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분류
1. 지역별
1.1. 유럽
1.1.1. 유럽 대륙
1.1.1.1. 서유럽
1.1.1.1.1. 프랑스 지역
1.1.1.1.2. 이탈리아 반도
1.1.1.1.3. 독일 지역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주도: 킬
- 니더작센 - 주도: 하노버[1] (17세기 이후 새로 추가된 선제후)
- 브레멘 - 주도: 브레멘슈타트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주도: 뒤셀도르프[2] , 쾰른(선제후 중 성직 서열 2위)
- 헤센 - 주도: 비스바덴
- 자를란트 - 주도: 자르브뤼켄
- 라인란트팔츠(선제후 중 세속 서열 2위) - 주도: 마인츠(선제후중 성직 서열 1위), 트리어(선제후중 성직 서열 3위)
- 바덴뷔르템베르크 - 주도: 슈투트가르트
- 바이에른(17세기 이후 새로 추가된 선제후) - 주도: 뮌헨
- 함부르크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주도: 슈베린
- 브란덴부르크 - 주도: 포츠담 (선제후 중 세속 서열4위)
- 튀링겐 - 주도: 에어푸르트
- 작센안할트 - 주도: 마그데부르크
- 작센 - 주도: 드레스덴 (선제후 중 세속 서열1위)
- 베를린
- 오스트리아
- 스위스
1.1.1.1.4. 베네룩스
1.1.1.1.5. 이베리아 반도
1.1.1.2. 북유럽
1.1.1.2.1. 스칸디나비아 반도
1.1.1.2.2. 유틀란드 반도
1.1.1.2.3. 발트지역
1.1.1.3. 동유럽
1.1.1.3.1. 체코 지역
- 보헤미아 지역
1.1.1.3.2. 폴란드 지역
1.1.1.3.3. 벨라루스 지역
1.1.1.3.4. 우크라이나 지역
1.1.1.3.5. 헝가리 지역
1.1.1.3.6. 루마니아 지역
1.1.1.3.7. 발칸반도
1.1.1.3.8. 크림 반도
1.1.1.3.9. 러시아
1.1.1.4. 그리스
1.1.2. 영국, 아일랜드
1.2. 아시아
1.2.1. 서아시아
1.2.1.1. 카프카스 지역
1.2.1.2. 아나톨리아 반도
1.2.1.3. 바빌로니아 지역(티그리스, 유프라테스 강, 이라크)
1.2.1.4. 레반트 지역
1.2.1.5. 아라비아 반도
1.2.1.6. 페르시아 지역
1.2.2. 남아시아
1.2.3. 중앙아시아
1.2.4. 동아시아
1.2.4.1. 몽골 고원
1.2.4.2. 동북아시아
1.2.5. 동남아시아
1.3. 아프리카
1.3.1. 북아프리카
1.3.2.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1.3.2.1. 서아프리카
1.3.2.2. 동아프리카
1.3.2.3. 중앙아프리카
1.3.2.4. 남아프리카
1.4. 아메리카
1.4.1. 북아메리카
1.4.2. 라틴아메리카
1.5. 오세아니아
1.5.1. 폴리네시아
1.5.2. 미크로네시아
1.5.3. 멜라네시아
2. 민족별
2.1. 코카소이드
2.1.1. 라틴족(농경민족)
로마인, 켈트족과 싸워가면서 로마 제국으로 발전, 이후 전 유럽대륙에서 모든 켈트족을 복속시키면서 대제국을 이룬다.
2.1.2. 켈트족(유목민족)
유럽의 할슈타트 문화를 정체성으로 가짐, 고대 전유럽으로 퍼져나간 전투종족, 초창기 로마를 자주 침공했음. 그러나 기원전 2세기 무렵부터 몰락함.
- 북이탈리아: 기원전 2세기 중반, 로마에 복속
- 이베리아: 기원전 1세기 중반, 로마에 복속
- 발칸반도(서부를 일리리아로 부름): 로마군과 다키아인들에 밀려서 거의 사라짐. 다키아족과 융합된 것으로 추정.
- 갈라티아(아나톨리아 중앙부): 기원전 189년 로마에 복속
- 프랑스: 아르베르니족의 베르킨게토릭스는 켈트족을 통합해 로마에 반란을 일으키나 전쟁에서 패한 후, 로마에 복속
- 브리튼 제도: 로마에 복속, 하지만 픽트족은 아직도 켈트족의 정체성을 유지중
2.1.3. 게르만족(대부분 농경민족)
스칸디나비아에서 이주해옴
2.1.3.1. 프랑크족
2.1.3.2. 앵글로색슨족
2.1.3.3. 노르드(루스)
2.1.4. 슬라브족
2.1.5. 발트족
발트 신화를 믿음
2.1.6. 헬라인
2.1.7. 캅카스족
2.1.8. 투르크족(유목민족)
2.1.9. 아랍(셈족)
2.1.10. 베르베르인(아마지흐)
2.1.11. 이란인(페르시아)
2.1.12. 파키스탄인
2.1.13. 인도인
2.1.14. 방글라데시인
2.2. 몽골로이드
2.3. 니그로이드
3. 언어별
3.1. 인도유럽어
3.1.1. 게르만어파
3.1.1.1. 서게르만어군
3.1.1.1.1. 북해게르만어군 (Ingvaeonic languages)
3.1.1.1.2. 베저-라인게르만어군 (Istvaeonic languages)
3.1.1.1.3. 엘베게르만어군 (Irminonic languages)
3.1.2. 라틴어
로마에서 사용된 언어
3.1.2.1. 로망스어군
3.1.3. 슬라브어파
3.2. 튀르크어(10세기 이후 분화)
3.3. 아프리카아시아어족
3.3.1. 아랍어
3.3.2. 베르베르어
3.4. 니제르콩고어족
사하라 이남의 아프리카 지역에서 쓰임. 니제르콩고어족에 포함된 언어는 약 1540개 이다.
- 만데어파
- 애틀랜틱콩고어파
- 코르도판어파
4. 종교별
4.1. 유대교
4.2. 이슬람
4.2.1. 수니파
4.2.2. 시아파
4.3. 크리스트교
4.3.1. 개신교
4.3.2. 가톨릭
4.3.3. 동방정교
4.4. 불교
4.4.1. 대승불교
4.4.2. 소승불교
4.4.3. 티베트 불교
5. 문명별
5.1. 문명발달 이전부터
5.1.1. 수렵, 천렵, 채렵
5.2. 문명 발달 이후
5.2.1. 정주문명
5.2.2. 유목문명
6. 시기별 중요세력, 사건
6.1. 고대: 정복전쟁(귀족 등장)
- 4대 문명
- 아케메네스 왕조의 페르시아 제국(기원전 550년 ~ 기원전 330년): 인류 역사상 최초의 대제국.
- 헬레니즘 제국(기원전 323년 ~ 기원전 146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제국
- 로마 제국(기원전 27년 ~ 서기 476년(서로마제국 멸망))의 성립과 분열
- 유목제국들의 침입
6.2. 중세: 종교의 지배(교황 등장)
- 초기: 카롤루스 대제의 프랑크 왕국과 분열(서, 중, 동), 동로마 제국 유스티니아누스 황제의 원정, 이슬람의 대두, 바이킹 침략
- 중기: 십자군 전쟁, 윌리엄 1세의 잉글랜드 정복(노르만 왕조성립), 기사도의 성립, 동서 교회 대분열, 전유럽에 기독교 전파, 몽골의 침략, 헝가리와 폴란드 왕국의 성립, 고딕 양식의 등장
- 후기: 흑사병, 소빙하기, 백년전쟁, 오스만 제국의 대두, 교황권 약화(아비뇽 유수), 동로마 제국의 멸망
6.3. 근세: 왕의 시대(부르주아 등장)
르네상스, 종교 개혁, 대항해시대, 절대왕정, 조지 시대, 러시아 제국의 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