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조의 노래
'''Swan Song'''
주로 예술가의 마지막 작품이나 최후의 승부수 등을 의미한다. 백조는 평소에 울지 않는데, 죽기 직전에 단 한 번 울며 노래한다는 속설에서 유래했다. 물론 백조는 잘 안울어서 그렇지 울긴 하므로 근거 없는 전설일 뿐이다. 17세기에 지어진 라퐁텐 우화 중 <백조와 거위>에서도 먹기 위해 기른 거위와 바뀌어 죽을 위기에 처한 백조가 아름다운 노래를 불러 살아났다는 이야기가 나온다고 한다.
자세한 것은 스완송 항목 참조.
Schwanengesang, 1828년. 슈베르트의 3대 가곡 중 하나로 꼽힌다. 총 14곡으로 세레나데가 가장 유명하다
말 그대로 스완송. 테로스가 부여마법 컨셉인 블럭이다보니 부여마법도 카운터할 수 있게 되었다. 주문 관통보다는 범위가 좁지만 마법물체나 플레인즈워커가 쓰이는 빈도를 보면 그렇게 큰 패널티도 아니며, 조건 없는 카운터기 때문에 상당히 강력하다. 그 대신 비행까지 가지고 여유롭게 공방에 쓸 수 있는 생물을 상대한테 주기 때문에 범용적으로 쓰기엔 한계가 있다. 때문에 사용되는 곳은 주로 커맨더로 한정되는 편.
- 에로게를 찾아 오신 분은 SWAN SONG 문서 참고.
1. 관용어
주로 예술가의 마지막 작품이나 최후의 승부수 등을 의미한다. 백조는 평소에 울지 않는데, 죽기 직전에 단 한 번 울며 노래한다는 속설에서 유래했다. 물론 백조는 잘 안울어서 그렇지 울긴 하므로 근거 없는 전설일 뿐이다. 17세기에 지어진 라퐁텐 우화 중 <백조와 거위>에서도 먹기 위해 기른 거위와 바뀌어 죽을 위기에 처한 백조가 아름다운 노래를 불러 살아났다는 이야기가 나온다고 한다.
자세한 것은 스완송 항목 참조.
2. 슈베르트의 가곡
Schwanengesang, 1828년. 슈베르트의 3대 가곡 중 하나로 꼽힌다. 총 14곡으로 세레나데가 가장 유명하다
3. TCG 《매직 더 개더링》에 나오는 카드
말 그대로 스완송. 테로스가 부여마법 컨셉인 블럭이다보니 부여마법도 카운터할 수 있게 되었다. 주문 관통보다는 범위가 좁지만 마법물체나 플레인즈워커가 쓰이는 빈도를 보면 그렇게 큰 패널티도 아니며, 조건 없는 카운터기 때문에 상당히 강력하다. 그 대신 비행까지 가지고 여유롭게 공방에 쓸 수 있는 생물을 상대한테 주기 때문에 범용적으로 쓰기엔 한계가 있다. 때문에 사용되는 곳은 주로 커맨더로 한정되는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