 그 대상의 별 수가 1개였다면 그대로 사라진다. 2초 가량 발동 딜레이가 있기 때문에 표적이 된 차일드를 재빨리 다른 차일드와 합체시키면 디버프를 받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합체했을 때 의도하지 않았던 차일드가 나와 딜 능력이 급감하는 불상사가 일어날 수도 있다.
멀린이 있다면 합체하지 않고 길티네의 저격을 회피할 수 있다. 타이밍에 맞춰 대상과 멀린의 위치를 교체하면 멀린과 대상 둘 다 스타를 잃지 않는다.
2.4.7. 샤마시
전투 중 스타 개수와 강화수치가 오르면 대미지와 1초 당 대미지가 증가한다. 다양한 덱에서 사용되는 특수 요원. 대미지 다운이 꽤 크지만 샤마시를 필요로 하는 덱들은 대부분 이브를 쓰는데, 이브가 스킬 한 번만 사용하면 대미지 다운 효과가 사라지기 때문에 큰 문제는 되지 않는다.
2.4.8. 다비
과거에는 전투 중 스타 개수와 강화수치가 오르면 대미지와 1초 당 대미지가 증가했다. 몬스터 웨이브를 상대할 때 HP가 많은 몬스터를 우선적으로 공격한다는 점은 매우 큰 단점이기 때문에 저평가 받고 있었다.
패치로 다비의 성능이 완전히 달라졌는데, 별 개수 10개당 공격 속도가 300% 증가하고, 별 50개가 되면 데미지가 350% 증가하는 효과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다비를 쓰는 데 걸림돌이 되었던 우선 공격 대상도 체력이 가장 높은 적에서 제일 앞의 적으로 변경되었다.
이론적으로 최대 공속 2400%와 데미지 350%를 얻을 수 있다. 빙고가 깨지면 데미지가 크게 줄어드는 제거티와 달리 별 개수만 유지할 수 있다면 DPS가 계속 상승하므로 대전덱에서 자주 보이게 되었다.
2.4.9. 워울프
전투 중 강화수치가 오르면 대미지가 증가하고, 스타 개수가 오르면 추가적으로 각성 워울프의 공격 속도가 빨라진다. 합체 또는 소환을 통해서 최대한 빨리 각성 워울프를 필드에 만들어 두고 같은 스타 개수의 멀린으로 각성 워울프를 필드의 모서리 부근에 균일하게 갖다 놓는 게 워울프 덱의 핵심이다.
2.4.10. 모아
전투 중 스타 개수가 오르면 변신 시간이 '''증가한다.'''[10] 기다리기만 하면 바로 별 하나의 이득을 볼 수 있으므로 후반으로 갈수록 빛을 발하는 차일드. 다만 7성 모아는 완전히 짐덩어리이다.
2.4.11. 자청비
전투 중 스타 개수와 강화수치가 오르면 대미지와 1초 당 대미지가 증가한다. 전투 초반에 1성 자청비를 소환한 후 오로라밈킹을 이용해서 진화시키면 대미지 증가량이 초기화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잘 활용하는 것이 핵심 전략이다.
2.4.12. 유나
전투 중 스타 개수와 강화수치가 오르면 대미지가 증가한다. 자체 공격력은 동급에 비하면 낮은 편이지만 공격 속도가 0.3초나 된다. 스타가 24개만 되어도 대미지가 반토막에 가깝게 떨어지는데 극화력형 덱에 상당히 치명적이다.
2.4.13. 클레오파트라
전투 중 강화수치가 오르면 벽의 유지 시간과 벽들의 폭발 대미지가 증가하고 스타 개수가 오르면 벽들의 유지 시간과 벽들의 폭발 대미지가 증가한다. 대미지 자체는 준수한 편이지만 벽이 폭파되며 대미지를 주는 방식이라 딜레이가 매우 길고 소환 쿨타임도 매우 길어서 어찌보면 마야우엘보다 공격 딜레이가 더 길다. 때문에 차일드에게 테러를 하는 보스가 대부분인 현 환경에서 메인 딜러로 쓰기에는 적합하지않다.
2.4.14. 마프데트
전투 중 강화수치가 오르면 대미지와 1초 당 대미지가 증가하고 스타 개수가 오르면 대미지와 1초당 대미지와 정의의 폭격 개수와 정의의 폭격 대미지가 증가한다.
3. 마왕 후보생
3.1. 일반 등급
3.2. 희귀 등급
3.2.1. 주인공
물량공세에 특화된 마왕 후보생이다. 주로 빠르게 필드를 전개해야 하는 차일드 조합과 함께 쓰인다.
3.3. 에픽 등급
3.3.1. 달리아
순간 화력 증가에 특화된 마왕 후보생이다. 주로 후반에 힘이 빠지거나 차일드 합체에 있어서 안정성이 떨어지는 경우에 쓰인다.
3.3.2. 이브
단순 화력 기반 덱들과 달리 원, 코스밈, 제거티 등 필드가 무너지면 딜 효율이 박살 나는 조건부 화력 덱들은 달리아의 화력 증가보다 디버프 방어가 주는 안정성이 더 크기 때문에 잘 사용된다.
3.4. 전설 등급
3.4.1. 프레이
차일드 하나를 다른 차일드로 랜덤하게 변신시키는 스킬, 체인지를 가지고 있다. 7성 차일드는 자르라밈을 통한 강제 합체를 제외하면 합체가 되지 않기 때문에 프레이의 스킬을 사용해서 덱의 메인 딜러로 변신시키는 식으로 활용이 가능하다.[11]
[1] 차일드와 마왕 후보생 모두 카드의 형태로 존재하기에 둘을 통틀어 카드라고 지칭한다.[2] 경험치형, 진화형[3] 마왕 후보생은 여기에 포함되지 않고 별도로 존재한다.[4] 유저 간 대전에서 상대 차일드의 공격 속도를 감소시키는데 협동 모드에서는 상대 차일드의 공격 속도를 높여주는 경우가 대표적이다.[5] 즉, 일반 카드가 전설 카드의 초기 레벨인 9레벨이 되려면 2 + 4 + 10 + 20 + 50 + 100 + 200 + 400 = 786 장이 필요하다.[6] 정확한 수치는 기재되지 않았으나 타격 범위의 크기 또한 늘어난다.[7] 단, 최소 수치와 최대 수치는 항상 1:100 의 비율을 갖는다.[8] 공속•공격력 감소, 냉동, 석화, 스타 감소, 차일드 삭제, 차일드 변경 중에 공속•공격력 감소와 냉동만 해제가 가능하다.[9] 6성 베리트 두 마리를 합체하면 7성의 랜덤 차일드와 6성의 랜덤 차일드가 생긴다.[10] 스타 개수가 높을수록 변신으로 얻는 이익이 크기 때문에 주어진 페널티이다.[11] 체인지 스킬을 사용 시 걸려 있는 모든 디버프가 해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