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드 히어로

 


'''마스크드 히어로'''
한글판 명칭
'''마스크드 히어로'''
일어판 명칭
'''M・HERO(マスクドヒーロー'''
영어판 명칭
'''Masked HERO'''
속성
다속성
종족
전사족
1. 개요
2. 엑스트라 덱 몬스터
2.1. 융합 몬스터
2.1.1. 레벨 6
2.1.1.1. 마스크드 히어로 강화
2.1.1.2. 마스크드 히어로 베이퍼
2.1.1.4. 마스크드 히어로 블래스트
2.1.2. 레벨 8
2.1.2.1. 마스크드 히어로 애시드
2.1.2.2. 마스크드 히어로 다이안
2.1.2.3. 마스크드 히어로 광아
2.1.2.4. 마스크드 히어로 신풍
2.1.2.5. 마스크드 히어로 암귀
3. 체인지 / 체인저 속공 마법
3.2. 마스크 체인지 세컨드
3.3. 폼 체인지
4. 관련 카드


1. 개요


유희왕의 카드군. 유희왕 GX/코믹스유우키 쥬다이가 자신의 한계를 통감하고 새롭게 만든 자신만의 오리지널 히어로. 미국식 히어로에 가깝던 기존 히어로들과는 달리 일본식 변신 히어로에 가까운 모습들을 하고 있다. 아예 서로서로 속성을 변경하는 '''폼 체인지'''라는 카드까지 사용했으며, 그 중 마스크드 히어로 블래스트는 '''머플러'''를 장착하고 있는 모습까지 보여 확인사살. 팬이라면 이들의 모습에서 여러 헤이세이 라이더들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원래는 일반 소환이 되는 몬스터와 엑스트라 덱에 들어가 있는 몬스터로 나뉘어 있었으며 이들이 융합 몬스터인지 아니면 다른 카테고리의 몬스터인지는 불명이었다. 애초에 이들의 소환은 원작에서 융합 소환이라고 하지 않고 '''변신 소환'''이라는 새로운 소환 방법으로 불렸다. 그러다가 OCG화 되면서 엑스트라 덱에 들어가는 몬스터들만이 그냥 융합 몬스터로서 등장했으며, 변신 소환이란 개념은 사라지고 그냥 특수 소환 몬스터들이 되었다.
소환 조건상 완전히 '마스크드 히어로 덱'이라는 것을 만들기는 힘들기에 엘리멘틀 히어로 덱을 기반으로 보조 파츠처럼 사용하게 되는데, 초기에 주로 사용했던 것은 비교적 메이저한 물 속성을 먹고 나오는 마스크드 히어로들. 초융합을 채용하지 않는 얼라이브 히어로 덱에서 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의 모자란 전투력을 땜빵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었다가, 스트럭처 덱 히어로즈 스트라이크의 발매 이후 많은 지원을 받아 상당히 고성능이 되었다.
성능 및 역사에 대해서는 히어로 비트 문서 참조.
본 문서에서는 이 카드군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속공 마법 카드군 "체인지"에 대해서도 함께 서술한다.
마스크드 히어로의 소환은 융합 소환이 아니기에 융합 해제를 사용하면 소재를 불러올 수 없으니 주의.
마스크드 히어로
속성
레벨 6
레벨 8
어둠
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
마스크드 히어로 암귀


마스크드 히어로 광아
화염
마스크드 히어로 강화


마스크드 히어로 베이퍼
마스크드 히어로 애시드
바람
마스크드 히어로 블래스트
마스크드 히어로 신풍


마스크드 히어로 다이안

1.1. 유희왕 듀얼링크스


VALIANT SOULS에서부터 지원이 시작. 필수 카드인 마스크 체인지를 포함해서 강화, 베이퍼, 암귀, 그리고 지원용 마법인 마스크 차지가 나왔으나 카드군의 핵심 카드인 섀도우 미스트나 다크 로우가 나오지 않아 제 성능을 내지 못하는 상황이다. 그나마 암귀 정도만 데스티니 히어로 덱에서 용병으로 구르는 정도. 더군다나 링크스 룰상 '''엑스트라 덱을 최대 7장까지밖에 쓸 수 없기에''' 덱 공간이 상당히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어차피 초창기엔 암귀 말고 다른 마스크드 히어로가 강화, 베이퍼 뿐이니 엘리멘틀 히어로에게는 메리트가 없었다.
주다이/유벨 캐릭터가 해금되면서 추가로 폼 체인지와 풍속성인 블래스트를 쓸 수 있게 되었지만 각각 주다이/유벨 캐릭터 레벨 40/45 보상인데다 1장밖에 얻을 수 없다는 게 가장 큰 문제점. VALHALLA CALLING에서 땅속성인 다이안이 추가로 등장하여 총 5속성에 대응할 수 있게 되었지만 현 히어로 카드풀 중에서도 가장 널리 활용되는 '''네오스'''에 대응 가능한 광아가 나오지 않은 탓에 추후 지원을 기대해봐야 하는 상황.
그 후 비전 히어로 지원을 받아 암귀덱이 다시 티어덱으로 뛰어올랐다.
2020년 5월 20일 발매된 스트럭처 덱 HERO GENERATION에서 광아가 등장해서 이제 빛 속성으로도 충분히 활용 가능하게 되었다!

2. 엑스트라 덱 몬스터



2.1. 융합 몬스터



2.1.1. 레벨 6



2.1.1.1. 마스크드 히어로 강화

[image]
한글판 명칭
'''마스크드 히어로 강화'''
일어판 명칭
'''M・HERO(マスクドヒーロー 剛火'''
영어판 명칭
'''Masked HERO Goka'''
융합 /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6
화염
전사족
2200
1800
이 카드는 "마스크 체인지"의 효과로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히어로"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의 수 × 100 포인트 올린다.
소환조건상 실질적인 기본 공격력은 2300. 그러나 공격력밖에 없는 녀석치곤 좀 낮은 편이고 공격력 상승수치도 좀 심하게 짜서 주력으로 써먹기는 힘들다. 히어로들이 묘지에 모였다 쳐도 결국 미러클 퓨전으로 묘지의 히어로를 제외하고 하다 보면 공격력은 다시 내려가버리고 만다.
애초에 화염 속성 히어로가 너무 마이너해서 엘리멘틀 히어로 더 히트라도 채용하지 않는 이상 써먹고 싶어도 쓸 수가 없다. 엘리멘틀 히어로 버스트 레이디엘리멘틀 히어로 레이디 오브 파이어도 있긴 하나 이들의 성능은 더 히트보다도 한참 떨어진다. 그나마 이번 넥스트 챌린저스에서 새로 등장한 엘리멘틀 히어로 브레이즈맨 덕분에 입지가 조금 늘어났다고 할 수 있지만 브레이즈맨의 효과로 섀도우 미스트를 복사한 후 다크 로우를 특수 소환하는게 더 이득이다.
설령 덱에 넣었다 해도 성능 자체가 너무 소극적이라 이 카드로 뭔가 대단한 피해를 주기는 힘들다. 큰 기대하고 쓰기보다는 더 히트를 쓰면서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나 배틀 페이즈에 변신시켜 추가타를 노리는 정도로 적절히 활용해주자.
폼 체인지의 등장으로 화염 속성 히어로를 쓰지 않더라도 써볼 수는 있게 되었으나, 역시 이 카드의 자체 성능이 너무 딸려서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 외에는 크게 우선적으로 손이 가지 않게 된다. 그나마도 레벨 6 히어로 융합 몬스터가 그렇게 많지 않기에 가끔가다 엘리멘틀 히어로 가이아나 원작대로 베이퍼를 변신시키는 것 외에는… 물론 이것도 상대 턴에 2400라인이 전투로 바로 깨져버리는 상황이 아니라면 다크 로우를 우선시하는게 훨씬 낫다.
성능이 너무나도 처참하기 때문에 레벨 8의 새로운 화염 속성 마스크드 히어로를 바라는 유저들도 많다.
모티브는 쿠우가로 보인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프리미엄 팩 6
PP06-KR025
울트라 레어
한국
한국 최초수록
PREMIUM PACK 13
PP13-JP005
시크릿 레어
일본
세계 최초수록
점프 페스타 2012 한정 프로모션 팩 A
JF12-JPA04
노멀
일본
절판
Generation Force
GENF-EN094
레어
미국
미국 최초수록

2.1.1.2. 마스크드 히어로 베이퍼

[image]
한글판 명칭
'''마스크드 히어로 베이퍼'''
일어판 명칭
'''M・HERO(マスクドヒーロー ヴェイパー'''
영어판 명칭
'''Masked HERO Vapor'''
융합 /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6

전사족
2400
2000
이 카드는 "마스크 체인지"의 효과로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카드는 카드의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강력한 효과 파괴 내성으로 그래도 강화보다는 사정이 많이 낫다. 다만 공격력이 평범하여 강화보다 뒤쳐질 때가 많고 효과 파괴 이외의 내성은 없기 때문에 필드에서 오래 버틸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처음 나왔을 때는 마스크드 히어로가 강화랑 이놈 겨우 2장밖에 없었기에 그나마 좀더 나은 베이퍼를 주로 쓰곤 했으나, 같은 물 속성 마스크드 히어로인 마스크드 히어로 애시드가 나온 이후에는 인기가 좀 떨어진 편이다.
하지만 어쨌든 물 속성 마스크드 히어로라는 점은 충분히 우수하므로 여전히 애시드와 함께 상황에 따라 골라서 쓸 수 있다. 능력치가 약한 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이나 엘리멘틀 히어로 오션을 강화하거나 엘리멘틀 히어로 앱솔루트 Zero를 변신시켜 전체 파괴 효과를 좀더 빨리 쓸 수 있다. 상대 몬스터를 전부 제거하면서 비교적 안정적으로 추가타를 먹일 수 있다. 효과 파괴가 날아올 게 뻔한 경우라면 애시드 대신 이쪽을 선택하면 된다. 물론 엑스트라 덱에 둘 다 넣을 여유가 없다면 아무래도 이쪽이 좀 불리하겠지만.
유희왕 5D's 오버 더 넥서스에서는 CPU 듀얼리스트로 등장한다. 대전시 대사들만 보면 그냥 히어로다운 무난한 성격 같지만 어째 승리했을 때 주는 카드들이 이펙트 뵐러, 사이코 헬스트랜서, 라이트로드 서머너 루미나스, 아마조네스의 훈련생, 검은 날개의 마술사, 보타니티 걸 등 '''미소녀''' 카드밖에 없는 수상한 놈이다.
원작에서는 위의 마스크드 히어로 강화에서 속공 마법 폼 체인지를 통해 다시 변신한 것이 이 카드였다.
공격명은 '''익스플로전 스팀(Explosion Steam)'''.
모티브는 쿠우가로 보인다.[1] 혹은 가면라이더 덴오의 로드 폼이 생각난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프리미엄 팩 6
PP06-KR026
울트라 레어
한국
한국 최초수록
PREMIUM PACK 13
PP13-JP006
시크릿 레어
일본
세계 최초수록
점프 페스타 2012 한정 프로모션 팩 B
JF12-JPB04
노멀
일본
절판
Generation Force
GENF-EN095
슈퍼 레어
미국
미국 최초수록

2.1.1.3. 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

'''마스크드 히어로의 에이스 몬스터.''' 문서 참조.

2.1.1.4. 마스크드 히어로 블래스트

[image]
한글판 명칭
'''마스크드 히어로 블래스트'''
일어판 명칭
'''M・HERO(マスクドヒーロー ブラスト'''
영어판 명칭
'''Masked HERO Blast'''
융합 /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6
바람
전사족
2200
1800
이 카드는 "마스크 체인지"의 효과로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①: 이 카드가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을 절반으로 한다.
②: 1턴에 1번, 500 LP를 지불하고, 상대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주인의 패로 되돌린다. 이 효과는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특수 소환하면 상대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을 반토막내며, 상대턴을 포함해 1턴에 1번 500 LP를 지불해 상대의 마법 / 함정을 바운스할 수 있다. 드디어 나온 마법 / 함정 견제를 할 수 있는 마스크드 히어로지만 대상 지정인 기동효과기 때문에 소환시, 혹은 효과 발동시 체인으로 쉽게 막힐 수 있어서 상당히 아쉽다.
기본 공격력도 같은 속성의 신풍보다 낮은 편이고 이래저래 애매한 카드라는 평가였으나, 상대 턴에 마법/함정 견제가 가능한 점이 오히려 신풍 보다도 고평가를 받아 투입율이 늘어났다.
모티브는 아기토사이클론 또는 어나더 아기토로 보인다.

2.1.2. 레벨 8



2.1.2.1. 마스크드 히어로 애시드

[image]
한글판 명칭
'''마스크드 히어로 애시드'''
일어판 명칭
'''M・HERO(マスクドヒーロー アシッド'''
영어판 명칭
'''Masked HERO Acid'''
융합 /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8

전사족
2600
2100
이 카드는 "마스크 체인지"의 효과로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카드가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 상대 필드 위의 마법 / 함정 카드를 전부 파괴하고, 상대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모든 몬스터의 공격력은 300 포인트 내린다.
물 속성 마스크드 히어로라 베이퍼와 마찬가지 운용이 가능하여 엘리멘틀 히어로 앱솔루트 Zero와 연계하면 상대의 필드를 폭☆살 낼 수 있다. 몬스터 효과로 번개해피의 깃털을 사용하는 기분을 낼 수 있다. 공격력이 레벨에 비해 조금 미묘한 편이지만 약화 효과도 있어서 베이퍼의 내성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는 대체로 애시드를 선택하는 쪽이 낫다.
마법 / 함정 파괴와 공격력 다운은 동시처리지만 마법 / 함정을 파괴하지 못하면 공격력 다운이 안된다는 재정이 있으므로 주의. 반대로 몬스터가 없어서 공격력 다운이 안되는 상황이면 마법 / 함정 파괴를 못한다는 재정도 아니고, 마법 / 함정만 있어도 마법 / 함정 파괴는 가능하다는 재정이라서 더더욱 알 수 없는 카드다.
히어로즈 스트라이크의 발매가 결정된 후 카드샵에서는 찾아보기가 힘들 정도로 재고가 줄어들더니, 발매 후 그 가격은 전과는 비교를 불허할 정도로 치솟았다.
코믹스에서는 아몬 가람과 듀얼했을 때 나왔으며 아몬의 마법,함정을 깨끗히 청소해 버렸다.
모티브 가면라이더는 가면라이더 디엔드로 추정, 총이 디엔드의 것과 거의 비슷하다.
공격명은 '''애시드 불릿(Acid Bullet)'''. 효과명은 '''애시드 레인(Acid Rain)'''.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프리미엄 팩 7
PP07-KR025
울트라 레어
한국
한국 최초수록
PREMIUM PACK 14
PP14-JP005
시크릿 레어
일본
세계 최초수록
2012 Premium Collection Tin
PRC1-EN018
시크릿 레어
미국
미국 최초수록

2.1.2.2. 마스크드 히어로 다이안

[image]
한글판 명칭
'''마스크드 히어로 다이안'''
일어판 명칭
'''M・HERO(マスクドヒーロー ダイアン'''
영어판 명칭
'''Masked HERO Dian'''
융합 /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8

전사족
2800
3000
이 카드는 "마스크 체인지"의 효과로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①: 이 카드가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하고 묘지로 보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벨 4 이하의 "히어로"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강화와 비슷한 설움을 지니고 있는 카드. 그나마 자체 성능마저 딸리는 강화와는 달리 높은 전투력과 좋은 효과를 가지고 있긴 하지만 땅 속성 엘리멘틀 히어로는 엘리멘틀 히어로 와일드맨 빼곤 전부 비주류라 변신시킬 카드가 마땅치 않았다. 엘리멘틀 히어로 에지맨을 쓰는 전용덱에서 병용해보거나, 1회용인 엘리멘틀 히어로 가이아 같은 걸 엿바꿔먹는게 그나마 가능성이 있을 듯.
다만 이블 히어로는 좀 더 상황이 나은데, 헬 게이너, 마리셔스 에지, 그리고 '''이블 히어로 다크 가이아''' 등 써먹어볼만한 녀석들이 죄다 땅 속성이고 자신의 효과로 헬 게이너를 리크루트할 수도 있다. 다크 가이아는 이 카드보다 더 높은 전투력을 갖고 있어서 변신시키기 좀 아깝긴 하지만, 마스크 체인지가 속공 마법이라는 점과 다크 가이아의 공격이 통했다는 건 대개 이 카드의 공격 역시 바로 통하는 상황이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원턴 킬도 시야에 넣을 수 있다. 물론 공격 실패시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로 쓸 수도 있다.
폼 체인지가 등장한 덕분에 땅 속성을 많이 쓰지 않는 히어로 덱에서도 써볼 수는 있게 되었다. 또한, 섀도우 미스트와 조합하면 '''원턴킬'''도 노려볼 수 있다.
이처럼 카드의 성능은 좋은데 소환방법이 애매하던 상황에 V점프 2018년 3월호 동봉으로 엘리멘틀 히어로 솔리드맨이 발매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솔리드맨도 땅 속성 히어로라 마스크 체인지로 간단하게 다이안을 소환할 수 있게 됨으로써 평가가 슬금슬금 올라가고 있다. 그리고 솔리드맨의 효과로 특소도 가능해진다!
공격명은 '''디스펄션(Dispersion)'''.
여담으로 땅 속성 히어로 중 여성형인 크노스페가 있기 때문인지 몇 안되는 여성형 융합 히어로. 전체적으로 몸매도 가늘고 뾰족구두에 프릴까지 하고 있긴 하지만, 가슴이 그냥 갑빠처럼 보이고 얼굴도 가려져 있어서 여자인 줄 모르는 사람이 허다하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프리미엄 팩 7
PP07-KR026
슈퍼 레어
한국
한국 최초수록
PREMIUM PACK 14
PP14-JP006
시크릿 레어
일본
세계 최초수록
2012 Premium Collection Tin
PRC1-EN019
시크릿 레어
미국
미국 최초수록

2.1.2.3. 마스크드 히어로 광아

[image]
한글판 명칭
'''마스크드 히어로 광아'''
일어판 명칭
'''M・HERO(マスクドヒーロー 光牙'''
영어판 명칭
'''Masked HERO Koga'''
융합 /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8

전사족
2500
1800
이 카드는 "마스크 체인지"의 효과로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①: 이 카드의 공격력은 상대 필드의 몬스터의 수 × 500 올린다.
②: 1턴에 1번, 자신 묘지의 "히어로"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이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 제외한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내린다. 이 효과는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히어로즈 스트라이크에서 새로 발매된 빛 속성 마스크드 히어로. 비록 원래 공격력은 평범하나, 강력한 공격력 변화 효과를 지니고 있어 돌파력은 마스크드 히어로들 중에서 가장 높다. 몬스터끼리의 전투라면 최소 푸른 눈의 백룡급 어태커가 되며, 상대의 몬스터 존이 꽉 차있다면 6000이라는 경이로운 공격력을 자랑하게 된다.
기본 효과만 해도 전투에 강하다고 할 수 있는데 여기에 묘지의 히어로를 제외해 몬스터를 약화시키는 효과가 있어 더욱 강력하다. 원래 공격력 그대로 내리기 때문에 보통 이 카드로 변신시킬 엘리멘틀 히어로 어나더 네오스 정도만 제외해도 최소 '''4900'''까지 대처할 수 있다. 물론 더 강한 히어로를 제외하거나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많으면 대처 범위는 더욱 더 늘어난다. 이미 패에서 사용한 엘리멘틀 히어로 어니스티 네오스도 사실상 재활용할 수 있는 셈. 이런 걸 상대 턴에도 발동 가능하고 빛 속성이라 어니스트의 서포트까지 받으므로 전투로는 거의 건드릴 수 없는 히어로.
전투에 상당히 강한 만큼 당연하게도(?) 효과 내성은 전혀 없으니 주의. 또 직접 공격시의 화력은 늘릴 수 없다는 점도 아쉽다.
코믹스에서는 후일담을 그린 특별편에서 등장했는데, 레벨 6, 공격력 2200에 2번 효과는 나오지 않았다. 효과가 추가되는 것까진 그렇다 쳐도 원작과 동시에 나온 카드인데도 이렇게 스탯까지 심하게 바꿔버리는 괴상한 경우다.
공격명은 '''레이저 팡스(Laser Fangs)'''.
코믹스에서, 양 팔에 장착된 송곳니같은 칼날은 광아라는 이름답게 광선으로 이루어진 듯이 묘사되었지만, 실제 발매된 카드의 일러스트에서는 그러한 느낌이 들지는 않게 되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스트럭처 덱 -히어로즈 스트라이크-
SD27-KR042
슈퍼 레어
한국
한국 최초수록
STRUCTURE DECK -HERO's STRIKE-
SD27-JP042
슈퍼 레어
일본
세계 최초수록
Structure Deck -HERO Strike-
SDHS-EN042
슈퍼 레어
미국
미국 최초수록

2.1.2.4. 마스크드 히어로 신풍

[image]
한글판 명칭
'''마스크드 히어로 신풍'''
일어판 명칭
'''M・HERO(マスクドヒーロー カミカゼ'''
영어판 명칭
'''Masked HERO Divine Wind'''
융합 /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8
바람
전사족
2700
1900
이 카드는 "마스크 체인지"의 효과로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①: 이 카드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상대는 배틀 페이즈에 몬스터 1장으로밖에 공격할 수 없다.
③: 이 카드가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하고 묘지로 보냈을 때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덱에서 1장 드로우한다.
히어로즈 스트라이크에서 새로 발매된 바람 속성 마스크드 히어로.
문제는 내성이 너무 전투 쪽으로만 중첩되어 있다는 점, 그리고 무엇보다도 엘리멘틀 히어로 에어맨 말고는 너무나도 빈약한 바람 속성 히어로 라인업. 다행히 효과가 히어로와 관련되어 있지는 않은지라 마스크 체인지 세컨드로 다른 바람 속성 덱에서 사용할 수는 있다.
원작에서는 광아와 함께 유희왕 GX/코믹스 특별편에서 등장했는데, 여기서는 효과가 하나도 나오지 않은 몬스터였다. 1번과 2번 효과는 사실 쥬다이가 이 녀석에게 쓴 함정 카드 "긴급 격벽"의 효과를 내장시켜준 것이고 3번 효과는 그냥 뜬금없이 튀어나왔다.
한자로 쓴 강화나 광아와는 달리 이름인 카미카제가 일본어 발음을 그대로 표기해놓은 데다가 역사적으로 민감한 단어라 해외에서 이름이 바뀔 가능성이 굉장히 높았고, 결국 국내에서는 신풍(神風)이라는 한자 발음 그대로, 영어판에서는 한자를 번역한 Divine Wind로 나왔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스트럭처 덱 -히어로즈 스트라이크-
SD27-KR043
슈퍼 레어
한국
한국 최초수록
STRUCTURE DECK -HERO's Strike-
SD27-JP043
슈퍼 레어
일본
세계 최초수록
Structure Deck -HERO Strike-
SDHS-EN043
슈퍼 레어
미국
미국 최초수록

2.1.2.5. 마스크드 히어로 암귀

[image]
한글판 명칭
'''마스크드 히어로 암귀'''
일어판 명칭
'''M・HERO(マスクドヒーロー 闇鬼'''
영어판 명칭
'''Masked HERO Anki'''
융합 /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8
어둠
전사족
2800
1200
이 카드는 "마스크 체인지"의 효과로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이 카드는 직접 공격할 수 있다. 그 직접 공격으로 상대에게 주는 전투 데미지는 절반이 된다.
②: 이 카드가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해 묘지로 보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체인지" 또는 "체인저" 속공 마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유희왕 GX/코믹스 외전편에서 등장한 어둠 속성 마스크드 히어로. 일본판 프리미엄 팩 17에서 OCG화 되었고 국내에선 프리미엄 팩 10을 통해서 발매.
전투 데미지를 절반으로 해 직접 공격할 수 있으며,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털어 묘지로 보내면 덱에서 체인지를 서치해올 수 있다. 2800이라는 높은 타점과 서치 효과가 상당히 쓸만해서 마스크드 히어로의 원턴킬을 하는데에 큰 도움이 된다.
같은 조건에서 나오는 카드인 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가 너무 사기적이라 묻히는 감이 있으나, 돌파력이 나쁘지 않고 다크 로우를 이 카드로 변신시키거나 그 반대도 가능하기에 1장 정도는 투입되는 편이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이 카드를 주축으로 한 히어로 비트 덱이 2018년 간 1티어로 군림하게 한 에이스 몬스터로 날뛰고 있었다. 얼마나 악명이 높았으면 마스크 체인지를 3번 보면 반드시 죽는다는 이야기까지 나왔을 정도. 또한, 금지된 성배를 '''데미지 스텝 시'''에 암귀를 대상으로 발동할 경우, 효과로 인한 직접 공격 선언은 유효한 채 전투 데미지 절반 페널티만 무효화되어 상대에게 3200 데미지를 줄 수 있는데, 4000 LP로 시작하는 듀얼링크스에선 매우 위협적인 한방이다. 물론 이걸 가만히 볼 수 없던 코나미가 관련 파츠에 제재를 먹여서 안전성이 부실해졌고, 세월이 지나면서 듀얼링크스에 점점 사기 테마가 늘어나자 이 카드를 주축으로 한 히어로 비트 덱도 순리에 따라 1티어에서 밀려나기 시작했다. 이후, 2020년에 와서 비전 히어로의 강력한 지원으로 히어로 테마가 강해지면서 비전 히어로 + 암귀 형태[2]의 히어로 비트 덱이 떠올랐다.
그밖에도 암귀 덱은 듀얼링크스에서 자동으로 돌려도 웬만하면 실책을 저지르지 않는 믿음직한 테마 중 대표로 뽑힌다. 듀얼링크스에서 LP가 4000으로 유지되는 한, 암귀는 티어에서 밀려나든 말든 앞으로도 자기 나름의 영역을 구축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다만 속성이 어둠 속성인지라 엘리멘틀 히어로보단 데스티니 히어로 덱에 많이 사용된다.
모티브는 히비키로 보인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PREMIUM PACK 17
VJMP-JP011
노멀
시크릿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프리미엄 팩 10
PP10-KR011
슈퍼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Premium Gold: Return of the Bling
PGL2-EN011
Gold Secret Rare
미국
미국 최초수록

3. 체인지 / 체인저 속공 마법


마스크드 히어로들을 소환하기 위해 필요한 마법으로, 엘리멘틀 히어로 섀도우 미스트에 의해 "체인지"라는 이름의 카드군으로 지정된다. 다만 엑시즈 체인지 택틱스 등 체인지가 들어가는 다른 마법들도 많은지라 속공 마법으로 한정되어 있다.
국내 한정으로 "체인'''저'''" 속공 마법을 포함하도록 에라타되었는데, 일어명 "'''チェンジ'''ャー"와 영문명 "'''Change'''r"에는 각각 "체인지"라는 카드명이 포함되기 때문.

3.1. 마스크 체인지


마스크드 히어로의 시작이 되는 카드.

3.2. 마스크 체인지 세컨드


[image]
한글판 명칭
'''마스크 체인지 세컨드'''
일어판 명칭
'''マスク・チェンジ・セカンド'''
영어판 명칭
'''Mask Change II'''
속공 마법
"마스크 체인지 세컨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①: 패를 1장 버리고,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고, 그 몬스터보다 레벨이 높고 같은 속성의 "마스크드 히어로" 몬스터 1장을, "마스크 체인지"에 의한 특수 소환으로 취급하여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한다.
유희왕/OCG 금지제한
'''제한 카드'''
유희왕/TCG 금지제한
무제한 카드
'''히어로 이외의 몬스터도''' 마스크드 히어로로 변신시킬 수 있는 카드. 원작에서는 대상이 마스크드 히어로 한정이라 사실상 폼 체인지에서 레벨 제한을 없애는 대신 패 코스트가 생긴 그저 그런 카드였으나, OCG화 되면서 상당히 강력해졌다.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에 사용 가능한 마스크 체인지의 장점을 히어로 이외의 몬스터에게도 그대로 적용하면서 강력한 마스크드 히어로 몬스터를 뽑을 수 있다. 특히 상대 묘지와 서치를 견제하는 범용성이 높은 효과를 지닌 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의 경우 거의 어느 상황에서든지 상당히 강력한 메타로 작용하기 때문에 저레벨 어둠 속성 몬스터를 사용하는 덱이라면 이 카드를 투입하는 것 만으로도 바로 우수한 견제 요원을 추가할 수 있다.
여기에다 사용하는 것 자체로 이득이 된다면 금상첨화. 전개 후 딱히 할 일이 남지 않은 몬스터가 남게 되는 인페르니티, 필드의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는 것이 효과이므로 효과를 발동 가능한 섀도르, 사용 후 필드에 남는 것 자체가 약점이 되는 데블 프랑켄, 필드는 물론이고 패 코스트에서도 효과를 발동할 수 있는 피안과 같이 이런 조건에 부합 가능한 카드들은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다.
물 속성에서도 해황머메일과 같은 덱이 있고, 마스크드 히어로 애시드의 해피의 깃털 효과는 결코 약하지 않으므로 물 속성에서도 묘지로 가서 효과가 발동하는 것이 중점이 되는 카드들이 나온다면 충분히 채용을 고려해볼 수 있다.
바람 속성은 마스크드 히어로 신풍의 성능이 물 속성이나 어둠 속성만큼 위협적이진 않지만 한번 고려해 볼 수는 있다. 빛 속성과 땅 속성은 히어로 덱이 아니면 효과를 제대로 쓸 수 없긴 하지만 전투력이 뛰어나기에 약소 몬스터를 대폭 강화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면 채용이 불가능하지는 않다. 아쉽게도 화염 속성의 경우는 효과도 히어로 덱이 아니면 살리기 힘들고 성능 자체도 딸려서 그다지 혜택이 없다. 유희왕/속성 항목도 같이 참고.
당연하지만 대상 몬스터의 레벨을 참조하는 효과이기에, 엑시즈 몬스터링크 몬스터는 소재가 될 수 없다. 만약 됐다면 물 속성 덱에선 희대의 사기 카드 바하무트 샤크 덕분에 사실상 1코스트로 함정 피하기에 1회 추가 공격 및 해피의 깃털까지 발동하는 셈이니 상당히 막장이 된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스트럭처 덱 -히어로즈 스트라이크-
SD27-KR018
노멀
한국
한국 최초수록
STRUCTURE DECK -HERO's STRIKE-
SD27-JP018
노멀
일본
세계 최초수록
Structure Deck HERO Strike
SDHS-EN019
노멀
미국
미국 최초수록


3.3. 폼 체인지


[image]
한글판 명칭
'''폼 체인지'''
일어판 명칭
'''フォーム・チェンジ'''
영어판 명칭
'''Form Change'''
속공 마법
①: 자신 필드의 "히어로" 융합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리고, 그 몬스터의 원래 레벨과 같은 레벨로 카드명이 다른 "마스크드 히어로" 몬스터 1장을, "마스크 체인지"에 의한 특수 소환으로 취급하여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한다.
원작에서는 마스크드 히어로만이 대상이 될 수 있었다. 같은 수준의 다른 속성 마스크드 히어로로 바꾸는, 정말 빼도박도 못하는 가면라이더폼 체인지였다.(…)
실제 OCG에서는 범위가 히어로 융합 몬스터 전반으로 약간 늘어나서 3장째 이후의 마스크 체인지로 써볼만한 카드가 되었다. 융합 몬스터 한정에 레벨도 맞춰야 해서 역시 마스크 체인지에 비해서는 불편함이 많지만, 속성에 관계없이 마스크드 히어로를 뽑을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특히 마스크 체인지와 같이 속공 마법이라는 장점을 이용하여,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 혹은 배틀 페이즈시에 연속으로 체인지하여 순식간에 원턴킬을 노리는 식으로 충분히 무섭게 활용 가능하다.
예전에는 앱솔루트 Zero를 어떻게든 융합 소환한 뒤에 이 카드로 애시드로 교체하면 필드 클린이 되어 더더욱 위협적인 카드였지만 2020년 4월 1일 재정 변경으로 인해 앱솔루트 Zero가 엑스트라 덱으로 돠돌아가는 형태로 필드를 벗어나면 효과가 발동이 안되게 바뀌어서 이제는 불가능하다.
폼 체인지로 변환할 수 있는 카드 목록

  • 비전 히어로 트리니티}}}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스트럭처 덱 -히어로즈 스트라이크-
SD27-KR019
노멀
한국
한국 최초수록
STRUCTURE DECK -HERO's STRIKE-
SD27-JP019
노멀
일본
세계 최초수록
Structure Deck HERO Strike
SDHS-EN020
노멀
미국
미국 최초수록


4. 관련 카드



4.1. 엘리멘틀 히어로 섀도우 미스트


"체인지" 속공 마법에 대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 메인 덱 몬스터.

4.2. 콘트라스트 히어로 카오스


마스크드 히어로를 융합 소재로 하는 새로운 히어로이자 히어로즈 스트라이크의 메인 카드.

4.3. 마스크 차지


[image]
한글판 명칭
'''마스크 차지'''
일어판 명칭
'''マスク・チャージ'''
영어판 명칭
'''Mask Charge'''
일반 마법
①: 자신 묘지의 "히어로" 몬스터 1장과 "체인지" 또는 "체인저" 속공 마법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패에 넣는다.
유희왕 GX/코믹스 특별편에 먼저 선보이고 히어로즈 스트라이크에서 발매된 마스크드 히어로 지원 카드.
심플하지만 강력하여 별다른 조건도 없이 히어로 1장과 체인지 1장을 샐비지해 주는 카드다. 결과적으로 패가 1장 늘어나는 효과이므로 효율성 하나는 보장해주며, 바로 마스크드 히어로를 소환할 수 있다. 섀도우 미스트 덕분에 체인지 속공 마법의 서치가 가능해져 발동 조건도 쉽게 맞출 수 있다. 단, '~으로 발동' 조건이라 히어로 하나나 체인지 마법 카드 하나만 가져오는 식으로 발동하는건 할 수 없다.
주된 용도는 역시 사용한 마스크 체인지 회수와 히어로 우려먹기. 특히 에어맨을 몇번이고 우려먹을 수 있게 만들어 주니 실질적인 어드밴티지는 1을 능가한다. 다만 체인지 카드들이 속공 마법인 관계로 버블맨과 상성이 조금 좋지 않다는 것이 유일한 옥의 티라고 할 수 있겠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스트럭처 덱 -히어로즈 스트라이크-
SD27-KR020
노멀
한국
한국 최초수록
STRUCTURE DECK -HERO's STRIKE-
SD27-JP020
노멀
일본
세계 최초수록
Structure Deck -HERO Strike-
SDHS-EN021
노멀
미국
미국 최초수록

[1] 정확히는 쿠우가 드래곤 폼으로 보인다.[2] 정확히는 듀얼링크스에 나온 모든 히어로 테마(엘리멘틀 히어로, 데스티니 히어로, 마스크드 히어로, 비전 히어로)를 사용한 형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