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분류

 


1. 지역별
1.1.1. 유럽 대륙
1.1.1.1. 서유럽
1.1.1.1.4. 베네룩스
1.1.1.1.5. 이베리아 반도
1.1.1.2. 북유럽
1.1.1.2.1. 스칸디나비아 반도
1.1.1.2.2. 유틀란드 반도
1.1.1.2.3. 발트지역
1.1.1.3. 동유럽
1.1.1.3.2. 폴란드 지역
1.1.1.3.3. 벨라루스 지역
1.1.1.3.4. 우크라이나 지역
1.1.1.3.5. 헝가리 지역
1.1.1.3.7. 발칸반도
1.1.1.3.8. 크림 반도
1.2.1.3. 바빌로니아 지역(티그리스, 유프라테스 강, 이라크)
1.2.2. 남아시아
1.2.3. 중앙아시아
1.2.4. 동아시아
1.2.4.1. 몽골 고원
1.2.4.2. 동북아시아
1.2.5. 동남아시아
1.3.1. 북아프리카
1.3.2.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1.3.2.1. 서아프리카
1.3.2.2. 동아프리카
1.3.2.3. 중앙아프리카
1.3.2.4. 남아프리카
1.4.1. 북아메리카
1.4.2. 라틴아메리카
1.5.1. 폴리네시아
1.5.2. 미크로네시아
1.5.3. 멜라네시아
2. 민족
3. 언어별
3.1.1.1.1. 북해게르만어군 (Ingvaeonic languages)
3.1.1.1.2. 베저-라인게르만어군 (Istvaeonic languages)
3.1.1.1.3. 엘베게르만어군 (Irminonic languages)
3.2. 튀르크어(10세기 이후 분화)
3.3. 아프리카아시아어족
4. 종교별
5. 문명별
5.1. 문명발달 이전부터
5.1.1. 수렵, 천렵, 채렵
5.2. 문명 발달 이후
5.2.1. 정주문명
5.2.2. 유목문명
6. 시기별 중요세력, 사건
6.1. 고대: 정복전쟁(귀족 등장)
6.2. 중세: 종교의 지배(교황 등장)
6.4. 근대: 과학자본을 통한 정복의 시대(자본가의 등장)
6.5. 현대
7. 분야별
7.1. 무기사


1. 지역별



1.1. 유럽



1.1.1. 유럽 대륙



1.1.1.1. 서유럽


1.1.1.1.1. 프랑스 지역



1.1.1.1.2. 이탈리아 반도



1.1.1.1.3. 독일 지역




1.1.1.1.4. 베네룩스


1.1.1.1.5. 이베리아 반도


1.1.1.2. 북유럽


1.1.1.2.1. 스칸디나비아 반도


1.1.1.2.2. 유틀란드 반도


1.1.1.2.3. 발트지역


1.1.1.3. 동유럽


1.1.1.3.1. 체코 지역


1.1.1.3.2. 폴란드 지역


1.1.1.3.3. 벨라루스 지역


1.1.1.3.4. 우크라이나 지역


1.1.1.3.5. 헝가리 지역


1.1.1.3.6. 루마니아 지역


1.1.1.3.7. 발칸반도


1.1.1.3.8. 크림 반도


1.1.1.3.9. 러시아



1.1.1.4. 그리스



1.1.2. 영국, 아일랜드




1.2. 아시아



1.2.1. 서아시아



1.2.1.1. 카프카스 지역





1.2.1.2. 아나톨리아 반도




1.2.1.3. 바빌로니아 지역(티그리스, 유프라테스 강, 이라크)




1.2.1.4. 레반트 지역


1.2.1.5. 아라비아 반도


1.2.1.6. 페르시아 지역




1.2.2. 남아시아




1.2.3. 중앙아시아






1.2.4. 동아시아



1.2.4.1. 몽골 고원





1.2.4.2. 동북아시아





1.2.5. 동남아시아










1.3. 아프리카



1.3.1. 북아프리카




1.3.2.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1.3.2.1. 서아프리카



1.3.2.2. 동아프리카



1.3.2.3. 중앙아프리카



1.3.2.4. 남아프리카


1.4. 아메리카



1.4.1. 북아메리카



1.4.2. 라틴아메리카



1.5. 오세아니아




1.5.1. 폴리네시아



1.5.2. 미크로네시아



1.5.3. 멜라네시아



2. 민족



2.1. 코카소이드



2.1.1. 라틴족(농경민족)


로마인, 켈트족과 싸워가면서 로마 제국으로 발전, 이후 전 유럽대륙에서 모든 켈트족을 복속시키면서 대제국을 이룬다.

2.1.2. 켈트족(유목민족)


유럽의 할슈타트 문화를 정체성으로 가짐, 고대 전유럽으로 퍼져나간 전투종족, 초창기 로마를 자주 침공했음. 그러나 기원전 2세기 무렵부터 몰락함.
  • 북이탈리아: 기원전 2세기 중반, 로마에 복속
  • 이베리아: 기원전 1세기 중반, 로마에 복속
  • 발칸반도(서부를 일리리아로 부름): 로마군과 다키아인들에 밀려서 거의 사라짐. 다키아족과 융합된 것으로 추정.
  • 갈라티아(아나톨리아 중앙부): 기원전 189년 로마에 복속
  • 프랑스: 아르베르니족의 베르킨게토릭스는 켈트족을 통합해 로마에 반란을 일으키나 전쟁에서 패한 후, 로마에 복속
  • 브리튼 제도: 로마에 복속, 하지만 픽트족은 아직도 켈트족의 정체성을 유지중

2.1.3. 게르만족(대부분 농경민족)


스칸디나비아에서 이주해옴


2.1.3.1. 프랑크족


2.1.3.2. 앵글로색슨족


2.1.3.3. 노르드(루스)


2.1.4. 슬라브족



2.1.5. 발트족


발트 신화를 믿음

2.1.6. 헬라인



2.1.7. 캅카스



2.1.8. 투르크족(유목민족)



2.1.9. 아랍(셈족)




2.1.10. 베르베르인(아마지흐)



2.1.11. 이란인(페르시아)



2.1.12. 파키스탄인



2.1.13. 인도인



2.1.14. 방글라데시인



2.2. 몽골로이드



2.3. 니그로이드


  • 호주 원주민
  • 줄루족
  • 코이산족[3]
  • 마사이족
  • 브라질 흑인

3. 언어별



3.1. 인도유럽어




3.1.1. 게르만어파



3.1.1.1. 서게르만어군


3.1.1.1.1. 북해게르만어군 (Ingvaeonic languages)


3.1.1.1.2. 베저-라인게르만어군 (Istvaeonic languages)


3.1.1.1.3. 엘베게르만어군 (Irminonic languages)


3.1.2. 라틴어


로마에서 사용된 언어

3.1.2.1. 로망스어군



3.1.3. 슬라브어파



3.2. 튀르크어(10세기 이후 분화)




3.3. 아프리카아시아어족




3.3.1. 아랍어



3.3.2. 베르베르어


  • 베르베르인[4]

3.4. 니제르콩고어족


사하라 이남의 아프리카 지역에서 쓰임. 니제르콩고어족에 포함된 언어는 약 1540개 이다.
  • 만데어파
  • 애틀랜틱콩고어파
  • 코르도판어파

4. 종교별



4.1. 유대교



4.2. 이슬람



4.2.1. 수니파



4.2.2. 시아파



4.3. 크리스트교



4.3.1. 개신교



4.3.2. 가톨릭



4.3.3. 동방정교



4.4. 불교



4.4.1. 대승불교



4.4.2. 소승불교



4.4.3. 티베트 불교



5. 문명별



5.1. 문명발달 이전부터



5.1.1. 수렵, 천렵, 채렵



5.2. 문명 발달 이후



5.2.1. 정주문명



5.2.2. 유목문명



6. 시기별 중요세력, 사건



6.1. 고대: 정복전쟁(귀족 등장)



6.2. 중세: 종교의 지배(교황 등장)



6.3. 근세: 왕의 시대(부르주아 등장)


르네상스, 종교 개혁, 대항해시대, 절대왕정, 조지 시대, 러시아 제국의 성장

6.4. 근대: 과학자본을 통한 정복의 시대(자본가의 등장)



6.5. 현대



7. 분야별



7.1. 무기사




[1] 1714년부터 1806년까지 영국 하노버 왕조 국왕(조지 1세, 조지 2세, 조지 3세) 배출[2] 우라사와 나오키의 만화, 몬스터가 시작하는 장소[3] 부시맨으로 더 잘 알려졌다. 다만 "부시맨"은 부정적인 단어이기에 코이산족이라고 부른다.[4] 다만 베르베르라는 단어는 부정적인 의미를 담고 있어서 원래 이름인 "아마지흐"로도 불린다. 베르베르어 또한 아마지흐어로도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