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경제

 



몽골의 경제 정보
'''인구'''
330만 명#
2019년, 세계 132위
'''경제 규모(명목 GDP)'''
136억 3,700만 달러#
2019년
'''경제 규모(PPP GDP)'''
472억 1,700만 달러#
2019년
'''GDP 성장률'''
'''6.95'''%
2018년
'''1인당 명목 GDP '''
4,132달러#
2019년
'''1인당 PPP GDP'''
14,308달러#
2019년
'''무디스 국가 신용등급'''
'''Caa1'''
2016년, 17등위
'''피치 국가 신용등급'''
'''B-'''
2016년 ,16등위
'''S&P 국가 신용등급'''
'''B-'''
2016년, 16등위
1. 개요
2. 산업 구조
2.1. 수출 구조
2.2. 수입 구조
3. 관련 문서


1. 개요


몽골은 원자재를 수출하여 경제를 유지하는 국가다.[1] 주요 수출품의 82% 이상이 석탄, 구리 등의 광물이다.[2][3] 캐시미어 등도 6%의 비중을 차지하는 주요 수출품 중 하나다. 주로 석유제품(21%) 중장비-부품(17%), 자동차(13%) 등을 수입한다. 식량이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다.

2. 산업 구조


2003년 기준으로 몽골의 GDP 대비 산업 비율은 서비스업 50.4%로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농업(21.7%)과 광공업(27.9%) 등이 나머지를 채우고 있다.[4]
몽골은 10대 광물자원 부국으로 세계 4위의 석탄 매장량(1,750억 톤) 보유국이다. 그리고 구리(5,500만 톤)도 세계 12위의 매장량을 가지고있으며, 몽골의 원자재 수출 항목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다음으로 형석(1,400만 톤 : 세계 3위), 인(24억 톤 : 세계 3위), 텅스텐(7만 톤 : 세계 5위) 등이 존재한다. 상대적으로 적은 보유량이지만 우라늄(6만 톤)도 세계 14위의 매장량을 가지고 있으며 몰리브덴(21톤)도 세계 7위의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다. 2010년 몽골은 건설 시장의 규모를 키우고 있다. 규모는 약 3,500억 투그릭 수준이며 몽골 국내업체가 3,260억 투그릭의 비율을 차지한다.[5]
하지만 지금도 몽골 국민의 소득은 굉장히 낮으며[6] 국토에 비해 인구가 매우 적어서 내수가 빈약하다. 특히 경제가 자원수출에만 지나치게 집중되어 있다보니 산업도 다양화되어 있지 못한 형편이다. 그중에서 중국에 대한 자원 수출 의존도가 굉장히 높아 중국 경제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몽골을 먹여살리는 원자재 광물 수출 산업도 외국 기업들의 투자를 적극적으로 얻어내고 있지는 못한데, 민주주의 체제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국민성과 정부 성향에 공산주의의 잔재가 남아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자면 현재 한 호주 기업에서 몽골의 구리 광산에 투자하고 있는데, 몽골 정부에서는 해당 호주 기업에게 모든 개발비용 지불 및 2030년까지 몽골 정부에게 배당금 34% 지불 조건을 걸었었다. 왠만한 기업이라면 발 뺄 수준의 조건이고 반대로 보면 몽골 정부로서는 엄청난 득이 되는 계약이다. 문제는 이정도의 계약을 맺었음에도 몽골 국민들은 호주 기업에 너무 많은 편의를 준다며 비난하고 있다는 점이다. 해당 기업은 2013년부터 오류톨고이 광산을 개발해오고 있지만 몽골 정부의 이러한 많은 수익금 요구에 사업을 중단하기도 했었다. 기업 입장에서는 수익이 적은 계약을 맺는 것인데도 몽골 국민과 정부 모두 과거 공산주의 시절 잔재와 외국인에 대한 배타적 문화로 인해 외국 기업에게 이윤을 넘겨주기 싫어하다보니, 다른 외국 기업들이 투자를 꺼리게 되는 것이다.
몽골 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던 원자재 생산과 수출이 2012년 이후 세계적인 불경기에 직격탄을 받으면서 연 10%가 넘던 경제 성장률이 0.4%까지 추락해버렸다.[7] 2015년부터는 세계 원자재 시장에서 원자재 가격이 하락하면서 몽골 경제도 크게 어려워진다. 특히 몽골의 주요 거래국인 중국이 경기침체에 시달리면서 몽골 역시 영항을 받아 경제에 큰 타격을 받는다. 게다가 몽골의 오유톨고이 구리 광산을 둘러싼 영국 광산업체 리오틴토와 몽골 정부간의 갈등 이후 외국인 투자마저 크게 위축된 상황이다. 그 결과 2016년 6월 총선에서 여당인 몽골 민주당은 76석 중 9석만 챙기는 참패를 기록했다. 그리고 정부의 재정이 바닥을 드러내고 있고 투그릭의 가치가 11%가 떨어지는 등 경제적으로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에서 IMF의 지원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게다가 10년 주기로 오는 추위가 불행히도 2년 주기로 올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인도적인 위기를 겪고 있다.#
결국 국채가 5억 8000만 달러에 달하게 되면서 국가 부도 위기에 직면하게 되자 2017년 2월에 IMF로부터 3년간 4억 4000만 달러를 받는 것을 포함한 총 55억달러(약 6조3250억원)에 이르는 구제금융에 합의했다. 또한 몽골 총리가 대한민국에 방문하여 대한민국에게 경제원조를 받기로 하였다. 그 전서부터 몽골은 대한민국에 많은 경제원조를 받고 있는 국가 중 하나였다.

2.1. 수출 구조


[image]
2016년 몽골의 수출 구조, '''연갈색'''은 광산업, '''연황토색'''은 귀금속, 석재 및 유리, '''연두색'''은 섬유와 가구, '''노란색'''은 식품업과 목재, '''복숭아색'''은 철강업, '''연파란색'''은 기계업, '''연보라색'''은 운송 수단 관련, '''하늘색'''은 전자업, '''연자주색'''은 화학 및 플라스틱관련, '''연남색'''은 기타 미분류이다.

2.2. 수입 구조


[image]
2016년 몽골의 수입 구조, '''연갈색'''은 광산업, '''노란색'''은 식품업과 목재, '''연파란색'''은 기계업, '''연보라색'''은 운송 수단 관련, '''연자주색'''은 화학 및 플라스틱관련, '''하늘색'''은 전자업, '''연두색'''은 섬유와 가구, '''복숭아색'''은 철강업, '''연황토색'''은 귀금속, 석재 및 유리, '''연남색'''은 기타 미분류이다.

3. 관련 문서



[1] 흔히 유목이라는 이미지 때문에 주요 경제가 축산업(...)일 것이라 하지만 실제론 광산업이 경제의 중심이다.[2] http://terms.naver.com/entry.nhn?cid=3290&docId=1022576&mobile&categoryId=3290[3] 물론 예전에는 모직물등의 의류업 비중이 광산업과 비슷했으나 광산업의 비중을 크게 늘리면서 광산업이 경제의 중심이 되었다.[4]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177523&mobile&categoryId=200000188[5] http://terms.naver.com/entry.nhn?cid=592&docId=1022584&mobile&categoryId=592[6] 90년대 체제전환 과정에서 이런저런 애로사항이 겹친데다가 90년대 말에 IMF 외환위기가 닥쳐오는 바람에 2000년대가 되어서야 경제성장 국면에 접어들게 된 영향이 크다. 사실 공산주의 시절에도 타 동구권 국가에 비해서 그리 잘살았던 편은 아니다.[7] 그러나 2017년부터 회복해서 현재 2년 연속 6.9%의 안정된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