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래스터(메이플스토리)/역사
1. 테섭 공개 이후
1.1. 직업군 편입 문제
2. 본섭 공개 이후
2.1. KMS 1.2.254 패치
2.2. V(5차 전직) 패치
2.3. Evolve 패치
2.4. KMS 1.2.274 패치
2.5. KMS 1.2.276 패치
2.6. KMS 1.2.277 패치
2.7. KMS 1.2.284 패치
2.8. KMS 1.2.294 패치
2.9. KMS 1.2.297 패치
2.10. 블랙(The Black) 패치
2.11. KMS 1.2.304 패치
2.12. KMS 1.2.309 패치
2.13. KMS 1.2.313 패치
2.14. KMS 1.2.316 패치
2.15. KMS 1.2.324 패치
2.16. KMS 1.2.332 패치
2.17. KMS 1.2.335 패치
2.18. KMS 1.2.335(2) 패치
2.19. KMS 1.2.338 패치
2.20. KMS 1.2.344 패치
1. 테섭 공개 이후
15년 12월 10일 일러스트와 스킬 및 무기를 공개하였는데, 무기는 건틀렛 리볼버라는 총과 너클을 합친듯한 무기를 사용하며 전직 교관은 일렉스이다.
여담으로, 테스트 서버에선 레벨업을 해도 체력이 증가하지 않는 버그가 있어 체력이 굉장히 낮았다.[1] .
하이퍼 추가 이후, 35위 팔라딘을 1로 잡았을 때 블래스터의 DPM은 약 1.4로 측정되었다. 키네시스처럼 약캐 찍고 시작하지는 않았지만 그렇다고 천상계로 뚫고 나가지는 않은 평균적인 밸런스를 가진다.
1.1. 직업군 편입 문제
직업군 관련 논란이 뜨겁다. 어딜 봐도 해적인 놈이 왜 전사 직업군에 들어가냐 라는 것.[2] 많은 테스터들의 플레이 소감이 '이건 전사가 아니다, 해적(인파이터)이다' 이니... 실제로 스킬 이펙트나 장비 아이템의 모습이 전사보다는 해적 직업군에 어울린다고 볼 수 있는데, 첫째로 불릿 스킬과 너클 형태의 무기를 쓴다는 것.[3] 심지어 이 두 컨셉 모두 모험가 해적의 캡틴과 바이퍼의 것과 같다(...). 둘째로 블래스터 140레벨 무기의 이름이 '샤크투스'로 표기된 것이 발견되어 '''원래 해적 직업이었다가 급하게 전사로 바꾼 것이 아니냐'''는 추측도 힘을 얻고 있다.
메이플스토리의 전사가 '''검'''사는 아니니 전사로 나와도 무리는 없다는 의견도 있지만 기존에 메카닉은 무기를 '''건'''으로 쓴다며 캡틴 계열의 해적으로 분리, 은월은 무기를 '''너클'''로 쓴다며 바이퍼 계열의 해적으로 분리했으면서 건과 너클을 섞은 형태의 무기를 쓰는 블래스터가 전사로 분리되는 건 기존의 무기에 따라 직업군을 분류한다는 메이플스토리의 직업군 법칙을 무시하는 것이다.
원래 해적으로 기획된 걸로 추정되나 이미 해적 직업군에는 스피릿 오브 프리덤(해적)을[4] 가진 메카닉이 있고 마침 전사 직업군은 레지스탕스 컨셉에도 어울리지 않는 데몬슬레이어와 데몬어벤져가 있어 이들의 정체성을 찾아줄 겸 전사에 정착했다...로 요약 가능.
다만 직업군 문제는 원래부터 말이 많았던게 블래스터로 터진 것이고 같이 공개된 히어로즈 오브 메이플의 도트 문제 로 유저들의 화력이 분산됐던(...) 탓에 유저들의 큰 반발없이 지나갔다. 또한 메이플스토리 특성상 신직업 = 링크스킬이라서 무적 시간 2초를 벌 수 있기 때문에 보스 레이드 위주의 유저들은 블래스터에 거부감이 없고 타 레지스탕스 직업들은 블래스터가 나오면서 전용 엠블렘이 생기는 등, 실보단 득이 많은지라...''' 사실 논란이라고는 해도 ''' 테스트 서버에 공개되자마자 혼돈 파괴 망가였던 키네시스에겐 비할바가 못된다. 여러모로 시기를 잘 탄 직업.
2. 본섭 공개 이후
'''무관심'''(...)으로 요약 가능하다. 이전에는 신직업이 출시되면 많은 사람들이 신직업을 키우려고 달려들었는데, 이번 블래스터는 그 수가 정말 적다. 그래도 미리 시티즌을 키워둔 사람들이 블래스터로 전직하여 정말 몇시간도 안돼서 구만렙(200레벨) 달성자가 나오긴 했다. 인지라 안좋다는 소문이 돌다보니 유저를 보기 힘든 직업이었으나 블래스터의 꽃이라 불리는 캔슬 기술이 점차 발전하고 유저들에게 널리 알려지게 되면서 최근에는 블래스터 유저들이 전보다 어느정도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16년 9월 5일''' 블래스터의 첫번째 만렙(250) 유저가 나왔다. 얼마전에 2번째로 만렙을 달성한 유저의 닉네임도 1위 유저와 흡사한 것으로 보아 동일인물일 수도 있다는 소문도 있다. 현재 블래스터의 상위권 랭킹에는 리부트 유저가 꽤나 많이 눈에 띄고 있어 사실상 리부트의 직업이라는 말이 나오기도 한다. 아마도 높은 난이도와 신직업으로 인한 아이템 물량의 부족이 본섭에서 제대로 자리잡기 어려운 것이 그 이유라고 볼 수 있다.
피통이 증가하지 않던 버그는 본섭에 출시되면서 수정됐다. 그리고 매그넘 + 더블팡[5] 만을 사용할시 DPM이 통상의 1.7배[6] 로 기록되어 전체 3위였었다.
2.1. KMS 1.2.254 패치
인듀어런스 실드로 체력 비례 즉사를 막을 수 없게 되었다. 복서처럼 적의 공격을 피하거나 막은 뒤 계속해서 공격하는게 주요 컨셉이였겠으나 의도치 않은 현상으로 인해 맞든말던 그냥 계속 딜을 넣자 칼같이 수정되었다.
참고로 실드가 찬 상태에서 파엘을 마셔서 체력 100%가 되면 인듀어런스 실드가 전부 소멸한다. 물약 쿨타임이 있는 보스전에서는 반드시 펫물약을 꺼야 한다.
2.2. V(5차 전직) 패치
스킬 코어 강화로 이득을 본 직업은 스킬 한두개가 딜 지분율을 다 차지하고 있는 직업, 손해를 본 직업은 여러 스킬들이 골고루 딜 지분율을 나누고 있는 직업인데 블래스터는 후자에 속한다. 그래도 와헌같은 고인행 직업보다는 나은 상황이긴 하다.
5차 스킬인 벙커 버스터는 데미지 자체는 주력기에 비해 심심한 편이지만 쇼크웨이브 펀치에도 적용된다는 점 덕에 평소엔 매그팡 캔슬을 쓰다가 벙커버스터의 쿨이 돌아오면 쇼크웨이브 펀치를 쓰는게 주요 딜 패턴이 될 줄 알았으나 실제로 사용해보면 장전시간 고려 안해도 매그팡 캔슬보다 약간 더 쌘 수준이다. 앞서 말한건 1렙 기준으로 실험한 것으로, 벙커버스터 25렙이 되면 시간당 더 많은 공격횟수로 벙커버스터를 많이 쓸 수 있는 타수 매그팡 캔슬이 누적딜이 높아진다. 그리고 장전시간까지 고려해보면 매그팡 캔슬이 훨씬 더 많은 딜을 넣을 수 있다...
강화코어는 전직업중 유일하게 두가지 파벌로 나뉜다.
첫번째는 쇼크웨이브 펀치 위주로 강화하는 건데, 사냥 보스 전부 쇼크웨이브 펀치로 하니 필요강화코어 종류를 (중요도 순으로 정렬하면) '''쇼크웨이브 펀치>릴리즈 파일 벙커>해머 스매시''' 이 셋으로 크게 압축할 수 있다. 겹치는 스킬이 없으니 상당히 효율적이지만 벙커버스터와 맥시마이즈 캐논 둘이 같이 켜져 있지 않을땐 어웨이크닝 없는 데몬마냥 힘이 크게 빠진다.
두번째는 매그넘펀치 더블팡 위주로 강화하는 건데, 이 경우 필요강화코어 종류가 늘어나 '''매그넘 펀치=더블 팡>릴리즈 파일 벙커>해머 스매시>리볼빙 캐논''' 이 다섯가지가 된다. 맥시마이즈 캐논의 불릿 자동 리도드 시간 감소의 의존도가 매우 낮아지고 벙커 버스터의 가동 없이도 굉장히 강력한게 장점이지만 필요강화코어의 수가 늘어나고 벙커 버스터와 리볼빙 캐논이 겹치기 때문에 벙커버스터의 스킬 레벨이 높아질수록 리볼빙 캐논의 지분율이 낮아진다는게 단점.
이 위의 스킬 모두를 강화하기엔 맥팡과 숔은 같은 상황에선 이 둘을 같이 쓸 이유가 없기 때문에 상당히 비효율적이며 차라리 그 자리에 오라웨폰/쓸샾/쓸어블/쓸컴뱃/발칸펀치 등을 넣는것이 더 좋을 것이다. 특히 레지스탕스 라인 인팬트리는 웬만해선 꼭 넣어주는게 좋은데 이러면 코어칸이 매우 빡빡하다.
2.3. Evolve 패치
사냥, 중거리 딜 등 블래스터의 문제점을 어느정도 보완해줄 레지스탕스 라인 인팬트리와 풀히트 한정으로 전직업중 딜량 최상위권을 자랑하는 발칸펀치가 추가되었는데 발칸펀치는 산재하는 오류와 이동불가 상태 때문에 평가가 좋지 않다. 어쨌든 딜 하나 만큼은 확실하기에 맥시마이즈 캐논+벙커버스터가 빠지면 현자타임이 오는 쇼크 웨이브 강화 빌드 사용자들은 그때를 보완하기 위해 써볼만하다.
2.4. KMS 1.2.274 패치
블래스터의 고질적 문제인 팅김을 수정했다고는 하지만 실제로는 아직까지 고쳐지지 않았다.
2.5. KMS 1.2.276 패치
패치내용은 심플하다. 매그넘 펀치와 더블 팡의 퍼뎀이 깎였다. 압도적인 DPM을 자랑했던만큼 너프가 이해가 되지않는건 아니지만, 이제 매그팡캔슬과 쇼크웨이브 캔슬의 딜량 차이가 줄어들면서 굳이 손을 혹사하며 매그팡캔슬을 써야하는 지 의문이 생기기 시작했다. 맥팡캔은 많은 필요 코어수의 압박과 컨트롤의 압박 대신 높은 dpm을 보유했으나 차이가 크게 줄어든 지금 굳이 맥팡캔 할 필요는 없고 자본이 적으면 숔캔만 해도 좋다.
2.6. KMS 1.2.277 패치
'''드디어 스웨이 캔슬로 인한 클라이언트 종료 버그가 수정되었다.''' 장장 1년 6개월에 걸친 탄원이 이루어진 것이다. 덕분에 블래스터는 더킹과 스웨이를 부담없이 이용해 위치 선정에 우위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 [7]
패치와는 별개로 블래스터를 육성하는 유저들의 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컨트롤 고수용 직업이라거나, 손이 엄청 꼬인다거나 하는 편견이 점차 줄어들고 단순하게 강하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2.7. KMS 1.2.284 패치
구사일생의 확률이 10%밖에 되지 않아서 자주 볼 수 없었고, 따라서 있는지도 몰랐던 버그를 수정했다(...).
2.8. KMS 1.2.294 패치
본디 테스피아 1.2.066 당시에는 불릿 충전량 감소까지 예고되어 있었으나, 본서버에서 롤백되면서 최악의 상황은 피했다. 더불어 리볼빙 캐논의 자동/수동 리로드 시간이 기존에 비해 대폭 감소하긴 했는데, 어차피 숙련된 블래스터 유저라면 차지를 통해 무리없이 불릿을 수급하므로 크게 의미가 없는 변화라고 할 수 있다.
더불어 허리케인 믹서의 근본적인 문제점인 '''콤비네이션 중첩 초기화'''는 건드리지 않고 피해량만 증가시켰으며, 긴급 회피기이자 일시적 탱킹 기술인 슈퍼 인듀어런스의 재사용 대기시간은 1/3만큼 증가시켰다. 벙커 버스터 시간이 짧아진 것과 쇼크웨이브 리인포스의 데미지 증가량이 반토막난 것도 역시 좋다고는 볼 수 없는 변화다.
벙커 버스터와 쇼크웨이브 리인포스의 하향은 물론 뼈아프긴 하지만, 어쨌든 불릿 수급량 반토막을 면했으니 그것만으로도 큰 위기는 넘긴 셈인지라 블래스터 유저들 입장에서는 그야말로 십년 감수라고 봐도 무방할 지경이다. 한편 DPM이 공개되었는데 유닠둘둘 기준으로는 불변의 1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레전둘둘 기준으로는 '''카데나에게 자리를 내주고 2위로 밀려났다.''' 다만 5월 8일에는 카데나의 딜사이클 수정과 함께 1위 자리를 탈환했다.
2.9. KMS 1.2.297 패치
허리케인 믹서에 카데나의 체인아츠: 터프 허슬과 같은 중첩 유지 기능이 추가되면서 활용성이 대폭 상승했다. 하지만 차지 마스터리에 '차지 스킬 공중 사용 시 불릿 리로드 제한'이 생겼다. 다시 말해 체공 중에 습관처럼 불릿 스킬을 사용했다간 불릿 잔량이 남아나지 않을 수 있으니 땅에다가 제대로 발 붙이고 있어야 한다는 소리다.
2.10. 블랙(The Black) 패치
신 5차 스킬로 버닝 브레이커라는 무적 극딜기를 손에 넣었다. 테스트서버 때부터 스킬 자체가 하자가 많아 발칸 펀치 급으로 못써먹을 스킬으로 여겼는데, 본섭으로 들어올 때는 퍼뎀의 대폭 상향과 후딜 감소로 인해 성능 좋은 무적기가 되었다. 캔슬을 통한 지속 폭딜의 성향이 강했던 블래스터에게 압도적인 폭딜을 선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무난하게 잘 쓰이는 중이다. 하지만 사냥 능력이 단점으로 꼽히는 블래스터에게 사냥 스킬을 준게 아니라 극딜기를 준 것에 대한 아쉬움도 남아있다.
2.11. KMS 1.2.304 패치
윌 오브 리버티 버프를 이용한 후딜 캔슬이 막혔다.
2.12. KMS 1.2.309 패치
2.13. KMS 1.2.313 패치
테스트 서버에서 공개된 내용은 쇼크 웨이브 펀치의 데미지를 하향시키고 더블 팡의 데미지를 상향시키는 등가교환식 너프였으나, 본섭에 들어오며 확인된 내용물은 완전히 다른 내용의 상향안이었다. 덕분에 많은 블래스터 유저들이 놀란 가슴을 쓸어내렸고, 하루아침에 원성이 환호로 변하는 진풍경이 연출되었다(...).
전체적으로 성능에 직관하는 여러 치명적인 버그들이 수정되었으며, 쇼크 웨이브 펀치의 충격파 데미지를 상향시켜 충격파 원킬컷을 낮추는 등의 패치로 소소하게나마 진입장벽을 낮추었다.
한편, 해당 패치가 테섭에 적용될 당시 버닝 브레이커에 벙커 버스터와 맥시마이즈 캐논이 같이 적용되면 데미지 증가가 '''최종 데미지''' 증가로 적용되는 엄청난 버그가 있었다. 물론 하루도 안 가서 사라졌지만, 수정되지 않았다면 40초 극딜표 순위가 요동쳤을 정도의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었다.
2.14. KMS 1.2.316 패치
겉보기에는 소소한 편의성 개선 패치. 그러나 차지 시간의 감소는 결코 얕볼 정도의 가벼운 수치가 아니다. 1초 차지 기준 0.75초와 0.6초의 차이는 생사를 가를 수도 있는 수준이기에 확실한 상향.
2.15. KMS 1.2.324 패치
아란과 함께 오라 웨폰 변경의 수혜자가 되었다. 여러 스킬에 걸쳐 피해량이 분산되는 블래스터의 공격 구조 특성상, 가장 마지막으로 사용한 스킬의 퍼뎀과 타수를 복사하는 오라 파동의 효율은 말할 것도 없는 하위권이었다. 그러나 이 패치에서 오라 파동이 사출 직전에 쓴 스킬에 구애받지 않도록 바뀌면서 블래스터도 부담없이 이를 이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물론 그 과정에서 사출 주기 증가는 감수할 수밖에 없는 핸디캡이 되었다.
이와 별개로, 더킹과 스웨이의 캔슬에 있던 오류가 수정되었다. 이전에는 점프를 alt 키에서 다른 키로 배정한 뒤 한글 입력으로 전환하면 점프를 이용한 제동이 잘 되지 않던 버그가 있어서 상위 보스전에서 간혹 의문사를 당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 현상이 수정된 것.
2.16. KMS 1.2.332 패치
콤비네이션 트레이닝으로 상승하는 최종 데미지가 기존 대비 10%p만큼 상향되었다.
2.17. KMS 1.2.335 패치
- 블래스터의 리볼빙 캐논 효과음이 스킬 효과음이 아닌 일반 효과음으로 적용되는 현상이 수정됩니다.
- 블래스터가 사용하는 허리케인 믹서의 적을 당겨오는 범위가 기존 대비 80% 증가됩니다.
2.18. KMS 1.2.335(2) 패치
- 블래스터가 공격 스킬 사용 후 다른 스킬의 차지를 일정 시간 할 수없는 현상이 수정됩니다.
2.19. KMS 1.2.338 패치
블래스터 특유의 악랄한 난이도를 낮추기 위해 더킹과 스웨이에 커스텀 커맨드 기능이 추가됐다. 더킹+매그캐논+팡캐논을 각각 ASD에 놓았다고 가정했을 때, 이론상으로는 A모으고 SD-A모으고 SD 식으로 매그팡 캔슬을 이어나갈 수 있다. 그러나 더킹과 스웨이를 커스텀 커맨드로 놓고 쓰면 사용 후에 미묘한 액션 딜레이가 생겨 바로바로 연계가 되지 않고, 스웨이를 커스텀 커맨드로 설정하면 플래시 무브를 또 다른 퀵슬롯에 놓아야 하기 때문에 컨트롤이 꼬일 염려가 있다. 의도는 좋으나 그뿐. 그래도 다행인 점은 쇼크웨이브 캔슬의 난이도는 어느정도 줄었단 것.
맥시마이즈 캐논은 재사용 대기시간이 210초에서 240초로 늘고 지속시간이 35초가 되어 가동률에는 별 차이가 없지만 다른 극딜 버프 주기에 맞추기 쉬워졌다. 그리고 발칸 펀치의 키다운 시간이 반이나 줄고 데미지가 올라 드디어 극딜기라는 이름값을 하는 스킬로 탈바꿈했다. 하매펀은 차지 시간이 줄어들었고, 애프터이미지 쇼크는 액티브 효과의 재발동 대기시간이 줄어들어 매 타격마다 추가타가 터지게 됐다.[8] 전반적으로는 상향이지만 커스텀 커맨드는 개선이 더 필요하다.
2.20. KMS 1.2.344 패치
숙련된 블래스터에게는 전혀 쓸모가 없었던 리프트 프레스와 매그넘이 개편됐다. 우선 리프트 매그넘은 삭제됐으며, 그 자리를 매그넘 캐논이라는 원거리 공격기가 대체하도록 바뀌었다. 리프트 프레스는 연계 스킬이 없어진 대신 잡은 뒤 돌진하는 퍼뎀이 증가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캔슬에 숙련된 블래스터에게는 여전히 활용성이 낮아서, 캐논의 위아래 범위 빼고는 그다지 볼 것도 없다.
또한 하이퍼 스킬인 하이퍼 매그넘 펀치 차징 도중에는 기절 면역이 부여되었다. 차징 중에는 가드 효과가 적용되므로 하매펀 캔슬의 가치가 크게 올랐다.
[1] 링크와 카드덱, 방어구를 제외하면 100레벨 기준 2500~3500 정도.[2] 블래스터 이전에는 엔젤릭버스터가 비슷한 논란에 휘말렸는데, 엔버의 경우 무기나 스킬이 건슬링거 계열과 유사 하기도 하고 컨셉 상 도저히 넣을 만한 직업군이 없어서 해적에 낑겨넣은 느낌이라 유저들이 대충 납득했다.[3] 전사 교관인 일렉스의 경우 본래 체인이 달린 도끼를 들고 있는 캐릭터였는데, 아무래도 컨셉 논란이 일어날 것을 개발진도 의식한 것인지 블래스터의 공개와 더불어 해당 직업군의 무기를 착용한 도트로 수정되었다.[4] 블래스터는 시티즌 캐릭터라, 해적 직업군으로 분류된 채 링크 스킬을 가지면 스피릿 오브 프리덤(해적)이 두 개나 되어버린다.[5] 스킬 매크로에 등록됨.[6] 비숍을 100%로 친 기준[7] 다만 이 '튕김'이 왜 생겼는지에 대해서는 이런저런 추측이 오가고 있다. 단순한 스크립트 오류로부터 시작해서 MP 소모 메커니즘과의 충돌, 혹은 스웨이 반복 시 MP 소모 연산 번복으로 인한 시스템 마비 등등. [8] 패치 이전에는 매그팡에서 매그넘 펀치에 발생했다면 최소 시간으로 연계한 더블 팡에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패치 후에는 매그넘 펀치와 최소 시간으로 연계한 더블 팡 모두에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