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lcolor=#fff><colbgcolor=#3b4137> '''Denis Côté''' 
 | 
|  | 
| '''이름''' 
 | 드니 코테(Denis Côté) 
 | 
| '''국적''' 
 | 캐나다 [image] 
 | 
| '''출생''' 
 | 1973년 11월 16일(51세), 캐나다 뉴브런즈윅 Grand Falls 
 | 
| '''학력''' 
 | Collège Ahuntsic 
 | 
[clearfix]
1. 개요
캐나다 퀘벡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영화 감독. Collège Ahuntsic에서 영화를 전공하였고, 1999년부터 2005년까지 
몬트리올에 위치한 불어권 라디오 방송국인 CIBL에서 비평가로 활동하기도 했다. 그는 장편데뷔작 <방랑자>로 2005년 제58회 
로카르노 국제 영화제에서 황금표범상을 수상했고
[1]  같은 해에 전주국제영화제를 통해 한국에서는 공식적으로 처음 소개되었으며, 최우수 작품상인 우석상을 수상했다.
, 2009년에는 <카르카세스>로 제62회 
칸 영화제 감독 주간에 초청되었다. 이후로는 
베를린 국제 영화제 단골로 참석하고 있다.
전주국제영화제와 인연이 깊은 감독 중 하나이다. 2020년 기준으로 그의 장단편 필모그래피 중 12편
[2]이 꾸준히 소개되어왔으며, 2010년 제11회 영화제에서는 
마티아스 피녜이로, 
제임스 베닝과 함께한 <디지털 삼인삼색 2010: 적들 사이에서> 프로젝트에서 단편영화 <에너미 라인즈>를 연출하였다.
평단에서는 주목받지만 대중적으로는 인지도는 없는 감독에 속한다. 자국에서도 유명 배우를 캐스팅하지 않고 인디 영화 위주로 활동하고, 한국에서는 개봉한 영화가 없어서 인지도가 저조하다.
2. 필모그래피
| '''연도''' 
 | '''제목''' 
 | '''비고''' 
 | 
| 1997 
 | '''Kosovolove''' 
 | 단편 
 | 
| 1997 
 | '''Second Waltz''' 
 | 단편 
 | 
| 2001 
 | '''REJOUE-MOI CE VIEUX MÉLODRAME''' 
 | 단편 
 | 
| 2003 
 | '''La sphatte''' 
 | 단편 
 | 
| 2005 
 | '''방랑자''' 
 | 장편, 데뷔작 
 | 
| 2005 
 | '''Toys''' 
 | 단편 
 | 
| 2005 
 | '''Tennesse''' 
 | 단편 
 | 
| 2007 
 | '''Our Private Lives''' 
 | 장편 
 | 
| 2007 
 | '''Maïté''' 
 | 단편 
 | 
| 2008 
 | '''All That She Wants ''' 
 | 장편 
 | 
| 2009 
 | '''카르카세스''' 
 | 장편 
 | 
| 2010 
 | '''에너미 라인스[3] '''  제11회 전주국제영화제의 "디지털 삼인삼색 2010: 적들 사이에서"의 세 편 중 하나이다.
 | 단편 
 | 
| 2010 
 | '''컬링''' 
 | 장편 
 | 
| 2012 
 | '''우화''' 
 | 장편 
 | 
| 2013 
 | '''빅+플로 쏘우 어 베어''' 
 | 장편 
 | 
| 2014 
 | '''인류의 기쁨이 머무는 곳''' 
 | 장편 
 | 
| 2015 
 | '''어쩌면 잠든 사이에''' 
 | 단편, vimeo 공개[4] 
 | 
| 2015 
 | '''Excursions''' 
 | 단편 
 | 
| 2016 
 | '''베아트리체 없는 보리스''' 
 | 장편 
 | 
| 2017 
 | '''부드러운 살결''' 
 | 장편 
 | 
| 2019 
 | '''유령 마을''' 
 | 장편 
 | 
| 2020 
 | '''윌콕스''' 
 | 장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