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클레르 전차

 

[image]
[image]
1. 개발 및 생산
2. 제원 및 성능
3. 개요
4. 특징
5. 운용
6. 개량 및 파생형
6.1. Séries 1
6.2. Séries 2
6.3. Séries XXI
6.4. Leclerc T4
6.5. Leclerc Flakpanzer 자주 대공포
6.6. Leclerc Crotale
6.7. Leclerc Azur (Action en Zone Urbaine)
6.8. Leclerc XLR
6.9. Leclerc Koufra XL-T40
6.10. Leclerc DCL (Depanneur du Char Leclerc)
6.11. Leclerc MARS (Moyen Adapte de Remorquage Specifique)
6.12. Tropicalized Leclerc EAU (UAE 수출 버전)
7.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7.1. 애니메이션
7.2. 게임
8. 둘러보기

[clearfix]

1. 개발 및 생산


'''Le char Leclerc'''
'''개발사'''
GIAT[1]
'''개발기간'''
1983년 ~ 1989년
'''생산기관'''
Nexter
'''생산기간'''
1990년 ~ 2008년
'''생산대수'''
약 862대
'''운용연도'''
1993년 ~ 현재
'''운용국'''
[image] 프랑스
[image] 아랍 에미리트

2. 제원 및 성능


'''전장'''
6.88 m (포신 포함 시 9.87 m)
'''전폭'''
3.43 m
'''스커트 포함 :''' 3.60 m
'''전고'''
2.53 m
'''전투중량'''
54.5 t (시리즈 1)
56.3 t (시리즈 2)
57.6 t (시리즈 XXI)
'''차체중량'''
36 t (시리즈 1)
37 t (시리즈 2)
37.5 t (시리즈 XXI)
'''포탑중량'''
18.5 t (시리즈 1)
19 t (시리즈 2)
20.5 t (시리즈 XXI)
'''포탑회전속도'''
12초 (시리즈 1)
9초 (시리즈 2/XXI)
'''승무원'''
3명 (전차장, 포수, 조종수)
'''공격력'''
'''주포'''
GIAT CN120-26/52 120mm L/52 활강포
'''(자동 장전장치 탄약고에 22발, 차체 탄약고에 18발, 총 40발 적재)'''
'''관통력'''
-
'''조준 및 사격장치'''
HL-60 포수 조준경
HL-70 차장 조준경
ICONE BMS 전장 관리 체계
스콜피온 C4I 체계
'''상하 부앙각'''
− / +°
'''좌우 회전각'''
360°
'''부무장'''
M2HB 12.7mm 공축 기관총 1정 '''(총 1,100발 적재)'''
AAT52 NF1 7.62mm GPMG 1정 '''(총 3,000발 적재)'''
'''기동력'''
'''엔진'''
Turbomeca TM 307B 파워팩[2]
'''엔진 배기량'''
16,470 cm³
'''최대출력 / 회전 수'''
1,500 HP // 2,500 RPM
'''최대토크 / 회전 수'''
4,850 NM // 1,700 RPM
'''출력비'''
27.52 hp/t
'''변속기'''
렝크 SESM ESM 500 자동 변속기
전진 6단 / 후진 2단
'''현가장치'''
SAMM ESO 트윈 실린더 유기압 서스펜션
'''연료용적'''
1,300L
1,700L (외부 연료 탱크 장착시)
'''가속속도
(0~32 km/h)
'''
5초 (시리즈 1)
5.5초 (시리즈 2/XXI)
'''최고속도'''
'''도로 :''' 72 km/h
'''야지 :''' 55 km/h
'''후진 :''' 38 km/h
'''항속거리'''
550 km ~ 650 km
'''최저 지상고'''
500 mm
'''초월능력'''
1,100 mm
'''초호능력'''
3,000 mm
'''등판능력'''
-
'''도섭능력'''
'''스노클 미 장착시 :''' 1,100 mm
'''스노클 장착시 :''' 4,000 mm
'''방호력'''
'''장갑형식'''
균질압연강 구조물, 복합장갑
'''방호력'''
800 mm 추정

3. 개요



프랑스군의 세계 최초 3.5세대 MBT이다.
인터넷 등에서 AMX-56으로 표기하는 경우도 보이나 정식 명칭은 Leclerc(le Char Leclerc)로 AMX-56이 아니다. 개발사부터 애초 AMX 사가 아니고 GIAT(현재의 Nexter사)이다. AMX사는 이미 1973년에 GIAT(Groupement des Industries de l'Armée de Terre)로 흡수되었기 때문. 자세한 것은 (위키백과 영어)르클레르 전차 참고.
[image]
이름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자유 프랑스군 제2 기갑사단을 이끌고 파리를 해방한 르클레르(Leclerc) 장군[3][4] 의 이름을 붙였다.
영문 위키피디아 등을 참조했을 때 발음기호가 ləklɛʁ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정확히 외래어 표기법으로 옮기면 르클레르가 맞다. 르클레르 장군의 풀 네임인 'Philippe François Marie Leclerc de Hauteclocque(필리프 프랑수아 마리 르클레르 드오트클로크)' 항목에 발음기호가 나와 있으며 이 사람의 이름을 딴 전차이므로 마찬가지로 르클레르로 발음하는 것이 맞다.[5]
초기엔 독일과 합작하여 나폴레옹/KPz-3으로 제작되다가 프랑스 독자적으로 전환하여 GIAT(현재의 Nexter사)에서 개발한다. 1986년에 시제차가 나오고 1990년에 초기형이 등장, 1993년부터 실전 배치되었다.
그리고 또 독일과 합작하여 2030년대 주력전차로 MGCS를 개발하고 있다. 세 번째 합작이라 걱정하는 여론이 있다.

4. 특징


무엇보다도 '''세계 최초의 3.5세대 전차'''라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디지털식 사격통제장치와 자동장전장치를 가지고 있다는 것과 전차의 모든 기기와 장비들을 한 대의 컴퓨터 통제하에 운용하는 베트로닉스를 최초로 구현하면서 기존 3세대 전차와 큰 차이가 있다고 해서, 르클레르를 3.5세대로 분류하기 시작했다.
[image]
사격통제장치가 1GB 용량의 ROM과 RAM으로 구성되는 저장장치와[6] 16비트, 32비트 디지털 컴퓨터들로 구성되며 좀 더 정밀한 포격이 가능하고 자동장전장치로 빠른 대응을 할 수 있어 상당히 진보된 전차에 꼽힌다. 또한 열영상장비 및 레이저 거리측정기, 차장과 포수의 독립적인 자동 조준장치는 움직이는 목표중 위험물 6개를 자동으로 판별하여 조준할 수 있고, 2km에서 80% 명중율을 보장한다. 각 전차에는 스콜피온 C4I 단말기가 장착되어서, 각 전차들 간 정보공유가 가능하다. 또한 파워팩과 컴퓨터가 연결되어 야전에서도 단말기만 연결되면 자동으로 전차의 상태를 체크하여, 이상부위를 알려줄 수 있다. 그리고 가격의 50% 가량이 전자장비 구입에 들어가는 비용으로 이것은 전투기와 비슷한 비율이며 실제로 이 베트로닉스의 통신규격조차 MIL-STD-1553B로 이것은 F-16이나 F-18 등 전투기에 쓰이는 규격이다.
조준경들이 포탑 전면 앞쪽으로 쏠려 있어 포의 바로 옆과 바로 위에 위치하였는데 이러면 포의 충격파와 진동 때문에 내구도나 신뢰도에 상당한 문제점이 생긴다. 옆나라 챌린저도 포수조준경을 포방패 근처에다 두었다가 내구도에 문제가 생기고 조준점이 흐트러지는 일을 겪었다.
NATO를 탈퇴하면서 무장을 표준화 할 필요가 없어졌기에 부무장으로는 리모컨 조종식 7.62mm 기관총을 사용하고 주포는 동시대 44 구경장 120mm 전차포보다 포구초속이 좀 더 빠른 52 구경장 전차포를 사용했으며 기존의 텅스텐 탄환과 열화우라늄 탄환을 혼용한다. 따라서 기존의 44구경장 전차포보다 더 강력한 운동에너지를 가지며 GIAT의 주장에 의하면 93년도에 이미 초속 1800m을 넘겼다고 한다. 또한 650mm 를 넘어가는 관통력을 보여준 OFL-120탄을 사용하여 냉전이 끝난 현재도 이대로 만족하며 사용하고 있을 정도. 물론 현대에 나오는 700mm 이상의 관통력을 보이는 전차포보다 열세이기 때문에 탄약의 개량으로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7]
[image]
탄약 업그레이드 대신 차세대 주포로 140mm를 연구하였으나 냉전 종식으로 취소된 상태이다.
버슬형 자동장전 장치를 사용하여 승무원수는 3명으로 줄었다. 이 장치는 서방형 버슬 장전장치 중 매우 진보한 형태로 분당 15발까지 발사가 가능하다고 제작사는 주장하나 실제로는 12발 내외로 보인다. 장전중엔 -1.8도로 고정되는 특징이 있다. 차 내부엔 40발이 장착되며 장전장치의 장탄량은 22발로 나머지 12발은 차체 앞에 위치한다. 이 장치는 K-2 흑표 전차를 위해 ADD에서 개발한 것과 작동 형태가 거의 유사하며 ADD 개발자의 인터뷰에 의하면 동영상만 보고 역설계 해서 만들었다고 한다. 기존 전차에서 르끌레르로 대체된 부대에서는 승무원이 3명으로 줄어들면서 각 차량당 1명이 빠지게 되었는데, 프랑스에서는 이 남은 인원들을 장갑차에 태워서 전차들을 따라다니며 전차 정비등의 임무를 보조하는 식으로 인원도 유지하고 승무원 수가 줄어들어 남아 있는 승무원들의 전차관리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었다. 여담으로 똑같이 흑표로 대체된 한국의 전차부대들은 그런거 없이 빠진 인원 만큼 그냥 부대 인원을 축소시켰다고 한다(...)
[image]
다른 전차들처럼 측면에 수납공간이 있고, 3세대 전차인 만큼 복합장갑을 사용했으며 모듈식 장갑제로 피탄된 부위만 야전에서 바로 교체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파워팩도 30분만에 교체가 가능하다.
[image]
르클레르에 탑재된 파워팩은 TM307 가스터빈엔진으로 작동하는 터보차저를 장착한 수냉식 8기통 1,500마력의 V8X-1500 엔진과 ESM500 변속기를 결합한 파워팩 장착하여 경쾌한 기동력을 선보이고, 적은 차량 무게와 독특한 과급기 설계[8] 덕분에 레오파르트2보다 높은 가속력을 지녔다. [9]

톤당마력은 27.5로 최고 71km/h 후진은 38km/h 수준이며 가속력은 정지상태에서 5초안에 30km/h까지 가속이 가능하다. 항속거리는 보조연료탱크 장착시 650km. 단 유기압 현가장치의 경우 낮은 온도에서 파열되는 문제점 스웨덴의 전차도입사업에서 독일의 레오파르트2와의 경쟁에서 밀리는 원인이 되었다.
서방제 치고 짧은 길이로 보기륜이 6개이다. 때문에 공중 수송에 유리하며 1994년 아랍 에미리트에 450여대가 수출되었다. 단 이때는 앞에서 언급한 신뢰성 문제 때문에 파워팩을 독일 MTU의 유로파워팩으로 바꾸었다고 전해진다.
프랑스 정부는 처음엔 르클레르 전차를 1,400대 정도 양산하려 했으나, 그놈의 경제 문제가 터지는 바람에 600대 정도로 삭감되었다. 그리고 2010년대에 접어들어서는 '''254대'''만 상시운용에 152대를 비축 중. 여러모로 눈물이 앞을 가리는 숫자다.
그도 그럴 것이 이 르클레르 전차의 대당 가격이 147억원으로, '''세계 전차값 랭킹 1위'''인 엄청나게 비싼 전차다. 이렇게 너무 비싼 전차이다 보니 1,500대 가까이 계획해놓고 정작 250여 대만 실제로 운용하는 지경까지 갔다.
현재 가동율은 40%가 미치지 못한다고 한다. 단 이것은 전차 자체의 정비성 등의 성능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경제 사정과 출산율 저하, 군축, 직업군인의 인기가 땅으로 떨어지는 등의 프랑스 국내 사정에 기인한 것이다.
2030년에는 독일과 공동개발한 MGCS(Main Ground Combat System) 2030+(독일에서는 레오파르트3으로 알려저있다.)로 대체할 예정이다.

5. 운용


'''프랑스 육군'''
제7 기갑 여단 제1 보병 연대, 베르됭 주둔.
제7 기갑 여단 제4 보병 연대, 카르누엥 프로방스 주둔.
제2 기갑 여단 제12 보병 연대, 올리벳 주둔.
제2 기갑 여단 제501 장갑차 연대, 무메론르 그랑 주둔.
'''총 420대 생산, 현재 200대 운용 중'''
'''아랍에미리트 육군'''
'''총 434대 운용 중'''

6. 개량 및 파생형



6.1. Séries 1


120mm 활강포를 탑재한 기본형.

6.2. Séries 2


  • NBC 시스템.
  • 에어컨 시스템의 포수 해치 후방 설치.
  • 에어컨 시스템의 해치 설치 후 터렛 전면부 장갑 보강.
  • 에어컨 시스템 쿨링 팬 개수.
  • 전차 전면부 스플레쉬 가드 추가 설치.
  • 원격 작동식 유압 트랙 텐셔너.
  • 포수용 조준기를 Athos 시스템에서 최신 IRIS 시스템으로 교체.
  • SIT ICONE 전장관리체계 탑재.

6.3. Séries XXI


  • 텅스텐, 티타늄 소재의 새로운 복합 장갑 모듈 설치 및 반응 장갑 모듈 설치 가능. 이로써 전차의 중량 감소를 꽤 할 수 있게 되었다.
  • 전차장이 사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의 증가. (조준경 HL-120의 설치 및 레이저 거리 측정기와 IRIS 열 영상 시스템.)
  • 포탑 전력 증대.
  • 피아식별장치 설치.
  • SIT ICONE 전장관리체계 기본 탑재.

6.4. Leclerc T4


[image]
1996년에 제작한 140mm 주포를 장착한 화력 강화 버전이다. 당시 arsenal of Bourges(EFAB)에서 제작을 맡았으며 프랑스 육군 기술 개발 부서인 '''STAT'''(Section Technique de l'Armée de Terre)에서 터미네이터라는 이름으로 명명했다. 한때는 차세대 주포로 주목 받았으나 비용 문제로 인해 프로젝트는 취소되었고 시제차량은 창고행으로 전락했다. 2010년에 프로토타입 차량은 복원되어 구난 전차로 얼마간 사용되었고 2017년 발표된 SCORPION 계획에서 차세대 전차용 주포 연구목적으로 시험사격이 개시되었다.

6.5. Leclerc Flakpanzer 자주 대공포


[image]
1990년대 초 르클레르 차체를 기반으로 기획, 제작한 자주 대공포이다. 독일 게파트 자주대공포에서 착안하였고 35mm 오리콘 대공포와 두 쌍의 미스트랄 지대공미사일로 무장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냉전 종식 후 군비 삭감으로 인해 취소되었다.

6.6. Leclerc Crotale


Crotale NG SAM 대공 미사일 시스템 등장과 동시에 제안된 Leclerc 차체에 Crotale NG SAM 탑재 버전. 주로 항공 공격으로부터 이동 중에 기갑 세력을 보호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하지만 자주 대공포안과 같이 군비 삭감 때문에 취소되었으며 시제품 또한 없다.

6.7. Leclerc Azur (Action en Zone Urbaine)


[image]
개량형으로 시가전에 맞추어 반응장갑 등을 추가한 업그레이드 버전인 Azur(Action en zone urbaine)kit을 장착한 버전이 터키 차세대 전차 사업에 등장하여 K-2 흑표와 맞서기도 했으나 패배했다. 그러나 프랑스는 자국의 르클레르를 2020년까지 이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할 계획이다.

6.8. Leclerc XLR


르클레르 개량 사업이며 SCORPION 계획의 일환으로 새로운 전술 인터페이스, 새로운 장갑재, RWS, 각종 센서들이 포함되며 2020년 부터 개량 작업에 돌입한다.

6.9. Leclerc Koufra XL-T40


[image]
르클레르 기반 IFV로서 방어력이 높은것이 특징이다.

6.10. Leclerc DCL (Depanneur du Char Leclerc)


[image]
보기륜을 7개로 늘리고 전차들을 견인, 수리등을 할 수 있는 구난전차

6.11. Leclerc MARS (Moyen Adapte de Remorquage Specifique)


[image]
위 차량의 염가판. 이 차량은 르클레르에 포만 제거하고 크레인도 없어 차체도 보기륜 6개 그대로지만 가격이 싸다.

6.12. Tropicalized Leclerc EAU (UAE 수출 버전)


'''Tropicalized Leclerc EAU 제원'''
'''중량'''
57t
'''차체 중량'''
정보없음
'''포탑 중량'''
정보없음
'''전장'''
7.03m
'''전폭'''
3.43m, 스커트 포함 3.60m, 사이드 미러 포함 3.71m
'''전고'''
2.53m
'''엔진'''
MTU MT 883 Ka 500 디젤엔진
'''엔진 배기량'''
27,361 cm³
'''변속기'''
Renk HSWL 295 TM 8단 자동 변속기 (전진6단, 후진2단)
'''현가장치'''
SAMM ESO 트윈 실린더 유기압 현수장치(고정식)
'''최대출력'''
1,500마력, 2700 RPM
'''최대토크'''
4545 Nm, 2000 RPM
'''최대속도'''
72km/h (야지 55km/h, 후진 38km/h)
'''가속도(0~32km)'''
6초
'''항속거리'''
550~650km
'''연료 탑재량'''
1,420L, 외부 연료 탱크 장착시 1,820L
'''도섭 가능 심도'''
x
'''주포'''
GIAT CN120-26/52 120mm 52구경장 활강포 1문
'''보조 무장'''
M2HB 12.7mm 공축 기관총 1정, 7.62mm GPMG 1정
'''탄약 적재량'''
120mm 전차포탄 40발 (자동 장전장치 매거진 내부에 22발, 차체 탄약고에 18발)
12.7mm 공축기관총탄 1,100발
7.62mm 기관총탄 3,000발
'''포탑 회전 속도(360°)'''
12초
'''탑승인원'''
(전차장, 조종수, 포수) 3명
'''등판능력'''
1.1m
'''지상고'''
500mm
'''방어력'''

'''장갑'''
x

7.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7.1. 애니메이션



7.2. 게임


  • 워게임: 레드 드래곤 - 프랑스의 최신형 전차로 등장. 높은 명중률과 관통력, 블루포 3세대 MBT중 유일하게 Medium 크기를 가지고 있어 불만을 샀으나 결국 Large로 돌아갔다. 관통력은 M1A2같은 최상급 전차에 비해 밀리지만 연사속도가 빠르고 이동시 명중률이 가장 높다.
  • Tanktastic
  • 워썬더 - 1.89 업데이트로 S1(시리즈 1),New Power 업데이트로 S2(시리즈 2) 형식이 프랑스트리에 등장한다.
  • 도미네이션즈 - AMX-56 르끌레르가 정보화 시대의 프랑스 고유 유닛으로 등장한다.

8. 둘러보기





[1] 현 Nexter사.[2] Wärtsilä V8X-1500 초과급 디젤엔진+ESM 500 변속기.[3] 밴드 오브 브라더스 후반부에 "러클럭(미국식 발음 참고로 80년대 후반 르클레르 개발 뉴스를 보면 레그레라고 써있기도 하다.)장군을 보러 간다"라는 대사가 나오는데 바로 그 장군.[4] 굽시니스트본격 제2차 세계대전 만화에서는 자유 프랑스 소속 르클레르를 소개하면서 '''훗날 전차가 됨'''(원 링크는 삭제된 관계로 다른 링크로 변경됨)(...)이라는 설명을 달았다. 출판본 2권에서도 르클레르가 파리로 진입할 때 이 전차를 타고있다.[5] 프랑스에선 '''르끌레-흐'''정도로 발음한다.[6] 등장 시기 1993년을 생각한다면 상당히 고성능이다. 윈도우 xp권장램이 128MB다.[7] 포 자체는 동세대 44구경장에 비해 우월했으나 신형 탄약개발의 우선순위에서 운동에너지탄이 밀려난 탓에 일본 전차처럼 관통력은 90년대나 2000년대나 변함이 없다.[8] 보통 터보 과급기를 쓰더라도 동력을 배기가스에서 얻지만, 르클레르는 APU의 동력으로 과급기를 돌린다.[9] 다만 일반적인 경우 주기관이 작동하는 상황에선 APU가 동작하지 않거나 베트로닉스들에 전력이 모자랄 수 있는 경우에만 조금씩 작동하지만, 르클레르는 과급기를 APU로 돌리다 보니 APU 가동 시간도 길고 APU에 걸리는 부하도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