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4
1. 서유럽 주요 4개국
세계적으로도 강대국이자 선진국으로 분류되는 서유럽의 4개국가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를 말한다. 영문위키
2. 세계 4대 회계법인
'''빅4 / Big 4 / 四大'''
회계법인들 중 매출과 인지도에서 국제적으로 1~4위를 다투는 4개의 회계법인을 이르는 용어. 빅4라 부르며,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에서 PwC, KPMG의 경우는 대한민국의 대형 회계법인과 빅4 회계법인 본사가 파트너 협력 관계 (멤버십) 이다. 그러다 보니 삼일회계법인의 경우, 파트너 펌인 PwC 본사가 세계 각지의 지사에서 사람을 추려서 팀을 꾸린 뒤 삼일회계법인에 보내는데, 이들이 하는 일은 삼일회계법인의 감사 절차 및 기준이 PwC와 부합하는지 점검하는 것이다. EY의 경우에는 글로벌 본부가 직접 운영하는 지사다. 딜로이트 코리아는 딜로이트 아시아 퍼시픽(AP)으로 2020년 6월1일부터 AP 통합체제에 합류해 EY처럼 글로벌 본부에게 직접적으로 운영을 관여 받으면서 독립적인 결정권을 가지는 시스템으로 변경되었다. 딜로이트안진이 딜로이트아시아퍼시픽(AP)으로의 편입을 공식화하면서 국내 회계업계에서 원펌(One Firm) 체제가 확산 가능성이 생겼다. 삼일PwC와 삼정KPMG 등 다른 대형 회계업체들도 글로벌 본사와의 결합수준이 강화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빅4는 쌓아온 명성만큼 신뢰도가 높은 회계법인들이기에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들의 회계감사는 항상 이들이 맡고 있고, 회계감사의 특성상 제일 수임료가 큰 시장을 빅4펌들이 독점하는 현실이다. 회계감사 외에도 다양한 회계 관련 업무, 세무 컨설팅, 기업가치 평가와 같은 업무에 있어서도 빅4가 선호되는데 그 이유는 빅4가 가지고 있는 명성 때문이다.
한편 빅4의 보수(연봉)에 대해 이야기하자면 2020년 기준 신입 초봉이 보통 대한민국에서는 5천만 원 이상, 미국에서는 6만 달러에서 시작한다. 일본도 5백만엔 정도부터 시작한다. 그 외에도 대기업답게 복리후생과 경력이 따라온다. 빅4는 글로벌 회계법인이다보니 교환 근무를 통해 해외 오피스에 1년~2년 정도 체류하면서 근무를 할 수 있는 기회도 있다. 해외 생활을 경험해보고 싶은 회계사들에게는 좋은 기회라고 볼 수 있다.
승진을 하면 할수록 실무나 관리 능력보다는 영업능력이 매우 중시된다. 매니저급부터는 점차 영업 능력이 요구되기 시작하며, 이사급 이상부터는 영업이 매우 중요해진다. 빅4 회사들의 능력은 비슷비슷하고 차별점이 없는 상태에서 당연히 고객사를 확보하는 것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4대 회계법인에서 일하기를 선호하는데, 그 이유는 4대 회계법인에서 일한 경력을 바탕으로 다른 곳에 이직하기가 비교적 수월하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의 경우에는 금융감독원이나 한국산업은행, 한국은행 등으로 이직하거나,[6] 해외의 경우에도 4대 회계법인에서 일한 경력을 바탕으로 다국적 기업에 Finance manager(재무 과/차장급)나 CFO(재무 이사)로 이직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특히 해외의 경우 초보에서 막 벗어난 시니어급 회계사들의 이직률이 상당히 높은데, 그 이유는 경력을 쌓고 업무를 익히기 위해 4대 회계법인에 들어가서 살인적인 업무량을 3~5년 정도 버틴 뒤에 연봉이 높고 워라밸이 훨씬 좋은 일반 대기업이나 공기업으로 이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사급의 이직 또한 종종 있는데, 이 경우에는 4대 회계법인보다 급이 낮은 회계법인에서 파트너가 될 수 있을 경우가 가장 일반적이다.
3. 스래쉬 메탈 Big 4
[image]
스래쉬 메탈의 최고 인기 네 밴드를 일컫는 말이다. 바로 '''메탈리카, 슬레이어, 메가데스, 앤스랙스'''를 말한다. 위 사진처럼 같이 합동 투어를 돌기도 했다.
재미난 점은 저 4밴드는 기독교 단체로부터 사탄 숭배자 취급을 받지만 4밴드다 성실한 기독교인이다.
4. 테니스 Big 4
2000년대 중반부터 2016년까지 ATP 투어를 주름잡았던 4명의 남성 테니스 선수들인 로저 페더러, 라파엘 나달, 노박 조코비치, 앤디 머리를 묶어서 일컫는 단어.[7]
과거 2000년대 초반부터 시작된 페더러의 독주에 이어서 클레이에서 그를 가로 막은 나달이 양강체제를 이뤘고, 늦게 데뷔한 조코비치와 머레이가 성장하면서 주요대회인 그랜드슬램, 투어파이널, 마스터스 시리즈, 올림픽을 완전 장악하다시피 했다. 2004~2019년 사이에 이 넷을 제외한 선수가 세계랭킹 1위에 올랐던 적도 없으며, 2005년 2월부터 2018년까지는 빅 4를 제외하면 세계랭킹 2위에 오른 선수도 없다. 심지어 윔블던에서는 '''2003~2019년 현재'''까지 우승자가 모두 빅4이다.
참고로 빅4의 시대때 그랜드슬램 우승을 기록한 다른선수는 스탠 바브린카[8] , 마린 칠리치[9] , 델 포트로[10] '''단 3명''' 밖에 없다.
2020년 US 오픈에서 도미니크 팀이 즈베레프를 꺾고 우승을 차지하면서 새로운 시대를 예고하고 있다. 다만 이 대회는 나달[11] 과 페더러[12] 가 불참하였고, 강력한 우승후보였던 조코비치가 16강에서 실격패[13] 를 당한 대회이기 때문에 빅3의 시대는 몇 년 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4.1. 역사
2000년대 초반 짐 쿠리어, 피트 샘프라스 같은 전설적인 선수들이 30대에 접어들면서 모두 은퇴한 가운데, 신예 선수인 페더러가 무섭게 치고 나가면서 랭킹 1위를 차지, 이후로 압도적인 페이스를 유지하며 독주체제를 만들어갔다. 몇 년 뒤 나달이 클레이 코트에서의 미친 듯한 활약으로 로저 페더러의 뒤를 바짝 쫓기 시작했고, 이후 페더러 & 나달의 양강체제가 만들어졌다. 당시에 이 두 선수가 얼마나 압도적이었냐면, '''무려 2005년부터 2010년까지''' 매년 마지막 세계랭킹 1~2위를 나눠먹기 했을 정도다.
이후 뒤늦게, 서로 동갑인 조코비치와 머리는[14] 서로 경쟁하면서 매년 서서히 힘을 키워 2007년부터는 조코비치가 3위에 올라 나달과 페더러의 독주 체제를 뒤집을 수 있을 정도로 성장했고, 1년 뒤인 2008년에는 결국 머리까지 치고올라 '''빅4'''의 시대가 제대로 탄생했다. 4명의 연말랭킹이 1~4위를 기록했고, 이후 '''4년 연속'''으로 이 순위가 유지되었다.
특히나 11년도부터는 조코비치가 나달-페더러 독주체제를 완전히 끊고 2위를 기록했으며, 이후 계속되는 빅4의 전성기에도 특히나 앞서나가기 시작했다. 이후 페더러/나달이 잠시 부진했던 14년도 후반~16년도까지는 조코비치가 압도적으로 포인트를 쓸어담아[15] '''독주하다시피''' 했으며, 앤디 머리도 그 뒤를 쫓다 16년도 후반부터 하락세인 조코비치를 앞지르며 조코비치-머리 2인 체제를 만들었다.
2017년에는 조코비치와 머리 모두 부상을 당하며 굵직한 대회에서 이렇다할 성적을 못내며 주춤하는 사이, 나달과 페더러가 전성기급 수준으로 부활하며 다시 2인 체제가 만들어져 2018년 6월까지도 둘이 엎치락 뒤치락 하면서 이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여기에 조코비치도 잠시 부진했지만 2018년 중순부터 폼이 올라와 윔블던과 US 오픈 단식 우승을 이뤄내며 완전부활하며 셋이서 연말 1, 2, 3위를 차지했다. 2019년에도 나달과 조코비치가 그랜드 슬램 대회 2개를 나눠서 먹으며 양강을 구성하고, 페더로도 8강~결승전급에 버금가는 성적을 꾸준히 냈다.
머리는 2017년 말 부상 악화로 성적을 못내더니 큰 수술을 받은 이후 대회출전이 뜸해져 랭킹도 800위권으로 떨어지고 겨우겨우 복귀는 했지만 2019년 기준 2~300위권에서 노는 등 좀처럼 치고 올라오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2019 호주 오픈 직전에 2019년 말 은퇴를 선언하면서 빅4가 깨지고 빅3 구도로 변한 상태다. 2016년까지는 빅4 구도였지만 2017년에 앤디 머리가 그의 커리어를 사실상 끝내버린 부상을 당하면서 빅4 구도가 깨졌다고 보면 대충 맞는다.
2020년 US 오픈에서는 페더러 나달은 불참, 조코비치는 실격으로 조기탈락하게 되어 최초의 90년대생 슬램우승자 도미니크 팀이 나오면서 빅3의 기세가 점점 약해지고 있다는 평.
4.2. 빅4가 맞는가?
영문 위키백과[Big_Four_(tennis)] 에 상세한 내용이 많이 나와있으니 자세히 알아보고싶으면 해당 문서를 참고하자.
가끔 머리의 성적이 페나조보다 크게 떨어지는 것, 그리고 머리와 스탠 바브린카의 메이저 우승 기록이 동등함 등을 언급하며 빅4라는 말을 쓰면 안되며, 페더러 나달 조코비치만 묶어서 빅3라고 해야 하며 머리는 바브링카와 같은 등급으로 분류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머리의 실적, 특히 메이저 우승 경력이 그 위의 셋에 비해 크게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우선 빅4라는 용어는 '''머리가 메이저 우승을 하기도 전인''' 2011년에 네 선수가 그랜드슬램 8강/4강과 랭킹 맨 위의 4자리를 사실상 독식함으로써 쓰이기 시작한 것으로, 머리가 세 선수와 같은 반열에 올라 있음을 상정하여 쓰이는 말이 아니다.
또한 머리와 바브린카의 차이는 메이저 우승 횟수로 보이는 것보다 훨씬 큰데, 바브린카는 랭킹 1위는 커녕 2위도 달성해본 적이 없고 통산 승률도 15% 가까이 차이나며, 메이저 8강 이상 진출횟수(30 vs 15), 마스터즈(14 vs 1), 투어 파이널(1 vs 0), 총 타이틀 개수(45 vs 16), 올림픽(2 vs 0), 탑10 상대 승수(101 vs 54), 빅3 상대 승수(30 vs 11) 등 중요한 지표들에서 몇 배나 차이 날 정도로 그 차이가 크다. 반면 바브린카는 그랜드 슬램을 제외한 나머지 대회 성적에서 같은 세대의 바로 밑급 선수들과의 차이는 그렇게까지 크지 않으며, 실제로 상대전적 면에서도 후안 마르틴 델 포트로 등에게는 밀릴 정도.[16] 그러나 이건 가장 중요한 그랜드 슬램을 빼고 나머지 대회 성적 비교시 그렇다는 말이고 그랜드 슬램 성적을 포함하면 바브링카와 그 밑의 선수들과의 차이가 훨씬 더 크다. 현역 중에 그랜드 슬램 우승자는 페더러 나달 조코비치 머리 바브링카를 제외하면 2명 밖에 없으며 그 둘은 1회 우승자이기 때문이다.
결국 가장 중요한 것은 그랜드 슬램 우승 횟수기 때문에, 결국 '''머리와 바브링카의 격차는 머리와 조코비치의 격차보다 훨씬 적다'''는 게 많은 사람들의 의견이다. 실제로 머리와 바브린카는 마스터스 우승 횟수가 13회 차이나는데(14 vs. 1) 머리와 조코비치는 그랜드슬램 우승 횟수가 13회 차이나므로(3 vs. 16) 틀린 말도 아니다.
더 나아가 머리와 바브링카의 격차가 커서 둘을 같은 등급으로 분류할 수 없으면 페나조 셋을 빅3라 부르는 것도 불가능 하다. '''페더러와 나달의 격차, 나달과 조코비치의 격차도 머리와 바브링카의 격차보다는 더 크기 때문이다.''' 빅3 셋은 메이저 우승 횟수가 다르기 때문이다. '''페더러와 나달의 메이저 우승 횟수 차이는 1회, 나달과 조코비치의 우승 횟수 차이는 2회 그러나 머리와 바브링카의 우승횟수 차이는 0회이다.''' 결국 머리와 바브링카의 격차는 미미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모든 지표를 통틀어 페나조의 성과가 머레이와는 현저히 차이나기 때문에 현재는 빅3으로 통하는게 정설이다. 영문위키 빅4 또한 빅3로 연결된다.
게다가 빅4의 용례라는 것이 영국언론에서 만들어진 단어이기 때문에 객관적 서술도 아니다. 테니스를 떠나서 어떤 경우가 되건 보통의 경우 1~3위까지 탑3는 따져도 굳이 1명 더 끼워서 빅4라는 말은 잘 쓰지도 않는다. 올림픽도 1~3위까지 금은동메달을 수여하지 4위에겐 아무것도 없다. 아주 비등비등하여 서로간의 우열을 가리기 힘든 경우라면 빅4 빅5 같은 말도 쓰지만 그게 아니라면 3인자 밑은 거론하지 않는게 보통. 다만 머레이와 그 아래급 선수들의 성과에도 분명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17] , 3+1 같은 표현은 지금도 종종 등장한다.
5. 축구 프리미어 리그 Big 4
2000년대, 잉글랜드 프리미어 리그를 주름 잡던 4개의 프로 축구 클럽을 의미한다. 이 4팀은 리버풀 FC,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아스날 FC, 첼시 FC를 뜻하며, 한동안 이들은 4위까지 주어지는 UEFA 챔피언스 리그 진출권을 독점하다시피 하였고, 서로 치열한 경쟁을 통해 프리미어 리그 흥행의 중심을 이루었다. 그러다가 2000년대 후반부터 오일머니를 바탕으로 우승권 전력을 갖춘 맨체스터 시티 FC, 2010년대 중반부터 4강 궤도에 진입한 토트넘 홋스퍼 FC가 급성장함에 따라 현재의 'Big 6' 양상으로 바뀌었다.
6. 가디언즈, 드래곤 길들이기, 메리다와 마법의 숲, 라푼젤의 비공식 크로스오버
[image]
'''가디언즈'''의 '''잭 프로스트''', '''메리다와 마법의 숲'''의 '''메리다''', '''라푼젤'''의 '''라푼젤''', '''드래곤 길들이기'''의 '''히컵'''의 크로스오버를 일컫는 말. 제목에서 따와서 Rise of The Brave Tangled Dragons, 줄여서 RotBTD라고도 한다.
네 명의 캐릭터들 모두 겹치지 않는 각양각색의 개성이 있어서 자주 크로스오버된다. 서양 웹에서는 빅포를 소재로 한 동영상까지 많이 나오고 있다. 빅포를 사계절과 엮은 팬아트도 자주 나오는데 라푼젤은 봄, 메리다는 여름, 히컵은 가을, 잭은 겨울로 그려진다. 4원소설과 엮일 때 라푼젤은 공기, 메리다는 불, 히컵은 흙, 잭은 물을 상징하는 것으로 나온다.
이들을 호그와트와 다시 엮은 것도 많다. 주로 메리다는 그리핀도르, 잭 프로스트는 슬리데린, 라푼젤은 래번클로, 히컵은 후플푸프로 그려진다.
빅포 팬들은 디즈니와 드림웍스가 공식 콜라보레이션 작품을 만들어주길 바라고 있지만 현실적으론 불가능할 듯. 아무래도 이 둘은 경쟁 관계에 있다 보니 그리 사이가 좋지는 않기 때문이다.[18]
여기에 몬스터 호텔의 마비스를 더해 Big 5라고 하거나 겨울왕국의 엘사와 안나를 더해 Big 6, 또는 Rise of The Brave Tangled Frozen Dragons라고 하기도 한다. 하지만 몇몇 팬들은 엘사와 안나가 들어오는 걸 반기지 않는 경우도 있다. 다 각기 다른 개성을 지닌 빅 포인데 엘사와 안나가 들어와서 균형이 흐트러진다고 보는 듯.
7. 검찰청 요직
검찰청 수장인 검찰총장에 버금가는 권한과 향후 [19] 승진이 보장된 네 자리를 일컫는다. 200명 이상의 검사를 거느리는 서울중앙지검장, 검찰 인사와 예산을 총괄하는 법무부 검찰국장, 그리고 검찰총장을 지근에서 보좌하는 대검찰청 반부패·강력부장(舊 중앙수사부장)과 공공수사부장(舊 공안부장). 흥미로운 점은 전부 지검장급이지만 정국을 뒤흔드는 중요사건을 다루거나 인사를 좌지우지하는 등 위세가 막강하기에 언론도 고검장 인사보다 이들 보직에 누가 임명되는지 더 예의주시한다.
[1] 한영회계법인과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2]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이다. [3] 에릭남이 딜로이트에 입사할 뻔했다.[4] 삼일회계법인과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5] 삼정회계법인과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6] 지금은 이직이 예전만큼 쉽지 않아서 자의반 타의반 4대 회계법인에 계속 재직하는 경우가 많아졌다.[7] 사실 빅4라고 불리기엔 머리의 커리어가 너무 빈약한 감은 있다. 그도 그럴게 머리의 그랜드슬램 대회 우승 횟수는 총 3회밖에 되지 않는다. 클레이코트에서 유독 강한 나달도 윔블던 우승 횟수로는 머리와 동률이며 페나조 중 우승 횟수가 제일 적은 조코비치의 우승 횟수는 16회로 머리보다 13회나 더 많다. 그나마 그랜드슬램 우승 횟수가 1회를 넘는 선수가 거의 없어서 빅4에 얹힌 것이지 커리어로만 따지면 빅3라고 표현하는게 맞는다.[8] 2014 호주, 2015 프랑스, 2016 US[9] 2014 US[10] 2009 US[11] 코로나19로 불참[12] 부상으로 불참[13] 조코비치#s-4.9.2 참고[14] 둘은 일주일 간격을 두고 태어났다.[15] 15년도 연말에는 2등인 머리와 "8000"점 이상이 차이났다.[16] 이건 바브린카가 이상할 정도로 그랜드슬램 대회'''만''' 강했던 탓이 크다. 실제로 페나조 시대 가장 빡센 슬램 우승 1, 2, 3위가 전부 바브린카의 3회 우승인데(...), 이는 바브린카가 슬램 이외의 무대에서는 별로였다는 가장 확실한 증거가 된다. 바브린카가 슬램 말고는 별로라서 높은 랭킹을 유지하질 못하고, 그렇게 랭킹이 낮아지면서 드로가 빡세지기 때문에 우승했을때의 우승 난이도 또한 확연히 높아지는 것이다.[17] 아무래도 ATP 싱글 랭킹에서 연말 1위를 해본 것이 크다. 슬램 우승은 머레이 말고도 해본 선수가 4명(바브린카, 델 포트로, 칠리치, 팀) 더 있지만, 빅3를 모두 제치고 연말랭킹 1위를 차지해본 선수는 오직 머레이 한명뿐이기 때문이다.[18] 물론 두 회사 중 하나가 다른 하나를 인수하거나 해서 판권이 한 회사로 모인다면 가능하기는 하다. 그러나 실제로 콜라보레이션 작품이 나오려면 그 뒤에도 넘어야 할 산이 남아 있다.[19] 검찰은 직접수사권이 있는 지검 검사장이나 대검 반부패부장 혹은 공공수사부장이 더 권력이 있지, 수사권이 없고 공소유지나 국가소송지휘 정도만 하는 고검장은 한직으로 취급되어 승진이 아니라 좌천으로 본다. 오히려 고검장이 아니라 향후 검찰총장이 될 인사라고 보는 게 타당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