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액세서리 목록
- 이 문서는 삼성전자가 출시한 모든 주변기기 목록을 나열한 것입니다.
- 스마트 디바이스 및 모바일 기기들은 나무위키:편집지침/특정 분야에 따라 제조사 및 이동통신사 공식 채널에서 확인될 때 항목 개설이 가능합니다.
- Designed for SAMSUNG 제품은 해당 문서에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1. 모바일
2. TV
3. IT
4. 오디오
4.2. 삼성 오디오
4.2.2. 이어폰
4.2.2.1. 무선 이어폰
4.2.2.2. 유선 이어폰
4.2.3. 사운드바
4.2.4. 스피커
4.3. MP3
5. 스마트 홈(IoT)
5.2. 삼성전자
6. 건강/의료기기
7. 게임기
9. 관련 문서
1. 모바일
- 삼성전자가 생산하는 모든 모바일 기기는 삼성전자/스마트 기기 제품 목록 문서 참조.
- 삼성 갤럭시에 소속 된 모바일 기기는 삼성 갤럭시/제품 목록 문서 참조.
1.1. 폰 액세서리
삼성전자가 출시하는 폰에 대해서는 삼성전자/스마트 기기 제품 목록 문서 참조
1.1.1. 케이스
1.1.1.1. S뷰 커버
갤럭시 S4를 공개하면서 정식으로 출시한 케이스. 플립/북 커버를 개량한 형태이며, 플립 커버에 작은 창을 추가[1] 해 커버를 덮으면 홀센서가 그 공간 안에만 화면이 나타나 전화를 받고 메시지, 시간, 배터리량 등의 주요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AMOLED의 기술적 특성을 이용하여 작은 창 이외의 부분의 소자를 끄는 것으로 전력 소모를 줄이고 고질적인 번인 현상도 줄일 수 있다. 이것이 좋은 반응을 얻어 LG G2, 베가 LTE A 등 타사의 제품들도 벤치마킹해갔으며 갤럭시 S4 mini, 갤럭시 메가 한국 내수용과 같은 중급형 기종에도 사용하였다. 문제는 이 제품들이 AMOLED가 아닌 TFT-LCD를 사용했기 때문에 AMOLED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점 때문에 여러 커뮤니티에서 배터리 논란이 일었다.
갤럭시 S와 노트 시리즈 기준으로 8부터는 나오지 않는다.
1.1.1.2. 클리어뷰 커버
[image]
갤럭시 S6를 공개하면서 정식으로 공개한 케이스이다. 반 투명 케이스가 전면에서 표시되어 직접 케이스를 열지 않아도 시간을 확인하거나 전화를 받고 음악을 켤 수 있다. 옆면은 S뷰 커버와 같이 가죽으로 되어있으며 볼륨부분에 +, - 표시가 되어있어 클릭하는 데 용이하다.
갤럭시 S8 이후 출시기종은 클리어 스탠딩 뷰 커버로 출시되었다.
1.1.1.3. LED 뷰 커버
갤럭시 노트 4에서 먼저 선보인 이후 갤럭시 S7를 공개하면서 정식으로 공개한 케이스이다. 평소에는 아래의 플립 커버와 비슷하지만, 커버 상단 내부에 LED가 들어가 있어서 간단한 알림을 알려준다.[2] 심지어는 해당 영역을 터치해서 전화 수신/거부가 가능하다! 참고로 NFC를 이용해서 전류 공급과 알림 표시 기능을 구현한다.
1.1.1.4. 플립/북 커버
- 플립 커버
[image]
삼성전자가 최초로 갤럭시 시리즈 전용 악세서리로 공개한 기기 케이스이다. 이 때부터 삼성이 본격 스마트폰과 액세서리를 패밀리 룩으로 제작하기 시작했다. 플립 커버 출시 이후 많은 케이스 제조사에서 플립 커버를 흉내내어 만들어냈다.
삼성전자가 최초로 갤럭시 시리즈 전용 악세서리로 공개한 기기 케이스이다. 이 때부터 삼성이 본격 스마트폰과 액세서리를 패밀리 룩으로 제작하기 시작했다. 플립 커버 출시 이후 많은 케이스 제조사에서 플립 커버를 흉내내어 만들어냈다.
- 플립 월렛 커버
커버 전면 혹은 후면에 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었다. S뷰 커버와 결합되기도 한다.
- 북 커버
플립 커버 전면 혹은 후면에 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었다.
- 네온 플립 커버
1.1.1.5. 키보드 커버
[image]
말 그대로 쿼티 키보드가 달려있는 케이스이다. 전면 하단에 쿼티 키보드가 존재하며 기기에 관련된 센서가 있기 때문에 장착 시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 송출 부분이 조절된다고 한다. 즉, 무선 송신으로 인한 배터리를 잡아먹는 요소가 전혀없다. 실제로 쿼티 키보드를 붙이고 살짝 들퉈보면 키보드로 가려진 부분에 쿼티 키보드 레이아웃과 같은 가상 키보드가 뜬다. 실제 키보드를 누르면 이것을 터치하는 방식이다. 케이스를 앞에 붙이면 자동으로 화면이 조정된다. 또한, 사용을 하지 않을 시에는 뒤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 가능한 기기는 갤럭시 노트5, 갤럭시 S6 엣지+, 갤럭시 S7, 갤럭시 S7 엣지, 갤럭시 S8, 갤럭시 S8+, 갤럭시 노트 8
1.1.1.6. 기타 커버
- 무선충전 배터리 케이스
- 몽블랑/스와로브스키 케이스
2014년에 디자인 프로젝트 일환으로 몽블랑과 스와로브스키와 연합해 만든 케이스다. 몽블랑 케이스는 플립커버와 백커버로 각각 일렉트로닉과 스탠다드버전이 있고 스와로브스키 케이스는 4종류의 컬러가 있다. 사용 가능한 기기는 갤럭시 노트4, 갤럭시 S6, 갤럭시 노트5
- 섹시 백(...) 커버
- 렌즈 커버
가죽 소재가 적용된 커버 악세서리로 후면 카메라 모듈 부근에 착탈이 가능한 전용 광각 렌즈와 망원 렌즈 중 하나를 장착할 수 있다. 즉, 카메라 기능 보조용 악세서리이다. 렌즈를 장착하지 않을 때에는 평범한 커버로 사용할 수 있다.
- 라인프렌즈 에디션 커버
- S뷰 스탠딩 커버
S뷰 커버와 유사한 기능을 하나, 거치대 기능이 추가되었다.
- 레더 커버
송아지 가죽 소재의 커버이다.
- 실리콘 커버
실리콘 소재의 커버 악세서리이다. 측면과 후면만 보호해준다. 갤럭시 노트8 출시 이후로 스마트폰 패키지 박스에 포함되어있다.
1.1.2. 스타일러스 펜
1.1.3. HMD
1.1.4. 삼성 DeX
- 삼성 DeX 문서 참조
1.1.5. 배터리 팩/충전기
1.1.5.1. 배터리 팩
- 삼성 배터리 팩 시리즈 문서 참조
1.1.5.2. 무선 충전기
자기유도 방식 무선 충전을 채택했다. 갤럭시 노트5와 갤럭시 S6 엣지 플러스와 같이 출시되는 무선 충전기부터는 고속충전이 가능하다.
[image]
트레이 디자인 유/무선 충전기(EP-PA710)
트레이 디자인의 충전기. 무선 2개, 유선 하나로 총 세개까지 동시 충전이 가능하다.[4] 출력은 5v 1000mAh라고.
이외에도 가변기믹(!!)이 붙어있는 무선충전기도 있다. 플라스틱 연금술(...)로 만든 가죽은 덤.
삼성전자는 무선 충전기와 모니터를 결합한 일부 자사 모니터에 무선 충전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 고속 무선 충전 스탠드(2019)(EP-N5200)
[image]
갤럭시 노트 10+와 함께 출시된 FAST CHARGE 2.0(15W 무선충전) 지원 무선 충전기다. 갤럭시 노트 10+와 갤럭시 S20 울트라에서 15W, 갤럭시 노트 10과 갤럭시 S20/S20+에서 12W 고속 무선충전이 가능하다. 물론 iPhone 등 Qi 무선충전 호환 기기도 최대 7.5W로 충전된다.
갤럭시 노트 10+와 함께 출시된 FAST CHARGE 2.0(15W 무선충전) 지원 무선 충전기다. 갤럭시 노트 10+와 갤럭시 S20 울트라에서 15W, 갤럭시 노트 10과 갤럭시 S20/S20+에서 12W 고속 무선충전이 가능하다. 물론 iPhone 등 Qi 무선충전 호환 기기도 최대 7.5W로 충전된다.
1.1.5.3. 유선 충전기
* 25W 고속 여행용 충전기(EP-TA800)
정가는 31,000원이다. 25W 초고속 충전 지원기기는 갤럭시 노트 10, 갤럭시 노트 10+ 이후 노트 시리즈, 갤럭시 S10 5G, 갤럭시 S20, 갤럭시 S20+, 갤럭시 S20 Ultra, 갤럭시 S20 FE 이후 S 시리즈, 갤럭시 Z 폴드2, 갤럭시 A70, 갤럭시 A80, 갤럭시 A90 5G, 갤럭시 A 퀀텀이 있다.
PDO (Power Data Objective): 5V-3A, 9V-2.77A
PPS (Programmable Power Supply): (3.3-5.9V) 3A, (3.3-11.0V) 2.25A #
* 45W 고속 여행용 충전기(EP-TA845)
[image]
갤럭시 노트 10+와 함께 출시된 USB PD 3.0 PPS 45W 어댑터이다. 정가는 40,000원이다. 45W 초고속 충전 2.0 지원기기는 갤럭시 노트10+, 갤럭시 S20 Ultra, 갤럭시 탭 S7 | S7+로 총 4종이다.
닌텐도 스위치 독 모드 사용도 가능하다.
PDO (Power Data Objective): 5V-3A, 9V-3A, 15V-3A, 20V-2.25A갤럭시 노트 10+와 함께 출시된 USB PD 3.0 PPS 45W 어댑터이다. 정가는 40,000원이다. 45W 초고속 충전 2.0 지원기기는 갤럭시 노트10+, 갤럭시 S20 Ultra, 갤럭시 탭 S7 | S7+로 총 4종이다.
닌텐도 스위치 독 모드 사용도 가능하다.
PPS (Programmable Power Supply): (3.3-11.0V) 4.05A, (3.3-16.0V) 2.8 A, (3.3-21.0V) 2.1A #
1.2. 태블릿 액세서리
- 삼성전자가 출시하는 태블릿에 대해서는 삼성전자/스마트 기기 제품 목록 문서 참조
1.3. 워치 액세서리
- 삼성전자가 출시하는 워치에 대해서는 삼성전자/스마트 기기 제품 목록 문서 참조
1.3.1. 워치
1.3.1.1. 스트랩
- 20 mm 규격[5]
- 레더
- 어반 드레스 (폰박스, 로즈, 램브)
- 에식스 (브라운, 블랙)
- 레더 (올리브 그린, 블루, 베이지, 화이트)
- 하이브리드
- 어반 트래블러 (탄, 블랙)
- 하이브리드 스포츠 (오렌지, 블루, 그린, 옐로우, 화이트)
- 실리콘
- 실리콘 (내추럴 브라운, 루나 그레이, 코스모 퍼플, 테라코타 레드, 클라우드 그레이, 핑크 베이지, 라임 옐로우, 오닉스 블랙)
- 나토
- 프리미엄 나토 (블랙-레드, 블랙, 그린-화이트, 네이비 블루, 블루-오렌지, 그레이-옐로우, 오렌지-화이트, 핑크-화이트, 화이트-블랙, 스카이 블루-핑크)
- 레더
- 22 mm 규격[6]
- 레더
- 어반 럭스 (네이비, 블랙, 브라운)
- 세타 (네이비 블루, 아카시아 브라운, 다크 브라운, 그레이)
- 에식스 (브라운, 블랙)
- 투스카니 (블랙, 다크 브라운, 탄)
- 나가노 (미디움 브라운, 블랙, 다크 브라운, 베이지)
- 하이브리드
- 어반 트래블러 (탄, 블랙)
- 실리콘
- 실리콘 (바살트 그레이, 딥오션 블루, 오닉스 블랙)
- 나토
- 크바드라트 (베이지, 그레이, 오렌지)
- 필드 (그레이, 블랙, 네이비, 레드, 트렌치)
- 레더
- 밴드 어댑터
[image]
기어 S2를 위해 제작되었으며, 일반 시계 스트랩이 아닌 전용 및 서드파티 밴드만 사용할 수 있었던 스포츠 모델을 위한 어댑터이다. 2016년 4월 20일에 정식으로 공개되었다.
기어 S2를 위해 제작되었으며, 일반 시계 스트랩이 아닌 전용 및 서드파티 밴드만 사용할 수 있었던 스포츠 모델을 위한 어댑터이다. 2016년 4월 20일에 정식으로 공개되었다.
-
삼성 모바일 액세서리 파트너십 프로그램(Samsung WEnnovation) 참여 기업 【 펼치기 · 접기 】
- 케이스티파이(Casetify)}}}
1.3.2. 밴드
2. TV
- 삼성전자가 출시하는 TV에 대해서는 QLED, Crystal UHD TV 문서 참조
2.1. TV 액세서리
2.1.1. 스튜디오 스탠드
2.1.2. 매직 케이블
3. IT
3.1. 메모리/스토리지
이 분야에서는 시장 1위이다. 1990년대부터 ARM 계열의 칩 설계를 진행했으며, 전 세계 최초로 MLC 스케일링을 다루는데 성공하고 NASA 실험실이나 연구소에서 굴러다니던 SSD라는 분야를 개척해서 상용화 시켰다. 전체적으로 메모리 최적화가 잘 되어 있으며, 안정성과 뛰어난 성능을 가졌다.
삼성전자가 생산하는 모든 메모리 칩은 다음 기술이 적용된다.
- 침수 손상 방지(Water Proof) : 수심 1m의 바닷물에서 최대 72시간 견딜 수 있게 설계했다고 한다.
- 충격 손상 방지(Shock Proof) : 1.9톤 트럭이 지나가도 충격을 버틸 수 있다고 한하다.
- 엑스레이 손상 방지(X-ray Proof) : X-ray 검색대를 통과해도 데이터가 보존된다.
- 내열/내한 기능(Temperature Proof) : 0℃ ~ 60℃ 극한 환경에서도 작동, 데이터 보관 시 -10℃~70℃까지 안전하다.
- 자기장에 의한 손상 방지(Magnetic Proof) : 최대 15,000 Gauss의 자기장 조건에서도 저장된 데이터가 보존된다.
3.1.1. USB 플래시 드라이브
3.1.1.1. BAR PLUS
[image]
- MUF-16BA 16GB / 32GB / 64GB / 128GB
SuperSpeed 3.1로 기존 국제 표준인 2.0보다 연산속도가 빠르다. 삼성측에서는 실험 결과 최대 130MB/s의 속도를 기록했다.
[image]
- BAR PLUS 32GB / 64GB / 128GB / 256GB
USB 3.1을 적용한 위 제품의 업그레이드 버전. 300 MB/s의 속도를 기록했다. MUF-16BA와 비슷하지만 손잡이 부분이 살짝 다른 디자인으로 출시되었다.
3.1.1.2. FIT PLUS
- MUF-256AB 32GB / 64GB / 128GB / 256GB
BAR PLUS와 기능적으로는 동일하지만, 손잡이 부분을 최대한으로 줄인 제품이다. BAR PLUS가 그립감은 훨씬 좋지만, 좁은 공간을 효율적인 활용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을 위한 제품이다. 키링 홀이 있어서 키링이나 스트랩을 끼워서 쓸 수 있다.
3.1.1.3. DUO PLUS
- MUF-256DB
3.1.2. SD 카드
[image]
SD 카드는 1993년부터 점유율 세계 1위의 자리를 지켜오고 있다. 이는 가성비와 A/S가 동시에 작용 한 덕분이다. A/S 보증기간은 EVO와 PRO는 10년, STANDARD는 5년이다. 처음엔 PRO, PLUS, STANDARD로 구성되었으나 PLUS 라인업이 EVO로 변경되었다. 이후 PLUS 라인업은 EVO와 같은 혜택을 받는다. 전 제품은 마이크로 SD 카드와 SD 카드로 나뉘어있으며 USB 3.0 포트를 지원한다.
2017년 12월 기준 PRO 제품군은 PRO Plus 2017년 생산분부터 대한민국 판매가 중단되면서 128GB가 단종되었다가 2020년 다시 보호기능, 다양한 용량, 더 빠른 속도를 가진 신모델로 다시 출시하였다.
EVO와 PRO는 UHS-1 표시하는 전송률이 나오고, 내한, X-RAY 내성도 있으며 자력을 대응하며 충격, 낙하, 마모에 강하다.
- PRO Plus For Professionals : 삼성 MLC 낸드 플래시를 사용했으며 성능이 업 스케일링되어 4배 더 빠르다. 4K 촬영 및 재생을 다루는 고급 기기가 타겟인 라인업이다. 색상은 검정색
- 32GB
- 64GB
- 128GB
- 256GB
- EVO Plus For Creators : 삼성 TLC 낸드 플래시를 사용했으며 성능이 업 스케일링되어 최대 100MB/s 전송속도를 지원하며 4K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단 128GB / 256GB 모델만 지원함. 색상은 빨강색
- 32GB
- 64GB
- 128GB
- 256GB
3.1.3. UFS
- UFS 카드
- 64GB
- 128GB
- 256GB
3.1.4. SSD
[image]
- SSD/제품 목록#s-1 문서 참고
3.1.5. HDD
삼성전자는 SSD를 밀기위해 2011년 HDD 사업부를 시게이트에 매각함과 동시에 삼성전자가 시게이트의 2대 주주로 이사회에 참여하고, 경영이나 재무적 투자를 제외의 경우 삼성전자가 시게이트의 최대 주주의 지위를 확보하는 빅딜 을 성사한 이후 직접적으로 HDD를 생산하지 않는다. 그래서 외장하드 분야에서는 삼성이 아키텍쳐를 설계하고 시게이트가 OEM으로 제작하는 방식으로 계속 제작하고 있다.
3.1.5.1. 외장 하드
- 500GB
- HX-MT050DA/K4
- HX-MT050DA/K2
- HX-MT050DK/K4
- HX-MT050DH/K2
- HX-MT050DA/K2
- HX-MTD10EA/K2
- 1TB
- HX-MTD10EA/K4
3.2. 어댑터
- 멀티 어댑터 (AA-AM1N95W)
- 멀티포트 어댑터 (EE-P3200)
- HDTV 어댑터 (MHL 2.1)
- HDTV 어댑터 (MHL 3)
- HDMI 어댑터
3.2.1. 삼성 DeX, DeX 케이블
삼성 DeX는 기본적으로 멀티포트를 지원하며, DeX Cable의 경우, C타입과 HDMI를 지원하는 어댑터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3.3. 블루레이 플레이어
- 블루레이 디스크 플레이어 BD-ES6000
[image]
2012년 1월에 출시된 블루레이 디스크 플레이어이다. 지금은 생산을 중지했다. A/S서비스 역시 수원시에 위치한 삼성전자 스토어 한 곳을 제외하고 중단된 상태.[8]
2012년 1월에 출시된 블루레이 디스크 플레이어이다. 지금은 생산을 중지했다. A/S서비스 역시 수원시에 위치한 삼성전자 스토어 한 곳을 제외하고 중단된 상태.[8]
4. 오디오
4.1. 하만 오디오
- 하만 문서 참조.
4.2. 삼성 오디오
4.2.1. 삼성 레벨 시리즈
- 삼성 레벨 문서 참조.
4.2.2. 이어폰
4.2.2.1. 무선 이어폰
4.2.2.1.1. 갤럭시 버즈 시리즈
4.2.2.1.2. 삼성 기어 시리즈
4.2.2.1.3. 삼성 레벨 시리즈
4.2.2.2. 유선 이어폰
4.2.2.2.1. 삼성 EP 시리즈
삼성의 YEPP 시절 이어폰 라인업. 2011년 경에 단종되었다.
4.2.2.2.1.1. 삼성 EP-1
2003년 출시되어 2007년경 단종된 행거형 이어폰이자 삼성 이어폰의 '''영원한 전설.''' 크레신 LMX-E700과 더불어 국내 플래그십 이어폰의 시작이기도 하다. B&O A8과 좀 많이 닮은게 흠이지만 사운드는 완전히 다른 성향이다. 국내에서는 당시 B&O A8과 경쟁 기종이었으며 특유의 사운드로 인기가 매우 좋았다. 아직도 이 제품의 재출시를 원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제품의 단종의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대략 AS에 있다는 의견이 많다. 삼성에서는 처음 시도해보는 고가 이어폰이었지만 AS기반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아서 EP-1이어폰을 AS받으로 갔더니 서비스센터 직원이 매우 부담스러워했다는 증언이 있다. 이유는 AS를 해주면[10] 이에대한 사유를 자세히 적은 교환사유서를 본사에 제출해야 했다는 이야기가 있기 때문이다. 즉 삼성에서 고가 이어폰에 기반 준비와 사업성 이해를 못하고 출시하고 보니 여러 트러블이 생겨 단종으로 마무리했다는 의견이다. 해당 이어폰 개발자는 퇴사하고 유코텍이라는 회사를 설립해서 EP-1에 사용한 듀얼 돔 기술을 사용한 제품을 제조하게 된다.
4.2.2.2.2. 삼성 EHS 시리즈
4.2.2.2.3. 삼성 EO 시리즈
4.2.2.2.4. 삼성 SHE 시리즈
2013년 8월, 갤럭시 노트3의 공개에 발맞춰 공개되었고 9월에 노트3의 출시와 함께 출시되었다. 크레신과의 기술 제휴로 생산되었다. SHE D10, SHE D20은 드라이버 기술만 공급받았으나 SHE D30은 아예 크레신 자체생산. SHE D30은 크레신에서 튜닝을 추가로 한다.
그리고 전 제품이 전부 같은 포장방식과 이어팁을 쓴다.
- D10 : 패션 이어폰. 화이트 골드, 블랙 오렌지, 네비 그린, 핑크 실버, 화이트 블루, 블랙 블루로 총6가지. 9mm 다이나믹 드라이버를 쓰며 케이블은 일반 케이블. 성향은 중고음(!)인데 치찰음이 매우 심하다. 현재는 SES G10의 출시로 단종되었다.
- D20 : 위 모델의 상위 모델로 색상은 페블 블루와 실버 2가지. 8.8mm 다이나믹 드라이버를 사용하며 케이블은 플랫 케이블. D10과는 다르게 중저음 성향. 현재는 SES G20의 출시로 단종되었다..
- D30 : 가장 상위모델로 삼성의 두번째 BA이어폰. Siren BA를 사용하며 메탈 소재를 사용한다. 색상은 메탈릭 핑크와 실버 2가지. 케이블은 패브릭 케이블인데 터치 노이즈가 매우 심하다. 성향은 밸런스형. 기본 이어팁은 희대의 쓰레기. 좀만 제대로 된 팁으로 바꾸면 소리가 훨씬 좋아진다. 특히 소니 기본 이어팁을 끼우면 애플 인이어와 유사한 소리가 난다. 아니 아예 애플 인이어의 음색과 비슷하게 튜닝이 되었다.
다만 내구성은 심각하게 약하다. 심지어 애플 인이어보다도 약하다! 15일도 못가 단선되는 사람이 있다 하면, 2년째 쓰는 사람도 있다 할 정도로 편차가 심하다. 특히 핑크 색상의 고장이 잦다.
4.2.2.2.5. SES 시리즈
삼성이 2015년에 매우 조용히 출시한 4극 이어폰으로 매우 인지도가 낮다. 크레신과 공동 개발. 원래는 SHE 시리즈의 4극 모델이 될 뻔 했으나 SHE D30의 내구성이 심각해서 D30은 4극 모델을 발매하지 않았다(...)[11]
- SES G10: SHE D10에서 마이크,컨트롤러 추가 및 이어팁 변경. 정가 15,000원.
- SES G20: SHE D20에서 마이크,컨트롤러 추가 및 이어팁 변경. 정가 16,000원.
- SES G30
- SES G40
4.2.3. 사운드바
4.2.4. 스피커
- 사운드타워 (MX-T70)
- 무선 360 오디오 (WAM7500)
[image]
타원형으로 디자인 되었으며 360˚ 무지향성 다채널 입체 음향을 구현하는게 특징이다. 스피커가 오디오 내부에 존재하며, 어쿠스틱 렌즈가 위아래 내장되어 있어서 트위터와 우퍼 소리의 왜곡을 최소화해서 음질이 굉장히 청명하고 좋다. 모든 오디오 코덱에서 오리지널 사운드 주파수인 192 kHz/24-bit를 구현하고 있으며 스탠드는 별도 구매이며 무선 연결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천장에 매달아놓는 것도 가능하다.
타원형으로 디자인 되었으며 360˚ 무지향성 다채널 입체 음향을 구현하는게 특징이다. 스피커가 오디오 내부에 존재하며, 어쿠스틱 렌즈가 위아래 내장되어 있어서 트위터와 우퍼 소리의 왜곡을 최소화해서 음질이 굉장히 청명하고 좋다. 모든 오디오 코덱에서 오리지널 사운드 주파수인 192 kHz/24-bit를 구현하고 있으며 스탠드는 별도 구매이며 무선 연결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천장에 매달아놓는 것도 가능하다.
- 무선 360 오디오 (WAM6501)
위 제품의 소형화 제품. 높이가 낮아지고 하단부 금속 재질의 받침대가 사라지는 대신에 제품의 하단부가 다소 평평하게 디자인되었다.
- Scoop Speaker(EO-SG510)
2016년 9월에 출시된 블루투스 스피커.
- 보틀 디자인 스피커(EO-SG710)
4.2.4.1. 삼성 레벨
- 레벨 박스
- 레벨 박스 프로
- 레벨 박스 미니
- 레벨 박스 슬림
4.3. MP3
4.3.1. 갤럭시 플레이어 시리즈
- 갤럭시 플레이어 시리즈 문서 참조.
4.3.2. YEPP
- YEPP 문서 참조.
5. 스마트 홈(IoT)
5.1. SmartThings
스마트싱스 브랜드로 출시 된 제품은 SmartThings 문서 참조.
5.2. 삼성전자
- IoT 허브
- 삼성 커넥트 홈
- IoT 와이파이
- 삼성 커넥트 wifi
- 삼성 커넥트 wifi pro
- 동글
- 삼성 스마트홈 어댑터 (HD2018KH)
SmartThings연결을 지원하지 않는 삼성의 가전 모델을 SmartThings연동을 지원하도록 만들어 주는 USB 어댑터이다. 통신규격은 Wi-FI이며, 에어컨과 냉장고를 지원한다. Work with SmartThings 인증이 있다.
- 공기질 센서
- 삼성 에어모니터 스탠다드 (ACM-B1MOS)
- 삼성 에어모니터 프리미엄 (ACM-B1MOP)
- 조명
- 삼성 LED 홈
- 트래커
- 삼성 커넥트 태그
- 갤럭시 스마트태그
6. 건강/의료기기
- 삼성 액티브 트래커 Samsung Activity Tracker EI-AN900A
- 삼성 심장박동 밴드 Samsung Heart Rate Monitor Band EI-HH10
7. 게임기
8. 카메라
9. 관련 문서
[1] 뚫린 작은 창은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덧씌워져 있다.[2] 경쟁사의 이전 피처폰 모델인 롤리팝의 전면 LED과 비슷한 방식이다.[3] 선행 출시한 갤럭시 노트 4는 포함되지만 갤럭시 노트 FE는 제외.[4] 여담으로 유선 포트에 1개짜리 무선충전기를 물리고 갤럭시 스마트폰, 갤럭시 버즈, 갤럭시 워치를 올리면 AirPower 광고를 따라할 수 있다.(...)[5] 동일한 20 mm의 시계 스트랩 사이즈 규격을 사용하는 기어 S2 중 클래식 모델, 기어 스포츠, 갤럭시 워치 중 42 mm 모델, 갤럭시 워치 액티브, 갤럭시 워치 액티브2, 갤럭시 워치 3과 호환된다. 기어 S2 중 기본형 모델도 밴드 어댑터를 장착하면 사용이 가능하다.[6] 동일한 22 mm의 시계 스트랩 사이즈 규격을 사용하는 갤럭시 워치, 기어 S3와 호환된다.[7] 막 던져놓고 써도 전혀 문제가 안 될 정도이다.[8] 여담으로 미국 온라인 쇼핑몰 아마존닷컴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블루레이 디스크 플레이어이다.[9] 유선 이어폰을 무선 이어폰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리모콘이다.[10] 이어폰 AS라면 교환빡에 없었다. 즉 1:1 교환 당시 이걸 악용하여 고의로 고장낸 사람들이 많았다.[11] 디지털프라자에서만 판매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