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박스/비트
1. 개요
비트박스에 있는 비트들을 서술한 항목이다. 스킬만 알아서는 쓸데가 없고 마치 세포가 모여 기관이 되고 기관이 모여 몸이 되듯이, 비트박스의 스킬이 모여 비트가 되고 비트가 모여서 음악이 되므로, 꼭 알아놓아야 한다.
비트박스 족보는 비트박스 실력 성장에 어느정도 도움은 줄 수는 있겠지만, 무작정 족보를 따라한다고 해서 실력이 느는 것은 아니고, 스타일도 찾을 수 없다. 자신에 맞게 비트를 바꿔보거나 유명한 비트박서의 스타일을 모방해 가면서 자신만의 스타일을 찾아야 한다.
'''※ 참고로 여기에 서술된 비트는 사이트마다 차이가 날 수도 있으니 주의해서 볼 것.'''
2. 기본비트
- K : 킥 드럼
- H : 하이햇
- S : 스네어
이외 스킬들은 이 문서를 참고 바람.
3. 4원소 비트
3.1. 윈드
케니 무하마드가 만든 비트. 국내에서는 다람쥐 비트박스[5] 로 알려져 있다.
원곡은 Kraftwerk의 Numbers이다.
'''굵은글씨''': 괴물음, ⬇: 내뱉기 ⬆: 들이쉬기
K: 킥, S: 스네어, R: 림샷, C: 클릭스네어, tk: 쪼개기[6] , Bk: 베이스킥, 습: 습하고 들이마시기
'''오이스⬇아이스⬆라이스⬇히스⬆비스⬇아이⬆시노⬇허⬆사⬇'''
'''파'''(K)tk Rtk '''타'''(K)tk Rtk '''비'''(K)tk Rtk '''시노''' R '''사'''
'''뿜'''(Bk)tk R '''뿜'''(Bk) tktk Rtk '''뿜'''(Bk)tk R '''뿜'''(Bk)tk '''뿜'''(Bk) R '''뿜'''(Bk)
'''우노''' R tk '''도스''' R tk '''트레스''' R '''쿠아트로''' R tk
K 원 Rtk 투tk Rtk
'''뿜'''(Bk)tk R '''뿜'''(Bk) 두구두구두구두구↗[7]
'''뿜'''(Bk)tk R '''뿜'''(Bk) 두구두구두구두구↗
'''퐈'''(K) RK '''에'''[8] R '''퐈'''(K) RK 두구두 두구둥↘
'''퐈'''(K) RK '''에''' R '''퐈'''(K) RK 습[9]
3.2. 파이어뱃
한국의 비트박서 DG가 만든 비트. 몇몇 사이트나, 유튜브 동영상에는 파트1, 파트2 로 나눠져 있는게 돌아다니지만, 원래는 아주 짧고, 간단한 비트이다. 림샷을 잘 익혀놓아야 비트를 이어나갈 수 있다.
Krr: 킥 떨기
'''K(퍼)K(벳)K(퍼) K(파)'''습 '''K(파)'''습 '''K(파)'''습 '''K(파)'''습
'''K(퍼)K(파)이어''' KRHH '''K(퍼)K(벳)''' KRHH
'''K(퍼)K(파)이어''' KRHH '''K(퍼)K(벳)''' KRHH
'''K(퍼)K(파)이어''' KRHH '''K(퍼)K(벳)''' KRHH
'''K(파)'''KK RHHK 습K 습K R~ [10]
K HH RHH RHR KHR KHR
KRHH RHH RHH 흣HR 핫HR[11]
KRHH RHH RHH 흣HR 핫HR
KRR KRR KR Krr K R
참고로 파이어뱃은 4원소 비트가 아니다. 라젤의 파이어가 이 항목에 서술되는 것이 옳다.
3.3. 워터
위에 윈드를 만든 케니 무하마드가 만든 비트. 파이어뱃이랑 다소 비슷한 느낌이 있다.
KHKH RHHR HRKR RKHR
KHKH RHHR HK 흣HR 핫HR
KHKH RH 어~ KRKH RK Ain't a Funk(B)[12]
HKRHH RHK 흣 HR 핫 HR
KHKH RH 어~ KRKH RK Ain't a Funk(B)
HKRHH RHK 흣 HR 핫 HR
KHKH RH 어~ KRKH RK
Ain't a R Ain't a R Aint a R R R R R R R R 포(K)
3.4. 어스
베이스킥과 비음섞인 스네어가 많이 들어가있는 비트. 반복되는 게 많아서 쉬운 비트이다.
참고로 BBPBB는 "도 도 파 도 도"라는 멜로디로 비음을 섞으면 된다.
P: 펀치스네어
BBPBB 트르릇[13] KS 스습
BBPBB BBBBB⬆[14]
BBPBB 습 습습
BBPBB PKP Krr K
BBPBB BBBBB⬆
BBPBB 습습
BBPBB BBBBB⬆ 습습습습습
헤이 컴 온 BBPBB PKP Krr K
BBPBB 습습습습
BBPBB 습습 습습습
4. 알아두면 유용한 비트
이 비트들은 알아두면 공연할 때에도 유용하며, 비트를 작곡할 때에도 도움이 된다.
4.1. 마이애미
KHH RKK HHH RHH
KHHH RKK HHH RHH
'''피'''~ RKK HHH RHH
KHHH RKK HHH RHH
'''퐈'''~ RKK HHH RHH
KHHH RKK HHH RHH
'''피'''~ RKK HHH RHH
KHHH RK HRKH R~
4.2. KRHR PRHR
KRHR[15] PRHR HRKR PRHR
KRHR PRHR HRKR P '''B B'''
4.3. 페탈리티 테크닉[16]
Krr: 킥떨기. 이때는 푸쿠투로 발음한다.
Prr: 펀치스네어 하고나서 입술을 떤다. S: 올드스네어
Krr 허 P KdKRHR
Krr 허 P KdKRHR
Krr 허 P KdKRHR
Krr 허 S테 Prr허 S테
4.4. 바벨리 롤[17]
트릇: 입을 다물고 롤링을 한다.
(K 909k 트릇 K 909k)x2[18] K K (K 909k 트릇 K 909k)x2 K K
4.5. 클릭스네어 비트
C: 클릭스네어
K-C KC KCHC KC[19]
[1] 비트박서인 Alem이 만들었다.[2] 독일 비트박서 Babeli가 만든 비트다.[3] 4비트의 KHSH에 HKSH을 이은 것이다.[4] 외우기 어렵다면 KH 2번, SHH 2번, KH 1번, SHH 1번, 마무리로 K. 로 외워줘도 좋다.[5] 유튜브 동영상 중 "동물들이 말을 한다면" 참조[6] 발음은 육성 없이 츠크 또는 트크로 발음하면 된다.[7] 저음에서 고음으로 올리며 발음한다.[8] '에' 대신 '사' 로 발음하기로 한다.[9] 이 부분을 지퍼나 리버스 스크래치 혹은 슬리저 롤로 하는 경우가 있다. 자신만의 방식으로 마무리해도 좋다.[10] 림샷을 길게 끌어준다.[11] 흣 핫은 세게 내뱉어주면 좋다.[12] 에이너 펑크로 발음하되, 퍼 발음을 베이스킥으로 한다.[13] 혀를 털어주면 된다.[14] 음이 조금씩 올라가주면 된다.[15] 부카치카 발음으로 외워두면 편하다.[16] 비트박서인 Alem이 만들었다.[17] 독일 비트박서 Babeli가 만든 비트다.[18] 빠르게 이어줘야 한다.[19] 발음을 표기하자면 부-까 부까 부까츠까 부까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