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네 젤위거

 

''' 르네 젤위거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
[ 펼치기 · 접기 ]
''' 역대 아카데미 시상식 '''
[image]
'''여우주연상'''
''' 제91회
(2019년) '''

''' 제92회
(2020년) '''

''' 제93회
(2021년) '''
올리비아 콜먼
(더 페이버릿: 여왕의 여자)

''' 르네 젤위거
(주디) '''

-
'''여우조연상'''
''' 제75회
(2003년) '''

''' 제76회
(2004년) '''

''' 제77회
(2005년) '''
캐서린 제타존스
(시카고)

''' 르네 젤위거
(콜드 마운틴) '''

케이트 블란쳇
(에비에이터)


''' 역대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
[image]
''' 여우주연상 '''
''' 제72회
(2019년) '''

''' 제73회
(2020년) '''

''' 제74회
(2021년) '''
올리비아 콜먼
(더 페이버릿: 여왕의 여자)

'''르네 젤위거
(주디) '''

-
''' 여우조연상 '''
''' 제56회
(2003년) '''

''' 제57회
(2004년) '''

''' 제58회
(2005년) '''
캐서린 제타존스
(시카고)

'''르네 젤위거
(콜드 마운틴) '''

케이트 블란쳇
(에비에이터)


''' 역대 골든 글로브 시상식'''
[image]
'''여우주연상 - 드라마'''
''' 제76회
(2019년) '''

''' 제77회
(2020년) '''

''' 제78회
(2021년) '''
글렌 클로즈
(더 와이프)

'''르네 젤위거
(주디)'''

-
'''여우주연상 - 뮤지컬 및 코미디'''
''' 제57회
(2000년) '''

''' 제58회
(2001년) '''

''' 제59회
(2002년) '''
재닛 맥티어
(텀블위즈)

'''르네 젤위거
(너스 베티)'''

니콜 키드먼
(물랑루즈)

''' 제59회
(2002년) '''

''' 제60회
(2003년) '''

''' 제61회
(2004년) '''
니콜 키드먼
(물랑루즈)

'''르네 젤위거
(시카고)'''

다이앤 키튼
(사랑할 때 버려야 할 아까운 것들)
'''여우조연상 - 영화'''
''' 제60회
(2003년) '''

''' 제61회
(2004년) '''

''' 제62회
(2005년) '''
메릴 스트립
(어댑테이션)

'''르네 젤위거
(콜드 마운틴)'''

나탈리 포트만
(클로저)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
[ 펼치기 · 접기 ]
[image]
'''이름'''
'''르네 젤위거
RENÉE ZELLWEGER
'''
'''분야'''
'''영화'''
'''입성날짜'''
'''2005년 5월 24일'''
'''}}}#ffd700 위치}}}'''
'''}}}#ffd700 7000 Hollywood Blvd.}}}'''


<colbgcolor=#db7093><colcolor=#ffffff> '''르네 젤위거'''
'''Renée Zellweger'''
'''이름'''
Renée Zellweger
러네이 젤위거
'''본명'''
Renée Kathleen Zellweger
러네이 캐슬린 젤위거[1]
'''국적'''
미국 [image]
'''출생'''
1969년 4월 25일 (55세)
미국 텍사스 주 카티[2]
'''학력'''
텍사스 카티 하이스쿨'''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캠퍼스 영어학 학사
'''직업'''
배우, 프로듀서
'''데뷔'''
1992년 - 현재
'''신체'''
164cm
1. 소개
2. 연기 활동
3. 여담
4. 사생활
5. 필모그래피
5.1. 주요 수상경력

[clearfix]

1. 소개


[image]
[image]
[image]
<제리 맥과이어>
도로시 보이드

<브리짓 존스의 일기>
브리짓 존스

<시카고>
록시 하트

[image]
[image]
[image]
<너스 베티>
베티 시즈모어

<콜드 마운틴>
루비 튀스

<주디>
주디 갈란드
[3]
우리나라에선 <브리짓 존스의 일기>로 유명하다. 스위스인 기술자 아버지와 노르웨이인 간호사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서게르만+북게르만 혈통이어서인지 할리우드에서는 많지 않은 자연 금발머리 배우 중 1명. 데뷔 초에 스위스 배우로 알려지기도 했지만 출생 후에도 쭉 미국에서 살았으니 미국인으로 보는 것이 맞다.
이름의 발음은 '러네이 젤위거'에 가까우며 위키백과에도 그렇게 실려 있으나, 제대로 발음을 표기하지 않고 철자대로 발음하는 한국 특성상 '''르네 젤위거'''로 굳어졌다. 90년대에는 르네 '즐베거'라는 표기도 종종 눈에 띄었다. 아놀드 슈워제네거가 시상식에서 "내 이름보다 더 어떻게 발음해야 할지 모를 배우"로 젤위거를 거론하는 유머를 선보인 적도 있다.
영어권이라면 르네라고 불러도 되지만, 젤위거는 미국인이기 때문에 러네이라고 발음해주는 게 맞다. 그의 아버지의 고향인 스위스 서부는 프랑스와 가까워서 프랑스식 이름을 쓴다. 다만 젤위거라는 성씨 자체는 본래 독일식 성씨인 첼베거(Zellweger)이므로, 프랑스화된 독일계 스위스인의 후손인 셈이다. 그에 따라 독일식으로 하면 그녀의 풀네임은 레네 카틀렌 첼베거가 된다.
키 163㎝에 몸무게 48㎏으로 할리우드 여배우 중 작은 편에 속한다. 네이버 영화 프로필에서 5' 5", 사이즈 2 정도의 옷을 입는다고 말하고 있다.
'''금발에 풍만한 몸매 이미지로 유명하지만 이것은 <브리짓 존스의 일기> 때문에 생긴 이미지이다'''. 원래는 근육 많은 마른 몸매이다. 데뷔 초에는 꽤 마른 편에 속했으나, <브리짓 존스의 일기> 이후 이런 이미지가 굳혀졌다(…) <제리 맥과이어>를 보면, 군살 없는 몸매를 볼 수 있다.
데뷔초에는 다른 여배우들에 비해 눈에 띄게 이쁘지 않다며 할리우드에서 살아남기 힘든 외모라는 평이었으나, 평범한 얼굴을 커버하는 매력적인 표정 연기,[4] 속삭이는 듯한 독특한 보이스, 뛰어난 캐릭터 분석력을 통한 캐릭터의 재현으로 할리우드에서 영향력 있는 여배우가 되었다. 즉 성장형 배우의 결정체라 할 수 있다. 젤위거은 무려 시카고(뮤지컬) 헐리우드 영화에서 주연인 록시 하트 역을 따냈을 정도로 연기력이 본좌급이다.
2019년 두 번이나 수상 실패했던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타면서 아카데미 작품상, 여우조연상, 여우주연상을 다 갖춘 배우가 되었다.[5]

2. 연기 활동


원래 연기에 뜻이 있던 것은 아니었다. 영화관 자체도 흔치 않던 텍사스 촌동네에서 살아왔기 때문에 영화 문화에 대해 잘 알지도 못했다. 대학 시절 졸업을 위한 필수 교양으로 예능 수업을 들어야 했는데 이때 들은 연기 수업에서 삘받아 배우가 되기로 결심한 것. 그렇다보니 정식적으로 연기를 배워본 적은 없다. 91년부터 텍사스 지방의 독립영화부터 시작해 연기력을 쌓다가 1994년 <텍사스 전기톱 학살> 4편에서 매튜 매커너히와 함께 나왔으나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영화가 괴작이라 묻혀졌다. 그러나 그해 94년에 나온 <Love and a 45>라는 독립영화로 독립영화제 수상을 하면서 작품성 면에서도 가능성을 인정받는다.
1996년 오디션을 통해 <제리 맥과이어>에 출연하였는데, 앞에도 나왔듯이 이 전까지 젤위거는 독립영화에 주로 출연했던 신인 배우로 당시엔 은행 잔고가 없어서 ATM에서 돈도 못 뽑을 정도로 궁핍했다고 한다.[6] 그러나 이 영화로 크리틱스 초이스 유망주상을 받고 스타덤에 오르는 인생역전을 이루었으며, 2000년 <너스 베티>에 출연하여 골든 글로브 시상식에서 코미디, 뮤지컬 분야 여우주연상을 탔다.
이 때까지만 해도 할리우드 주조연급 여배우 정도로 취급되던 젤위거는 2001년 <브리짓 존스의 일기>로 일약 스타덤에 오르게 된다. <브리짓 존스> 시리즈에서 완벽한 영국 억양 때문에 아직까지 영국인으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아주 많다. 30대 독신녀의 로맨스를 그린 이 영화에서 인상적인 연기력을 보여준 그녀는 30대 여성의 심벌로 떠오르게 되는데, 그녀의 다소 평범한 외모와 풍만한 몸매[7]가 여성들의 공감대를 격하게 자극했던 것이다. 하지만, 그 직후 보그 커버모델 사진이 뚱뚱해서 보기 흉하다고 보그 편집부에서 커트(..)하는 일도 생겼다. 이후 살 찌우기와 다이어트가 너무 힘들어 속편에 출연안한다고 했지만 나왔다. 실제로 브리짓존스를 찍는 중에도 자꾸 살이 빠져서 유지하기가 힘들었다고 한다.[8]
2002년에는 뮤지컬 영화 <시카고>에 출연하는데, 기존의 풍만한 이미지와 다른 엄청나게 체중을 감량한 상태[9]로 출연하여 충격을 주었다. 브리짓존스와 <시카고> 록시 하트의 이미지가 너무 달라서 같은 배우인걸 인식 못하는 사람도 꽤 많다.
2003년작 <콜드 마운틴>에서 인상적인 조연 연기를 보여준 그녀는 드디어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여우조연상을 타는데 성공한다. 이전 <브리짓 존스의 일기>와 <시카고>에서는 여우주연상 후보에 올랐으나 수상은 하지 못했다.[10]
2010년대 들어서는 개인적인 휴식기를 가지며 오랫동안 작품활동을 하지 않다가,[11] 2016년 브리짓 존스의 베이비로 오랜만에 영화활동을 재개했다.
2019년에는 미국 드라마 '''《왓/이프》'''에서 앤 몽고메리 역을 맡아 열연을 펼쳤다. 영화로도 오랜만에 돌아왔는데 미국의 뮤지컬 배우이자 가수인 주디 갈란드의 일대기를 다룬 주디에 주연으로 출연했다. 이미 시카고란 작품에서 출중한 노래실력과 연기를 보여준 바 있어 많은 사람들의 기대를 모았는데, '역시 르네 젤위거!'라는 평가를 받으며 주요 시상식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하고 있다. 2020 골든 글로브 시상식에선 영화-드라마 부문 여우주연상을 수상하였고, 미국 배우 조합상,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도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두 번이나 주연상에서 고배[12]를 마셨던 아카데미 시상식에서의 수상이 가장 강력하게 점쳐지고 있다.[13] 그리고 실제로 수상했다!
이로써 르네 젤위거는 여자 배우 최초로 5대 메이저 시상식 (아카데미, 골든 글로브, 영국 아카데미, 미국 배우 조합상 SAG, 크리틱스 초이스)을 두 번이나 휩쓴 대기록을 남겼다.[14]
연차에 비해 작품 수가 많지않고 공백기가 아주 길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카데미 수상 2번, 골든 글로브 수상 4번, BAFTA (영국 아카데미) 수상 2번, 크리틱스 초이스 수상 4번 등 좋은 수상 실적을 거둘만큼 연기력이 훌륭하다. 미국 배우 조합상 SAG 또한 4번 수상하면서 최다수상자가 되었다!

3. 여담


  • 브리짓 존스 촬영을 위해 영국 출판사에서 잠시 일을 했다. 영국 발음을 무리없이 구사해서인지 아무도 못알아봤다고. 심지어 당시 남자친구였던 짐 캐리 사진을 올려놔도 눈치채지 못했다고한다.
  • 브리짓 존스 시리즈 때문에 이 분을 영국 배우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 그만큼 영국식 영어를 상당히 잘 구사한다. 이 때문인지 아카데미 특성상 후보에 잘 올라오지 않는 로맨틱 코미디임에도 불구하고 74회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후보에 올랐다. 전성기 시절이었던 2002년부터 2004년까지 3년 연속 아카데미 후보로 오르기도 했다.
  • 브리짓 존스의 일기 캐스팅 당시에는 미국인 배우를 영국인 역할에 캐스팅하는 것에 대한 논란과 우려가 꽤 있었다.[15] 하지만 이후 영국 억양을 완벽하게 소화한 타국 배우를 조사하면 언제나 최상위권에 링크된다.
  • 휴 그랜트가 미국에 있었을 때 우연히 젤위거를 발견한 적이 있었는데, 그녀를 영국인으로 알고 있었기에 닮은 사람으로 착각하여 그냥 지나갔다던 일화가 있다.
  • 시카고를 제안 받았을 당시 급하게 살을 빼야하는 스케줄 탓에 거절했으나,[16] 결국엔 했다. 영화 관계자에 의하면 그녀는 뮤지컬 경험이 전혀 없었고 사람들 앞에서 춤을 추고 노래를 부르는 것에 대한 부담감을 느꼈다고 한다.
  • 브리짓 존스의 일기 때 살을 찌운 후 시카고 촬영을 위해 젤위거의 기존 몸무게보다 살을 훨씬 더 뺐다. 시카고 촬영 직후 브리짓 존스 속편을 위해 살을 또 찌웠어야 했는데, 심지어 1편 보다 더 찌워서 나왔다.[17] 몇개월 사이에 살을 찌웠다 뺐다를 서너번씩 반복했기에 건강에 대한 우려도 적지않게 있었다. 젤위거 본인은 살을 빼는 것보다 억지로 찌우는게 더 고통스러웠다고 한다.
  • 자신의 출연작 콜드 마운틴 원작의 광팬이었다. 영화 판권을 사기 전부터 관심을 보였는데, 결국 자신이 제일 좋아했던 캐릭터를 맡게 되었고 성과도 좋았다.[18]
  • 2007년 미국의 경제잡지 포브스가 발표한 엔터테인먼트계에서 활약하는 자산이 많은 여성 20위에 랭크되었다.
  • 2005, 2006, 2007년 기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출연료를 받는 할리우드 여배우로 조사되었다.
  • 2009년에 하버드 대학교의 전통적인 연극회인 'Hasty Pudding Theatricals'에서 뽑은 "올해의 여성"으로 선정 되었다.
  • 고등학교 시절 그녀가 쓴 학술 논문 "카란 카와와 그 뿌리"는 휴스턴 포스트 고등학교 자연 과학 에세이 공모전에서 3위를 차지했다.
  • 2010년부터 6년동안 할리우드를 떠나 배우로서 꽤 긴 공백기를 가졌다. 당시 그녀는 여러가지 스트레스가 겹쳐 연기에 대한 권태와 슬럼프를 느꼈고 휴식이 필요하다고 판단, 쉬는 동안 연기 외에 다른 것들을 배우며 여러가지 경험을 쌓았다고 한다.
  • 파파라치와 기자들에게 많이 시달렸던 탓인지 사생활을 드러내는걸 별로 좋아하지 않는 듯하다. 한 인터뷰에서 SNS를 할 생각이 없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 LGBT 지지자이다. 2019년엔 프라이드 런던에 참가하기도 했다.
  • 영화에서 유독 노래를 많이 불렀다. <엠파이어 레코드>, <시카고>, <다운 위드 러브>, <마이 러브 송>, <주디>까지. 특히 영화 주디를 위해 촬영 1년 전부터 성대 훈련을 받았는데, 이 때문에 후두염, 성대 긴장 등을 앓았다고 한다.[19] 그래서인지 시카고주디의 노래를 비교해보면 확실히 창법 등에 차이가 느껴진다. 더 놀라운 것은 주디에서의 가창이 모두 라이브다.
[image]
'''2004년 내한 당시'''
  • 시상식에서의 팔근육만 봐도 알 수 있듯이 엄청난 운동광이다. 고등학교 때 체조 선수였으며 치어리딩, 농구, 축구, 야구, 풋볼 등을 했었고 각종 운동대회에서 입상할만큼 운동신경이 좋다. 첫 영화 주연작인 텍사스 전기톱 살인사건에서도 팔근육이 눈에 띈다.
[image]
'''2020 아카데미 시상식'''
  • 유기견 구조 활동을 하고있다. 자신이 키워왔던 개를 자식처럼 생각한다고 한다.

  • <너스 베티> 골든 글로브 여우주연상 수상 당시 화장실에 있었다. 수상자가 나타나지 않자 시상자 휴 그랜트가 당황하던 모습이 전파를 탔는데 이 모습이 리얼 브리짓존스 모먼트라며 화제가 됐었다.

  • 2020년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주디’로 첫 여우주연상을 수상한 르네 젤위거는 미국 영화 전문 사이트 IMDb의 유료 결제 사이트 IMDbPro가 매주 공개하는 스타미터(STARmeter) 차트에서 2위를 차지했다.[20] 스타미터 차트는 IMDb 사이트 방문자 수천 명의 일주일간 검색 기록을 통해 정해지는 순위로 보다 객관적인 화제성의 지표라고 볼 수 있다. #

4. 사생활


  • 배우 짐 캐리, 로리 코크레인, 가수 잭 화이트, 브래들리 쿠퍼와 사귄 적이 있었다. 미국 드라마 프렌즈 챈들러역으로 유명했던 매튜 페리와도 잠시 연인 사이었다. 1999년 짐 캐리와 약혼까지 했었으나 결국 헤어졌다. 그 후 컨트리 가수 케니 체스니와 5개월간 연애한 후 결혼했었지만 128일, 즉 4개월만에 법적으로 결혼을 무효화했다. 젤위거 본인은 결혼은 내 인생 최대 실수라고. 2009년 9월부터 2011년 3월까지 영화 《케이스 39》에서 함께 연기했던 배우 브래들리 쿠퍼하고 사귀었었다. 한 때 조지 클루니와도 열애설이 났었지만 친한 친구 사이다. 2012년부터 가수 겸 기타리스트 도일 브램홀 2세와 사귀다가 2019년에 헤어졌다.

5. 필모그래피


<rowcolor=#ffffff> '''연도'''
'''제목'''
'''배역'''
'''1992'''
살인본능
메리 루
'''1993'''
쟈니와 미씨

멍하고 혼돈스러운

'''1994'''
8초의 승부

쉐이크 래틀 앤 락!
수잔
러브 앤 A.45
스탈린 치트햄
청춘 스케치
타미
텍사스 전기톱 살인사건 4
제니
'''1995'''
엠파이어 레코드
지나
'''1996'''
더 로우 라이프
Poet
제리 맥과이어
도로시 보이드
세상의 모든 사랑
Novalyne Price
'''1997'''
페이탈 서스펙트
엘리자베스
'''1998'''
원 트루 씽
엘렌 굴덴
루비보다 값진 것
소니아 호로비츠
'''1999'''
청혼
앤 아든
'''2000'''
미 마이셀프 앤드 아이린
아이린 P. 워터스
너스 베티
베티 시즈모어
'''2001'''
브리짓 존스의 일기
브리짓 존스
'''2002'''
시카고
록시 하트
화이트 올랜더
클레어 리차드
'''2003'''
다운 위드 러브
바바라 노박
콜드 마운틴
루비 튀스
'''2004'''
브리짓 존스의 일기-열정과 애정
브리짓 존스
샤크
앤지
(목소리)
'''2005'''
신데렐라맨
매 브래독
'''2006'''
미스 포터
베아트리스 포터
(기획 참여)
'''2007'''
꿀벌 대소동
바네사 브룸
(목소리)
'''2008'''
아팔루사
앨리슨 프렌치
레더헤즈
렉시 리틀튼
'''2009'''
미쓰 루시힐
루시 힐
몬스터 vs 에일리언
케이티
(목소리)
마이 원 앤 온리
앤 데베로
케이스 39
에밀리 젠킨스
'''2010'''
마이 러브 송
제인 와이어트
'''2014'''
4 ½ 미니츠
P.J. 앤더슨
(감독)
'''2016'''
브리짓 존스의 베이비
브리짓 존스
더 홀 트루스
로레타 라시터
'''2017'''
끝에서 시작되다
데보라
'''2018'''
블루 나이트
테사
'''2019'''
왓/이프[21]
앤 몽고메리
주디
주디 갈란드

5.1. 주요 수상경력


<rowcolor=#ffffff> '''연도'''
'''시상식'''
'''작품'''
'''1996'''
전미 비평가 위원회상 - 신인상
제리 맥과이어
'''1997'''
크리틱스 초이스 - 신인상
'''2001'''
골든 글로브 시상식 - 뮤지컬코미디부문 여우주연상
너스 베티
'''2003'''
골든 글로브 시상식 - 뮤지컬코미디부문 여우주연상
시카고
미국 배우 조합상 SAG - 여우주연상
'''2004'''
아카데미 시상식 - 여우조연상
콜드 마운틴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 여우조연상
골든 글로브 시상식 - 여우조연상
미국 배우 조합상 SAG - 여우조연상
크리틱스 초이스 - 여우조연상
'''2009'''
올해의 헤이스티 푸딩 - 올해의 여자배우상

'''2019'''
할리우드 필름 어워즈 - 여우주연상
주디
'''2020'''
아카데미 시상식 - 여우주연상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 여우주연상
골든 글로브 시상식 - 드라마부문 여우주연상
미국 배우 조합상 SAG - 여우주연상
크리틱스 초이스 - 여우주연상
[1] 외래어 표기법대로 적으면 '러네이 캐슬린 젤위거'가 맞다.[2] 텍사스 베이타운에서 태어나 카티에서 자랐다는 말도 있다.[3] 얼굴 못 알아보겠다는 반응도 있는데 당연한 거다.
분장 엄청 했다.
[4] 웃는지 우는지 모르는 오묘한 표정, 입술을 살짝 내밀며 궁금해 하는 표정이 상당히 매력적이라는 평.#[5] 2002년 시카고, 2003년 콜드 마운틴, 2019년 주디 [6] 아버지가 직장을 잃으면서 더 이상 지원 받을 수 없었다.[7] 영화출연을 위해 9kg를 늘렸다고 한다. 그녀의 키가 163cm로 알려진 바 9kg는 표가 많이 난다. 사실 14kg를 증량했다는 말도 있다.[8] 쿠키가 가장 적은 양으로 살 찌우기가 쉬워서 많이 먹었다고 한다.[9] 게다가 그 전작인 <브리짓 존스의 일기>를 촬영할 때는 원래 체중에서 9kg을 더 찌웠던 상태였다.[10] <시카고>는 아카데미 작품상, 여우조연상(캐서린 제타존스), 미술상, 의상상, 편집상, 음향믹싱상을 받았다.[11]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총 6년 공백기를 가졌다.[12] 2001 브리짓 존스의 일기, 2003 시카고[13] 2004년엔 콜드 마운틴으로 여우조연상을 수상한 적이 있다.[14] 남자배우로는 다니엘 데이 루이스가 있다.[15] 원작 자체도 유명했고, 남자 주인공이었던 콜린 퍼스휴 그랜트를 포함한 대부분의 출연진들이 모두 영국인이었기에 더 그랬다. 젤위거 또한 당시엔 미국 남부인 이미지가 강했다.[16] <브리짓 존스의 일기> 촬영 중이었다.[17] 1편에서 그닥 뚱뚱하지 않다는 반응이 많아서 그런걸로 보인다.[18] 메이저 시상식에서 여우조연상을 휩쓸었다.[19] 르네 젤위거의 목소리는 높은 편이기 때문에 주디 갈란드의 저음을 표현하기 위해서 연습이 필요했다.[20] 1위는 봉준호 감독이었다.[21] 넷플릭스 드라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