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새로운 과학
Discourses and Mathematical Demonstrations Concerning Two New Sciences, 1638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저서. 마지막 저서이다. 다른 저서인 두 우주 체계에 대한 대화와 마찬가지로 몇명의 인물들이 말을 주고받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진공이나 낙하속도와 같은 당시의 이야기되던 과학 용어들이 언급되어 있으며, 진동하는 계의 고유주기(natural period)에 대한 역사상 최초의 언급이 된 책이기도 하다. [1] 과학혁명을 이끌었으며 뉴턴과 아인슈타인의 이론을 만드는 데 도움을 주었다.
단 오류가 두 개 있는데 첫째는 낙하 최단 거리가 원의 호라는 것이고(실제로는 그보다 약간 덜 구부러진 사이클로이드다) 두 번째는 물에는 표면장력이 없다는 것이다.
대화자: 살비아티, 사그레도와 심플리치오
앞의 두 명은 아마추어 과학자이자 갈릴레이의 친구고 심플리치오는 가상인물이다.
물질이 고정되어있는 방식, 물질과 물질간에 나타나는 저항 등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진공-당시 진공 개념이 받아들여지지 않은 걸 보멸 당시로는 파격적이었다. 물체 자체에 작용한 응집력물질의 최소 단위가 결합하며 '빈틈' 즉 진공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최소 단위의 개념이 나오는 것에 주의하자.
물체의 낙하속도에 관한 (매질의 비중과 무게가 고려된)갈릴레이의 이론을 볼 수 있다.
진자의 운동에 대해 다룬다.
물체의 운동량과 공기 저항을 비교하기 위해 진자운동을 이용해 실험했다.
이 부분에서 고유주기와 현이 진동할 때 음의 비례관계가 등장한다.
무게중심에 관해 풀어냈고 자연에 왜 거인이 있을 수 없는지 다루었다(중력 때문에 뼈 등이 무거워지고 그만큼 자신의 무게를 버티기 힘들어진다)등을 다루었다.
주로 물체의 부피와 이에 따른 무게중심과 자신의 무게를 버틸 한도 등에 대해 다룬다.
등속운동과 낙하속도, 가속도의 속도 비례 등을 설명한다.
어기서 최초의 '관성'개념이 나온 것이다.
사실 대부분의 페이지가 기하학을 통한 증명에 할애되기 때문에 그리 눈길을 끌지는 않는다.
포물선 운동을 다룬다.
충격력에 대하여 풀어냈다.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저서. 마지막 저서이다. 다른 저서인 두 우주 체계에 대한 대화와 마찬가지로 몇명의 인물들이 말을 주고받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1. 내용
진공이나 낙하속도와 같은 당시의 이야기되던 과학 용어들이 언급되어 있으며, 진동하는 계의 고유주기(natural period)에 대한 역사상 최초의 언급이 된 책이기도 하다. [1] 과학혁명을 이끌었으며 뉴턴과 아인슈타인의 이론을 만드는 데 도움을 주었다.
단 오류가 두 개 있는데 첫째는 낙하 최단 거리가 원의 호라는 것이고(실제로는 그보다 약간 덜 구부러진 사이클로이드다) 두 번째는 물에는 표면장력이 없다는 것이다.
1.1. 첫째 날
대화자: 살비아티, 사그레도와 심플리치오
앞의 두 명은 아마추어 과학자이자 갈릴레이의 친구고 심플리치오는 가상인물이다.
1.1.1. 첫 번째 새로운 과학, 분리에 대한 고체의 저항
물질이 고정되어있는 방식, 물질과 물질간에 나타나는 저항 등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1.1.2. 응집의 원인일 수도 있는 것
진공-당시 진공 개념이 받아들여지지 않은 걸 보멸 당시로는 파격적이었다. 물체 자체에 작용한 응집력물질의 최소 단위가 결합하며 '빈틈' 즉 진공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최소 단위의 개념이 나오는 것에 주의하자.
물체의 낙하속도에 관한 (매질의 비중과 무게가 고려된)갈릴레이의 이론을 볼 수 있다.
1.1.3. 두 번째 새로운 과학, 국부 운동
진자의 운동에 대해 다룬다.
1.1.3.1. 균일 운동에 대하여
물체의 운동량과 공기 저항을 비교하기 위해 진자운동을 이용해 실험했다.
이 부분에서 고유주기와 현이 진동할 때 음의 비례관계가 등장한다.
1.2. 둘째 날
무게중심에 관해 풀어냈고 자연에 왜 거인이 있을 수 없는지 다루었다(중력 때문에 뼈 등이 무거워지고 그만큼 자신의 무게를 버티기 힘들어진다)등을 다루었다.
주로 물체의 부피와 이에 따른 무게중심과 자신의 무게를 버틸 한도 등에 대해 다룬다.
1.3. 셋째 날
등속운동과 낙하속도, 가속도의 속도 비례 등을 설명한다.
어기서 최초의 '관성'개념이 나온 것이다.
사실 대부분의 페이지가 기하학을 통한 증명에 할애되기 때문에 그리 눈길을 끌지는 않는다.
1.4. 넷째 날
포물선 운동을 다룬다.
1.5. 추가된 하루
충격력에 대하여 풀어냈다.
[1] 두 새로운 과학의 첫쨋날 살비아티의 대화에서 언급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