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의역

 


'''숭의역'''
(인하대병원)

청량리 방면
인하대
← 1.8 ㎞
수인·분당선
(K270)

인천 방면
신 포
1.5 ㎞ →

'''다국어 표기'''
영어
Sungui
한자
崇義
중국어
崇义
일본어
崇義(スンイ
'''주소'''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인주대로 지하 6 (용현동)
'''관리역 등급'''
무배치간이역
(송도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운영 기관'''
수인선

'''개업일'''
수인선(협궤)
1937년 8월 5일[1]
~1973년 7월 14일[2]
수인선
2016년 2월 27일
수인선
수인·분당선
2020년 9월 12일
'''역사 구조'''
지하 2층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열차거리표'''
수원 방면
인하대
← 1.8 ㎞
'''수인선'''
숭 의
인천 방면
신 포
1.5 ㎞ →
崇義驛
Sungui Station
1. 개요
2. 연혁
3. 여담
4. 역 주변 정보
5. 일평균 이용객
6. 승강장
7. 협궤철도 수인선 시절(남인천역)

[clearfix]

1. 개요


[image]
숭의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스탬프 모양은 협궤철도 시절에 있었던 남인천역 역사.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K270번.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인주대로 지하 6 (용현동)[3] 소재. 수도권 전철화 사업에 의해 폐선되었던 수인선(협궤철도)의 남인천역을 계승한다.

2. 연혁



3. 여담


  • 수인선 부활 및 복선화 사업이 실시되어 기존에 폐역됐던 남인천역을 계승하게 된다.
  • 지하역과 지상역으로 나누어 지하역에서는 여객 취급을 하고 지상부분은 화물전용역으로 유지하려고 하는 계획이 있었으나, 인천항 자체를 완전히 뜯어고친다는 원대한 계획이 세워져 있는데다 주변 주민들이 지상 철로를 완전히 철거해 달라는 민원을 지속적으로 넣었다. 그리하여 인천항으로 가는 선로는 신포역 뒤편 제 1부두에서 3부두쪽 인입선으로 바로 연결하는 화물선로를 새로 놓는 방식으로 해결하여[4] 화물역으로써의 지위는 없어졌다. 남아 있던 선로 또한 도로 복개공사로 다 걷어갔다.
  • 인하대학교는 수인선 역명 등재에 실패한 '인하대학교병원' 명칭을 부기역명으로 넣는 것을 추진했고 개통 이전에 부기역명으로 등재되었다.[5]
  • 2019년 11월 17일 기준 구글 지도에는 남부역이라 적혀 있다.
  • 2차 개통된 4개역들 중에 초기에는 가장 수요가 적었지만, 수요가 안정화되면서 인하대역 다음의 수요를 보이고 있다.[6] 아무래도 개통 초기에는 인천역이나 신포역을 이용하는 외지인들이 많았지만, 점점 시간이 지나면서 이 역은 랜드마크는 없지만 아파트와 빌라가 밀집된 곳이라 꾸준한 수요를 보이는 듯.
  • 출구 네 개 중에서 엘리베이터가 2, 3번 출구에만 있다. 그런데 그쪽은 상업 및 공장 지구라 이용객이 주거 지구인 1, 4번 출구보다 적고, 1, 4번 출구 쪽에서 엘리베이터가 있는 출구로 가려면 무조건 육교나 지하철 통로를 이용해야 한다. 따라서 주거 지구 쪽 장애인들의 엘리베이터 접근성이 떨어져서 문제가 되었다. 해당 문제는 2018년 7월 육교를 철거하고 횡단보도를 설치하면서 해소가 되었다.
  • 삼화고속의 정비공장이 이 역 북서쪽의 신흥동3가에 있다. 또한 길 건너편에는 태화상운의 본사가 있었으나 철거되었다.
  • 현재 숭의역이 있는 블럭이, 용현2동에서 애매하게 끝머리만 숭의동인 지역이라, 편입이 이야기 되고 있던 와중에 18년도에 용현동으로 편입하게 되면서, 역명은 숭의역이지만, 지리상 위치는 용현동에 위치하게 되어 버렸다.

4. 역 주변 정보


바로 위에 용현동 구 터미널이 있다. 구 터미널은 태화상운, 대원고속에서 운행하는 시흥, 안산, 수원 방면 시외버스 8850, 8851번이 운행되는 곳이다. 다만 시외버스의 미래는 밝지 않은 것이, 수인선이 인천~오이도 구간만 부분 개통되었을 당시에도 안산방면 시외버스 8856번, 8855번을 차례대로 폐선시킨 바 있으며, 2020년에 수인선이 완전 개통됨으로써 수원, 용인까지 직통 전철이 다니게 되었기 때문이다.
도원역만큼 가깝진 않지만, 북쪽으로 인천축구전용경기장도원체육관이 있다. 그렇다보니 연수구남동구 논현지구를 중심으로 한 인천시 남부와, 시흥시, 안산시 등 수인선이 지나는 경기도 남부의 지자체에 사는 스포츠 팬들의 수요도 어느 정도 있다. 다만 도원체육관은 오르막길을 올라야 해서 힘들다.
3, 4번 출구 주변에 인천 최후의 집창촌, 일명 옐로우 하우스가 형성되어 있었으나, 2020년 6월 2일 에 마지막 건물까지 전부 철거되며 역사 속으로 완전히 사라졌다. 기사 이 자리에는 740세대 규모의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아파트가 들어설 예정이다.

5. 일평균 이용객


숭의역을 이용하는 광역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인선)'''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5,174명
6,304명
6,686명
7,458명
'''5,681명'''
  • 개통 2년 차의 하루 평균 이용객은 6,304명이다. 수도권 도심 부근에 있는 역 치고는 저조한 승객수이나, 수인선 전체로 보면 중간에서 살짝 높은 수치이다.
  • 능암삼거리 부분이 아닌, 숭의로터리 부근에 지어졌다면 이용률이 더 높지 않았을까 하는 의견이 있다. 상대적으로 숭의역 왼편이 인하대병원과 CJ제일제당 공장으로 수요를 창출하기 어렵고, 숭의로터리 부근은 상대적으로 업무지구라 할 수 있는 은행, 관공서 등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 하지만 숭의역 부근은 예전 구터미널 등의 영향으로 숭의로터리 부근보다 버스 노선 등이 더 많기 때문에 환승에 편의를 줄 수 있고, 향후 숭의역 주변의 공터, 폐건물 등이 아파트로 재개발 예정 또는 분양중이므로 더 큰 수요를 창출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수인선은 구 협궤철도 수인선의 선로가 있던 부근으로 공사를 했기 때문에 공사 편의상으로도, 선형 상으로도 현재 위치가 최선으로 보인다.

6. 승강장


[image]
수인·분당선 승강장 크게보기
인하대
2


1
신포
1
[image]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신포·인천 방면
2
원인재·안산·수원·선릉·왕십리 방면

7. 협궤철도 수인선 시절(남인천역)


'''수인선''' (협궤철도)
수 원 방면
용 현

'''남인천'''


시종착
'''동양화학선'''으로 인입
(운행 중단: 2005년)
1994년 9월 1일 부로 폐선된 수인선 전체 노선도는 수인선/폐역 목록에서 참조하십시오.
'''개업일''': 1937년 8월 5일
'''폐업일''': 1973년 7월 14일
[image]
  • 1937년 8월 5일에 수인선의 개통과 더불어 영업을 시작한 역으로 개통 당시 수인선의 종착역이었다. 남인천 - 송도 구간이 폐선되면서 1973년 7월 14일자로 폐역 조치되었고 역사마저 사라졌다.
  • 위 사진은 남인천역의 역사로 후기 아르데코 양식의 역사였으며, 수인선의 역답지 않게 상당히 미려하고 규모가 컸다. 겨우 33년 쓰고 철거했다.
  • 협궤철도 개통 당시의 역명은 인천항역이었으나, 후에 수인역을 거쳐 1955년 7월 1일에 남인천역으로 바뀌었다.

7.1. 주인선 남부역


남부역 문서를 참조.

[1] 인천항역으로 개업[2] 남인천역으로 폐업[3] 용현동 686-55번지[4] 원래는 1부두를 거친 뒤 롯데하이마트 동인천점 뒤편으로 가는 선로를 이용해 남인천역까지 간 뒤, 거기서 선로를 바꿔 3부두로 진입해야 했다. 주인선이 있었을 때는 남인천역 동쪽에서 주인선을 통해 열차를 경인선으로 보낼 수 있어서 이게 맞는 선로배치였지만, 주인선이 폐선되면서 모든 열차는 인천역을 경유해야 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운행 방향이 반대로 바뀌었고, 열차 운행에 불편한 구조가 되어버렸다.[5] 「수인선 숭의역(인하대병원) '부기역명' 성사될까」, 2015-11-24, 인천일보[6]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train&no=719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