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러 실험

 


영어: '''Miller experiment'''
1. 개요
2. 실험 과정과 결과
3. 관련 실험들
4. 출처


1. 개요


"그 놀라운 실험 하나로 밀러는 생명의 기원에 관한 연구에 확 시동을 걸었다.

자연에 있는 단순한 기체 혼합물에서

생명과 관련된 복잡한 분자들이 만들어질 수 있었던 것이다."

앤드루 놀Andrew Knoll(2003; 74)

실험실에서 원시 지구를 상태를 재현해서 '''인공적인 유기물'''을 만들어낸 실험.
생명체를 구성하는 유기물들이 지구의 원시 대기에서 형성되었다는 오파린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당시 대학원생이었던 스탠리 밀러(Stanley Miller)가 1952년에 시행한 실험이다.

2. 실험 과정과 결과


위의 그림과 같은 실험 장치에 당시 '원시 대기'의 주성분으로 추정되던 메테인, 수소, 암모니아를 채워넣은 뒤, 밑부분의 플라스크에 물을 반쯤 채우고 가열시켜서 수증기를 공급했다.(원시 바다) 윗부분의 플라스크에서는 방전을 가해서 원시 지구의 '번개'를 모방했다. 그리고 실험 장치에 냉각기를 설치해서 물이 계속 순환되도록 했다.
실험 장치를 가동한지 며칠 지나지 않아 플라스크의 물은 핑크색이 되었고, 일주일이 지나자 진한 붉은색을 띄는 탁한 용액이 되었다. [1]
이후 종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서 생성된 물질을 분석해보니, 생명이 단백질을 만드는데 쓰는 20가지 아미노산 가운데 네가지 아미노산[2]과 더불어 시안화물(HCN)과 포름알데히드(H2CO) 같은 유기분자들이 수없이 만들어져 있었다.
그 후에 이루어진 실험들에서는 생명에서 발견되는 20가지 아미노산 가운데 12가지가 만들어졌다.
이후 1990년대 과학자들은 원시 대기에 암모니아와 메탄이 흔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메탄과 암모니아의 수준을 낮춰 구성한 대기로 실험을 수행하였고, 그렇게 해도 처음의 실험과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3. 관련 실험들



4. 출처


* Stanley L. Miller. (1953). "A Production of Amino Acids Under Possible Primitive Earth Conditions" Science 117. pp.528-529.

[1] 탁해진 것은 실험 장치의 유리로부터 나온 이산화규소 화합물 때문이었고, 붉어진 것은 '''유기화합물'''들 때문이었다.[2] 글리신, 알라닌, 베타알라닌, L-아스파트산 등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