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릉도장

 


'''무릉도장'''
'''마크'''
[image]
'''인접 마을'''
무릉
'''추천레벨'''
입문: 105~200
통달: 201~300
'''BGM'''

무릉도장 대청 / 무릉도장 1~79층
Mu Lung Dojo 1

'''무릉도장 80층'''
Mu Lung Dojo 4

Mu Lung Dojo 2[1][2]

Mu Lung Dojo 3[3]
1. 개요
2. 상세
2.1. 빅뱅 이전
2.2. 리:부트 패치 이전
2.3. 리:부트 패치 이후
3. 층별 몬스터 일람 (KMS 1.2.325 이후) (현재)[4][5]
4. 공략
5. 직업 격차
5.1. 유리한 직업
5.2. 불리한 직업
6. 보상
6.1. 구간별 포인트
7. 명성치 팔이
7.1. KMS 1.2.325 이후
9. 기타
10.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무릉에서 가장 강한 무공이 세운 무릉 도장, 각 층의 적들을 물리치고 정상의 영광을 차지하자.

메이플스토리보스 사냥 콘텐츠2008년 9월 25일에 추가되었다. 높은 탑 같은 '무릉도장'에 입장하여 각 층마다 등장하는 보스 몬스터를 무찌르며 올라가 최종 층까지 도달하는 것이 목적이다. 동양식 탑에서 고수들을 무찌르며 탑을 오른다는 컨셉은 이소룡 주연의 영화 사망유희가 모티브가 된 듯 하다.
필드맵으로서의 무릉이 존재감이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무릉'''이라고 하면 이곳을 지칭한다.

2. 상세


무릉 사원에서 이동하거나 여러 마을의 빠른 이동, 차원의 거울을 통해서 올 수 있는 105레벨부터 참여할 수 있는 랭킹 컨텐츠이다. 노말모드, 하드모드, 랭킹모드가 하나의 랭킹 모드로 통합이 되었고, 입문, 숙련, 통달의 3그룹으로 분리된 랭킹을 제공하도록 바뀌었다. 그룹과 직업 랭킹에 따라 상위 등수의 유저는 기존과 동일하게 강력한 장갑을 획득할 수 있고, 그 외 랭킹 백분율에 따라 용쟁호투 무릉도장 전용 상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가 제공된다.

2.1. 빅뱅 이전


무릉도원의 추가와 함께 새롭게 등장. 총합 38층으로, 각지의 마스터 몬스터/보스 몬스터와 동일한 스펙의 몬스터가 등장한다. 도핑을 하고 들어갈 수는 있으나 안에서는 포션 아이템을 사용할 수 없다. 무릉도장 안의 몬스터를 잡으면 포션이 드랍되며 먹는 즉시 사용된다. 파티로 입장하는 보스러쉬 던전이다. 보통은 23층 주니어 발록에서 실패하거나 37층 파풀라투스에서 실패한다. 무릉도장 내에서는 때린 대미지와 타수에 따라 포인트가 주어지는데, 이를 일정량 소비하고 적에게 디버프를 걸거나 큰 대미지를 입힐수 있었다. 클리어 혹은 패배 이후 모인 포인트가 환산되었고, 이 포인트를 모아 당대 최강의 벨트였던 무공의 벨트나 공마력 기본 수치를 보고 영웅의 장갑을 받아갔다.(잠재능력이 없던 시기였다.) 당시에는 같은 보스 100회 격파시 훈장이 주어지는 등의 특징도 있었다.
[image]
2009년 5월 28일에는 다음 층으로 갈 때, 낮은 확률로 거짓말 탐지기가 걸리도록 패치되었다.
여담으로 그 당시에는 6층마다 쉼터가 있었고 1층의 마노부터 13층의 다일까지는 엘린숲 파퀘의 스프라이트의 효과음이나 오르비스의 네펜데스의 효과음이 났었다.

2.2. 리:부트 패치 이전


이런 무릉도장은 빅뱅 이후 개편이 거듭되면서 기존과는 전혀 달라졌다. 2015년 당시에는 총 47층, 40라운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층마다 마스터 몬스터나 보스 몬스터가 한 마리씩 등장한다. 다섯 라운드마다 몬스터가 나오지 않는 쉼터 층이 하나씩 있으며 이 무릉도장의 최종보스는 무공이며 가장 인기 있는 모드는 랭킹 모드이다. 그만큼 가장 어려우며 웬만한 스공으론 클리어가 불가능하다.[6] 랭킹모드의 기록은 각 월드마다 1위에서 50위까지 랭킹이 있는데, 1위는 말 그대로 그 월드 내 최강자며, 보통 4, 5분대에 클리어한다. 말 그대로 괴물들인데, 이 유저들의 클리어 타임을 결정짓는건 몹의 젠 시간이었지만 언리미티드 이후로 무릉도장 내의 몬스터 젠 시간이 패치되면서 젠 타임 문제는 해결되었다.
2015년 3월 26일 '승' 더 시드 R 패치로 직업별 무릉이 현실화되면서 비인기직업도 무공과 소공을 딸 수 있게 되었다. 직업별 랭킹에 의해 무공과 소공을 분배하기 때문에, 패치 전까지 무릉 상위권이던 직업들은 순식간에 '''장갑 구경도 힘든 직업으로 추락'''.
직업별 무릉을 위시한 패치의 결과로 장갑 분배 방식이 바뀌었는데, 아래는 종전 보상 체계와 더 시드 R 패치 이후의 보상이다. 사용 기한은 일주일 고정에서 랭킹 초기화 전 월요일 자정으로 변경되었다.
보상 아이템
기존
더 시드 R 패치 이후
영웅의 장갑
전체 랭킹 1위
전체 랭킹 1위
무공의 장갑
전체 랭킹 2위 ~ 10위
직업 랭킹 1위[7]
소공의 장갑
전체 랭킹 11위 ~ 50위
직업 랭킹 2, 3위

그러다가 12주년 패치로 무릉도장에서 보스를 격파하면 타이머가 10초간 일시 정지되고 10초가 지나거나 다음 층으로 이동 시 타이머가 재개되도록 개선되었고 '''쉼터가 삭제'''되어 40층까지 연속적으로 진행된다. 랭킹 초기화 주기가 1일에서 1주일로 변경되며 월요일 자정에 랭킹이 초기화되고 일요일 23시 30분부터 월요일 00시 30분 까지 랭킹합산을 위해 무릉도장 랭킹모드 이용이 제한된다.
무릉 랭킹모드는 시간렉을 위시한 문제가 있다. 혼테일의 유혹 피해 최소화 원리와 동일하다. 정확히는 '창잡이'(창모드에서 창 잡고 흔들기 or 창에 우클릭하고 가만히 있기). 이후 이 현상을 이용해 고스트파크 21단계를 날로 먹자 결국 수정되었다.

2.3. 리:부트 패치 이후


2015년 7월 13일 리:부트 업데이트 1차 패치로 무릉도장 랭킹모드가 입장제한조치되었고 7월 23일 투입을 예정으로 개편을 실시했다. '''105레벨'''부터 참여할 수 있으며 기존에 있던 모드가 제거되고 '''입문(레벨 105~140), 숙련(레벨 141~180), 통달(레벨 181 이상)의 3그룹으로 분리된 랭킹 모드로 변경'''[8]되었으며 통달 그룹은 전체 랭킹과 직업 랭킹이 분리되어 있다. 플레이 후 금주 최고 기록을 달성하게 되면 랭킹에 등록할 수 있다. 플레이 기록은 격파한 층과 누적 소요 시간으로 구성이 되며, 격파한 층이 높을수록 상위 랭킹에 올라가게 된다. 격파한 층이 동일한 경우 해당 층까지 걸린 시간이 짧을수록 상위 랭킹에 올라가고, 격파한 층과 누적 소요 시간이 동일한 경우 먼저 기록을 등록한 유저의 랭킹이 상위 랭킹으로 집계된다. 매주 일요일 오후 11시 30분부터 월요일 0시 30분까지 최종 집계가 되며 매주 월요일 자정 기준으로 랭킹이 초기화된다. 이 시간동안 용쟁호투 무릉도장에 참여할 수 없으며, 랭킹 조회와 기록 보상을 획득할 수 없다.
주의할 점은, 입문(레벨 140) 혹은 숙련(레벨 180) 단계의 캐릭터가 기록을 세운 후 이후 레벨업을 하여 등급이 바뀌면, 그 주의 '''무릉도장 기록이 아예 날아가기 때문에 다시 돌아야 한다.''' 심지어 집계 1분전에 기록을 세워서 집계시간 중에 레벨업을 하여 등급이 바뀐 경우에도 '''기록이 삭제된다.'''[9] 부캐들로 무릉돌이를 하는 유저들은 이 점에 신경써야 한다.
랭킹 초기화 이후 전주 랭킹을 기준으로 등수에 맞는 장갑과 칭호를 획득할 수 있고, 랭킹 백분율에 따라 용쟁호투 무릉도장의 상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를 획득하게 된다. 매 층을 격파할 때 마다 용쟁호투 무릉도장의 상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가 지급된다. 지급되는 포인트는 매 층마다 10포인트를 받게 되며, 10층, 20층, 30층, 40층을 격파할 때 추가로 100포인트씩 획득할 수 있다. 단, 포인트는 최대 10만 포인트까지 소지할 수 있다. 각 그룹별 랭킹 백분율에 따라 추가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아랫마을 패치로 용쟁호투 무릉도장에 입장 후 전투 시 기존 대미지의 1/10로 감소된 대미지가 적용되며 최대 대미지는 기존과 동일한 대신 대미지가 보정된 것에 맞추어 등장하는 보스의 체력도 감소했다.[10] 그리고 31층 ~ 39층에서 보스의 등장 방식이 변경되었는데 기존과 동일하게 33층, 36층에서는 동시에 '''2마리''', 39층에서는 '''동시에 3마리가 등장'''하고, 등장한 보스를 모두 물리쳐야 다음 층으로 올라갈 수 있다. 31층, 32층, 34층, 35층에서는 '''등장한 보스를 물리치면 다시 동일한 보스가 등장하며 두 번째 등장한 보스도 물리쳐야 다음 층으로 올라갈 수 있고''' 37층, 38층에서는 보스가 총 3번 순차적으로 등장해서 3번째 등장한 보스를 물리쳐야 다음 층으로 올라갈 수 있도록 바꿨다. 21층 ~ 29층은 부하 5마리와 같이 나오는데 스공과 보공이 충분히 받쳐주면 부하들은 원킬이 나온다.
각 그룹별 순위 보상
통달
숙련
입문
전체 랭킹 1위
[장갑] 영웅의 장갑
[칭호] 10갑자의 내공을 가진 자
랭킹 1위
[장갑] 소공의 장갑
[칭호] 2갑자의 내공을 가진 자
랭킹 1위
[장갑] 도사의 장갑
[칭호] 1갑자의 내공을 가진 자
직업 랭킹 1위
[장갑] 무공의 장갑
[칭호] 5갑자의 내공을 가진 자
랭킹 2위, 3위
[장갑] 도사의 장갑
랭킹 2위, 3위
[장갑] 견습 도사의 장갑
직업 랭킹 2위, 3위
[장갑] 소공의 장갑
-
헌데 그 전보다 오히려 직업을 더 많이 타게 됐었다. 다수기가 속사류인 직업은 편안하게 넘어가는데, 1:1이 주력[11]이거나 분당 타격횟수가 떨어지는 직업[12]들은 클리어조차 힘들다. 그 말 많은 팬텀도 6월 밸런싱에서 얼티밋 드라이브가 상향되지 않았다면 폭풍의 시를 써야 했기 때문에 클리어 범주에 들어가기 힘들었을지도 모른다. 이 직업빨은 무릉 내에서의 대미지를 1/10으로 감소시키고, 5차 패치로 맥뎀이 사실상 사라져서(1500억. 무릉 내에선 대미지 1/10이 붙어있으니 맥뎀 뜨려면 실제로는 '''1조 5000억'''이 떠야 한다.) 어느정도 해결됐다.
기본적으로는 이전의 무릉도장과 같이 보스러쉬 형식을 취하며, 전부 다 잡아야 다음 층으로 진행할 수 있다.[13] 방식은 타임어택에서 15분 내 주파 형식으로 변경[14]. 10의 배수 층(= 군단장 출현 층)에서는 15초 쿨다운으로 물약 사용이 가능하며, 나머지는 현행대로 물약 사용 불가. 1 ~ 20층은 이전과 같이 1:1 체제이며, 21 ~ 30층은 보스와 부하 5마리가 동시에 출현하는 체제, 31 ~ 39층까지는 2마리 이상의 보스가 동시에 출현하는 체제이다. 그리고 40층 매그너스의 레벨은 215이기 때문에 낮은 레벨로 섣불리 도전하다가는 고통받다가 시간제한이 끝나므로 주의해야 한다. 통달 기준으로 추천 레벨은 220~225 이상이며 이유는 알다시피 대미지 무효화(1대미지) 최소화 차원.
2016년 12월 22일자 BEYOND 패치에서는 전체 층이 41층에서 63층으로 늘어났다. 그리고, 이때까지는 마지막 층 빼고는 10층마다 물약 사용이 가능했는데, 마지막 층인 63층을 제외한 41층 이상의 나머지 층에서 모두 15초 쿨타임의 물약 사용이 가능해졌다. 또, 무릉도장 내 일부 보스급 몬스터를 제외한 모든 몬스터에 지정된 비율에 따라 확률적으로 인파이트, 아웃복싱, 변칙의 3가지 성향을 가지는, 성향 시스템이 적용된다. 인파이트 성향 몬스터는 대쉬로 적과의 거리를 좁히며, 아웃복싱 성향 몬스터는 적과 일정 거리를 유지하며, 변칙 성향 몬스터는 임의의 지점으로 텔레포트하며 공격한다. 그리고 또, 무릉도장 내 일부 보스급 몬스터를 제외한 모든 몬스터에 특수 스킬 시스템이 적용되는데 종류는 아래와 같다.
적 상태 이상 시 공격속도 증가
적 상태 이상 시 HP 회복
사망 시 일정시간 동안 무적 상태로 부활
사망 시 폭발[15]
사망 시 행동 불가 디버프
==# 층별 몬스터 일람 (RE:BOOT 패치 ~ KMS 1.2.324) #==
  • 무릉도장의 모든 보스는 몬스터 방어율이 50%이다. (단, 21 ~ 29층에서 등장하는 보조몬스터는 방어율이 10%이다)
  • 카오스 벨룸의 방어율이 너프된 지금은 사실상 무릉도장 층수컷로 노멀 데미안 이상의 최상위보스 파티를 짠다.
층수
몬스터
레벨
체력[16]
누적 체력[17]
비고
01층
마노
100
5,200,000
5,200,000

02층
머쉬맘
102
5,740,800
10,940,800

03층
스텀피
104
6,307,200
17,248,000

04층
블루 머쉬맘
106
6,930,000
24,178,000

05층
좀비 머쉬맘
108
7,549,200
31,727,200

06층
킹 슬라임
110
12,342,000
44,069,200

07층
다일
113
13,923,000
57,992,200

08층
킹크랑
115
15,105,000
73,097,200

09층
파우스트
118
16,846,000
89,943,200

10층
반 레온
120
100,000,000
271,761,382
모든 속성 반감 (물리공격 포함)
11층
메탈 골렘
120
40,824,000
312,585,382

12층
엘리쟈
123
45,404,550
357,989,932

13층
주니어 발록
125
48,593,250
406,583,182

14층
구미호
128
55,350,000
461,933,182

15층
데우
130
61,600,500
523,533,682

16층
제노
132
68,121,000
591,654,682

17층
타이머
135
78,840,000
670,494,682

18층
포장마차
138
90,011,250
760,505,932

19층
태륜
140
97,902,000
858,407,932

20층
힐라
143
1,500,000,000
3,585,680,659
모든 속성 반감 (물리공격 포함) [18]
21층
파파픽시 + 러스터픽시
145
130,536,000
3,716,216,659

22층
알리샤르 + 블랙라츠
148
159,138,000
3,875,354,659

23층
데비존 + 캡틴
150
190,350,000
4,065,704,659

24층
디트와 로이 + 네오 휴로이드
153
242,424,000
4,308,128,659

25층
프랑켄로이드 + 미스릴 뮤테
155
405,504,000
4,713,632,659

26층
키메라 + 호문스큘러
158
497,040,000
5,210,672,659

27층
포이즌 골렘 + 믹스골렘
160
596,496,000
5,807,168,659

28층
요괴선사 + 묘선
163
706,176,000
6,513,344,659

29층
크림슨 발록 + 타우로스피어
165
824,256,000
7,337,600,659

30층
아카이럼
168
3,000,000,000
12,792,146,114
모든 속성 반감 (물리공격 포함) [19]
보통 29층까지 격파할 수 있는지가 3루타[20] 이론상 최소컷 기준이다.
고스펙의 경우 잡몹을 소울 웨폰으로 한번에 청소해버리는 전략을 즐겨 쓴다.
31층
마뇽
170
2,108,240,000
17,008,626,114
2마리 연달아 등장
32층
그리프
175
2,526,520,000
22,061,666,114
2마리 연달아 등장
33층
스노우맨
180
2,976,000,000
25,037,666,114
2마리 동시에 등장
34층
파풀라투스
185
3,464,920,000
31,967,506,114
2마리 연달아 등장
35층
교도관 아니
190
3,986,640,000
39,940,786,114
2마리 연달아 등장
36층
레비아탄
195
4,551,000,000
44,491,786,114
2마리 동시에 등장
37층
도도
200
5,149,760,000
59,941,066,114
3마리 연달아 등장
38층
릴리노흐
205
6,474,960,000
79,365,946,114
3마리 연달아 등장
39층
라이카
210
7,971,840,000
87,337,786,114
3마리 동시에 등장
40층
매그너스
215
8,000,000,000
101,883,240,659
모든 속성 반감 (물리공격 포함)
30층까지는 10n층 몬스터가 그 위층 몬스터들과 비교해도 꽤 높은 HP를 가지고 있는데, 30층 위로는 그런 거 없다. 단일개체 HP는 34층부터 30층을 능가하며, 둘 이상 나오는 걸 감안하면 당장 31층부터 아카이럼의 HP를 넘어가버린다.
210 이상에 어느 정도의 아케인포스를 갖춘 유저들이 대개 이 구간에 속한다. 직업에 따라 다르지만, 32~33층 이상을 격파할 경우 3루타, 36층 이상일 경우 카오스 벨룸까지 혼자서 격파할 수 있는 스펙이라고 한다.[21] 36층을 격파할 경우 이론상 노말 스우 트라이팟 최소컷이다.[22]
이 구간의 대표적인 난관은 34층과 39층. 특히 물몸 직업군들[23]에게는 세 번째 장벽이 된다. 34층의 파풀라투스는 순간이동을 자주 써서 이리저리 옮겨다니며 자체 대미지도 높아 피가 빠르게 깎여나가 죽는 사람들이 많다. 39층 라이카는 유혹을 자주 걸며 공격패턴 시전속도가 빠른데다가 3마리가 동시에 이러니 이전까지 풀피로 올라와도 금세 다 깎여나간다. 38층 릴리노흐 역시 위 둘만큼은 아니어도 순간이동을 꽤 자주 하는 편.[24] 이는 40층 이전까진 물약 사용이 불가능하므로 어쩔 수가 없는데, 미리 헤븐즈 도어를 받고 가거나 길드의 리저렉션 스킬을 준비하고 가서 일부러 죽은 후 그 자리에서 풀피로 부활해서 공략하는 방법이 있다. 또는 아란과 에반의 유니온 효과를 이용해 피/마나 회복을 노리는 방법밖에 없다.
40층인 매그너스 역시 만만치 않은데, 비록 물약 사용도 가능하고 딱히 위협적인 패턴도 없지만, 체력만 해도 무려 카오스 피에르와 맞먹는데다 매그너스 특성상 이리저리 계속 왔다갔다하기 때문에 파풀라투스 이상으로 딜로스가 많이 발생할 수 있다.
41층
킹 오멘
220
42,000,000,000
143,883,240,659

42층
게오르크
220
63,000,000,000
206,883,240,659

43층
에피네아
220
84,000,000,000
290,883,240,659
[25]
44층
크세르크세스
220
105,000,000,000
395,883,240,659
[26]
45층
타르카
220
105,000,000,000
500,883,240,659
3마리 동시에 등장[27]
46층
스칼리온
230
210,000,000,000
710,883,240,659

47층
라바나
230
315,000,000,000
1,025,883,240,659

48층
타란튤로스
230
420,000,000,000
1,445,883,240,659
[28][29][30]
49층
드래고니카
230
525,000,000,000
1,970,883,240,659

50층
드래곤라이더
230
525,000,000,000
2,495,883,240,659
3마리 동시에 등장[31]
51층
호크아이
240
630,000,000,000
3,125,883,240,659

52층
이카르트
240
735,000,000,000
3,860,883,240,659

53층
이리나
240
840,000,000,000
4,700,883,240,659

54층
오즈
240
945,000,000,000
5,645,883,240,659

55층
미하일
240
1,050,000,000,000
6,695,883,240,659
리부트 월드 최고 격파층
56층
시그너스
240
1,155,000,000,000
8,795,883,240,659
모든 속성 반감 (물리공격 포함)
57층
아랑
250
1,260,000,000,000
10,055,883,240,659
[32]
58층
봉선
250
1,365,000,000,000
11,420,883,240,659

59층
오공
250
1,470,000,000,000
12,890,883,240,659

60층
송달
250
1,575,000,000,000
14,465,883,240,659

61층
황룡
250
1,680,000,000,000
16,145,883,240,659

62층
적호
250
1,785,000,000,000
17,930,883,240,659

63층
'''무공'''(최종보스)
250
2,000,000,000,000[33]
21,567,246,877,023
모든 속성 반감 (물리공격 포함)
40층 이후로 체력이 미친 듯이 뛰어오른다. 아케인포스를 차곡차곡 쌓아 주스탯 1만을 넘기며 한 층씩 올라온 비교적 라이트한 고레벨 유저는 41층부터 피가 안 까이는 현상을 볼 지도 모른다. 56층 시그너스는 반감 속성이라서 오랜 시간동안 난공불락의 영역이었다. 여담으로 44층 크세르크세스는 원래 '''15층'''에 등장했었다.
높아지는 체력과 함께 보스들의 공격력도 이전보다 상당히 높아지는데, 방어력이 약한 직업들의 경우 보스들의 일반적인 공격만으로도 '''다섯 자리 수 대미지가 뜰 정도'''. 그나마 이 구간부터는 10n층 이외의 층에서도 물약 사용이 가능하니 40층 이전보다는 낫지만 물몸 직업군은 한두 대 맞고 비득할 수도 있으니 주의.
스우 트라이팟이 36층이면 된다고는 하지만 정직하게 그 스펙끼리 몰려가면 스우의 인성질에 10분도 안 돼서 다 나가떨어지기 때문에[34] 스우&데미안 파티를 구할 땐 적어도 42층, 또는 43층끼지 잡아내는 유저들을 데려간다. 노말 루시드, 윌도 최소컷은 44~45층이나 똑같은 이유로 46~47층 이상을 선호(포스 각각 540, 1140 이상)[35].. 파티플 시너지가 높은 직업(비숍, 배메, 노말루시드 한정 캐슈 등)은 이까지 못 가도 끼워주긴 하지만.
===# 클리어에 관하여 #===
층에 들어가고 몬스터가 나오기까지 4~5초정도의 딜레이가 있으니 15분만에 무릉도장을 전부 클리어하려면 무릉도장 밖에서 비반감 허수아비를 상대로 10분동안 약 215조, 초당 평균 약 3595억의 대미지를 입혀야 한다. 맥뎀이 100억이라 이런 유저는 사실상 없는거나 마찬가지라고 봐도 무방하다.
재사용 어빌리티를 가진 엔드스펙 불독이[36] 인피니티와 시드링을 초기화시키며 다른직업에 비해 더욱 높은 무릉기록을 세웠는데,[37] 2019년 2월 28일 패치로 일정 확률로 재사용 대기시간 미적용 어빌리티나 타임 리프나 같은 쿨타임 초기화 스킬들로 더 이상 초기화되지 않도록 바뀌었다. 이는 다른직업들의 격차와 재사용 어빌리티의 랜덤성을 막기 위한 패치였다.
TMS에서는 KMS보다 훨씬 일찍 63층을 클리어했다.# 직업은 하야토. 대미지가 1/10이 되는 무릉도장에다 전속성 반감인 무공에게 맥뎀이 뜬다. 일반 보스몹에겐 1000억~2000을 띄운 셈이다. 단 TMS는 KMS와 다르게 스펙업이 훨씬 쉽기 때문에 KMS와 스펙을 비교할순 없다.
GMS에서도 클리어했다#
2019년 2월 27일, 드디어 KMS에서도 무릉도장을 클리어한 사람이 나왔다. # 기록은 14분 55초[38]
2019년 8월 8일 KMS에서 무릉도장을 클리어한 두 번째 유저가 나왔다 직업은 스트라이커[39] 기록은 14분 33초
2019년 8월 9일 신해조듀얼블레이더로 세 번째 클리어를 했다. 기록은 14분 33초
2019년 8월 27일 신해조가 듀얼블레이더에서 자유전직을 한 섀도어로 다시 한 번 클리어를 했다. 기록은 14분 29초.
2019년 8월 28일 KMS 최초로 63층을 클리어한 불독 유저가 극한의 빌드를 짜내 '''11분 37초'''만에 63층을 클리어하며 신기록을 갱신했다. 메이플 인벤

3. 층별 몬스터 일람 (KMS 1.2.325 이후) (현재)[40][41]


<rowcolor=#ffffff> '''층수'''
'''몬스터'''
'''레벨'''
'''체력'''[42]
누적 체력[43]
'''누적 체력 증가율'''
'''비고'''
<colbgcolor=#4c4c4c><colcolor=#ffffff> 01층
마노
100
5,200,000
5,200,000
-
[44]
02층
머쉬맘
102
5,740,800
10,940,800
110.40%

03층
스텀피
104
6,307,200
17,248,000
57.65%

04층
블루 머쉬맘
106
6,930,000
24,178,000
40.18%

05층
좀비 머쉬맘
108
7,549,200
31,727,200
31.22%

06층
킹 슬라임
110
12,342,000
44,069,200
38.90%

07층
다일
113
13,923,000
57,992,200
31.59%

08층
킹크랑
115
15,105,000
73,097,200
26.05%

09층
파우스트
118
16,846,000
89,943,200
23.05%
[45]
10층
반 레온
120
100,000,000
280,419,390
211.77%
모든 속성 반감
11층
메탈 골렘
120
40,824,000
321,243,390
14.56%
[46]
12층
포장마차
123
45,404,550
366,647,940
14.13%

13층
주니어 발록
125
48,593,250
415,241,190
13.25%
[47]
14층
엘리쟈
128
55,350,000
470,591,190
13.33%

15층
크림슨 발록
130
61,600,500
532,191,690
13.09%

16층
'''설산의 마녀'''
132
68,121,000
600,312,690
12.80%

17층
'''세르프'''
138
78,840,000
679,152,690
13.13%
[48]
18층
데우
138
90,011,250
769,163,940
13.25%

19층
파파픽시
140
97,902,000
867,065,940
12.73%
[49]
20층
힐라
143
1,500,000,000
3,724,208,798
329.52%
모든 속성 반감[50]
21층
디트와 로이 + 네오 휴로이드
145 / 145
130,536,000
3,854,744,798
3.51%

22층
키메라 + 호문스큘러
148 / 148
159,138,000
4,013,882,798
4.13%

23층
프랑켄로이드 + 미스릴 뮤테
150 / 150
190,350,000
4,204,232,798
4.74%

24층
차우 + 원시멧돼지
153 / 153
242,424,000
4,446,656,798
5.77%

25층
에피네아 + 샤이닝 페어리
155 / 155
405,504,000
4,852,160,798
9.12%
[51]
26층
'''롬바드''' + 킹 블록골렘
158 / 158
497,040,000
5,349,200,798
10.24%

27층
타이머 + 틱톡
160 / 160
596,496,000
5,945,696,798
11.15%

28층
'''마스터 스펙터''' + 사신 스펙터
163 / 163
706,176,000
6,651,872,798
11.88%

29층
'''마스터 버크''' + 듀얼 버크
165 / 165
824,256,000
7,476,128,798
12.39%

30층
아카이럼
168
3,000,000,000
13,190,414,512
76.43%
모든 속성 반감[52]
31층
마뇽 × 2
170
2,108,240,000 x 2
17,406,894,512
31.97%
[53]
32층
그리프 × 2
175
2,526,520,000 x 2
22,459,934,512
29.03%
[54]
33층
크세르크세스 × 2
180
2,976,000,000 x 2
28,411,934,512
26.50%

34층
파풀라투스 × 2
185
3,464,920,000 x 2
35,341,774,512
24.39%
[55][56]
35층
알리샤르 × 2
190
3,986,640,000 x 2
43,315,054,512
22.56%

36층
스노우맨 × 2
195
4,551,000,000 x 2
52,417,054,512
21.01%

37층
'''리치''' × 2
200
5,149,760,000 x 2
62,716,574,512
19.65%

38층
교도관 아니 × 3
205
6,474,960,000 x 3
82,141,454,512
30.97%

39층
킹 오멘 × 3
210
7,971,840,000 x 3
106,056,974,512
29.12%
[57]
40층
매그너스
215
8,000,000,000
121,295,069,750
14.37%
모든 속성 반감
41층
타르가
220
42,000,000,000
163,295,069,750
34.63%

42층
스칼리온
220
63,000,000,000
226,295,069,750
38.58%
[58]
43층
요괴선사
220
84,000,000,000
310,295,069,750
37.12%
[59]
44층
데비존
220
105,000,000,000
415,295,069,750
33.84%

45층
라바나
220
105,000,000,000
520,295,069,750
25.28%
[60][61]
46층
레비아탄
230
210,000,000,000
730,295,069,750
40.36%
[62]
47층
도도
230
315,000,000,000
1,045,295,069,750
43.13%

48층
릴리노흐
230
420,000,000,000
1,465,295,069,750
40.18%
[63]
49층
라이카
230
525,000,000,000
1,990,295,069,750
35.83%
[64]
50층
'''핑크빈'''
230
525,000,000,000
2,990,295,069,750
50.24%
모든 속성 반감[65]
51층
'''락 스피릿'''
240
630,000,000,000
3,620,295,069,750
21.07%

52층
타란튤로스
240
735,000,000,000
4,355,295,069,750
20.30%
[66]
53층
드래고니카
240
840,000,000,000
5,195,295,069,750
19.29%

54층
드래곤 라이더
240
945,000,000,000
6,140,295,069,750
18.19%

55층
호크아이
240
1,050,000,000,000
7,190,295,069,750
17.10%
[67]
56층
이카르트
245
1,155,000,000,000
8,345,295,069,750
16.06%

57층
이리나
245
1,260,000,000,000
9,605,295,069,750
15.10%
[68]
58층
오즈
245
1,365,000,000,000
10,970,295,069,750
14.21%
[69]
59층
미하일
245
1,470,000,000,000
12,440,295,069,750
13.40%

60층
시그너스
245
1,575,000,000,000
15,440,295,069,750
24.12%
모든 속성 반감[70] [R최고층]
61층
'''피아누스'''
250
1,680,000,000,000
17,120,295,069,750
10.88%
[71]
62층
'''렉스'''
250
1,785,000,000,000
18,905,295,069,750
10.43%

63층
'''카웅'''
250
1,890,000,000,000
20,795,295,069,750
10.00%

64층
'''변형된 스텀피'''
250
1,911,000,000,000
22,706,295,069,750
9.19%
[72]
65층
'''하늘 수호령'''
250
1,932,000,000,000
24,638,295,069,750
8.51%

66층
'''게오르크'''
255
1,953,000,000,000
26,591,295,069,750
7.93%

67층
'''타락마족 강화늑대기수'''
255
1,974,000,000,000
28,565,295,069,750
7.42%

68층
'''아르마'''
255
1,995,000,000,000
30,560,295,069,750
6.98%
[73]
69층
'''츄릅나무'''
255
2,016,000,000,000
32,576,295,069,750
6.60%

70층
'''스우'''
255
2,100,000,000,000
36,576,295,069,750
12.28%
모든 속성 반감
71층
'''클리너'''
260
2,310,000,000,000
38,886,295,069,750
6.32%

72층
'''악화된 조화의 정령'''
260
2,625,000,000,000
41,511,295,069,750
6.75%

73층
'''증발하는 에르다스'''
260
2,940,000,000,000
44,451,295,069,750
7.08%

74층
아랑
260
3,255,000,000,000
47,706,295,069,750
7.32%
[최고층] [74]
75층
봉선
260
-
-
-

76층
오공
260
-
-
-

77층
송달
260
-
-
-

78층
황룡
260
-
-
-

79층
적호
260
-
-
-

80층
'''무공'''
260
20,000,000,000,000
-
-
모든 속성 반감
> 무릉도장의 전체층이 63층에서 80층으로 늘어납니다.
> 무공은 80층에서 등장하며 기존 몬스터 배치가 변경되고 새로운 몬스터가 배치됩니다.
>
> 입장 시 모든 버프와 소환수가 사라지고 로비층에 입장하게 됩니다. 로비층에서는 버프를 걸 수 있으며 30초 동안 무릉도장 타이머가 정지됩니다.
>
> 직업별 편차 완화를 위해 30층 이상에서는 복수의 몬스터가 동시에 등장하지 않게 됩니다.
>
> 입문과 숙련 구간이 입문으로 통합되고 통달 구간은 201레벨부터 도전할 수 있게 됩니다.
>
> 입문 구간은 105레벨에서 200레벨이 도전할 수 있습니다.
이 패치를 통해 기존 무릉도장 층별 배치 몬스터가 대부분 변경되었다. 무공 격파자가 본섭에 4명밖에 없는데 갑작스런 확장으로 여러가지로 의견이 나뉘고있다.
시그너스 이하는 50% / 10% (잡몹) 시그너스부터 100%, 스우부터 150%, 무공은 200%의 방어율을 가지도록 패치되었다.
몇몇 몬스터는 삭제되었고,[75] 새로 등장한 몬스터도 있다. 그런데 일반몹임에도 불구하고 추가된 경우가 발생해서[76]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위화감이 들게 만든다.
몬컬을 할 때 도움이 되는 층은 15층 크림슨 발록과 19층 파파픽시. 23층 프랑켄로이드는 일반만 가능하다.

4. 공략


무릉도장은 기록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서 빌드를 잘 짜는 것이 중요하다. 직업별로 특성이나 무릉에서의 상성, 극딜기 쿨이 천차만별이라서 딱 정해진 공략법은 없고, 직업별로 빌드 짜는 방법도 전부 다 다르다. 대신 대다수 직업들이 기록을 1초라도 줄이기 위해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쿨돌리기
무릉도장은 기본적으로 몬스터를 잡으면 약 10초간 타이머가 멈춘다. 만약 듀얼블레이드의 블레이드 토네이도+카르마 퓨리나 불독의 도트 퍼니셔처럼 쿨타임이 10~20초 내외 정도 밖에 안 되는 극딜기가 있다면 몇초 내에 몬스터를 잡을 수 있는 저층구간에서는 바로 다음 층으로 넘어가지말고 쿨타임이 4~5초 정도 남을 때까지 기다린 후에 다음층으로 넘어가서 몬스터가 등장하자마자 바로 쿨짧은 극딜기를 사용해서 순식간에 끝내버리자.
  • 시드링 스위칭
무릉도장에서는 시드링을 여러개 구비해두고 잘만 활용하면 기록을 좀 더 단축할 수 있다. 스펙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40층 이후 나오는 몬스터 중 평딜만으로도 충분히 잡을 수 있지만 시간이 좀 걸리고, 그렇다고 극딜을 쓰기에는 아까운 애매하게 체력이 높은 몬스터들이 등장하는 구간이 있을 것이다. 이런 몬스터들이 등장하는 층에서는 크리데미지 링, 링 오브 썸, 리스크테이커 링 등 마이너한 시드링을 시전하면 평딜만으로도 유사극딜 수준의 딜을 넣어서 빠르게 끝낼 수 있다. 당연하지만 현재 스펙으로도 체력이 감당 안 돼서 몇분 동안 싸워야하는 층에서는 잡시드링을 쓰지말고 리스트레인트 링이나 웨폰퍼프 링 등 고성능 시드링으로 상대하는 것이 좋다.
참고로 시드링은 스위칭 하는데 시간이 좀 걸리기 때문에 몬스터와 전투 도중에 스위칭을 시도하면 오히려 딜로스가 발생할 수 있다. 때문에 다음 층으로 넘어가기 직전에 시드링을 미리 스위칭 해두는 것이 좋다.
  • 극딜 주기 계산
주력 극딜기 역시 아무 때나 막 사용했다간 정작 극딜이 필요한 보스에게는 사용하지 못하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다. 그러니 자기 캐릭터의 극딜 주기나 특정 층을 격파하는데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지 잘 기억해두고 주력 극딜기를 사용할 타이밍을 잘 재는 것이 중요하다.
  • 사람이 적은 시간에 이용하기
무릉도장은 기본적으로 층에 입장 후 몇 초 뒤에 몹이 소환되는 형식이라 서버렉에 영향을 매우 많이 받는다. 서버렉이 있으면 몹이 소환되는 타이밍이 늦어지는데, 50층 기준으로 0.5초씩만 늦어지더라도 25초, 1초씩 늦어진다면 50초나 되는 시간 손해가 발생한다. 몇 초 차이로 층수가 갈리기도 하고 그 몇 초를 앞당기기 위해 시드링을 몇 개씩이나 스위칭하기도 하는 무릉도장 특성상 꽤 큰 차이점. 때문에 사람이 많은 저녁 시간보다는 새벽이나 아침시간에 기록이 더 잘 나오며, 이때문에 사실상 특정 시간대에 이용하는 것이 사실상 강제되는것이나 마찬가지라 불만의 목소리가 높다. 입장과 동시에 소환되어 있는 등 서버렉의 영향을 줄여야 한다는 의견이 크다.

5. 직업 격차


직업에 따라 유불리가 갈리는 컨텐츠이다. 극딜과 스킬셋의 유형에 따라 딜 효율이 천차만별인데, 극딜이나 주력 누킹기의 쿨이 짧으면 유리하고, 설치형 극딜기보다는 여러 층에서 쓸 수 있는 버프형 극딜기가 유리하다. 반대로 극딜 쿨타임이 길거나 극딜 타이밍을 조절하기 어려운 게이지류 직업은 크게 불리하다. 또한 리셋 직업[77]은 불독 정도를 제외하고는 리셋 직업이 비리셋 직업보다 딜이 덜 들어간다.[78][79] 그 외에 계속 움직이는 몬스터에 지속 딜을 넣기 위한 이동기나 추적기가 있으면 좋고, 자체 바인드나 의지 등의 유틸도 가산점 요소이다.

5.1. 유리한 직업


저층을 넘기기 편하고 주력 누킹기 쿨이 짧으며 벽을 이용한 딜링이 가능하며, DPM도 월등하고 자체 바인드도 있다.
말뚝딜 효율이 높다. 다만 MP량이 부족하면 5차스킬의 살인적인 MP소모량 때문에 까다로울 수 있다.
극딜기 쿨이 짧다. 리셋 직업의 페널티를 뛰어넘는 딜효율을 보여준다.
말뚝딜 효율이 좋고 DPM에 가까운 딜을 넣을 수 있어 모험가 도적 중 에서는 60층 미만에서 가장 좋은 모습을 보여준다.
극딜기 쿨이 짧다.
깡딜이 좋고 버프형 극딜기를 보유하고 있다. 공반 무시는 덤.
실전에서 사실상 불가능한 엘고 연계 풀딜이나 실피디아 벽캔 등이 가능하다. 지속적인 hp/mp 회복 등 유틸도 쏠쏠하다.
데몬 프렌지의 가동률이 실전 대비 상당히 높게 나와 딜량이 크게 오른다. 흡혈로 인해 죽을 걱정도 없는데다가 자체 바인드도 가지고 있다.
DPM 1위가 괜히 1위가 아니다. 안 그래도 정신나간 수준인 극딜, 그것도 버프형 극딜을 풀히트로 때려박을 수 있다. 자체바인드는 덤. 스펙 대비 가장 층수가 높은 직업이다.(다만, 고층으로 갈수록 누킹기, 일명 짧쿨극딜의 부재로 효율이 낮아진다.)
극딜기 쿨타임이 짧다.
근본이 근본인지라 무릉에서도 좋긴 하지만 오더, 인피니트의 메커니즘상 '생각보다는' 덜 좋다는게 우세한 평가[80]. 그래도 매우 좋다. 자체바인드도 있다. 오히려 일반 보스전에선 쉽지 않은 샤드 풀타와 테리토리 풀타가 쉽기 때문에 딜이 더 잘 뽑히기도 한다.

5.2. 불리한 직업


몹들의 지속적인 텔포 및 돌진으로 거리 조절이 힘들다. 거기다가 무릉도장은 맵 크기가 작아서 어찌저찌 거리를 벌려도 400 이상을 맞추기 정말 까다로운 데다가 거리 조건을 만족해도 딜이 그렇게 센 것도 아니다. 거리 조절이 불가능하면 몬스터를 묶어두고 거리를 조절하기라도 해야 되는데 자체바인드도 없다.
게이지를 채우는데 오래걸리고, 버프가 많다. 이퀄리브리엄 상태가 아닐때에는 딜이 거의 없는 수준이다.
리셋 직업. 마나 관리가 어렵고, 층을 올라가면 장판이 증발한다. 딜 자체도 상당히 약하다.
리셋 직업. 직업 스킬상 말뚝딜을 넣어야하지만 몬스터들이 텔레포트와 이동을 하기에 불리하며 5차스킬 쿨이 많이 길다.
물론 이쪽도 자체바인드는 있다.
리셋 직업. 사거리가 짧고 마나 관리가 어려우며 알터가 층을 올라가면 증발한다. 계속 징표를 묻히고 그 징표를 터트리면서 딜을 넣어야 되기 때문에 조작이 미숙하다면 딜로스가 무지막지하다.[81] 보스가 알터 밖으로 도망가는 일도 잦아서 그야말로 딜이 줄줄 샌다. 극딜 버프인 마스터 오브 데스, 어비셜 라이트닝은 풀히트는 할만하지만 쿨타임이 너무 길다.
가드 패치로 가드의 난이도가 높아졌고 가드가 삑났을 때의 손실이 너무 크다.
무릉에서 중요한 요소인 극딜주기가 버터칼/라이트 오브 커리지/빛의 수호를 제외하면 전부 다 심각하게 맞지 않으며 극딜버프중 제일 중요한 로 아이아스는 쿨타임이 무려 5분이다.
또한 무릉도장 특성상 자주 쓰게되는 몸박가드+뒤에서 5순위 안에 드는 주력기 사거리+몹을 밀어내는 시그너스 팔랑크스+전무한 자체바인드가 환장할 역시너지를 이루어 텔레포트몹에게 최악의 딜효율을 자랑한다.
마나 관리가 어렵고 조절 불가능한 게이지 직업이라 극딜 타이밍을 맞추기 어려우며, 움직이는 보스를 상대로는 딜이 줄줄 새고, 5차 설치형 스킬들의 지속시간과 쿨타임이 너무 긴데다[82] 층을 올라가면 증발해버린다.
설치기를 다수 운용하는 스킬셋은 몹이 텔포와 돌진을 반복하는 무릉에서 부적합하다. 같은 이유로 PP 관리의 난이도 역시 높다.
제논의 기본적인 로직의 문제와 시드링 효율이 떨어져서 불리한 편이고[83], 차지형 스킬과[84] 설치기와 극딜의 높은 의존도[85] 등등 단점이 매우 많은 편이다.
시간차 공격 특성상 텔레포트하는 보스에게 딜로스가 생기며 상위층의 크기가 작은 보스들에서 점캔 시전 시 한줄이 새어 딜로스가 매우 심각하다.
  • 비숍 등 그냥 화력이 낮은 직업들
밸런스 상으로 실전이든 이론이든 그냥 약한 직업들은 당연히 무릉 층수도 동일 셋팅 대비 타 직업에 비해 층수가 상당히 낮게 나온다.
대표적인 화력 약한 직업 비숍은 화력 뿐 아니라 충전형스킬, 설치형스킬로 인해 스킬셋에서도 무릉도장에서 좋지않다.

6. 보상


기록 순위에 따른 장갑, 칭호 보상과 랭킹 백분율에 따른 포인트 보상을 월요일 0시 30분부터 도장 내의 소공을 통해 획득할 수 있고 포인트는 도장 내에 있는 NPC 라오를 통해 원하는 물품으로 교환할 수 있다. [86]
간혹 분명히 전주에 무릉을 돌았는데도 포인트를 주지 않는 오류가 있는데, 이럴 경우 무릉 순위표를 한번 클릭해서 지난주의 기록이 떠있는 것을 확인한 후 무릉도장에 입장해서 1층만 깨고 나오면 다시 포인트를 준다. 만약 순위표를 클릭했는데 지난주 기록이 없다면, 지난주에 까먹고 돌지 않은 것이므로 무릉 도장을 나가기 전에 순위표를 통해 기록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무릉도장에서 판매중인 물품은 다음과 같다.
[의자] 무릉도장 미니어쳐 의자
[의자] 허수아비와 함께 의자
[소비] 무릉도장 데미지 스킨
[장갑] 소공의 장갑
[장갑] 도사의 장갑
[장갑] 견습 도사의 장갑
[소비] 무릉도장 정체불명 허리띠 상자
[소비] 무릉도장 정체불명 장갑 상자
[소비] 정체불명의 성향 성장 상자
[소비] 스페셜 명예의 훈장
[소비] 무공의 명성치 보증서
[펜던트] 정령의 펜던트
[입장권] 심신수련관 입장용 부적 (30분, 1시간, 3시간, 6시간)[87][88]
[소비] 허수아비 소환 보따리[89]
[소비] 에픽 잠재능력 주문서 50%
[소비] 에디셔널 잠재능력 부여 주문서 50%
[소비] 보급형 소울 인챈터
[소비] 강력한 환생의 불꽃
[기타] 주문의 흔적

6.1. 구간별 포인트


퍼센트[90]
입문
통달
71~100%
0
0
51~70%
0
10000
41~50%
5000
12000
31~40%
6000
13000
21~30%
7000
16000
11~20%
8000
18000
6~10%
9000
20000
0~5%
10000
21000
KMS 1.2.325 개편후 기준 (20191024)

7. 명성치 팔이


매물품 중 '''무공의 명성치 보증서'''라는 것이 있는데, 이 보증서를 사용하면 자신의 명성치 10,000을 차감하고 교환 가능한 명성치 +10,000 소비 아이템 '무공이 보증한 명예의 훈장'을 얻을 수 있다. 이 무공훈장이 현재 게임 내에서 유일하게 거래로 얻을 수 있는 명성치 수급원인지라 패치 이전에는 개당 수백만[91] 메소에 팔렸고, 패치 이후에는 2500만 메소 이상에 팔린다.

7.1. KMS 1.2.325 이후


105~200레벨까지의 모든 캐릭터는 입문 그룹으로 통합되고, 201레벨 이상 캐릭터는 통달 그룹이 되었는데, 입문의 경우 상위 50% 이상, 통달의 경우 상위 70% 이상 달성 시에만 정산 보상을 지급하는 것으로 변경되면서, 사실상 무릉돌이가 막혔다. 2019-10-24 플레이, 2019-10-28 정산 처리되는 이노시스 서버 통달 기준 29층을 4분으로 클리어 시 상위 45%로 12,000포인트 획득. 특히 도시인 크로아섭에서는 '''노멀 스우와 데미안'''을 격파할수 있는 층인 42층이 '''고작 상위 78%'''밖에 안된다. 고인물들의 무릉 경쟁이 매우 심화되면서 보상 컷이 저~높이 올라가게 된 것.이 결과와 앞으로의 추세로는 적어도 '''노멀 루시드와 윌 이상'''의 보스들을 솔격하는 유저들이 아닌 이상은 무릉돌이를 하는 것이 불가능함을 알 수 있다.
그나마 이 입문 상위 50/통달 상위 70퍼센트에 들을 수 있을 정도의 본캐를 가진 유저는 시세가 오른 무공훈장을 팔아서 약간의 돈벌이를 할 수 있긴 하며 고스펙의 부캐가 많은 경우에는 패치 전보다 더 짭짤한 돈벌이가 가능할 수도 있다. 다만 저자본들의 메소벌이를 막아버리고, 어빌리티 세 줄 옵션을 맞추는 데에 드는 비용이 배로 증가하게 되면서 사다리 걷어차기가 되었다.

8. 전투력 측정기


스탯 문서에도 언급되지만 스공, 주스탯에 이어 스펙을 가늠하거나 최상위 랭커급 길드 가입시, 하드보스팟에 데려가는 참고자료로 무릉도장 층수가 활용된다. 메이플 인게임이나 커뮤니티 등지에서 보스나 스펙 관련 이야기를 할 때, n층이란 말이 나오거나 4, 50 정도의 숫자가 언급된다면 이 무릉도장을 말하는 것이다.
무릉도장 층수가 스펙을 완벽히 나타내주는 것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거 메이플에서 사용되던 스공이나 주스탯을 대체하여 널리 사용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스펙 사기를 칠 수 없음: 무릉 최고기록은 게임사 측에서 오픈한 정보이기 때문에 API를 통해 외부에서 정보를 받아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메이플지지를 비롯한 여러 외부 사이트를 통해 쉽게 타인이 검색하여 찾아볼 수 있다. 반면 카벨컷이나 주스탯은 해당 유저가 스샷 등으로 보여주기 전까지 신뢰할 수 없으며 설령 보여준다고 해도 합성, 도용 등의 여지가 있어 100% 신뢰하긴 힘들다.[92]
  • 카벨컷 측정의 한계: 어드벤처 업데이트 당시 이루어진 카오스 벨룸의 방어력 너프와 평균적인 유저 스펙의 상승으로 인해 일정 스펙 이상이 되면 카벨이 지나치게 빨리 잡힌다. 무릉 층수가 주로 요구되는 하드 보스 구간쯤 되면 카벨이 바인드컷 나버리기 때문에 측정이 무의미하다. 트라이 시간이 길었던 예전에는 평균적인 DPM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워낙 금방 잡히니 평균적인 스펙을 측정할 수 없게 된다.
  • 다른 요소보다 정확함: 무릉을 대체할 지표라고 해봤자 스공이나 주스탯 정도인데, 이 요소들은 무릉보다도 변수가 상당히 많다. 아케인 포스 수치는 물론이고, 에디셔널 잠재능력이 스탯% 위주인지 공/마 위주인지에 따라서도 큰 변수가 생긴다. 거기다가 데몬어벤저처럼 주스탯이 체력인 직업 같은 경우도 있어서 직관적이지 않다. 이를 모두 불러주면 후술할 문제가 생긴다.
  • 직관적인 스펙 단계 구분: 메이플스토리 캐릭터 스펙에 관여하는 부분이 워낙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불러주거나 혹은 스탯 정보를 타인이 확인할 수 있게 패치해준다고 해서 한번에 알아보기란 쉽지 않다. 예를 들어, 자기 주스탯이 3.0이고 방무가 93%이고 아케인포스가 1100이라고 했을 때 이 사람이 어느 정도 보스까지 잡는지, 현재 가려고 하는 보스에서 어느정도 기여를 해줄지 알아차리기 쉽지 않다. 이 3개만 따져도 그런데 코강, 스공, 뎀퍼, 보공 등의 정보까지 모두 포함하면 더 복잡해진다.

물론 보스 파티를 여러 번 꾸려본 유저라면 어느정도 가늠할 순 있겠지만, 그런 유저도 고확을 통해 자신을 제외한 여러 명의 스펙을 동시다발적으로 귓말로 전달받고 이를 빠르게 판단하여 구인하는 과정은 결코 쉽지 않다. 하물며 경험이 얼마 없거나 이제 막 파티격에 도전해보려는 유저들은 더욱 힘들다. 메이플 커뮤니티에서 종종 스펙을 불러주고 무릉 층수를 맞춰보는 놀이를 하곤 하는데 오답률이 꽤 높은 편이다.
보통 스펙 확인이 가능한 다른 RPG 게임들은 착용한 아이템으로 간단히 확인하는 경우가 많은데, 메이플스토리는 아이템의 보유 유무가 클리어 가능성을 보장해주지도 않는다. 아이템의 인플레가 크지 않고 템 외적인 스펙 요소가 워낙 많기 때문에 결국 면밀히 따져봐야 알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무릉을 대체할 요소로 착용한 장비 아이템 스펙을 오픈할 것을 요구하는 유저들이 간혹 있는데 위에서 언급한 이유로 인해 무릉도장에 비해 효용성이 높다고 보긴 힘들다.
반면, 무릉층수는 자신의 스펙 단계를 십의 자리 숫자로 환산해서 간단히 표시해준다. 알아보기도 쉽고, 구인할 때도 편하다. 무릉도장은 솔로 컨텐츠이기 때문에 버스 문제도 없다. 또한 이 방식의 장점은 상위 보스들을 트라이 하지 않아도 자기 스펙의 위치를 어느정도 가늠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많은 유저들이 자기 무릉도장 층수를 파악하고 이를 올리기 위해 노력한다음, 일반적으로 알려진 컷을 만족하면 도전하는 편이다.
무릉도장 층수에도 직업 별로 유불리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해서 직업마다 다르게 받기도 한다. 아무래도 무릉도장은 보스와 1:1만 하는 것이기 때문에 주력기가 다수기인지 단일기인지 여부가 반영되지 않고, 실제 보스전과도 차이가 나는 환경 요소가 있기 때문. 무릉도장에 유리한 직업은 평균보다 1층수 정도 올려서 받거나, 불리한 직업은 낮춰서 받는 식이다. 이 분야의 최고봉은 유틸을 보고 구인하는 비숍과 쉘을 보유한 팬텀으로 아예 '0층 이상'이라는 허들을 농담삼아 이야기하기도 한다.[93]
방어율이 300%인 하드 보스들과는 달리 무릉도장의 보스들은 방어율이 50%이기 때문에 방무 관련 스펙은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94] 다만, 일정 이상 층수가 되면 스데미를 솔플로 매주 잡기 때문에 방무를 안챙길 수가 없으며 무릉도장 층수를 대외적으로 활용할 때는 파티격 구인인 경우가 대부분인데 파티격은 방무 디버프가 중첩되어 방무의 중요성이 솔격보다는 떨어진다.
요약하자면, 무릉도장의 단점으론 직업 편차와 방무 비중 감소 등이 있지만 직업 편차는 직업별로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사안이기 때문에 유저들이 적당히 환산해서 반영하면 되고, 방무는 파티격일 경우 크게 중요하지 않기에 별로 상관이 없다. 물론 작정하고 트롤링 한다면 방무만 극단적으로 낮추거나 장비템을 전부 빼버리고 파티격에 낄 순 있겠지만 큰 이득도 없고 뜨는 데미지로 바로 표시가 나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무릉 n층이면 무슨 보스를 파티격/최소컷/솔격 한다'는 일종의 공식이 생겼다. 대표적으로 40층 이상 카벨 솔격, 42층 이상 스데미 솔격 등을 들 수 있다. 주스탯도 대중적인 스펙의 지표 중 하나지만 템셋팅에 있어 주스탯 보다 공/마 비율이 높은 유저는 주스탯이 다소 낮게 나오기도 하고, 보공이나 방무 같은 다른 보스전 스펙을 볼 수 없다는 문제도 있어 무릉의 입지는 여전히 견고한 편.

9. 기타


무공의 제자인 소공의 대사는 메이플 내에서도 으뜸가는 시건방으로 악명이 높다. 무릉도장 초입에만 와도 플레이어를 지레 겁주려고 도발 대사를 날리며, 도전하려고 말을 걸면 "사부님께 도전하겠다고? 나중에 후회하지 마." 라는 식으로 도발한다. 대부분의 대사가 이런식인건 덤. 특히나 어웨이크 이벤트의 코인수급과정에서 재잘재잘 떠들어대면서 소공은 유저들 사이에서 공식 밉상 캐릭터로 찍혔다.[95] 다만 만공의 보옥으로 넘어가면서 그 대사들도 비교적 온화해졌고 코인을 퍼주는 역할로 나오면서 조금은 이미지를 회복하기도 했다. 여담으로 소공의 도트를 보면 눈에 먼지가 끝없이 들어가는지 쉴새없이 눈을 깜박이고 있다.
무공이 세계관 최강자라는 밈이 있지만 슈피겔만 드립과 유사한 드립이다.

10. 관련 문서



[1] 리부트 패치 이후론 인게임에서 들을수없다.[2] 단 이 음악은 15주년 이벤트 당시 저스티스 피트니스의 bgm이었다. [3] 리부트 패치 이후론 인게임에서 들을수없다.[4] 2019년 10월 24일 이후의 몬스터 일람이다.[5] 녹색 글씨체는 새롭게 추가된 몬스터들이다.[6] 아케인, 에픽 어드벤처가 미적용된 상태의 30만 스공의 비숍이 갔을 때, 20분 안팎 소요.[7] 전체 랭킹 1위는 영웅의 장갑만 받지, 하위호환격인 무공의 장갑은 받을 수 없다.[8] 즉, 레벨에 따라 그룹(난이도)가 자동으로 결정되어 입장되므로 난이도 선택이 불가능하다.[9] 랭크 자체는 남는다[10] 한계치 도장 소리를 하도 듣다 보니 간접적으로 맥뎀을 1조 5000억으로 조정한 셈. 그런데 몹 HP를 정확히 10분의 1로 내린 건 아니라 원래 맥뎀이 뜨던 유저가 아니면 이전보다 까다로워졌다.[11] 히어로, 소울마스터, 비숍, 신궁, 메르세데스, 나이트로드, 나이트워커 등[12] 엔젤릭버스터 등[13] 테섭 당시에는 1마리만 잡아도 되었지만, 버그가 있었는지 이전 무릉도장과 차별점이 없다고 판단한 건지 본섭에서는 싹쓸이로 수정.[14] All 클리어 시에는 기존처럼 타임어택 방식으로 등수를 매긴다.[15] 폭탄 이펙트가 나타난 후 폭발하는데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하나는 10% 비례 대미지를 입히고, 하나는 파란색 폭탄에 거미줄이 그려져 있는데 생긴 그대로 보스 매그너스와 동일한 이동기 사용 불가 슬로우를 건다.[16] 무릉도장에서는 실 대미지가 1/10만 들어가므로 몬스터 체력도 1/10 감소된 수치이다.[17] 반감 보스들은 반감이 적용되었으며, 캐릭터 성향의 속성내성 무시 또한 반영된다. 통찰력 100레벨 기준.[18] 무자본 유저들의 첫번째 장벽. 실질적인 체력이 150억 정도로 이지 시그너스 이상이다. 그래서 20층 격파가 이지 시그너스 도전 기준이다.[19] 무자본 유저들의 두번째 장벽. 즉사기는 쓰지 않지만 기본 체력도 20층 힐라의 두 배나 되는데다 공무/마무를 자주 쓰기 때문에 처치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릴 수 밖에 없고, 공격반사도 쓰니 까딱하면 죽을수도 있다. [20] 벨룸을 제외한 카오스 루타비스 보스.[21] 하지만 카오스 벨룸을 격파할 수 있더라도 직업 자체가 물몸이라면 34층에서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22] 현실은 그냥 솔격을 하거나 후술하겠지만 무릉 42층을 뚫은 파티원 여러명을 데리고 순삭팟을 한다.[23] 주로 법사나 궁수 계열 직업들[24] 다행히도 필드의 원본 릴리노흐처럼 공격반사를 쓰지는 않는다.[25] 40층 이후 첫번째 벽. 유혹을 마구 써대서 무적기가 없는 직업들의 딜로스가 심각하다.[26] 체력이 50%정도 깍이기 전까지 넉백을 시도때도 없이 사용한다. 다행히 슈퍼넉백은 아니라서 스탠스 100%인 직업이나 빛의 수호를 사용하면 딜로스 없이 격파 가능하다.[27] 40층 이후 두번째 벽. 3마리인 데다가 마구 돌아다니기까지 해 주력기가 단일기거나 사거리가 짧은 직업들은 죽어나간다.[28] 40층 이후 세번째 벽. 시도때도 없이 석화를 걸기 때문에 에피네아를 능가하는 딜로스를 유발한다. 상태이상 방어기나 무적기, 극딜기를 활용해 최대한 빨리 넘기는 것이 상책.[29] 몇가지 팁을 주자면 타란튤로스는 석화를 바로 쓰는것이 아니라 대략 30%의 체력이 깎이면 석화를 사용하기 시작한다. 타란튤로스는 석화를 한번에 두번이나 사용하는데 이때 당황해서 석화를 바로 풀어버리면 풀어버리자마자 다시 석화를 맞게된다. 그러므로 첫번째 석화에 걸리면 거의 풀리기 직전까지 유지하고 타란튤로스가 두번째 석화를 사용하면 그때 바로 풀어버리고 딜을 하면 된다. 그 후 다시 석화를 사용하면 반복. 초심자들은 석화를 맞자마자 최대한 빨리 풀어서 두번째 석화를 맞게되므로 반드시 참고해야 한다. 연타의 정도는 데미안 세계수 폭주보다 살짝 쉬운정도로 시간은 둘째치고 석화를 연속으로 맞을 경우 풀어내느라 손이 아프므로 주의.[30] 참고로 아래에 불장판이 생기면서 돌을 떨어뜨릴때쯤이면 석화를 사용안한다. 단 롤의 엘리스처럼 줄타기를 사용하므로 석화까진 아니여도 공격을 못하므로 딜로스가 생긴다.[31] 타르카와 마찬가지로 3마리인 데다가 이리저리 순간이동하고, 대미지도 상당히 아파서 까다롭다.[32] 이 아래는 와호장룡에서 밝혀진 무공의 제자인 황룡과 적호가 만든 문파 관련 보스들이다. 이들은 보스 몬스터로 나오기도 했다.[33] 대미지 1/10 감소를 고려하면 무려 체력이 '''20조''' 로서 체력만 따지면 노말 루시드, 노멀 윌과 동급이다.[34] V패치 이전을 생각해 보면, 이론적으론 20분 이상 충분히 버틸 수 있긴 하다. 문제는 이럴려면 연습을 꽤 많이 해 봐야 하는데 급히 구한 고확팟에서 그게 될 리가 있나..[35] 윌의 경우 250이라는 높은보스레벨때문에 레벨이 모자르다면 보스레벨 -5렙마다 무릉층수를 하나씩 까는식으로 격수를 구한다. ex) 240레벨 무릉 48층 일경우 윌에선 46층으로 취급[36] 언스, 재사용 때문에 전 직업 중 무릉이 가장 좋고 모험가 법사들 중 인피 효율이 가장 좋았다. 지금도 전 직업중 가장 좋지만 언스 인피를 원할 때 계속 터트린다는 게 쉬운 일이 아니므로, 언스를 다 터트리면 원탑이고 못 터트리면 그냥 상위권 수준이다.[37] 단지 DPM이나 직업격차가 아니다[38] 전섭급 마법사 유저로, 57층부터 60층까지는 썬콜로 뚫고, 이후 썬콜이 너프되자 불독으로 자전해 61~63층을 뚫었다. 해외와 마찬가지로 역시 맥뎀을 띄웠다고 한다. 그렇게 이 유저는 2019년 6월에 KMS 최초로 검은 마법사를 격파한 파티의 일원이 되었다. 아쉽게도 마지막까지 살아남지는 못했지만...[39] 참고로 이 유저는 챌린지 월드에서 스트라이커로 무릉도장 1등을 달성한 기록이 있다.#[40] 2019년 10월 24일 이후의 몬스터 일람이다.[41] 녹색 글씨체는 새롭게 추가된 몬스터들이다.[42] 무릉도장에서는 실 대미지가 1/10만 들어가므로 몬스터 체력도 1/10 감소된 수치이다.[43] 반감 보스들은 통찰력의 속성내성 무시를 고려하여 비반감으로 환산하였다.[44] '''유일하게 몬스터 변동이 없는 층'''이다. 2020년 기준 '''무려 12년'''동안 마노는 1층에만 처박혀있었고, 마노보다 약한 보스몹은 나오지 못했다.[45] 서버렉이 없을 시 44초 이내 클리어가 이상적이다.[46] 여기까지는 41층 체제와 63층 체제 당시와 똑같다.[47] 이쪽도 41층 체제와 63층 체제에서의 자리를 유지했다.[48] 간혹 공격무시를 거는 경우 존재하므로 무자본 유저들은 조심할 것.[49] 간혹 스킬봉인을 거는 경우가 있으니 무자본 유저들은 조심할 것[50] 무자본 유저들의 첫번째 장벽. 실질적인 체력이 150억 정도로 이지 시그너스 이상이다. 그래서 20층 격파가 이지 시그너스 도전 기준이다.[51] 유혹을 자주 써서 스펙이 애매한 유저들은 딜로스가 꽤 있다.[52] 무자본 유저들의 두번째 장벽. 즉사기는 쓰지 않지만 기본 체력도 20층 힐라의 두 배나 되는데다 공무/마무를 자주 쓰기 때문에 처치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릴 수 밖에 없고, 공격반사도 쓰니 까딱하면 죽을수도 있다. [53] 오랜만에 41층 체제 및 63층 체제와 같은 층을 유지한 몹이다. 아래의 그리프도 동일.[54] 마뇽과 세트인지라 얘도 층 변동이 없다.[55] 아카이럼 이후 통곡의 벽. 순간이동을 자주 써서 딜로스를 유발하고 몸박 데미지가 유달리 커서 물몸 직업군은 스펙이 충분히 되는데도 체력 부족으로 죽는 경우가 있다.[56] 파풀라투스 역시 41층 체제 및 63층 체제 당시와 같은 층을 유지했다.[57] 31층부터 깎여나간 플레이어 HP가 크게 체감되는 시기. 자체 몸박 데미지 만으로도 매우 아픈데 공격을 맞으면 체력비례 10% 데미지를 입는다. 깡화력으로 아래층 몬스터를 잡았다 할 지라도 몰몸 직업군은 이 층에서 생존의 위협을 느끼게 되고 내구가 좋지만 자체회복기가 없는 경우에도 빠르게 정리해가지 못한다면 여기서 한계에 다다르게 된다. 카오스 벨룸을 3분내로 잡거나 노멀 스우를 제한 시간 안에는 솔격할수 있어도 앞의 이유 때문에 '''무릉 39층을 뚫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인지 노멀 스데미까지는 여전히 카벨컷을 물어보는 편.[58] 스데미 솔격을 판단하는 보편적인 무릉 기준 층수.[59] 순간이동을 자주 사용하는 몬스터이기 때문에 딜로스가 심한편. 그러나 바라보는 방향으로 텔포를 하기 때문에 벽을 바라보게 하고 벽에 붙어 딜을 하면 된다.[60] 이 층 이후로는 몬스터들의 체력이 겉잡을 수 없게 늘어나 철저한 빌드, 스펙업 없이는 층 단위 상승을 크게 체감하기 힘들다.[61] 역시 마찬가지로 순간이동 및 돌진을 사용하기 때문에 딜로스가 심하다.[62] 처음 46층을 오게되는 유저의 경우 혼란 상태이상 때문에 방향이 반대로 되어 제대로 공격을 못하는 경우가 있다.[63] 43층, 45층과 마찬가지로 순간이동을 자주하기 때문에 딜로스에 유의하여야 한다.[64] 별다른 패턴은 없지만 캐릭터가 왼쪽으로 점프하기만 하고 행동 불능 상태가 되는 유혹을 자주 걸어 딜로스가 많이 일어나니 주의해야 한다.[65] 노멀 모드 루시드/윌 솔격이나 하드 보스로 진입하려는 유저들의 통곡의 벽. 전 속성 반감이기 때문에 사실상 49층의 두배 체력이고, 75초~80초 주기로 10초동안 지속되는 공반을 쓰기 때문에 딜로스가 크게 유발된다. 49층을 11분대로 격파해야 50층 클리어각이 보인다는 게 중론. 공반을 무시할 수 있는 스킬을 가진 직업들이 상대적으로 유리하다.[66] 시도때도 없이 석화를 걸기 때문에 상당한 딜로스를 유발하므로 상태이상 방어기나 무적기, 극딜기를 활용해 최대한 빨리 넘기는 것이 상책. 타란튤로스는 석화를 바로 쓰는것이 아니라 대략 30%의 체력(피통 밑에 있는 monster에서 m과o사이 즈음)이 깎이면 석화를 사용하기 시작한다. 타란튤로스는 석화를 한번에 두번이나 사용하는데 이때 당황해서 석화를 바로 풀어버리면 풀어버리자마자 다시 석화를 맞게된다. 그러므로 첫번째 석화에 걸리면 거의 풀리기 직전까지 유지하고 타란튤로스가 두번째 석화를 사용하면 그때 바로 풀어버리고 딜을 하면 된다. 그 후 다시 석화를 사용하면 반복. 연타의 정도는 데미안 세계수 폭주보다 살짝 쉬운정도로 시간은 둘째치고 석화를 연속으로 맞을 경우 풀어내느라 손이 아프므로 주의. 참고로 체력이 20% 이하정도까지 떨어지면 더 이상 석화를 사용하지않는다. 단 돌을 떨굴때 줄을 타고 위로 날아가므로 마찬가지로 상당한 딜로스를 유발하므로 주의할것. 핑크빈 다음으로 넘기힘든 벽이기도 하다.[67] 고확파티 기준 진힐라 파티격수로 끼기 위해 클리어를 필요로 하는 층수다.[68] 일정시간이 지나면 명중률 감소 디버프를 거는데 지속시간이 길어 심각한 딜로스를 유발하므로 빠르게 잡고 넘기거나 바인드를 통해 무력화시키고 넘어가야한다.[69] 일정시간이 지나면 스킬봉인 디버프를 거는데 지속시간이 길어 심각한 딜로스를 유발하므로 빠르게 잡고 넘기거나 바인드를 통해 무력화시키고 넘어가야한다.[70] 일정시간이 지나면 공격반사를 시전한다. 지속시간이 길어 심각한 딜로스를 유발하므로 빠르게 잡거나 오버패스 링, 바인드 등을 사용하면 수월하다.[R최고층] 2025-03-10 01:03:19 기준 현재 리부트 월드 최고 격파층 / 기록 보유자 : 안공별[71] 1/1을 사용하므로 죽지않도록 주의할것.[72] '''6연타로 인해 죽을 확률이 은근 높다.''' 물몸이 와서 맞았다간 기본 '''10만은 우습게 넘어간다.'''[73] 체력비례 50% 피해를 주는 공격이 있기 때문에 두개를 한번에 맞았다간 즉사할수 있다.[최고층] 2025-03-10 01:03:19 기준 현재 최고 격파층 / 기록 보유자 : 루델팡 참고로 팡이요의 본캐이기도 하다.[74] 이 아래는 와호장룡에서 밝혀진 무공의 제자인 황룡과 적호가 만든 문파 관련 보스들이다. 이들은 보스 몬스터로 나오기도 했다.[75] 태륜, 구미호, 제노, 포이즌골렘 등[76] 67층 타락마족 강화늑대기수, 71층 클리너, 73층 증발하는 에르다스. 근데 모라스에는 마땅한 보스몹이 없기 때문에 취해진 조치이다. [77] 속성내성무시 스킬 보유 직업 [78] 리셋 스킬들은 모든 속성 반감 몬스터들에게 무시 수치만큼 데미지가 더 들어가고, 그 상승량은 최종데미지급이지만 반대로 비반감 몬스터에게는 아무 이득이 없다. 대부분의 보스 몬스터들은 반감 몬스터이고, DPM 관련 밸런스도 반감 몬스터 기준으로 맞춰져있는 것을 감안하면 리셋 직업들은 그만큼 무릉에서 최종데미지 손실 리스크를 가지고 있는 셈이다.[79] 예를 들어서 반감 몬스터 기준으로 직업 A는 10% 수치 만큼의 리셋 스킬이 있어서 원래는 100이 들어가야할 데미지를 110만큼 넣을 수 있고, 리셋 스킬이 없는 직업 B는 반감 몬스터에게 105 만큼의 데미지를 넣을 수 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반감 몬스터 기준으로 넣을 수 있는 딜은 A>B이지만 리셋 스킬 없이도 본래 딜을 100% 온전히 넣을 수 있는 비반감 몬스터 기준으로는 리셋 스킬의 속성무시 10%는 의미가 없으므로 A가 넣을 수 있는 딜은 100×2=200, B가 넣을 수 있는 딜은 105×2=210으로 B의 딜링 능력이 더 높아지게 된다. 과거에 리셋스킬의 속성무시수치가 100%였을 때, DPM표를 반감과 비반감으로 나눴던 것도 이러한 이유.[80] 쉽게 말하자면 무릉에 유리한 스킬구성은 아니지만 그냥 직업 자체가 쎄니까 무릉에서도 쎄다.[81] 특히 작은 몬스터를 상대할 때 피블이 빗나가거나 하는 일이 잦다. [82] 그람홀더 40/180초, 크리스탈 게이트 160/180초.[83] 웨폰퍼프 링, 링 오브 썸의 효율이 상대적으로 많이 떨어짐[84] 오버로드 모드, 메가 스메셔의 문제점[85] 홀로그램 그래피티 융합 : 40/100초, 메가 스메셔를 차지하면서 둘 다 사용한 후 맵 이동하면 사라짐[86] 단, 무릉 포인트는 최대 50만점을 초과하여 보유할 수 없다. 보상을 받을 때 50만 포인트를 초과할 경우 보상을 받을 수 없으니 포인트를 사용하고 다시 받아야 한다.[87] 대청에 위치한 NPC 소공에게 건네주어 심신 수련관에 입장할 수 있다. 심신 수련관 입장 후 일정 주기로 캐릭터 레벨에 따라 경험치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다. 입장 시 소모한 심신 수련관 입장용 부적의 시간만큼만 이용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퇴장하게 된다. 심신 수련관 입장 후 수련관 내의 소공을 통해 밖으로 나갈 수 있고 남은 시간은 소멸한다. 만렙의 경우 입장을 거부당하는듯[88] 아직 시간이 남아있는데 게임을 꺼야하거나 다른캐릭을 하고싶을땐 바로 캐릭터 선택창으로 나가면 시간이 그대로 보존된다.[89] 허수아비 소환 보따리를 사용하면 그 자리에 공격을 받기만 하는 허수아비가 소환된다. 허수아비는 마을에서만 사용할 수 있고, 이미 소환되어 있다면 추가로 소환할 수 없으며 소환할 때 허수아비의 레벨을 최소 100, 최대 275까지 지정할 수 있다. 허수아비는 웬만큼 공격을 받아도 사라지지 않으나 소환 후 15분이 지나면 자동으로 사라진다. 그런데 문제는 허수아비의 체력이 허수아비 종류 무관하게 무릉도장 최종보스인 무공과 같은 체력인 21조다. 볏짚은 비반감, 참나무는 반감이며 방어율은 볏짚은 약 50%, 참나무는 300%.[90] 전체 랭킹 기준[91] 서버마다 다르지만 평시에는 500 ~ 600만 메소에 팔리며, 썬데이 메이플의 어빌리티 재조정 요구 명성치 50% 감소 이벤트 등이 실시되면 개당 700만 메소 이상까지 팔린다. 이는 코어 젬스톤과 거의 맞먹는 가격이다.[92] 물론 마약버프 등을 끌어모아 도전했거나, 아이템을 빌려서 무릉 층수를 올린다거나 스펙다운을 했는데도 스펙다운 이전의 무릉층수를 말하는 등의 꼼수가 있긴 하다. 하지만 그러한 꼼수를 치더라도 무릉을 보는 이유는 어쨌거나 해당 층수에 도달하기 위해 버프를 분배하고 빌드를 짜는 등의 컨트롤 적인 숙련도를 보기 위한 것이 크다고 볼 수 있다.[93] 실제로 비숍의 경우 직업 자체의 딜량이 약한 데다가, 5차 스킬 '프레이' 때문에 무릉 층수보다는 주스탯을 먼저 보는 경향이 있다.[94] 방어율이 50%면 극단적으로 말해서 방무가 '''0%'''라고 하더라도 대미지가 박힌다. 메이플의 방어율 공식은 '순수 데미지 × {1-방어율×(1-실방무/100)/100}=실 데미지' 인데, 무릉과 상위보스 각각의 방어율과 방무를 도입해보면 된다. 예를 들어 줄당 100만, 실방무가 70%라면 방어율이 50%일 때에는 85만 정도로 문제없이 딜이 박히지만, 방어율이 300%라면 0이 하나 날아간다.[95] 이 대사들 중에는 플레이어의 검무가 자신의 검무에 비해 엉망친창인걸로 완벽하다는 식으로 깐죽대는 발언도 있는데 검을 쓰는 직업이 아니어도 다 검무라하며 플레이어가 무공을 격파할 스팩은 물론 검은마법사까지 격파해도 이런 도발을 하는데다가 설정상 자신의 기술에서 정점에 달한 영웅같은 직업이거나 초월자인 제로에게도 이런 말을 한다. 대체 무슨 자신감으로 그러는지는 의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