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하구 을

 




1. 개요


부산광역시 사하구을숙도대로 주변을 관할하는 선거구이며 다대포해수욕장, 다대포항, 감천문화마을을 끼고 있다. 지리적으로는 일본과 가까운 선거구라고 할 수 있다. 사하구일본 나가사키 현 쓰시마 섬까지의 거리가 대락 47.5km로 부산대구 간의 거리보다 더 가까운 편이다. 대한해협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일본 중의원 선거구는 쓰시마 섬을 관할하는 나가사키현 제3구, 일본 참의원 선거구는 나가사키 현 참의원 선거구에 해당된다.
본래 사하구는 단일 선거구였으나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사하구의 인구가 상한선을 초과하면서 갑, 을 선거구로 나누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현재 이 지역구 국회의원은 국민의힘조경태 의원이다.
낙동강 벨트에 속한 곳답게 부산 전역을 통틀어 민주당계 정당 지지세가 가장 강한 곳이'''었'''다. 과거형이 되어버린 이유는 본래 민주당계 정당 출신으로 이 지역구에서 3선을 했던 현역 의원 조경태새누리당으로 이적을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래는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통합민주당이 전국을 통틀어 '''81석'''밖에 얻지 못한 대참사를 겪은 와중에도 사수에 성공하는 '''레전드급 전설'''을 찍었을 정도로 민주당계 정당 지지세가 강했다. 또 조경태 본인이 부산 도시철도 1호선다대포해수욕장역까지 연장시켜 교통난 해소에 크게 기여하는 등 지역구 관리를 잘했던 것도 있다.
그래서 조경태가 새누리당으로 이적했어도 지역구 주민들은 변함없는 신뢰를 보내주었는데, 총선이 끝나고 반 년밖에 안 되어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라는 보수 정당 최대의 악재가 터졌고 또 그로 인한 제19대 대통령 선거 참패 이후 출범한 홍준표 대표 체제도 내외로 잡음만 일으키며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최초로 사하구청장 자리가 더불어민주당에 넘어갔다.
거기다 조경태 본인은 자유한국당에서도 비주류 아웃사이더라 한동안 보수 정당의 철옹성이 될 것이란 초반의 예측과 달리 조경태가 공천을 받을 수 있을지도 의문스러운 상황이라고 일부 예상이 있었다. 그러나 전당대회에서 최고위원에 1위로 당선되었다. 실제로 국회가 하는 것을 보면 지역구에 얼마나 보탬이 되었는가가 매우 중요하다.
사실 조경태는 전공이 토목공학과로 나오지만 도시철도 계획이 주전공인 상황으로 당시 부산에서 보수 정당이 대부분일때도 지하철 연장과 함께 낙후된 지역의 활성화를 위한 노선을 지그재그로 만드는 등 부산에서 가장 낙후된 지역이었던 이 지역구가 재개발되는데 큰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수혜받은 세대가 없어지지 않는 한 조경태가 어떤 정당 소속이라도 당선되는 지역구이다. 우스갯소리로 노동당이나 녹색당에 간다 해도 뽑아준다고 하니 얼마나 지역구 관리를 잘했는지 알 수 있다. 그러한 이유로 보수 정당이 강세였을 때도 민주당 소속으로 유일하게 부산에서 3선을 했었고, 그 이후에도 조경태는 계속 이 지역구에서 나올 듯 하다. 특히 2.27 전당대회로 최고위원으로 당선되어 당에서도 완전히 자리를 잡게 되었기에 사하구 을 주민들의 조경태를 향한 지지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새누리당 복당 이전까지 자신과 맞붙었던 최거훈과 안준태의 조직을 고스란히 흡수하여 막강한 조직력을 갖추게 된 것은 덤.
예상대로 조경태가 21대 총선에서 상당한 격차로 여유있게 당선되며 5선 고지에 올라서면서 부산시내 최다선 의원으로서 입지를 완전히 굳혔다. 국민의힘이 참패한 것과 별개로 조경태 본인은 당대표, 국회부의장, 부산시장 등 다양한 곳에서 출마설이 도는 등 꽃길을 걸을 것으로 보인다.
[image]
사하구 을 관할 구역
구평동, 신평1동, 신평2동, 장림1동, 장림2동, 다대1동, 다대2동, 감천1동, 감천2동

2. 역대 국회의원 목록


대수
당선자
당적
임기
선거구 명
제13대
서석재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사하구
제14대

1992년 5월 30일 ~ 1993년 1월 29일
박종웅

1993년 4월 24일 ~ 1993년 1월 29일
제15대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사하구 을
제16대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제17대
조경태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제18대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제19대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제20대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제21대

2020년 5월 30일 ~

2.1.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사하구 을'''
신평1동, 신평2동, 장림1동, 장림2동, 구평동,
다대1동, 다대2동, 감천1동, 감천2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박종웅(朴鍾雄)'''
'''48,889'''
'''1위'''
'''신한국당'''
'''62.49%'''
'''당선'''
'''2'''
박희동(朴熙東)
5,590
4위
새정치국민회의
7.14%
낙선
'''3'''
김도강(金度康)
9,183
3위
통합민주당
11.73%
낙선
'''4'''
강호영(姜皓榮)
2,882
5위
자유민주연합
3.68%
낙선
'''5'''
유강렬(劉江烈)
11,685
2위
무소속
14.93%
낙선
'''계'''
'''선거인 수'''
142,274
'''투표율'''
56.07%
'''투표 수'''
79,766
'''무효표 수'''
1,537
사하구가 갑/을 선거구로 분구된 후 처음으로 치르는 선거이다. 사하구 현역 국회의원이었던 박종웅 후보는 사하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재선을 노리게 되었다. 그 밖에 새정치국민회의에선 박희동 후보를 공천했고 통합민주당에선 김도강 후보를 공천해 내보냈다. 그리고 자민련에선 강호영 후보를 공천했으며 그 밖에 무소속으로 유강렬 후보가 출마했다.
3당 합당 이후 부산은 보수 정당의 텃밭이 되어버렸는데 민주 정당 후보도 박희동과 김도강으로 양분되었다보니 상대가 되려야 될 수가 없었다. 결국 박종웅 후보가 무려 62.49% 득표율로 가볍게 재선에 성공하였고 박희동 후보는 10% 득표율도 기록하지 못하며 선거 비용 보전도 못 받았고 김도강 후보 역시 11.73% 득표에 그쳐 반액 보전을 하는데 그쳤다.

2.2.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사하구 을'''
신평1동, 신평2동, 장림1동, 장림2동, 구평동,
다대1동, 다대2동, 감천1동, 감천2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박종웅(朴鍾雄)'''
'''43,520'''
'''1위'''
'''한나라당'''
'''57.04%'''
'''당선'''
'''2'''
조경태(趙慶泰)
13,351
2위
새천년민주당
17.50%
낙선
'''3'''
김도강(金度康)
1,985
6위
자유민주연합
2.60%
낙선
'''4'''
곽정출(郭正出)
12,273
3위
무소속
16.50%
낙선
'''5'''
박진범(朴珍範)
2,219
5위
무소속
2.90%
낙선
'''6'''
제영화(諸永和)
2,938
4위
무소속
3.85%
낙선
'''계'''
'''선거인 수'''
155,119
'''투표율'''
49.18%
'''투표 수'''
76,286
'''무효표 수'''
920
한나라당에선 현역 의원 박종웅 후보가 출마하여 재선에 도전했고 새천년민주당에선 지난 선거 때 사하구 갑 선거에 출마했다가 낙선했던 조경태 후보가 지역구를 옮겨서 이곳에 출마했다. 그리고 한나라당을 탈당한 보수 성향 무소속 곽정출 후보도 출마했다. 이들이 3자 구도를 형성했다. 그리고 지난 총선 때 통합민주당 후보로 출마했다가 3위로 낙선한 김도강 후보가 이번엔 자민련에 입당해서 출마했고 무소속으로 출마한 2명의 후보가 더 있었다.
보수 표심이 박종웅과 곽정출로 분산되었기에 조경태 후보가 유리해지지 않을까 했지만 당시만 해도 부산은 굉장히 보수 성향이 강한 도시였고 새천년민주당김대중 대통령이 주축인 동교동계 민주당이어서 호남 지역 색채가 짙은 정당이었다. 지역주의도 강하게 남아 있었던 시절이었기에 도저히 힘을 쓸 수가 없었다.[1] 결국 개표 결과, 한나라당 박종웅 후보가 보수 표 분산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57% 득표율로 가볍게 재선에 성공했다.
반면, 새천년민주당 조경태 후보는 17.5% 득표율에 그쳐 선거 비용 보전에 성공한 것에만 만족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아직 조경태 후보는 만 32세의 정치 신인에 불과했던 인물이었고 당시만 해도 상당히 험지였던 부산에서 30대 초반의 정치 신인이 2번 연속 선거 비용 전액 보전에 성공한 것만으로도 놀랍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리고 이러한 성과는 4년 후 그가 대반란을 일으키는데 훌륭한 밑바탕이 되었다.

2.3.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사하구 을'''
신평1동, 신평2동, 장림1동, 장림2동, 구평동,
다대1동, 다대2동, 감천1동, 감천2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최거훈(崔巨勳)
34,607
2위
한나라당
36.98%
낙선
'''2'''
김지만(金智萬)
2,053
5위
새천년민주당
2.19%
낙선
'''3'''
'''조경태(趙慶泰)'''
'''36,614'''
'''1위'''
'''열린우리당'''
'''39.13%'''
'''당선'''
'''4'''
강한규(姜翰圭)
5,291
4위
민주노동당
5.65%
낙선
'''5'''
박종웅(朴鍾雄)
14,036
3위
무소속
15.0%
낙선
'''6'''
배진탁(裵鎭卓)
962
6위
무소속
1.02%
낙선
'''계'''
'''선거인 수'''
157,608
'''투표율'''
59.90%
'''투표 수'''
94,413
'''무효표 수'''
850
'''17대 총선 부산 사하구 을 개표 결과'''
'''정당'''



'''격차'''
'''투표율'''
'''후보'''
'''최거훈'''
'''조경태'''
'''박종웅'''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34,607
(36.98%)'''
'''36,614
(39.13%)'''

'''14,036
(15.0%)'''
'''- 2,007
(▼2.15)'''
'''59.90%'''
'''신평1동'''
38.27%
41.09%
11.52%
▼2.82
54.25
'''신평2동'''
41.89%
38.14%
11.81%
△3.75
62.69
'''장림1동'''
35.58%
39.88%
15.0%
▼4.30
53.57
'''장림2동'''
34.69%
'''41.50%'''
15.20%
▼'''6.81'''
58.76
'''다대1동'''
35.58%
40.08%
'''16.02%'''
▼4.50
59.08
'''다대2동'''
38.08%
37.90%
12.82%
△0.18
63.16
'''구평동'''
'''42.01%'''
35.97%
14.73%
△6.04
60.0
'''감천1동'''
38.86%
37.07%
15.88%
△1.79
59.96
'''감천2동'''
37.17%
38.23%
14.41%
▼1.06
55.85
'''후보'''
'''최거훈'''
'''조경태'''
'''박종웅'''
'''격차'''

'''부재자투표'''
20.74%
'''39.62%'''
'''22.29%'''
▼'''18.88'''

열린우리당에선 3수생 조경태가 재도전에 나섰다. 한편, 한나라당에선 현역 의원 박종웅을 컷오프하고 최거훈 변호사를 공천해 내보냈다. 이에 박종웅 의원은 크게 반발하였고 한나라당을 탈당하고 무소속 출마를 선언했다. 거기다 또 다른 보수 성향 후보인 배진탁 후보마저도 한나라당 공천에 반발하여 무소속 출마를 선언했다. 그런데다 총선을 한 달 앞두고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 사태가 터지면서 한나라당에 역풍이 크게 불었다. 노 대통령 탄핵 역풍에 보수 표심까지 최거훈과 박종웅, 배진탁 세 갈래로 분열되었기에 조경태 후보에게 크나큰 호재가 되었다.
하지만 부산은 이 때만 하더라도 여전히 보수 정당의 텃밭이었고 굉장히 치열한 각축전이 벌어졌다. 엎치락뒤치락 한 끝에 최종 결과 열린우리당 조경태 후보가 39.13% : 36.98%로 한나라당 최거훈 후보를 득표율 2.15%, 득표 수 2,007표 차로 누르고 간신히 당선되었다. 보수 표심이 3갈래로 분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조경태 후보가 40%가 채 안 되는 득표율로 간신히 당선되었을 정도로 당시 부산은 강력한 보수 정당의 텃밭이었다. 그렇기에 조경태 후보의 당선이 더더욱 주목을 받게 되었다. 어쨌든 이로서 조경태 후보는 1990년 3당 합당 이후 최초로 부산에서 당선된 민주당계 정당 소속 국회의원이 되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당선자 조경태 후보는 신평 1동에서 266표 차, 장림 1동에서 190표 차, 장림 2동에서 914표 차, 다대 1동에서 724표 차, 감천 2동에서 64표 차로 승리를 거두었다. 반면에 2위 최거훈 후보는 신평 2동에서 306표 차, 다대 2동에서 불과 '''29표''' 차, 구평동에서 219표 차, 감천 1동에서 234표 차로 승리했다. 이렇게 조경태 후보가 1,370표 차로 아슬아슬하게 앞서고 있을 때 부재자투표 함이 열렸고 여기서 조경태 후보의 몰표가 쏟아졌는데 조경태 후보가 최거훈 후보를 608표 차로 물리치면서 최종 결과 2,007표 차로 승리할 수 있었다.
그러나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 역풍이라는 호재를 업고도 열린우리당은 부산에서 조경태 후보 단 1명만 어렵게 당선시키는데 성공했고 나머지 지역에서는 모두 선전했으나 낙선의 고배를 마셔야 했다. 하지만 조경태 후보의 당선을 시작으로 민주 정당은 꾸준히 부산, 경남 지역에서 1~2석씩의 의석을 배출하는데 성공했고 이는 향후 2010년대 후반~2020년대 초반 영남 지역 대약진의 밑바탕이 되었다.

2.4.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사하구 을'''
신평1동, 신평2동, 장림1동, 장림2동,
구평동, 다대1동, 다대2동, 감천1동, 감천2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조경태(趙慶泰)'''
'''31,330'''
'''1위'''
'''통합민주당'''
'''44.89%'''
<color=#373a3c> '''당선'''
'''2'''
최거훈(崔巨勳)
29,226
2위
한나라당
41.88%

'''4'''
이화수(李和洙)
1,987
4위
민주노동당
2.84%

'''6'''
배진탁(裵鎭卓)
6,850
3위
친박연대
9.81%

'''7'''
신동국(申東國)
390
5위
평화통일가정당
0.55%

'''계'''
'''선거인 수'''
159,867
'''투표율'''
43.95%
'''투표 수'''
70,268
'''무효표 수'''
485
'''18대 총선 부산 사하구 을 개표 결과'''
'''정당'''



격차
투표율
'''후보'''
'''조경태'''
'''최거훈'''
'''배진탁'''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31,330
(44.89%)'''

'''29,226
(41.88%)'''
'''6,850
(9.81%)'''
'''+2,104
(△3.01)'''
'''43.95%'''
'''신평1동'''
'''49.36%'''
37.88%
10.68%
△'''11.48'''
40.71
'''신평2동'''
39.89%
45.77%
11.04%
▼5.88
43.95
'''장림1동'''
42.37%
43.46%
10.10%
▼1.09
39.60
'''장림2동'''
49.32%
39.18%
8.46%
△10.14
40.31
'''다대1동'''
48.12%
40.86%
8.16%
△7.26
44.58
'''다대2동'''
48.18%
41.92%
7.31%
△6.26
46.59
'''구평동'''
41.19%
45.11%
10.53%
▼3.92
45.97
'''감천1동'''
38.70%
43.41%
'''13.70%'''
▼4.71
42.43
'''감천2동'''
37.50%
'''46.02%'''
13.15%
▼'''8.52'''
39.43
'''후보'''
'''조경태'''
'''최거훈'''
'''배진탁'''
격차

'''부재자투표'''
37.81%
41.55%
10.01%
▼2.74

지난 총선 때 열린우리당 후보로서 유일하게 부산광역시에서 당선된 조경태는 이번에도 통합민주당으로부터 단수공천을 받아 재선에 도전했다. 한편, 한나라당에선 다른 동료들은 모두 당선되었으나 본인만 유일하게 부산에서 낙선하는 치욕을 겪었던 최거훈 후보가 다시 공천을 받아 복수에 나섰다. 그런데 이번에도 최거훈에게 좋지 않은 소식이 하나 들려왔다. 지난 총선 때 박종웅 후보와 함께 자신의 표를 갈라먹었던 보수 성향 무소속 후보 배진탁 후보가 친박연대에 입당해 공천을 받아 이 선거구에 출마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워낙 선거 전 판세가 한나라당 쪽으로 기울었기에 그래도 조경태가 이기긴 힘들 것이란 예측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개표 결과, 수도권에서 통합민주당이 대패했기에 부산광역시는 한나라당이 당연히 싹쓸이를 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았건만 통합민주당 조경태 후보가 한나라당 최거훈 후보를 상대로 44.89% : 41.88%로 득표율 3.01%, 득표 수 2,104표 차라는 근소한 차이로 꺾고 재선에 성공했다. 보면 알 수 있듯이 이번에도 조경태에게 다소 운이 따라주었다. 지난 총선 때 보수 표심이 최거훈, 박종웅, 배진탁 이 세 갈래로 분산되었던 덕분에 불과 39.13% 득표율로 어부지리에 성공했는데 이번에도 보수 표심이 한나라당 최거훈과 친박연대 배진탁 두 갈래로 분산되었고, 배진탁이 10% 가까이 표를 잠식하는 바람에 조경태가 그 이득을 본 것이었다.
어쨌든 조경태의 당선으로 통합민주당은 지난 총선에 이어 2연속으로 한나라당의 부산 싹쓸이를 방어해 낼 수 있었고 더 나아가 영남 전역 싹쓸이를 방어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조경태는 3당 합당 이후 최초로 부산에서 재선에 성공한 민주당 소속 국회의원이 되었다. 영남 전체로 확장해봐도 같은 선거에서 역시 당선된 김해시 을최철국과 함께 단 둘 뿐이다. 이 때문에 비록 이번 선거에 북구·강서구 갑에 출마해 졌지만 무려 38.57% 득표율을 기록하며 선전한 전재수 후보와 함께 통합민주당 소속 국회의원 중 주목받는 인물이 되었다. 반면, 최거훈은 이번에도 조경태에게 패배하면서 1990년 3당 합당 이후 '''최초로 보수 정당 소속 후보로서 부산에서 2번이나 연달아 민주당계 정당 후보에게 패배해 낙선한 후보'''라는 불명예를 안게 되었고, 이 이후로 다시는 지역 정계에 얼굴조차 비추지 못하는 신세가 되었다.
동별로 살펴보면 당선자 조경태 후보는 신평 1동에서 754표 차, 장림 2동에서 970표 차로 승리했으며 승부처인 다대 1동에서 1,009표 차, 다대 2동에서 701표 차로 승리했다. 이 선거구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다대동에서 도합 1,710표 차로 승리한 것이 조경태가 승리할 수 있게 된 요인이었다. 최거훈 후보는 신평 2동에서 337표 차, 장림 1동에서 '''50표''' 차, 구평동에서 104표 차, 감천 1동에서 421표 차, 감천 2동에서 315표 차, 부재자투표에서 105표 차로 승리했으나 그가 승리한 지역의 표 차를 모두 더해도 다대동에서 발생한 표 차를 상쇄하지 못하며 결국 고배를 마셔야 했다. 노년층 인구가 많은 감천동에서 최대한 표 차를 벌려야 했으나 배진탁 후보의 방해로 인해 그러지 못한 게 아쉽게 느껴질 것이다. 위 도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배진탁 후보는 감천 1동과 감천 2동에서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해 최거훈 후보의 표를 쪽쪽 뺏어먹었다.

2.5.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사하구 을'''
신평1동, 신평2동, 장림1동, 장림2동,
구평동, 다대1동, 다대2동, 감천1동, 감천2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안준태(安準泰)
35,806
2위
새누리당
41.8%

'''2'''
'''조경태(趙慶泰)'''
'''49,849'''
'''1위'''
'''민주통합당'''
'''58.19%'''
<color=#373a3c> '''당선'''
'''계'''
'''선거인 수'''
160,255
'''투표율'''
53.96%
'''투표 수'''
86,469
'''무효표 수'''
814
'''19대 총선 부산 사하구 을 개표 결과'''
'''정당'''


격차
투표율
'''후보'''
'''안준태'''
'''조경태'''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35,806
(41.80%)'''
'''49,849
(58.19%)'''

'''-14,043
(▼16.39)'''
'''53.96%'''
'''신평1동'''
39.19%
60.81%
▼21.62
49.19
'''신평2동'''
41.66%
58.34%
▼16.78
54.84
'''장림1동'''
45.0%
55.0%
▼10.0
49.87
'''장림2동'''
38.37%
'''61.63%'''
▼'''23.26'''
51.92
'''다대1동'''
39.53%
60.47%
▼20.94
55.22
'''다대2동'''
43.06%
56.94%
▼13.88
56.78
'''구평동'''
47.26%
52.74%
▼5.48
55.76
'''감천1동'''
45.99%
54.01%
▼8.02
52.70
'''감천2동'''
'''49.30%'''
50.70%
▼1.40
49.49
'''후보'''
'''안준태'''
'''조경태'''
격차

'''국외부재자투표'''
27.59%
'''72.41%'''
▼'''44.82'''

'''국내부재자투표'''
34.74%
65.26%
▼30.52

민주통합당에선 현역이자 3당 합당 이후 부산에서 유일하게 재선에 성공한 조경태가 단수 공천을 받아 3선에 도전했고 새누리당에선 부산교통공사 사장을 지낸 안준태 후보가 공천을 받아 출마하게 되었다. 이번에는 지난 2번의 선거와 달리 보수 표 분산을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이고 처음으로 1 : 1 매치가 성사되었다. 그렇기에 다소 불안감이 없지 않아 있었지만 부산 도시철도 1호선다대포까지 연장시킨 점을 적극적으로 어필한 조경태 후보가 지역구 주민들로부터 받는 신뢰는 어마어마했다.
개표 결과, 조경태 후보가 58.19% : 41.8%로 안준태 후보를 무려 16.39%라는 큰 격차로 누르고 3선에 성공하였다. 3당 합당 이후 영남 전역을 통틀어 민주당 소속 국회의원으로서 3선에 성공한 사람은 조경태가 유일했다.[2] 그리고 같은 선거에서 사상구에 출마한 노무현 대통령의 영원한 친구 문재인 후보가 당선되어 부산에서 민주당 계열 후보가 2명이나 당선되었다. 1990년 3당 합당 이후 부산에서 민주당 소속 국회의원이 2명이 당선된 것도 이번이 처음이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당선자 조경태 후보는 모든 동 및 국내, 국외부재자투표까지 모조리 완승을 거두었다. 다만 감천 2동에선 불과 '''58표''' 차, 구평동에선 '''166표 차''' 접전을 펼쳤다. 그 밖의 동에선 모두 큰 차이로 안준태 후보를 상대로 승리했다. 신평 1동에선 1,674표 차, 신평 2동에선 1,195표 차, 장림 1동에선 582표 차, 장림 2동에선 2,905표 차로 승리했고 최대 승부처인 다대 1동에선 무려 3,905표 차로 승리했으며 다대 2동 역시 1,822표 차로 승리해 다대동 전체에서 무려 5,727표 차로 크게 이겼다. 그 밖에 감천 1동에서도 859표 차로 이겼다. 그리고 국외부재자투표 역시 조경태 후보가 52표 차로 승리했고 국내부재자투표 또한 조경태 후보가 825표 차로 승리했다.
그러나 2015년에 문재인 의원이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로 취임한 이후 조경태 의원은 문 대표와 알력 다툼을 벌이게 되었고 이로 인해 두 사람은 부산에 단 둘 뿐인 민주당 소속 국회의원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화합하지 못했다. 그렇게 알력 다툼을 벌였던 조경태 의원은 해당행위자로 찍히게 되었고 출당 대상으로 거론되는 처지가 되고 말았다. 당 지도부의 출당 조치가 먼저냐? 아님 조 의원이 제 발로 먼저 나가느냐? 이것만이 관건일 뿐이었다. 조경태 의원은 절대 자기 발로 나가지 않을 것이라고 버텼고 당 지도부는 "누구 좋으라고 출당 조치하냐?"며 절대 출당시켜주지 않았다. 결국 그렇게 핑퐁 게임이 오간 끝에 2016년 1월에 조경태 의원은 새로이 출범한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하고 새누리당으로 입당하게 된다. 그리하여 조경태 의원이 지니고 있던 ''''3당 합당 이후 최초 민주당 소속 영남 3선 국회의원\''''이란 화려한 타이틀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말았다.

2.6.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사하구 을'''
신평1동, 신평2동, 장림1동, 장림2동,
구평동, 다대1동, 다대2동, 감천1동, 감천2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조경태(趙慶泰)'''
'''50,337'''
'''1위'''
'''새누리당'''
'''59.65%'''
<color=#373a3c> '''당선'''
'''2'''
오창석(吳昶錫)
22,328
2위
더불어민주당
26.46%

'''3'''
배관구(裵寬求)
8,706
3위
국민의당
10.31%

'''4'''
유홍(柳鴻)
1,436
4위
정의당
1.7%

'''5'''
안중영(安重榮)
856
5위
무소속
1.01%

'''6'''
최지웅(崔智雄)
713
6위
무소속
0.84%

'''계'''
'''선거인 수'''
156,920
'''투표율'''
54.36%
'''투표 수'''
85,344
'''무효표 수'''
968
'''20대 총선 부산 사하구 을 개표 결과'''
'''정당'''



격차
투표율
'''후보'''
'''조경태'''
'''오창석'''
'''배관구'''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0,337
(59.65%)'''

'''22,328
(26.46%)'''
'''8,706
(10.31%)'''
'''+28,009
(△33.19)'''
'''54.36%'''
'''신평1동'''
64.30%
23.60%
9.38%
△40.70
48.97
'''신평2동'''
55.80%
'''29.56%'''
10.51%
△26.24
54.70
'''장림1동'''
54.93%
28.53%
'''13.70%'''
△26.40
49.91
'''장림2동'''
58.07%
26.29%
12.57%
△31.78
51.52
'''다대1동'''
60.36%
26.35%
9.81%
△34.01
53.35
'''다대2동'''
60.87%
26.66%
9.23%
△34.21
57.06
'''구평동'''
63.45%
23.87%
9.65%
△39.58
53.44
'''감천1동'''
62.15%
24.38%
9.29%
△37.75
52.81
'''감천2동'''
'''67.84%'''
19.80%
7.75%
△'''48.04'''
48.26
'''후보'''
'''조경태'''
'''오창석'''
'''배관구'''
격차

'''거소·선상투표'''
63.46%
19.55%
11.90%
△43.91

'''관외사전투표'''
48.47%
'''34.52%'''
11.57%
△13.95

'''국외부재자투표'''
29.13%
'''58.27%'''
6.30%
▼'''29.14'''

조경태의 이적 덕에 공짜로 사하구 을을 접수한 새누리당조경태김무성이라는 두 중진 파워들을 앞세워 16년 만의 부산 싹쓸이에 도전했다. 한편, 조경태 때문에 억울하게 1석을 빼앗겨 버린 더불어민주당은 크게 고민에 빠졌다. 조경태를 대체할 만한 인물조차 구하지 못하고 있었는데 팩트TV 아나운서를 지냈던 오창석 후보가 자청해서 출마를 하면서 다행히 후보를 공천할 수는 있게 되었다. 그런데 국민의당 역시 배관구 후보를 공천해서 내보냈다. 지역구 주민들이 조경태를 깊이 신임하는 상황인데 설상가상으로 표심까지 분산되어버린 것이다. 결국 이것은 조경태에게 큰 힘이 되었다.
개표 결과 예상대로 조경태 후보가 59.65% 득표율을 올리며 26.46% 득표에 그친 오창석 후보와 10.31% 득표에 그친 배관구 후보를 각각 2배, 5배 이상의 격차로 누르고 가볍게 4선에 성공했다. 그의 소속 정당과 관계 없이 지역구 주민들이 얼마나 조경태 의원을 깊이 신임하고 있는지를 잘 보여주는 결과가 아닐 수 없다. 한편, 이 선거 결과로 인해 더불어민주당은 과거에 어렵사리 개척한 부산 지역 최대 옥토가 이젠 졸지에 자갈밭이 되어버린 현실을 목도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통합민주당이 대참패를 했던 18대 총선 때에도 사수에 성공했을 정도로 부산 내 최대 텃밭이었던 이 지역구는 이젠 최악의 사지가 되어버리고 말았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조경태 후보는 모든 동과 거소 및 선상 투표, 관외사전투표까지도 모두 승리했다. 신평 1동에선 2,945표 차, 신평 2동에선 1,753표 차, 장림 1동에선 1,443표 차, 장림 2동에선 3,652표 차로 승리했다. 최대 승부처인 다대동에서도 조경태 후보가 크게 승리했다. 다대 1동에선 무려 6,076표 차 대승을 거두었고 다대 2동에서도 4,761표 차로 크게 이기며 다대동에서 도합 10,837표 차로 크게 이겼다. 그리고 구평동에서 1,227표 차, 감천 1동에서 3,692표 차, 감천 2동에서 1,655표 차로 승리했다. 거소 및 선상투표 역시 조경태 후보가 155표 차로 승리했고 민주당 후보들이 크게 재미를 봤던 관외사전투표조차도 조경태 후보가 686표 차로 승리했다.
오창석 후보는 오로지 국외부재자투표에서만 37표 차로 승리하는데 그쳤다. 그러나 그가 기록한 26.46%란 득표율은 결코 부끄럽게 느낄 성적이 아니었다. 4선 의원이 된 조경태 역시 첫 선거에선 고작 15.5% 득표를 하는데 그쳤다. 그 때의 조경태와 비교하면 오창석 후보는 11%나 더 받은 것이다. 그러니 부끄럽게 느낄 이유는 없다.
그러나 이런 조경태 후보 개인의 성과와 달리 새누리당은 부산에서 죽을 쑤고 말았다. 조경태 의원의 이적, 문재인 의원의 불출마 선언으로 인해 내심 16년 만의 부산 싹쓸이를 노렸으나 싹쓸이는커녕 오히려 4년 전보다 더 많은 의석을 헌납한 것이다. 사하구 을을 얻은 대신 이번엔 사하구 갑을 더불어민주당에 내주었고 추가로 북구·강서구 갑, 부산진구 갑, 연제구, 남구 을까지 총 5석을 더불어민주당에 내주고 말았다.[3] 이로 인해 새누리당은 기대했던 '조경태 효과'를 전혀 누리지 못하게 되었다.

2.7.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사하구 을'''
신평1동, 신평2동, 장림1동, 장림2동,
구평동, 다대1동, 다대2동, 감천1동, 감천2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상호(李相護)
38,944
2위
더불어민주당
38.78%
낙선
'''2'''
'''조경태(趙慶泰)'''
'''59,042'''
'''1위'''
'''미래통합당'''
'''58.79'''%
<color=#373a3c> '''당선'''
'''7'''
하봉규(河奉逵)
526
5위
우리공화당
0.52%
낙선
'''8'''
김진주(金珍珠)
1,163
3위
민중당
1.15%
낙선
'''9'''
천서은(千署溵)
744
4위
국가혁명배당금당
0.74%
낙선
'''계'''
'''선거인 수'''
157,166
'''투표율'''
64.66%
'''투표 수'''
101,631
'''무효표 수'''
1,212
'''21대 총선 부산 사하구 을 개표 결과'''
'''정당'''


격차
'''
'''후보'''
이상호
'''조경태'''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38,944
(38.78%)'''
'''59,042
(58.79%)'''

'''- 20,098
(▼20.01)'''
'''147,529
(69.55%)'''
'''신평1동'''
35.82%
61.69%
▼25.87
60.36
'''신평2동'''
38.53%
59.22%
▼20.69
65.46
'''장림1동'''
'''44.22%'''
53.27%
▼9.05
60.60
'''장림2동'''
38.47%
59.10%
▼20.63
59.81
'''다대1동'''
37.98%
59.69%
▼21.71
63.94
'''다대2동'''
37.03%
60.40%
▼23.37
65.76
'''구평동'''
41.01%
57.00%
▼15.99
64.27
'''감천1동'''
36.68%
61.07%
▼24.39
63.53
'''감천2동'''
33.13%
'''64.49%'''
▼31.36
56.36
'''후보'''
'''이상호'''
조경태
격차

'''거소·선상투표'''
35.56%
'''58.28%'''
▼22.72

'''관외사전투표'''
47.84%
'''49.23%'''
▼1.39

'''국외부재자투표'''
'''66.67%'''
30.48%
△'''36.19'''

'''사하구 을 주요 아파트 개표 결과'''
'''정당'''


격차
'''후보'''
이상호
'''조경태'''
(1위/2위)
'''신익강변타운'''
32.60%
64.44%
▼31.84
'''장림 동원로얄듀크'''
'''46.53%'''
51.32%
▼4.79
'''다대 푸르지오'''
36.93%
60.48%
▼23.55
'''다대 롯데캐슬 몰운대'''
38.08%
60.11%
▼22.03
'''다대포 현대'''
34.53%
62.99%
▼28.46
'''다대 삼환'''
34.09%
63.60%
▼29.51
'''감천 부영벽산'''
39.25%
58.92%
▼19.67
지역구를 수성해야 할 미래통합당에선 현역 의원인 조경태 후보가 출마해 5선에 도전했고 더불어민주당에선 원조 노사모 멤버 중 하나로 '미키루크'라는 닉네임으로 통하던 이상호 후보가 탈환에 도전했다. 그 밖에 우리공화당, 민중당, 국가혁명배당금당에서도 각각 후보를 공천했지만 실상 이 당들은 모두 군소정당이라 별 존재감이 없고 조경태와 이상호의 양자 구도로 형성되었다.
개표 결과 현역 조경태 후보가 58.79% 득표율을 기록하며 38.78% 득표에 그친 이상호 후보를 20% 차이로 따돌리고 5선에 성공했다. 이번에도 미래통합당 조경태 의원의 지역구 입지가 탄탄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5선에 성공한 조경태 후보는 이제 6선 의원이 된 더불어민주당 박병석 의원 다음으로 가장 선수가 높은 의원이 되었다. 이젠 중진을 넘어서 다선의원 반열에 오른 것이다. 하지만 이런 개인적인 성과와는 별개로 이번에도 그의 소속 정당은 죽을 쒔다. 우선 황교안 대표, 심재철 원내대표, 김재원 정책위의장 등 미래통합당 지도부는 총선에서 줄줄이 낙천 내지는 낙선하는 와중에 본인만 유일하게 살아남았고 결정적으로 이번 총선에서 미래통합당은 전국을 통틀어 지역구 선거에서 단 84석을 획득하는데 그쳤으며 그 중 2/3인 56석이 영남 지역에 편중되어 사실상 영남 지역 정당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초선 시절을 제외하면 조경태 의원은 실상 개인 선거에선 이기고 단체전에서는 패배하는 묘한 결과를 4연속으로 받아들게 된 셈이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이상호 후보도 38.78%로 선전했지만 20대 총선 때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후보의 합산 득표율이 36% 정도였다는 걸 감안하면 결국 20대 총선과 큰 차이는 없는 결과가 되었다. 이번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은 부산에서 3석을 획득하는데 그쳐 지난 총선 대비 의석 수가 감소하긴 했지만 평균 득표율은 44.3%로 더 올라갔다. 그로 인해 보수 정당 철옹성으로 불리던 원도심권은 물론이고 동래구, 금정구, 수영구에서까지 40% 이상의 득표율을 올렸을 정도로 선전했는데 이상호 후보는 해운대구 갑에 출마한 유영민 후보와 더불어 단 둘이서만 40% 미만의 득표율을 기록하는데 그치고 말았다. 사실 이상호의 경우 민주당 지지층 내부에서도 비판이 많았던 후보다. '''음주운전 2범'''을 포함해 총 전과만 '''7범'''이며, 박스떼기 등으로 논란이 됐던 인물이기 때문이다.
동 별로 살펴보면 조경태 후보는 모든 동에서는 물론이고 거소 및 선상투표와 더불어민주당이 이번 선거에서 크게 재미를 보았던 관외사전투표까지도 모두 승리했다. 신평 1동에선 2,363표 차, 신평 2동에선 1,793표 차, 장림 1동에선 550표 차, 장림 2동에선 2,721표 차로 승리했고 다대 1동에서도 4,362표 차, 다대 2동에서도 3,614표 차로 승리했으며 구평동에서도 943표 차, 감천 1동에서 2,584표 차, 감천 2동에서 1,005표 차로 크게 승리했다. 거소 및 선상투표 역시 조경태 후보가 85표 차로 승리했고 관외사전투표 역시 조경태 후보가 105표 차로 승리했다. 부산 지역 18개 선거구 중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들 중 관외사전투표까지 패배한 후보는 이상호 후보와 해운대구 갑에 출마한 유영민 후보 단 둘 뿐이었다. 이상호 후보는 오로지 국외부재자투표에서만 38표 차로 승리했을 뿐이었다.
좀 더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면 사전투표 결과만[4] 떼어놓고 보면 16,494표 : 18,363표로 조경태 후보가 1,869표 차로 이겼다. 보통 사전투표는 역대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 측에 더 유리한 결과가 나왔는데 여기선 조경태 후보가 그걸 깨고 승리한 것이다. 부산에서 사전투표 결과에서까지 미래통합당 후보가 이긴 곳은 이곳과 해운대구 갑 단 두 곳밖에 없다. 그리고 본 투표일 결과는 22,450표 : 40,679표로 조경태 후보가 18,229표 차로 승리했다. 즉, 이곳은 다른 곳과 달리 본 투표일에 역전패를 당한 게 아니라 애초부터 밀리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선거 이후 더불어민주당 후보 이상호는 라임 사태에 연루돼 구속 수감됐다.

3. 역대 대통령 선거



3.1. 제18대 대통령 선거


'''사하구'''
사하구 일원
'''정당'''


'''후보'''
'''박근혜'''
'''문재인'''
'''득표수'''
'''125,432'''
89,012
'''득표율'''
'''58.32%'''
41.39%
'''순위'''
'''1위'''
2위
'''계'''
'''선거인 수'''
286,161
'''투표 수'''
215,739
'''무효표 수'''
700
'''투표율'''
75.39%
'''18대 대선 부산 사하구 개표 결과'''
'''정당'''


격차
투표율
'''후보'''
'''박근혜'''
'''문재인'''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25,432
(58.32%)'''

'''89,012
(41.39%)'''
'''+36,420
(△16.93)'''
'''75.39%'''
'''괴정1동'''
61.01%
38.82%
△22.19
76.69
'''괴정2동'''
60.11%
39.67%
△20.44
74.10
'''괴정3동'''
61.55%
38.11%
△23.44
72.63
'''괴정4동'''
61.49%
38.21%
△23.28
75.12
'''당리동'''
57.21%
42.57%
△14.64
77.30
'''하단1동'''
57.48%
42.20%
△15.28
76.72
'''하단2동'''
56.14%
43.60%
△12.54
76.02
'''신평1동'''
59.67%
39.96%
△19.71
71.06
'''신평2동'''
56.09%
43.72%
△12.37
77.15
'''장림1동'''
57.75%
41.99%
△15.76
71.50
'''장림2동'''
55.99%
'''43.76%'''
△12.23
74.28
'''다대1동'''
57.19%
42.63%
△14.56
75.66
'''다대2동'''
59.06%
40.63%
△18.43
76.08
'''구평동'''
63.34%
36.39%
△26.95
76.58
'''감천1동'''
60.44%
39.33%
△21.11
74.36
'''감천2동'''
'''67.19%'''
32.37%
△'''34.82'''
68.42
'''후보'''
'''박근혜'''
'''문재인'''
격차

'''국외부재자투표'''
40.87%
'''58.67%'''
▼'''17.80'''

'''국내부재자투표'''
'''48.59%'''
50.53%
▼1.94


3.2. 제19대 대통령 선거


'''사하구'''
사하구 일원
'''정당'''





'''후보'''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심상정'''
'''득표수'''
'''82,452'''
65,252
36,713
14,958
10,664
'''득표율'''
'''39.09%'''
30.93%
17.40%
7.09%
5.05%
'''순위'''
'''1위'''
2위
3위
4위
5위
'''계'''
'''선거인 수'''
280,848
'''투표 수'''
211,876
'''무효표 수'''
949
'''투표율'''
75.44%
'''19대 대선 부산 사하구 개표 결과'''
'''정당'''





격차
투표율
'''후보'''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심상정'''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82,452
(39.09%)'''

'''65,252
(30.93%)'''
'''36,713
(17.40%)'''
'''14,958
(7.09%)'''
'''10,664
(5.05%)'''
'''+17,200
(△8.16)'''
'''75.44%'''
'''괴정1동'''
36.43%
35.58%
16.78%
6.61%
4.32%
△0.85
75.06
'''괴정2동'''
35.18%
35.89%
17.07%
6.77%
4.77%
▼0.71
71.91
'''괴정3동'''
35.87%
36.59%
16.03%
6.32%
4.54%
▼0.72
72.24
'''괴정4동'''
34.80%
37.07%
16.77%
6.39%
4.55%
▼2.27
73.02
'''당리동'''
39.18%
32.72%
16.57%
6.41%
4.74%
△6.46
76.87
'''하단1동'''
40.40%
30.07%
16.65%
'''7.44%'''
'''5.13%'''
△10.33
76.65
'''하단2동'''
'''41.32%'''
28.79%
'''17.18%'''
7.31%
5.10%
△'''12.53'''
74.61
'''신평1동'''
37.08%
33.84%
17.51%
6.60%
4.49%
△3.24
69.49
'''신평2동'''
39.09%
30.51%
17.79%
7.11%
'''5.22%'''
△8.58
76.63
'''장림1동'''
40.34%
29.61%
18.19%
6.24%
5.06%
△10.73
70.34
'''장림2동'''
38.72%
30.41%
18.39%
7.11%
4.91%
△8.31
72.18
'''다대1동'''
39.59%
29.41%
18.53%
7.36%
4.68%
△10.18
72.96
'''다대2동'''
38.87%
31.15%
17.62%
6.98%
4.89%
△7.72
75.14
'''구평동'''
38.75%
29.04%
'''19.07%'''
'''7.74%'''
5.13%
△9.71
75.57
'''감천1동'''
35.67%
34.89%
17.70%
6.77%
4.56%
△0.78
71.50
'''감천2동'''
30.18%
'''43.47%'''
16.62%
4.93%
4.05%
▼'''13.29'''
62.55
'''후보'''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심상정'''
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
40.70%
18.86%
'''30.62%'''
6.07%
2.07%
△10.08

'''관외사전투표'''
46.16%
'''20.08%'''
16.55%
'''9.30%'''
7.43%
△26.08

'''재외투표'''
'''61.16%'''
7.03%
15.48%
4.75%
'''11.40%'''
△'''45.68'''


4. 역대 지방선거 결과



4.1.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4.1.1. 부산광역시장 선거


'''사하구'''
사하구 일원
'''정당'''





'''후보'''
'''오거돈'''
'''서병수'''
'''이성권'''
'''박주미'''
'''이종혁'''
'''득표수'''
'''88,757'''
58,193
5,887
3,270
2,237
'''득표율'''
'''56.05%'''
36.75%
3.71%
2.06%
1.41%
'''순위'''
'''1위'''
2위
3위
4위
5위
'''계'''
'''선거인 수'''
281,099
'''투표 수'''
160,688
'''무효표 수'''
2,344
'''투표율'''
57.16%
'''7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부산 사하구 개표 결과'''
'''정당'''





격차
투표율
'''후보'''
'''오거돈'''
'''서병수'''
'''이성권'''
'''박주미'''
'''이종혁'''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88,757
(56.05%)'''

'''58,193
(36.75%)'''
'''5,887
(3.71%)'''
'''3,270
(2.06%)'''
'''2,237
(1.41%)'''
'''+30,564
(△19.30)'''
'''57.16%'''
'''괴정1동'''
50.97%
42.22%
3.63%
1.81%
1.37%
△8.75
57.30
'''괴정2동'''
52.26%
40.93%
3.47%
2.01%
1.32%
△11.33
53.66
'''괴정3동'''
51.68%
41.11%
4.05%
1.80%
1.36%
△10.57
54.52
'''괴정4동'''
49.68%
43.74%
3.37%
1.87%
1.33%
△5.94
55.49
'''당리동'''
55.08%
38.29%
3.84%
1.70%
1.09%
△16.79
58.24
'''하단1동'''
55.84%
36.93%
4.14%
2.12%
0.97%
△18.91
55.64
'''하단2동'''
57.37%
34.93%
'''4.32%'''
2.27%
1.10%
△22.44
53.16
'''신평1동'''
53.54%
39.55%
3.47%
2.28%
1.16%
△13.99
51.84
'''신평2동'''
55.96%
36.16%
3.89%
'''2.45%'''
1.54%
△19.80
55.23
'''장림1동'''
57.64%
34.95%
3.63%
1.99%
1.79%
△22.69
52.52
'''장림2동'''
57.02%
36.02%
3.48%
2.11%
1.37%
△21.0
52.0
'''다대1동'''
57.79%
35.64%
3.46%
1.78%
1.33%
△14.69
53.97
'''다대2동'''
56.01%
37.72%
3.17%
1.93%
1.17%
△18.29
56.96
'''구평동'''
'''60.98%'''
31.67%
3.69%
1.91%
1.74%
△'''29.31'''
54.05
'''감천1동'''
52.60%
39.72%
3.53%
2.07%
'''2.07%'''
△12.88
53.47
'''감천2동'''
48.78%
'''44.14%'''
2.76%
2.25%
'''2.07%'''
△4.64
51.13
'''후보'''
'''오거돈'''
'''서병수'''
'''이성권'''
'''박주미'''
'''이종혁'''
격차

'''거소·선상투표'''
50.67%
35.71%
7.81%
3.13%
2.68%
△14.96

'''관외사전투표'''
'''66.22%'''
24.72%
4.34%
2.74%
1.97%
△'''41.50'''


4.1.2.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사하구'''
사하구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태석(金泰碩)'''
'''82,997'''
'''1위'''
'''더불어민주당'''
'''52.59%'''
'''당선'''
'''2'''
이경훈(李京勳)
63,956
2위
자유한국당
40.53%
낙선
'''3'''
신현무(辛鉉茂)
10,846
3위
바른미래당
6.87%
낙선
'''계'''
'''선거인 수'''
281,099
'''투표율'''
57.16%
'''투표 수'''
160,675
'''무효표 수'''
2,876
'''7회 지선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부산 사하구 개표 결과'''
'''정당'''


격차
투표율
'''후보'''
'''김태석'''
'''이경훈'''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82,997
(52.59%)'''

'''63,956
(40.53%)'''
'''+19,041
(△12.06)'''
'''57.16%'''
'''괴정1동'''
48.78%
45.07%
△3.71
57.24
'''괴정2동'''
49.77%
44.41%
△5.56
53.59
'''괴정3동'''
49.49%
44.84%
△4.65
54.46
'''괴정4동'''
48.42%
44.71%
△3.71
55.37
'''당리동'''
52.0%
40.69%
△11.31
58.20
'''하단1동'''
52.69%
38.79%
△13.90
55.45
'''하단2동'''
54.24%
37.75%
△16.49
53.10
'''신평1동'''
49.25%
44.27%
△4.98
51.78
'''신평2동'''
53.12%
40.28%
△12.84
55.20
'''장림1동'''
54.32%
38.59%
△15.73
52.47
'''장림2동'''
52.14%
42.27%
△9.87
51.98
'''다대1동'''
50.57%
40.69%
△9.88
55.03
'''다대2동'''
50.19%
43.60%
△6.59
56.92
'''구평동'''
'''61.43%'''
32.92%
△'''28.51'''
54.02
'''감천1동'''
49.90%
43.83%
△6.07
53.46
'''감천2동'''
43.63%
'''49.53%'''
▼'''5.90'''
51.10
'''후보'''
'''김태석'''
'''이경훈'''
격차

'''거소·선상투표'''
50.57%
39.41%
△11.16

'''관외사전투표'''
'''65.64%'''
28.13%
△'''37.51'''


[1] 실제로 이 당시 부산에 출마했던 새천년민주당 후보들 중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한 사람이 바로 북구·강서구 을 선거구에 출마한 노무현 후보였는데 그의 득표율도 35.69%에 불과했다.[2] 뒤이어 2020년 21대 총선경상남도 김해시 갑민홍철 의원이 두 번째로 영남 전역을 통틀어 3선에 성공한 민주당 소속 국회의원이 되었다.[3] 2년 후 2018년 재보궐선거에선 해운대구 을까지 추가로 헌납한다.[4] 거소 및 선상투표 + 관외사전투표 + 국외부재자투표 + 관내사전투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