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리넨 루미

 

1. 개요
2. 상세
2.1. 데모닉 장비
2.2. 변경 사항
3. 테마곡
4. 등장 몬스터
4.1. 일반 몬스터
4.2. 보스 몬스터


1. 개요


테일즈위버의 필드.[1] 스토리에 의하면 프라바 전초기지 근처의 전장에 쌓인 거인족과 렘므 병사들의 시체로 인해 골모답이 출현하게 된 곳이다. 레벨 290 이상이면 프라바 전초기지를 통해 바로 갈 수 있다.

2. 상세


'''모든 유저들을 한입충으로 만든 던전.'''
일반 몬스터들을 잡아도 데모닉 장비가 나오긴 하지만, 몹의 체력이 높은 데다가 드랍률이 낮기 때문에 사냥은 거의 하지 않는다. 유저들이 이곳에 오는 이유는 딱 하나, 보스들에게 꿀밤 한 대 먹이기 위해서다. 골론이나 골모답을 한 대 치기만 해도 무조건 템이 드랍되며, 잘하면 6줄까지도 뜬다.
비록 데모닉 장비와 스페셜 스킬 조각이 대부분이지만, 전자는 프라바 전초기지의 제리가 파는 "비아누의 흔적"으로 갈면 "데모닉 장비 강화석" 1개를 무조건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절대 손해는 아니다. 후자는 300개를 모으면 연마 1개로 바꿀 수 있는데, 굉장한 노가다이긴 하지만 꾸준히 하기만 하면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 연마를 얻을 수 있다.
실제로 스페셜 스킬 조각을 꾸준히 모은 유저들이 늘면서 연마 값이 점점 떨어지고 있다. 이렇게 출석만 꾸준히 해도 소소하게 돈을 벌 수 있는데 운 좋게 진짜 연마나 컴플리트 서드 시엔, 융합된 기운 같은 아이템이 뜬다면 그야말로 대박. 이로 인해 보스 몬스터가 떴다 하면 베리넨 루미에 수백 명의 유저들이 몰려들며, 랙으로 미어터지는 장면을 볼 수 있다. 랙이 너무 심해서 보스를 클릭하기도 힘들 때는 낙뢰 카드를 하나 만들어서 보험삼아 껴두는 것을 추천한다.
골론은 오전 0시, 오전 6시, 낮 12시, 오후 6시에 등장하며, 골모답은 오전 5시, 오후 1시, 오후 9시에 등장한다.

2.1. 데모닉 장비


데모닉 장비는 다른 장비들과 다르게 스탯 옵션이 랜덤이며[2], 위에 서술되었다시피 분해도 비아누의 흔적을 통해서만 분해가 가능하고 장비 강화도 데모닉 장비 강화석으로만 인챈트를 할 수 있다.
스텟 옵손이 랜덤인 대신 주력 스텟 옵션은 잘 나오면 인퍼널 세트보다 강력하다. 단, 주력 스텟 옵션 중 하나에만 치중된 장비가 나오는 경우가 9할이라 물리복합 캐릭터를 하는 유저들은 데모닉 장비의 효율이 인퍼널 세트보다 떨어진다(무기 제외).

2.2. 변경 사항


  • 상술한 문제 때문에 2019년 5월 16일에 "모든 효과 숨김"에서 리액터형 스킬과 캐릭터 버프형 스킬 이펙트도 보이지 않도록 하는 패치가 이뤄졌는데, 이번에는 자신에게 적용된 버프와 스킬들까지 안 보여서 유저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이 문제는 6월 5일에 베리넨 루미 필드에서만 동작하도록 패치되면서 고쳐졌다.
  • 사람들이 모인 곳에 일부러 텔레포트 포탈을 깔아서 다른 마을로 보내버리는 어그로들이 종종 있었다. 이 문제는 2019년 7월 18일에 베리넨 루미에서만 텔레포트 스크롤을 사용할 수 없도록 수정하면서 해결되었다. 이 패치 때 베리넨 루미 몬스터의 명중률도 조정되었다.
  • 2019년 9월 26일에 골론, 골모답의 방어력이 상향 조정되었다. 유저가 별로 없는 서버의 유저들은 어떻게 필보를 잡냐며 불만을 토로했다.
  • 랙에 대한 유저들의 불만이 누적되자 2019년 10월 11일, 뜬금 없이 베리넨 루미 지역의 접속 인원 제한을 설정하는 정신 나간 패치를 시행. 임시로 적용된 조치였지만 유저들은 제정신이냐며 욕을 퍼부었고, 결국 사흘 뒤인 10월 14일에 인원 제한이 해제되었다.
  • 2019년 10월 18일, 베리넨 루미에서의 과부하를 줄이기 위해 비디오 카드 메모리와 주변의 캐릭터 수를 고려하여 캐릭터의 동작을 단계별로 생략하는 패치가 이뤄졌다.
  • 2019년 10월 31일, 서버 리붓 및 마지막으로 출현한 시간에 따라 젠 되는 방식에서 정해진 시간마다 필보가 출현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젠 시간에 맞춰 필드로 입장할 수 있는 포탈이 나타나며, 이벤트 월드에는 최대 300명까지 입장이 가능하다. 300명을 초과할 경우 새로운 이벤트 월드가 생성된다. 튕겼을 시 포탈로 다시 입장하면 원래 있던 이벤트 월드로 이동된다.
또한 보스는 출현하는 매 시간마다 룬 계정당 1회씩만 잡을 수 있도록 변경되었다. 한 계정당 골론은 하루에 4번, 골모답은 3번만 잡을 수 있다는 뜻. 대신 보스에게 한 번에 획득할 수 있는 보상의 최소 개수가 상향 조정되었으며, 데미지에 비례하여 획득할 수 있는 추가 보상 개수가 증가하게 되었다. 잡몹들의 데모닉 장비 드랍률도 상향 조정되었다.
  • 2020년 1월 16일, 베리넨 루미 지역의 서버가 증설되었다.

3. 테마곡


'''테마곡'''
'''곡명'''
'''작곡가'''

어둠의 유적
박지훈

4. 등장 몬스터



4.1. 일반 몬스터


  • 골고드
[image]
게임 내 도트
  • 켈비르
[image]
게임 내 도트
  • 킬리골
[image]
게임 내 도트

4.2. 보스 몬스터


  • 골론
[image]
게임 내 도트
[image]
[image]
게임 내 도트
일러스트[3]

[1] 2019년 4월 18일 7.60 버전에서 추가되었다.[2] 무기나 손목 갑옷은 해당 무기나 갑옷의 주 스텟들과 명중률/민첩/크리티컬 보정이 랜덤으로 나온다. 이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100% 올 랜덤이다.[3] 캐스티(Caesty)가 담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