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노버 모토로라 razr

 

[image]
영국 모토로라 RAZR 공식 사이트
1. 개요
2. 사양
3. 상세
3.1. 기능
4. 출시
5. 소프트웨어 지원
5.1. 제조사 공식
5.1.1. 9 파이 마이너 업데이트
6. 논란 및 문제점
6.1. 비싼 가격 대비 성능비 문제
6.2. 그 외 문제점
7. 기타
7.1. 홍보 영상


1. 개요


모토로라가 2019년 11월에 공개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다.

2. 사양


{{{#!wiki style="word-break:keep-all"프로세서퀄컴 스냅드래곤 710 SDM710 Platform. {{{#!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 구성 내용 확인 ]
CPU
ARM big.LITTLE - DynamIQ
Qualcomm Kryo 360 Gold Dual-Core 2.2 GHz CPU
Qualcomm Kryo 360 Silver Hexa-Core 1.7 GHz CPU
GPU
퀄컴 Adreno 616 500 MHz GPU
NPU & DSP
퀄컴 Hexagon 685 DSP
Sensor Hub
DSP 대체
통신 모뎀
Qualcomm Snapdragon X15 LTE Modem
메모리6 GB LPDDR4X SDRAM, 128 GB eMMC -.- 규격 내장 메모리디스
플레이
[ 메인 디스플레이 정보 ]
6.2인치 21:9 비율 2142 x 876 Foldable pOLED (-- ppi){{{#!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 세부 정보 확인 ]
공급사
BOE
픽셀배열
서브픽셀 방식
패널정보
Plastic 소재의 AMOLED Foldable
부가정보
최대 주사율 60 Hz

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 커버 디스플레이 정보 ]
2.7인치 4:3 비율 800 x 600 gOLED (-- ppi){{{#!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 세부 정보 확인 ]
공급사

픽셀배열
서브픽셀 방식
패널정보
AMOLED
부가정보
최대 주사율 60 Hz, 고릴라 글래스 3

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네트워크
[ 4G Network ]
'''기본지원'''
LTE Cat.15·13 FDD
VoLTE 지원
<:><bgcolor=#000,dimgray><color=#FF0>'''선택지원'''||<:>없음||}}}
{{{#!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 3G Network ]
'''기본지원'''
HSPA+ 42Mbps, HSDPA & HSUPA & UMTS
Wideband Audio 및 음성 통신 지원
<:><bgcolor=#000,dimgray><color=#FF0>'''선택지원'''||<:>없음||}}}
[ 2G Network ]
'''기본지원'''
GSM & EDGE
음성 통신 지원
<color=#FF0>'''선택지원'''
CDMA & EV-DO Rev. A
음성 통신 지원
근접통신[[Wi-Fi]] 1/2/3/[[Wi-Fi 4|4]]/[[Wi-Fi 5|5]], [[블루투스]] 5.0 / [[aptX]] HD Codec & [[LDAC]], [[NFC]]위성항법[[GPS|GPS & A-GPS]], [[GLONASS]], Galileo, [[Beidou]][[카메라]]전면 500만 화소, 후면 1,600만 화소 듀얼 픽셀 [[위상차 검출 AF]] & [[레이저|LASER]] [[AF]] 및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배터리]]내장형 Li-Ion 2510 mAh {{{#!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 충전 기술 정보 ]
유선고속충전
Motorola TurboPower Charging (15 W)
}}}}}}
유선고속충전[[모토로라|Motorola]] TurboPower Charging (15 W)>{{{#!wiki style="word-break:keep-all"프로세서퀄컴 스냅드래곤 710 SDM710 Platform. {{{#!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 구성 내용 확인 ]
CPU
ARM big.LITTLE - DynamIQ
Qualcomm Kryo 360 Gold Dual-Core 2.2 GHz CPU
Qualcomm Kryo 360 Silver Hexa-Core 1.7 GHz CPU
GPU
퀄컴 Adreno 616 500 MHz GPU
NPU & DSP
퀄컴 Hexagon 685 DSP
Sensor Hub
DSP 대체
통신 모뎀
Qualcomm Snapdragon X15 LTE Modem
메모리6 GB LPDDR4X SDRAM, 128 GB eMMC -.- 규격 내장 메모리디스
플레이
[ 메인 디스플레이 정보 ]
6.2인치 21:9 비율 2142 x 876 Foldable pOLED (-- ppi){{{#!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 세부 정보 확인 ]
공급사
BOE
픽셀배열
서브픽셀 방식
패널정보
Plastic 소재의 AMOLED Foldable
부가정보
최대 주사율 60 Hz

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 커버 디스플레이 정보 ]
2.7인치 4:3 비율 800 x 600 gOLED (-- ppi){{{#!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 세부 정보 확인 ]
공급사

픽셀배열
서브픽셀 방식
패널정보
AMOLED
부가정보
최대 주사율 60 Hz, 고릴라 글래스 3

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네트워크
[ 4G Network ]
'''기본지원'''
LTE Cat.15·13 FDD
VoLTE 지원
<:><bgcolor=#000,dimgray><color=#FF0>'''선택지원'''||<:>없음||}}}
{{{#!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 3G Network ]
'''기본지원'''
HSPA+ 42Mbps, HSDPA & HSUPA & UMTS
Wideband Audio 및 음성 통신 지원
<:><bgcolor=#000,dimgray><color=#FF0>'''선택지원'''||<:>없음||}}}
{{{#!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 2G Network ]
'''기본지원'''
GSM & EDGE
음성 통신 지원
<color=#FF0>'''선택지원'''
CDMA & EV-DO Rev. A
음성 통신 지원
근접통신Wi-Fi 1/2/3/4/5, 블루투스 5.0 / aptX HD Codec & LDAC, NFC위성항법GPS & A-GPS, GLONASS, Galileo, Beidou카메라전면 500만 화소, 후면 1,600만 화소 듀얼 픽셀 위상차 검출 AF & LASER AFLED 플래시배터리내장형 Li-Ion 2510 mAh
[ 충전 기술 정보 ]
유선고속충전
Motorola TurboPower Charging (15 W)
}}}}}}
유선고속충전[[모토로라|Motorola]] TurboPower Charging (15 W)>


운영체제
안드로이드 9 (Pie)
규격
72 x 172 x 6.9 mm, 205 g
색상[1]
'''느와르 블랙''', 블러쉬 골드
단자정보
USB 3.1 Gen1 Type-C x 1
생체인식
지문인식 - 에어리어 방식 별도 센서 탑재
얼굴인식 - 전면 카메라 인식 방식
기타

}}}

3. 상세


레노버 산하의 모토로라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일종인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탑재해서 공개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다.
전반적인 디자인은 모토로라가 과거 피처폰 시장에서 슬림형 폴더폰으로 출시해서 큰 성공을 거두었던 RAZR의 디자인을 계승했다. 따라서 아웃폴딩 구조가 아닌 인폴딩 구조로 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은 접혀 있다. 특히, 외부 디스플레이가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접힌 상태에서도 여러 조작을 할 수 있고 펼친 상태에서는 전체 영역을 디스플레이로 할당했다. 그리고 힌지는 컨버터블 PC 브랜드인 ThinkPad Yoga 시리즈에 적용했던 기술을 그대로 적용했다고 한다. 기본 색상은 느와르 블랙 단일 색상이다.
사양은 우선 AP로 퀄컴 스냅드래곤 710 SDM710을 사용한다. Qualcomm Kryo 360 Gold 듀얼코어 CPUQualcomm Kryo 360 Silver 헥사코어 CPUbig.LITTLE 솔루션을 적용한 DynamIQ 방식 HMP 모드 지원 옥타코어 CPU퀄컴 Adreno 616 GPU를 사용한다.
RAM은 LPDDR4X SDRAM 방식이며 6 GB이다. 내장 메모리는 128 GB 단일 모델로 micro SD 카드로 용량 확장이 불가능하다.
디스플레이는 메인 디스플레이와 외부 디스플레이로 구분된다. 메인 디스플레이는 6.2인치 21:9 비율의 2142 x 876 해상도를 지원하며 패널 형식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술이 도입된 Plastic 소재의 AMOLED 방식의 Foldable pOLED이다. 패널 공급사는 BOE이다. 16:9 비율인 HD 720p 해상도에 비해 가로 부분과 세로 부분이 모두 확장된 해상도로, 모토로라는 이를 HD라고 명명해서 홍보하고 있다. 외부 디스플레이는 2.7인치 4:3 비율의 800 x 600 해상도를 지원하며 패널 형식은 AMOLED 방식의 gOLED이다.
지원 LTE 레벨은 Cat.15·13로 다운로드는 Cat.15을 적용해 최대 800 Mbps를 보장하고 업로드는 Cat.13을 적용해 최대 150 Mbps를 보장한다.
배터리 용량은 내장형 2,510 mAh이다. 배터리까지 접히지 않기 때문에 배터리가 두 개로 분할되어서 양쪽에 배치되었고 이 둘을 합친 것으로 배터리 용량이 표기되었다. 또한, 모토로라 TurboPower Charging 규격의 고속충전 기술을 지원한다.
후면 카메라는 1,6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다. 그리고 "듀얼 픽셀" 기술을 활용한 위상차 검출 AF를 지원하며 추가적으로 LASER AF 센서가 탑재되었다. 또한, 조리개값은 F/1.7이다. 전면 카메라는 5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다. 또한, 조리개값은 F/2.0이다.
단자 규격은 USB Type-C를 입출력 단자로 사용하며 전송 규격으로 최대 USB 3.1 Gen1까지 지원한다. 그리고 3.5 mm 단자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운드 출력은 USB 3.1 Gen1 Type-C가 담당한다.
에어리어 방식의 지문인식 센서가 전면 하단에 탑재되어 있다. 또한, 방수 나노 코팅이 기기에 적용되었다. 다만, 본격적인 방수 지원은 아니고, 단순히 물에 대한 내성이 강해진 수준으로 파악된다.
기기 공개 당시 안드로이드 9 파이를 기본으로 탑재했다. 구체적인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다.

3.1. 기능


  • 생체인식 잠금해제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해 기기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지문인식 센서를 이용한 것을 포함해 사용자 편의성을 위한 얼굴인식 잠금해제 기능을 별도로 지원한다.
  • 폴더블 특징을 이용한 사용자 환경
    •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 실행
과거 폴더형 피처폰과 유사하게 기기를 사용하다 디스플레이를 접으면 실행 중이던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종료된다. 다만, 음악 애플리케이션, 통화 애플리케이션의 스피커폰 모드 등 특정 상황에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지 않고 백그라운드에서 지속적으로 동작한다. 또한,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설정에서 지정할 수 있다.
  • 연속성
외부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실행 중이던 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를 펼치면 메인 디스플레이에서 이어서 사용할 수 있다.
  • 카메라 조작 환경 강화
디스플레이가 접힌 상태에서 사용하면 후면 카메라를 이용해서 셀피 촬영이 가능하다. 이 상황에서 디스플레이를 펼치면 후면 카메라 구동을 유지한 채 다른 대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기기를 앞뒤로 흔들면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되고 상하로 흔들면 플래시가 점등한다.
  • Moto Actions
디스플레이가 접힌 상태에서 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모션 인식 기능이다.
  • Retro Razr
기능은 아니지만 과거 모토로라의 피처폰의 기능을 일부 구현 한 앱이다.
apk 파일이기에 타사 기종에도 사용 가능하다.

4. 출시


출고가는 미국 기준 $1,499로 책정되었다. 삼성전자갤럭시 폴드화웨이Mate X미국 달러 기준으로 $2,000 이상의 출고가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상당히 저렴하게 책정되었다. 다만, 출시는 2020년 중에 진행된다고 밝혔다. 또한, 추가 색상으로 블러시 골드 색상이 2020년 봄에 출시된다고 한다.
2020년 2월 6일, 미국 시장에 정식으로 출시되었다.

5. 소프트웨어 지원


안드로이드 9 파이를 기본으로 탑재한 스마트폰이며 안드로이드 8.0 오레오의 기능 중 하나인 Treble이 기본적으로 적용되어 있다.

5.1. 제조사 공식



5.1.1. 9 파이 마이너 업데이트



6. 논란 및 문제점



6.1. 비싼 가격 대비 성능비 문제


책정된 출고가에 비해서 성능이 떨어진다는 비판 의견이 있다. 삼성전자갤럭시 폴드화웨이Mate X보다는 출고가가 저렴하게 책정되었지만 일반적인 스마트폰에 비하면 비싼 편에 속하기 때문이다.
기기 두께 및 디자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배터리는 차치하더라도 퀄컴 스냅드래곤 710 SDM710을 모바일 AP로 탑재하고 RAM 용량과 내장 메모리 용량도 적으며 후면 카메라를 싱글 렌즈 구성으로 탑재하는 등 전반적인 하드웨어 사양이 2019년의 플래그십 스마트폰보다 현저히 뒤쳐진다. 이 때문에 차라리 출고가를 더 높이고 하드웨어 사양을 강화하는 것이 나았을 것 같다는 의견도 있다.
이후 2020년 2월, 동일한 폼팩터를 가진 삼성전자갤럭시 Z 플립이 공개되면서 직접적인 비교 대상이 되어버렸다. 갤럭시 Z 플립에 비해 전체적인 하드웨어 사양과 전체적인 내구도에서 큰 열세를 보이는 데다 출고가도 갤럭시 Z 플립이 저렴하게 책정되면서 과거의 RAZR의 디자인에 대한 향수를 가진 경우가 아니라면 선택할 이유가 없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2]

6.2. 그 외 문제점


  • RAZR의 디자인과 사용자 환경을 계승했지만 이게 호불호가 갈린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일반적인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느낌으로 기기를 사용했다가는 이질적인 느낌을 받을 수 있다는 의견이 있다.
  •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격 현상이 발생해서 들뜸 현상이 나타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사실, 이격 현상이 아니고 의도적으로 이격된 부분이 생긴 것이다. 이는 기기를 접을 때 중간 단차를 최소화하면서도 동시에 디스플레이 패널에 주름 현상이 남기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힌지 구조 때문이라고 한다. 삼성전자갤럭시 Z 플립의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에 주름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일부 감수하면서 힌지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일체화시켜 먼지 등 이물질이 들어갈 수 있는 이격된 부분을 최대한 없앴지만[3] 이쪽은 정 반대의 설계 방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힌지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일체화할 수 없어서 이격된 부분이 있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다만, 이로 인해서 이물질 유입 등 여러가지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고 한다. 물론 의도한대로 주름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고 한다.
  • ThinkPad Yoga 시리즈에 적용했던 힌지 기술이 그대로 적용되었음에도 내구도 자체는 떨어지는 것 같다는 의견이 있다. 삼성전자갤럭시 폴드의 폴딩 테스트를 진행했던 방식 그대로 폴딩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약 12만 번 가량을 빠른 속도로 견디다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결함이 발생한 갤럭시 폴드[4]와는 다르게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결함이 생기지 않았으나 힌지에 손상이 가해져서 약 2만 7천 번 정도만 버텼다고 한다. 이후에는 강한 힘을 줘야지 기기를 접을 수 있었고 힌지에서 부러지는 소리가 들리기도 했다고 한다. 이에 대해 모토로라는 해당 폴딩 테스트에 사용된 폴딩 기기는 자신들의 기기 테스트에 최적화된 것이 아니며 힌지에 과도한 압력을 주고 의도한대로 열리고 닫히지 않아 정확한 테스트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동시에 내부 테스트 영상을 공개했는데, 매우 약한 강도로 진행되는 모습을 보여줬다.[5] 또한, 아무리 비공식적인 테스트라 하더라도 삼성전자갤럭시 폴드는 약 12만 번을 견뎠기 때문에 확실히 문제가 있는 것이라는 의견이 나오기도 했다.

7. 기타


  • SIM 카드 슬롯이 탑재되지 않고 대신에 e-SIM을 지원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e-SIM을 발급받아 기기에 등록해야 한다. 다만, 한국의 이동통신사들은 e-SIM을 매우 제한적으로 사용[6]하고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e-SIM을 사용하지 않는 CDMA 계열 이동통신 800 MHz를 사용하는 것으로만 등록이 가능하다.[7] SK텔레콤CDMA가 2020년 7월 27일부로 종료되면서 현재 국내에서 사용이 아예 불가능하다. [8]그러나 2020년 7월 티플러스라는 티브로드계열 MVNO에서 e-SIM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국내에서도 razr를 실사용할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다. 그리고 실제로 티플러스로 개통한 사람이 등장했다.
  • 사실, 떡밥은 2016년 이후부터 꾸준히 뿌려진 기기이다. 이는 기기 기획을 2015년부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후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현실화가 가능해진 2018년부터 지속적으로 떡밥이 뿌려지게되었다.
  • 삼성전자갤럭시 폴드와 동일한 인폴딩 구조를 적용했지만 접히는 부분의 주름 현상이 갤럭시 폴드보다 심하지 않다고 한다. 이는 완전히 접히는 것을 구현하기 위해서 중앙부가 약간 움직여서 안쪽으로 말리는 구조를 적용했기 때문이다. 또한, 메인 디스플레이의 경우 상단을 보면 디스플레이 패널과 기기 베젤 사이에 약간의 턱이 존재한다. 이는 기기를 접다가 디스플레이 패널끼리 충돌이 발생해서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디스플레이 패널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설계를 적용해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 삼성전자갤럭시 폴드화웨이Mate X 등 2019년에 공개된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스마트폰과 비교할 때 전체적인 기기의 크기가 작아 휴대성이 높아졌고 이로 인해 한 손 조작 등에 있어서 문제되는 부분이 적어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를 세로로 접기 때문에 새로운 폼팩터를 제시했고 RAZR의 디자인을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맞게 재해석하면서 디자인적으로도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 디스플레이 패널 교체 비용이 상당히 저렴하게 책정되었다. 1년 무상 교체 보증 정책이 적용되며 이게 종료되더라도 $299에 교체할 수 있다고 한다. 공개일 기준, 한화로 약 35만 원 수준인데 디스플레이의 크기 및 해상도의 차이가 있지만 한국 시장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반납하는 조건으로 650,000 원으로 책정된 삼성전자갤럭시 폴드보다 확실히 저렴하게 책정되었다. 단, 갤럭시 폴드 쪽의 디스플레이 패널 크기가 훨씬 크기 때문에 직접적인 비교가 어렵다는 의견이 있었는데, 동일한 폼팩터를 가진 갤럭시 Z 플립이 한국 시장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반납하는 조건으로 546,000 원으로 책정되면서 다시 역전되었다.

7.1. 홍보 영상



모토로라 공식 홍보 영상.

[1] 제품 공개 당시 같이 공개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2] Z 플립은 스냅드래곤 855+, 레이저는 710 그리고 화면 소재가 Z플립은 초박형 유리와 플라스틱 필름을 혼용한 형태인데 반해 레이저는 겨우 플라스틱 몇장으로 덧 댄것이 끝이다. 또한 Z플립의 경우 화면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못하게 힌지 구조도 새로 설계하고 굉장히 빡빡한 힌지로 설계했으나 레이저는 화면 자체가 움푹 패여들어가 화면이 닫히기 때문에 이물질 유입에 매우 취약하다.[3] 다만, 그랬는데도 유입을 완전히 막지 못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4] 심지어 힌지 자체의 결함이 아닌 폴딩머신이 고장나 디스플레이를 틀어버린 것이다.[5] 그것도 약 6회만 접었다 펴고 끝난다.[6] 스마트 워치의 단독 통신을 위해서만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스마트폰태블릿 컴퓨터에서는 사용하지 않고 있다. 물론, 기술적인 문제가 아닌 수수료 정산 및 다른 스마트폰 등록 처리 문제 등 행정적인 문제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e-SIM으로 개통 자체는 가능하다고 한다.[7] 즉, SK텔레콤에서만 사용이 가능다. ESN 증복 여부를 확인한 다음에 OMD_2G개인인증으로 기기를 등록하게 된다. 단, SK텔레콤CDMA 이동통신 계열에서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가 KS X 1001 규격에 기반한 SKT-MMS이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커스터마이징을 거쳐서 문자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설정해야 하고 데이터 통신의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는 요금제가 한정적이고 CDMA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문제들로 인해 실질적으로 사용하기 매우 어려운 부분이 많다.[8] 결국 SK의 통수로 인해 CDMA망으로 스마트폰을 듀얼심이든 뭐든 잘만 쓰고있던 사람들에게 욕을 뒤지게 먹고 SK 불매운동&LGU+로 집단 번호이동까지 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