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주사화(마후마후)
| [image] |
| '''만주사화''' | |
| '''제목''' | 曼珠沙華[br](만주사화) |
| '''가수''' | 마후마후 |
| '''작곡''' | |
| '''작사''' | |
| '''영상''' | MONO-Devoid |
| '''페이지''' | |
| '''투고일''' | 2019년 2월 15일 |
[clearfix]
1. 개요
[1]'''欢迎来到桃源乡'''
'''―――桃源郷へようこそ―――'''
欢迎来到桃源乡
―――도원향에 어서오세요―――
니코니코 동화 투고 코멘트
'''만주사화(曼珠沙華)'''은 마후마후의 오리지널 곡으로 2019년 2월 15일 니코니코 동화에 투고됐다.
무릉도원을 배경으로 삼은 곡이며 가사에 중국어가 포함되어 있는 점이 특징이다.
2. 영상
- 니코니코 동화
- 유튜브
3. 가사
| 欢迎来到桃源乡 |
| 환잉 라이다오 타오위엔 시앙 (Huānyíng láidào táoyuán xiāng) |
| 도원향에 어서오세요 |
| 欢迎来到桃源乡 |
| 환잉 라이다오 타오위엔 시앙 (Huānyíng láidào táoyuán xiāng) |
| 도원향에 어서오세요 |
| 四季の芽吹いた華胥の国 |
| 시키노 메부이타 카쇼노 쿠니 |
| 사계절이 움튼 화서의 나라 |
| 果ても知らずに絢爛に |
| 하테모 시라즈니 켄란니 |
| 끝도 모르고서 현란하게 |
| 桃の香に当てられて |
| 모모노 카오리니 아테라레테 |
| 복숭아 향기에 이끌려서 |
| 夢見心地 無何有の郷 |
| 유메미고코치 무카우노 사토 |
| 꿈을 꾸는 듯한 무하유지향 |
| いつか望んだあの背中 |
| 이츠카 노존다 아노 세나카 |
| 언젠가 흠모했던 그 뒷모습 |
| 菫の咲いた小道に |
| 스미레노 사이타 쇼-도-니 |
| 제비꽃이 피어난 샛길에 |
| 見ないふり |
| 미나이후리 |
| 아니 본 척 |
| 月並みに泣いた 春のこと |
| 츠키나미니 나이타 하루노 코토 |
| 다달이 울었던 봄의 일 |
| 「想要什么?」 妄想参照して |
| 「시앙 야오 션머 (Xiǎng yào shénme)?」 모-소 산쇼-시테 |
| 「무엇을 원해?」 망상 참조해서 |
| 一切合切投げ捨てて |
| 잇사이갓사이 나게스테테 |
| 남김 없이 내팽개치고 |
| 今宵は明けるまで |
| 코요이와 아케루마데 |
| 오늘밤은 날이 밝을 때까지 |
| 遊びましょ |
| 아소비마쇼 |
| 놀아보아요 |
| 華やかに 踊り踊れや |
| 하나야카니 오도리 오도레야 |
| 화려하게 춤추고 춤추어라 |
| 天下の綻び |
| 텐카노 호코로비 |
| 천하의 틈새 |
| 手招いた ボクは桃の花 |
| 테마네이타 보쿠와 모모노 하나 |
| 손짓해 부른 나는 복숭아꽃 |
| それとも曼珠沙華 |
| 소레토모 만쥬샤게 |
| 아니라면 만주사화 |
| 「想见你」 |
| 「시앙지엔 니 (Xiǎngjiàn nǐ)」 |
| 「너를 만나고 싶어」 |
| 君が望むなら |
| 키미가 노조무나라 |
| 네가 원한다면 |
| 今夜は心も意のままに |
| 콘야와 코코로모 이노마마니 |
| 오늘밤은 마음도 뜻하는 대로 |
| 狂い咲き 共に散りゆく |
| 쿠루이자키 토모니 치리유쿠 |
| 철겹게 피어 동시에 흩어져가는 |
| 傾国の華 |
| 케이코쿠노 하나 |
| 경국의 꽃 |
| 「同じ未来を歩めたら」 |
| 「오나지 미라이오 아유메타라」 |
| 「같은 미래를 걸을 수 있다면」 |
| 潜めて抱いた想像だ |
| 히소메테 다이타 소-조-다 |
| 조용히 품어왔던 상상이야 |
| 望まぬ恋と嘆くのは |
| 노조마누 코이토 네가쿠노와 |
| 바라지 않은 사랑이라 한숨짓는 것은 |
| 元より望んだボクのせい |
| 모토요리 노존다 보쿠노 세이 |
| 처음부터 바랐던 나의 탓 |
| 欲を満たして華胥の国 |
| 요쿠오 미타시테 카쇼노 쿠니 |
| 욕심을 채워서 화서의 나라 |
| 知らずに咲いた睡蓮花 |
| 시라즈니 사이타 스이렌카 |
| 모르는 사이 피어난 수련화 |
| 今日の桃子が 苦いのは |
| 쿄-노 타오즈(táozi)가 니가이노와 |
| 오늘의 복숭아가 씁쓸한 것은 |
| 涙で実った 春だから |
| 나미다데 미놋타 하루다카라 |
| 눈물로 여물은 봄이기에 |
| 酔狂 興じる水鏡 |
| 스이쿄- 쿄-지루 스이쿄- |
| 술기운으로 흥겨워하는 물거울 |
| 陰陽 緘黙症 桃源郷 |
| 온묘- 칸모쿠쇼- 토-겐쿄- |
| 음양 함묵증 도원향 |
| 宛ら斑模様の様 絢爛さに |
| 사나가라 마다라모요-노요- 켄란사니 |
| 마치 얼룩무늬인 듯이 현란함에 |
| 入り乱れる堕落 誇張 闘争 |
| 이리미다레루 다라쿠 코쵸- 토-소- |
| 뒤섞이는 타락 과장 투쟁 |
| 冷めやらない 目覚めない |
| 사메야라나이 메자메나이 |
| 사그라들지 않아 깨어나지 않아 |
| 未だ誰もが永久の夢の中へ |
| 마다 다레모가 토와노 유메노 나카에 |
| 아직도 누구나가 영원한 꿈속으로 |
| 「ボクと踊りませんか? 」 |
| 「보쿠토 오도리마센카? 」 |
| 「저와 춤추지 않으시렵니까? 」 |
| 悲しみに 響く波紋は |
| 카나시미니 히비쿠 하몬와 |
| 슬픔에 울려퍼지는 물결은 |
| 黄河の水底 |
| 코-가노 미나소코 |
| 황허강의 밑바닥 |
| 恋い慕う 恋い慕う夢は |
| 코이시타우 코이시타우 유메와 |
| 연모하는 연모하는 꿈은 |
| 何時ぞやの泡沫 |
| 이츠조야노 우타카타 |
| 언젠가의 물거품 |
| 「来过来一下」 |
| 「라이 궈라이 이시아 (Lái guòlái yīxià)」 |
| 「자 이리로 와」 |
| そして心に背いて |
| 소시테 코코로니 소무이테 |
| 그리고 마음을 거스르고 |
| 誰が為に芽吹くの? |
| 타가 타메니 메부쿠노? |
| 누구를 위해 싹트는거야? |
| 薄れずに 色味帯びていく |
| 우스레즈니 이로미 오비테이쿠 |
| 희미해지지 않고 색을 머금어 가는 |
| 憂いと彼岸の花 |
| 우레이토 히간노 하나 |
| 근심과 피안의 꽃 |
| 欢迎来到桃源乡 |
| 환잉 라이다오 타오위엔 시앙 (Huānyíng láidào táoyuán xiāng) |
| 도원향에 어서오세요 |
| 欢迎来到桃源乡 |
| 환잉 라이다오 타오위엔 시앙 (Huānyíng láidào táoyuán xiāng) |
| 도원향에 어서오세요 |
| ―――咲けば散りゆく花のように |
| ―――사케바 치리유쿠 하나노 요-니 |
| ―――피어나면 흩날리는 꽃과 같이 |
| 運命は |
| 운메이와 |
| 운명은 |
| 変えられない――― |
| 카에라레나이――― |
| 바꿀 수 없어――― |
| さあ、夢を |
| 사아, 유메오 |
| 자아, 꿈을 |
| 君の全てを |
| 키미노 스베테오 |
| 너의 모든 것을 |
| ボクに委ねて |
| 보쿠니 유다네테 |
| 나에게 맡기고 |
| 堕落して? |
| 다라쿠시테? |
| 타락해줄래? |
| 何処までも落ちて |
| 도코마데모 오치테 |
| 어디까지고 떨어져서 |
| 枯れゆく曼珠沙華 |
| 카레유쿠 만쥬샤게 |
| 시들어가는 만주사화 |
| 「想见你」 |
| 「시앙지엔 니 (Xiǎngjiàn nǐ)」 |
| 「너를 만나고 싶어」 |
| 君が望むなら |
| 키미가 노조무나라 |
| 네가 바란다면 |
| 今夜は心も意のままに |
| 콘야와 코코로모 이노마마니 |
| 오늘밤은 마음도 뜻하는 대로 |
| 隠り世へ 君を誘う |
| 카쿠리요에 키미오 이자나우 |
| 현세 너머로 너를 이끄는 |
| 傾国の華 |
| 케이코쿠노 하나 |
| 경국의 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