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더 킥/헤이세이 라이더

 


1. 개요
2. 목록
2.3. 가면라이더 류우키[1]
2.5. 가면라이더 블레이드[2]


1. 개요


헤이세이 라이더들의 라이더 킥 일람. 점점 신작으로 갈수록 킥의 비중이 줄어들고 있는데 이는 가면라이더의 무장 완구 광고 때문으로 보인다.

2. 목록



2.1. 가면라이더 쿠우가



2.2. 가면라이더 아기토



2.3. 가면라이더 류우키[3]



  • 가면라이더 나이트
    • 비상참(飛翔斬)(노멀폼) 위력 5000AP = 250t[4]
  • 가면라이더 오쟈
    • 베노 크래시(노멀 폼) - 위력 : 6000AP = 300t
    • 둠즈데이(노멀 폼) - 위력 : 8000AP = 400t
  • 가면라이더 임페러
    • 드라이브 디바이더(노멀 폼)[5] - 위력 : 5000AP = 250t

2.4. 가면라이더 555



2.5. 가면라이더 블레이드[6]


  • 가면라이더 블레이드
    • 로커스트 킥 - 위력 : 10t(=FP 1000)
    • 라이트닝 블래스트 - 위력 : 22t(=AP 2200)
    • 라이트닝 소닉 - 위력 : 38t(=AP 3800)
    • J・라이트닝 블래스트(잭 폼)(극중 미등장) - 위력 : 22t(+a)[A]
    • J・라이트닝 소닉(잭 폼)(극중 미등장) - 위력 : 38t(+a)
    • 스트레이트 템페스트 크래시(킹 폼)(극중 미등장)[7] - 위력 : 42t(=AP 4200)
  • 가면라이더 카리스
    • 쉘 드릴(극중 미등장) - 위력 : 12t(=FP 1200)
    • 스피닝 어택 - 위력 : 26t(=AP 2600)
    • 스피닝 댄스 - 위력 : 36t(=AP 3600)
  • 가면라이더 갸렌
    • 웨일 드롭(극중 미등장) - 위력 : 10t(=FP 1000)
    • 버닝 스매쉬 - 위력 : 20t(=AP 2000)
    • 버닝 디바이드 - 위력 : 34t(=AP 3400)
    • J・버닝 스매쉬(잭 폼) - 위력 : 20t(+a)[A]
    • J・버닝 디바이드(잭 폼)(극중 미등장) - 위력 : 34t(+a)
  • 가면라이더 렌겔
    • 코브라 바이트(극중 미등장) - 위력 : 12t(=FP 1200)
    • 블리자드 크래시 - 위력 : 24t(=AP 2400)

2.6. 가면라이더 히비키


  • 가면라이더 히비키
    • 정식 명칭 불명[8]

2.7. 가면라이더 카부토


  • 캇시스 웜
    • 라이더 킥[9]

2.8. 가면라이더 덴오


  • 가면라이더 덴오
    • 덴라이더 킥 - 모든 폼 공통[10]
    • 보이스터즈 킥(클라이맥스 폼) - 위력 : 30t
    • 초 보이스터즈 킥(초 클라이맥스 폼. 일명 '초덴오')

2.9. 가면라이더 키바


  • 가면라이더 이크사
    • 파이널 라이징 블래스트(라이징 이크사) [11]
  • 가면라이더 사가
    • 설정상 사가도 킥 필살기가 존재한다. 연출은 쟈코더 뷰트로 적을 공격한 후, 공격한 상대를 그대로 휘감은 다음에 이를 끌어들이면서 라이더 킥을 사용하는 것. 테레비 매거진, 테레비군 등의 잡지에서 공개되었다. '스네이킹 데스브레이크'보다도 먼저 소개된 필살기이지만 명칭은 불명이며 극중 미등장.(그래도 킥 필살기처럼 보이는 게 극중에서 딱 한 번 등장한 적이 있다.)

2.10. 가면라이더 디케이드


  • 가면라이더 디케이드
    • 디멘션 킥 - 위력 : 30t[12]
    • 디케이드 어설트(쿠우가 고우람과의 연계기)
    • 디케이드 드래곤(류우키 드래그레더와의 연계기)[13]
    • 디케이드 메테오(젝터 카부토와의 연계기)
    • 디케이드 언리미티드(컴플리트 폼)[14]
    • 파이널 디멘션 킥(컴플리트 폼-점보 포메이션)[15]
    • 이 외에도 컴플리트 폼에서는 FKR(파이널 가면라이드)를 통해 역대 헤이세이 라이더들 최종 폼의 킥 필살기들을 전부 사용할 수가 있다.[16]
  • 가면라이더 디엔드
    • 블루 스트라이크

2.11. 가면라이더 W


  • 가면라이더 액셀
    • 액셀 글랜저 - 위력 : 35t
    • 머신건 스파이크 - 위력 : 킥 성공횟수 x 0.375t(액셀 트라이얼)[17]


2.12. 가면라이더 오즈



2.13. 가면라이더 포제


  • 가면라이더 포제
    • 라이더 로켓 드릴 킥 - 위력 : 15t(베이스 스테이츠, 코즈믹 스테이츠[18])
    • 라이더 로켓 드릴 우주 킥 - 위력 : 45t(베이스 스테이츠)
    • 라이더 전광 드릴 킥 - 위력 : 불명(일렉 스테이츠)
    • 라이더 킥 - 위력: 불명(코즈믹 스테이츠)

2.14. 가면라이더 위자드


  • 가면라이더 위자드
    • 스트라이크 위자드 - 위력 : 21t[19]
    • 스트라이크 엔드[20]
    • 피니쉬 스트라이크 (인피니티 드래곤&인피니티 드래곤 골드)
    • 호프 스트라이크[21]
  • 가면라이더 비스트
    • 스트라이크 비스트
  • 하얀 마법사
    • 킥 스트라이크[22]

2.15. 가면라이더 가이무


  • 가면라이더 가이무
    • 무뢰(無頼) 킥 - 위력 : 25t(오렌지 암즈)
    • 아이언 브레이커 - 위력 : 25t[23](파인 암즈)

2.16. 가면라이더 드라이브



2.17. 가면라이더 고스트



2.18. 가면라이더 에그제이드



2.19. 가면라이더 빌드



2.20. 가면라이더 지오



[1] 류우키에선 위력을 'AP'로 나타내는데 1AP=0.05t으로 환산이 가능하다. 그러면 드래곤 라이더 킥부터 위력이 300t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2] 블레이드에서는 카드가 지닌 효과의 위력(AP)을 톤(t)으로 계산할 때는 100 AP = 1t으로 계산한다. 카테고리 2 ~ 5의 AP 수치는 "FP=(Force Point)", 카테고리 6 ~ 10의 AP수치는 "MP(=Magic Point)"라고도 부르며, 카드의 AP 소비수치 = 카드가 지니고 있는 위력(AP)이다.[3] 류우키에선 위력을 'AP'로 나타내는데 1AP=0.05t으로 환산이 가능하다. 그러면 드래곤 라이더 킥부터 위력이 '''300t'''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4] 단 원래 서술 되지 않아있는걸 보면 라이더 킥이라는 발로 차는 형태와 거리가 좀 멀어서 서술하지 않은 듯 하나 망토로 몸을 말아서 발쪽으로 꿰뚫는게 라이더 킥과 비슷한 형태며 파이널 벤트이기 때문에 서술함.[5] 실질적으론 떼거지 다굴 기술이나 마무리가 킥이므로(정확히는 니킥) 일단 킥으로 분류.[6] 블레이드에서는 카드가 지닌 효과의 위력(AP)을 톤(t)으로 계산할 때는 100 AP = 1t으로 계산한다. 카테고리 2 ~ 5의 AP 수치는 "FP=(Force Point)", 카테고리 6 ~ 10의 AP수치는 "MP(=Magic Point)"라고도 부르며, 카드의 AP 소비수치 = 카드가 지니고 있는 위력(AP)이다.[A] A B AP수치는 똑같지만 공중에서 급강하하면서 가속도가 붙는데다가, 거기에 여러 가지가 플러스되면서 위력은 실제 수치보다 더욱 상승한다.[7] 카드로만 공개된 필살기. 결국 영상화가 되진 못했다.[8] 가면라이더 헤이세이 제네레이션즈 FOREVER에서 아기토, 블레이드와 함께 시전했지만 정확한 명칭은 모른다. 그 외에 기획 중 존재했다가 사라진 설정 중에서는 '히비킥'이라는 라이더 킥을 사용한다는 설정이 있었다. [9] 가탁크에게 라이더 킥을 맞았으나 그 에너지를 흡수해서 가탁크에게 똑같이 라이더 킥으로 되돌려주었다. 심지어 킥 모션마저도 공중 돌려차기로 똑같다.[10] 다만 실제로 극중에서 사용한 건 로드 폼, 클라이맥스 폼(덴오 극장판 2기), 소드 폼(덴오 극장판 4기) 뿐이다. 그 이외의 폼은 미사용.[11] 극중 연출상으로는 이크사 라이저로 상대에게 에너지 탄을 발사하는 기술이지만, 마무리는 그 반동을 이용하여 킥을 날리는 형태이다.[12] PS2 게임가면라이더 클라이맥스 히어로즈에선 초필살기로 역대 헤이세이 라이더의 문장을 통과하면서 디멘션 킥을 날리는 기술을 사용한다. 이것은 게임판 오리지널 기술로 정식명칭은 불명.[13] 시전 모습이 기본적으로 류우키의 파이널 벤트인 '드래곤 라이더 킥'과 같다.[14] 아케이드 게임판 가면라이더 배틀 간바라이드에 등장한 디케이드 컴플리트 폼의 초필살기.[15] 극장판에서 FINAL KAMEN ATTACK FORM RIDE라는 음성이 나오면서 발동된 필살기. 디케이드를 제외한 모든 라이더들이 거대한 가면라이드 카드로 변화하고, 거대화한 디케이드(컴플리트 폼)가 그 카드들을 통과하면서 킥을 날리는 기술이다.[16] 다만 실제로 극중에서 사용한 킥 필살기는 카부토 하이퍼 폼의 '하이퍼 라이더 킥'이 유일.[17] 맥시멈 드라이브 상태에서 킥을 성공시킨 횟수에 비례해 상승.[18] 헤이세이 제너레이션즈 FINAL에서 사용했다. 당연히 베이스 스테이츠보다 훨씬 강할 것이나 위력 수치는 불명.[19] 기본 4폼 상태에서 사용했을 때의 위력 기준. 드래곤 폼 계열 상태나 인피니티 스타일 상태에서의 위력은 불명.[20] 위자드래곤을 소환한 상태에서 사용한다.[21] 그렘린에게서 현자의 돌을 빼낸 뒤 사용했던 필살기이다.[22] 정식 명칭은 스포일러이므로 문서 참조[23] 파인 암즈 전용 라이더 킥. 오렌지 암즈의 필살기와 같은 무뢰 킥을 시전하기 전에 파인 아이언을 던져 인베스의 시야를 가리는 동작이 추가되었다.[24] 기본은 라이더 슈팅같은 사격형 필살기지만 23화에서 겐무의 분신을 상대할 때 라이더 킥으로 사용.[25] 11화에서 라이더 킥으로 사용.[26] 그때 사용하는 에너지 아이템에따라 위력이 달라진다[27] 일본어 발음으로는 오마 지오라고 읽는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라이선스가 별도로 명시된 경우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