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원래는 서구·유성구로 묶여있던 것이 15대 때 서구 갑/을로 선거구가 분리됐으며 선거구획의 변동은 전무했다. 서구의 북부 지역으로서
둔산신도시 생활권이다. 이 지역구는
정부대전청사,
시청,
교육청, 각종
특별지방행정기관 등 대전, 넓게는 범 충남권, (충북까지도 포함하는 경우)
충청권 전체를 대표하는 관공서, 공공기관 지사, 사기업 지사의 대부분이 모여 있는 곳이라 '''대전의 정치 1번지'''이다.
이 지역구의 현역 의원은 현
법무부 장관인
박범계 의원이다. 분구 후 정식 총선 7번과
구논회 의원의 작고로 치러진
2007년 재보궐선거를 포함해서
제20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국회의원 선거가 8번이 치러졌는데, 눈에 띄는 점은
국민의힘 및 그 전신인 제1보수정당의
[1] 후보는 당선된 적이 한 번도 없다. 소위
지역정당이 4번,
민주당이 4번 당선됐다.
이 지역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2] 관할 구역 중 용문동을 제외하고 모두 둔산신도시에 속한다.
둔산신도시가 대체로 대전 평균에 비해 진보 성향이 강하긴 하지만, 둔산신도시 내에서도 동별로 편차가 큰 편이다. 둔산1·3동, 월평2동, 갈마1동은 보수정당 경합우세지역 내지는 경합지로 분류되는 반면, 둔산2동, 월평1·3동, 만년동
[3] 강변아파트를 제외하면 모두 30평대거나 그 이하이다.
, 갈마2동은 민주당계 정당 우세지역으로 분류된다. 탄방동은 둔산신도시 평균과 거의 비슷한 편. 이렇게 동별로 차이가 나는 이유는 대체로 아파트 평수, 연령대와 관련이 있다. 보수표가 상대적으로 많은 동들 중 둔산1·3동
[4] 통칭 시청역 크목한(크로바, 목련, 한마루) 라인과 국화아파트, 영진햇님아파트.
과 월평2동은 대형 평수의 아파트단지가 많은 반면, 진보표가 많이 나오는 동들 중 둔산2동, 월평3동, 만년동은 소형 평수의 아파트단지가 많다.
[image]
| 서구 을 관할 구역
|
용문동, 탄방동, 둔산1동, 둔산2동, 둔산3동, 갈마1동, 갈마2동, 월평1동, 월평2동, 월평3동, 만년동
|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총선
| 당선자
| 당적
| 임기
|
15대
| 이재선
|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16대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17대
| 구논회
|
| 2004년 5월 30일 ~ 2006년 11월 5일
|
심대평
|
| 2007년 4월 25일 ~ 2008년 5월 29일
|
18대
| 이재선
|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19대
| 박범계
|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20대
|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21대
| 2020년 5월 30일 ~
|
'''대전광역시''' '''서구 을(乙)'''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박범계
| 통합민주당
| 22,448
| 26.41%
| 2
|
|
2
| 나경수
| 한나라당
| 19,539
| 22.99%
| 3
|
|
'''3'''
| '''이재선'''
| '''자유선진당'''
| '''35,156'''
| '''41.37%'''
| '''1'''
| <color=#373a3c> '''당선'''
|
6
| 서종환
| 친박연대
| 5,995
| 7.05%
| 4
|
|
7
| 유지혁
| 평화통일가정당
| 433
| 0.50%
| 6
|
|
8
| 이제윤
| 무소속
| 1,403
| 1.65%
| 5
|
|
선거인수
| 191,756
| 투표수
| 85,519
|
무효표수
| 545
| 투표율
| 44.59%
|
'''대전광역시''' '''서구 을(乙)'''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최연혜
| 새누리당
| 25,013
| 23.26%
| 3
| 낙선
|
'''2'''
| '''박범계'''
| '''민주통합당'''
| '''46,908'''
| '''43.62%'''
| '''1'''
| <color=#373a3c> '''당선'''
|
3
| 이재선
| 자유선진당
| 32,982
| 30.67%
| 2
| 낙선
|
6
| 서진희
| 정통민주당
| 913
| 0.84%
| 5
| 낙선
|
7
| 김윤기
| 진보신당
| 1,708
| 1.58%
| 4
| 낙선
|
선거인수
| 195,918
| 투표수
| 108,048
|
무효표수
| 524
| 투표율
| 55.15%
|
'''서구 을''' 용문동, 탄방동, 만년동, 둔산1동, 둔산2동, 둔산3동, 갈마1동, 갈마2동, 월평1동, 월평2동, 월평3동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1'''
| 이재선(李在善)
| 39,912
| 2위
|
새누리당
| 34.79%
| 낙선
|
'''2'''
| '''박범계(朴範界)'''
| '''56,819'''
| '''1위'''
|
'''더불어민주당'''
| '''49.53%'''
| <color=#373a3c> '''당선'''
|
'''3'''
| 이동규(李東奎)
| 12,875
| 3위
|
국민의당
| 11.22%
| 낙선
|
'''4'''
| 김윤기(金潤起)
| 5,104
| 4위
|
정의당
| 4.44%
| 낙선
|
'''계'''
| '''선거인 수'''
| 193,145
| '''투표율''' 60.0%
|
'''투표 수'''
| 115,924
|
'''무효표 수'''
| 1,214
|
'''20대 총선 대전 서구 을 개표 결과'''
|
'''정당'''
|
|
|
| 격차
| 투표율
|
'''후보'''
| '''이재선'''
| '''박범계'''
| '''이동규'''
| (1위/2위)
| (선거인/표수)
|
'''득표수 (득표율)'''
| '''39,912 (34.79%)'''
| '''56,819 (49.53%)'''
| '''12,875 (11.22%)'''
| '''- 16,907 (▼14.74)'''
| '''60.0%'''
|
'''용문동'''
| 43.62%
| 37.64%
| '''14.01%'''
| △5.98
| 48.99
|
'''탄방동'''
| 34.80%
| 47.83%
| 12.26%
| ▼13.03
| 51.67
|
'''둔산1동'''
| 36.47%
| 50.51%
| 9.28%
| ▼14.04
| 68.53
|
'''둔산2동'''
| 29.08%
| 56.08%
| 10.44%
| ▼27.0
| 64.21
|
'''둔산3동'''
| 40.90%
| 45.13%
| 10.65%
| ▼4.23
| 62.14
|
'''갈마1동'''
| 38.45%
| 45.12%
| 11.98%
| ▼6.67
| 50.61
|
'''갈마2동'''
| 33.23%
| 49.63%
| 10.97%
| ▼16.40
| 48.50
|
'''월평1동'''
| 36.18%
| 45.81%
| 12.86%
| ▼9.63
| 46.29
|
'''월평2동'''
| 41.37%
| 44.45%
| 10.20%
| ▼3.08
| 62.33
|
'''월평3동'''
| 33.13%
| 53.03%
| 10.23%
| ▼19.90
| 67.94
|
'''만년동'''
| 30.51%
| 53.36%
| 11.32%
| ▼22.85
| 64.43
|
'''후보'''
| '''이재선'''
| '''박범계'''
| '''이동규'''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44.15%'''
| 37.12%
| 13.71%
| △'''7.03'''
|
|
'''관외사전투표'''
| 28.53%
| 54.13%
| 12.85%
| ▼25.60
|
|
'''국외부재자투표'''
| 16.10%
| '''71.91%'''
| 8.61%
| ▼'''55.81'''
|
|
더불어민주당에선 현역
박범계 의원가 단수공천을 받았다.
새누리당에선 지난총선 때 패배한
이재선 전 의원이 공천을 받았다. 박범계 vs 이재선의 3번째 리턴매치가 되었다. 그리고
국민의당에선
이동규 후보가,
정의당에서도
김윤기 후보가 공천을 받아 출마했다. 민주-진보 진영의 표심이 분산되었기에 박범계에게 불리한 선거로 예측되었다.
개표 결과 박범계가 표 분산이란 악재 속에서도 49.53% 득표율로 이재선을 14.74%차로 꺾고 재선에 성공했다. 이재선은 호재에도 불구하고 겨우 34.79% 득표에 그쳤다. 이 때문에 2017년 12월에
새누리당의 후신인
자유한국당은 이재선의 당협위원장 직을 박탈했고 이재선 후보는 탈당 선언 후 정계를 은퇴했다. 그리고 이번 총선에서 3위였던 이동규는 뜬금없이
우리공화당으로 갔다.
박범계는 용문동과 거소 및 선상투표를 제외하고 모두 승리했다.
'''서구 을''' 용문동, 탄방동, 만년동, 둔산1동, 둔산2동, 둔산3동, 갈마1동, 갈마2동, 월평1동, 월평2동, 월평3동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1'''
| '''박범계(朴範界)'''
| '''70,798'''
| '''1위'''
|
'''더불어민주당'''
| '''57.50%'''
| <color=#373a3c> '''당선'''
|
'''2'''
| 양홍규(楊鴻奎)
| 50,140
| 2위
|
미래통합당
| 40.77%
| 낙선
|
'''7'''
| 이동규(李東奎)
| 973
| 4위
|
우리공화당
| 0.79%
| 낙선
|
'''8'''
| 김정열(金貞烈)
| 1,143
| 3위
|
국가혁명배당금당
| 0.92%
| 낙선
|
'''계'''
| '''선거인 수'''
| 188,715
| '''투표율''' 66.1%
|
'''투표 수'''
| 124,653
|
'''무효표 수'''
| 1,689
|
'''21대 총선 대전 서구 을 개표 결과'''
|
'''정당'''
|
|
| 격차
| 투표율
|
'''후보'''
| '''박범계'''
| '''양홍규'''
| (1위/2위)
| (선거인/표수)
|
'''득표수 (득표율)'''
| '''70,798 (57.50%)'''
| '''50,140 (40.77%)'''
| '''+20,658 (△16.73)'''
| '''66.1%'''
|
'''용문동'''
| 50.61%
| 46.37%
| △4.24
| 54.0
|
'''탄방동'''
| 57.49%
| 40.49%
| △17.0
| 58.04
|
'''둔산1동'''
| 52.99%
| 45.74%
| △17.25
| 77.49
|
'''둔산2동'''
| 60.83%
| 37.69%
| △23.14
| 67.27
|
'''둔산3동'''
| 51.82%
| '''46.57%'''
| △5.25
| 71.23
|
'''갈마1동'''
| 54.60%
| 43.45%
| △11.15
| 55.54
|
'''갈마2동'''
| 59.36%
| 38.88%
| △20.48
| 52.19
|
'''월평1동'''
| 58.34%
| 39.39%
| △18.95
| 55.22
|
'''월평2동'''
| 52.18%
| 45.99%
| △6.19
| 67.74
|
'''월평3동'''
| 57.63%
| 41.13%
| △16.50
| 72.79
|
'''만년동'''
| 61.29%
| 37.52%
| △23.77
| 70.55
|
'''후보'''
| '''박범계'''
| '''양홍규'''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65.94%
| 30.43%
| △35.51
|
|
'''관외사전투표'''
| 65.90%
| 32.28%
| △33.62
|
|
'''국외부재자투표'''
| '''78.30%'''
| 19.81%
| △'''58.49'''
|
|
현역 더불어민주당
박범계 의원과, 박성효 시장 시절
정무부시장이었던 자유한국당 시절
양홍규 당협위원장의 대결이 되었다. 박범계 의원의
김소연 시의원 관련 이슈들의 향방이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2018~2019년에
이완구 전 총리가 본인이 출마를 물색하고 있는 지역구로 이곳과
홍성군·예산군,
천안시 갑,
세종시[5] 인구 증가로 선거구 증설이 진작 확실시되었기 때문에 그럴 경우에는 세종시 갑/을 중 하나.
이렇게 4곳을 '내가 나가고 싶다' 혹은 '시도당이나 해당 지역구에서 나를 부른다' 등의 방법으로 직접 언급했었으나,
#에 의하면 대전은 제외한다고 밝혔다. 아마 이완구 스스로든 당에서 보기에든 현역인 박범계가 좋든 싫든 활발한 의정활동으로 전국적인 인지도를 가진 인물인데 반해 그동안 한국당이 내왔던 후보들은 인지도 면에서 뒤떨어지는 경우가 많았었기 때문에 충청권을 대표하는 정치인 중 한명인 이완구의 출마를 검토했었지만 접은 것으로 보인다.
[6] 인접한 선거구인 유성구 갑도 구청장 선거 및 총선 도합 4연패로 경쟁력 부족이 증명된 진동규 당협위원장을 밀어내고 박성효 전 시장을 당협위원장으로 앉히는 등 당에서도 차기 총선을 제대로 준비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그러나 출마로 이어지진 않았다.
19대 총선에는 새누리당 후보로 나왔지만 떨어졌던 한국당
최연혜 의원도
#여론조사에 포함되는 등 후보군에 올라 있었으나
# 불출마를 선언해서 후보군에서 완전히 빠지게 되었다.
개표 결과 박범계가 양홍규를 16.73% 차로 꺾고 당선되었다. 박범계는 모든 투표에서 완승을 거두었다.
한편 이 지역에서 총선과 같이 치러진
2020년 재보궐선거의 대전시의원
[7]과 서구의원
[8] 재보궐선거에서도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이 5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승리했다.
3. 역대 대통령 선거 결과
'''서구''' 서구 일원
|
'''정당'''
|
|
|
'''후보'''
| '''박근혜'''
| '''문재인'''
|
'''득표수'''
| 144,068
| '''148,011'''
|
'''득표율'''
| 49.16%
| '''50.51%'''
|
'''순위'''
| 2위
| '''1위'''
|
'''계'''
| '''선거인 수'''
| 382,855
|
'''투표 수'''
| 293,767
|
'''무효표 수'''
| 743
|
'''투표율'''
| 76.73%
|
'''18대 대선 대전 서구 개표 결과'''
|
'''정당'''
|
|
| 격차
| 투표율
|
'''후보'''
| '''박근혜'''
| '''문재인'''
| (1위/2위)
| (선거인/표수)
|
'''득표수 (득표율)'''
| '''144,068 (49.16%)'''
| '''148,011 (50.51%)'''
| '''-3,943 (▼1.35)'''
| '''76.73%'''
|
'''복수동'''
| 48.49%
| 51.24%
| ▼2.75
| 78.09
|
'''도마1동'''
| 55.01%
| 44.73%
| △10.28
| 70.43
|
'''도마2동'''
| 54.20%
| 45.53%
| △8.67
| 73.39
|
'''정림동'''
| 50.38%
| 49.39%
| △0.99
| 78.22
|
'''변동'''
| 52.35%
| 47.39%
| △4.96
| 72.02
|
'''용문동'''
| 50.20%
| 49.52%
| △0.68[9]
| 69.83
|
'''탄방동'''
| 46.92%
| 52.75%
| ▼5.83
| 72.91
|
'''둔산1동'''
| 57.62%
| 42.11%
| △15.51
| 83.42
|
'''둔산2동'''
| 44.11%
| 55.51%
| ▼11.40
| 82.41
|
'''둔산3동'''
| 54.96%
| 44.87%
| △10.09
| 79.97
|
'''괴정동'''
| 46.56%
| 53.09%
| ▼6.53
| 66.93
|
'''가장동'''
| 53.47%
| 46.23%
| △7.24
| 78.59
|
'''내동'''
| 51.75%
| 47.98%
| △3.77
| 78.63
|
'''갈마1동'''
| 48.81%
| 50.99%
| ▼2.18
| 72.31
|
'''갈마2동'''
| 45.10%
| 54.56%
| ▼9.46
| 69.55
|
'''월평1동'''
| 46.28%
| 53.41%
| ▼7.13
| 67.22
|
'''월평2동'''
| 52.83%
| 46.82%
| △8.01
| 78.61
|
'''월평3동'''
| 49.18%
| 50.53%
| ▼1.35
| 84.15
|
'''만년동'''
| 43.17%
| '''56.48%'''
| ▼'''13.31'''
| 81.54
|
'''가수원동'''
| 48.68%
| 51.08%
| ▼2.40
| 78.56
|
'''관저1동'''
| 46.77%
| 52.94%
| ▼6.17
| 79.85
|
'''관저2동'''
| 43.47%
| 56.30%
| ▼12.83
| 80.29
|
'''기성동'''
| '''62.23%'''
| 35.98%
| △'''26.25'''
| 73.60
|
'''후보'''
| '''박근혜'''
| '''문재인'''
| 격차
|
|
'''국외부재자투표'''
| 33.65%
| '''65.65%'''
| ▼'''32.0'''
|
|
'''국내부재자투표'''
| 46.5%
| 52.59%
| ▼6.09
|
|
'''서구''' 서구 일원
|
'''정당'''
|
|
|
|
|
|
'''후보'''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득표수'''
| '''133,604'''
| 59,593
| 70,732
| 20,091
| 21,396
|
'''득표율'''
| '''43.56%'''
| 19.43%
| 23.06%
| 6.55%
| 6.97%
|
'''순위'''
| '''1위'''
| 3위
| 2위
| 5위
| 4위
|
'''계'''
|
'''선거인 수'''
| 394,539
|
'''투표 수'''
| 307,774
|
'''무효표 수'''
| 1,120
|
'''투표율'''
| 78.01%
|
'''19대 대선 대전 서구 개표 결과'''
|
'''정당'''
|
|
|
|
|
| 격차
| 투표율
|
'''후보'''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1위/2위)
| (선거인/표수)
|
'''득표수 (득표율)'''
| '''133,604 (43.56%)'''
| '''59,593 (19.43%)'''
| '''70,732 (23.06%)'''
| '''20,091 (6.55%)'''
| '''21,396 (6.97%)'''
| '''+62,872 (△20.50)'''
| '''78.01%'''
|
'''복수동'''
| 43.47%
| 20.62%
| 23.93%
| 5.80%
| 5.92%
| △19.54
| 76.49
|
'''도마1동'''
| 33.85%
| 27.52%
| '''26.73%'''
| 5.30%
| 6.28%
| △6.33
| 66.45
|
'''도마2동'''
| 35.60%
| 26.80%
| 25.23%
| 5.66%
| 6.21%
| △8.80
| 70.81
|
'''정림동'''
| 39.60%
| 22.84%
| 24.20%
| 5.69%
| 7.12%
| △16.76
| 76.40
|
'''변동'''
| 37.08%
| 26.17%
| 24.60%
| 4.79%
| 6.96%
| △10.91
| 67.94
|
'''용문동'''
| 38.24%
| 23.92%
| 24.33%
| 5.40%
| 7.62%
| △13.91
| 68.86
|
'''탄방동'''
| 43.33%
| 18.73%
| 23.45%
| 6.69%
| 7.40%
| △9.88
| 72.19
|
'''둔산1동'''
| 44.46%
| 19.83%
| 21.65%
| '''7.56%'''
| 6.20%
| △22.81
| 87.95
|
'''둔산2동'''
| '''48.04%'''
| 16.24%
| 21.72%
| 7.22%
| 6.49%
| △'''26.32'''
| 82.08
|
'''둔산3동'''
| 41.31%
| 23.57%
| 23.44%
| 6.25%
| 5.12%
| △17.74
| 80.75
|
'''괴정동'''
| 43.20%
| 19.27%
| 22.53%
| 6.26%
| '''8.42%'''
| △20.67
| 66.10
|
'''가장동'''
| 37.52%
| 25.97%
| 24.13%
| 5.23%
| 6.78%
| △11.55
| 75.75
|
'''내동'''
| 40.08%
| 23.17%
| 23.91%
| 6.18%
| 6.39%
| △16.17
| 77.06
|
'''갈마1동'''
| 40.74%
| 22.25%
| 22.88%
| 6.32%
| 7.31%
| △17.86
| 70.77
|
'''갈마2동'''
| 45.61%
| 17.20%
| 22.02%
| 6.51%
| 8.25%
| △23.59
| 69.68
|
'''월평1동'''
| 42.21%
| 20.21%
| 23.96%
| 6.13%
| 7.21%
| △18.25
| 66.92
|
'''월평2동'''
| 39.15%
| 23.53%
| 24.64%
| 6.45%
| 5.76%
| △14.51
| 76.87
|
'''월평3동'''
| 44.75%
| 18.57%
| 23.06%
| 7.14%
| 6.15%
| △21.69
| 84.29
|
'''만년동'''
| 47.19%
| 15.91%
| 22.67%
| 7.02%
| 6.91%
| △24.52
| 82.82
|
'''가수원동'''
| 47.07%
| 16.77%
| 22.97%
| 6.57%
| 6.29%
| △24.10
| 79.40
|
'''관저1동'''
| 46.20%
| 17.07%
| 21.87%
| 6.85%
| 7.63%
| △24.33
| 79.18
|
'''관저2동'''
| 47.56%
| 15.13%
| 22.91%
| 6.70%
| 7.35%
| △24.65
| 78.54
|
'''기성동'''
| 31.48%
| '''34.48%'''
| 23.93%
| 3.44%
| 4.27%
| ▼'''3.0'''
| 69.80
|
'''후보'''
| '''문재인'''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심상정'''
| 격차
|
|
'''거소 및 선상투표'''
| 36.75%
| 14.39%
| '''37.18%'''
| 6.98%
| 2.56%
| ▼'''0.43'''
|
|
'''관외사전투표'''
| 48.50%
| 13.16%
| 21.30%
| '''8.13%'''
| 8.40%
| △27.20
|
|
'''재외투표'''
| '''59.63%'''
| 6.22%
| 16.34%
| 3.95%
| '''13.26%'''
| △'''43.2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