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펠포스 3: 폴른 갓/종족
1. 인간
[image]
특정한 자원만 과도하게 소비하지 않고 초반 최적화가 가장 용이하며 영웅과 기본 유닛의 가성비가 좋다는 것이 장점인 진영이다. 다만 거점별 일꾼 숫자가 적으며 병영 업그레이드가 나뉘어 있어 병력을 유연하게 전환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1.1. 영웅
1.1.1. 울프가드
여전히 강한 딜링 능력과 탱킹 능력을 가지고 있으나, 스킬 집중 소모량 너프와 집중 재생량 너프로 인해 함부로 앞점멸을 하면 휠윈드나 어스섀터를 쓰지 못한다는 약점이 생기고, 어스섀터 자체의 쿨타임이 2배 길어지면서 소울 하베스트때의 위력은 내지 못하고 있다.
다만 강력한 딜량이 어디 간 것은 아니라 초반 교전에서는 여전히 우수하고, 인간 진영 주력 딜러인 석궁병의 너프로 인해 오히려 영웅 의존도가 늘어나 초반 자체를 짊어지는 역할을 맡게 되었다.
1.1.2. 로열 메이지
울프가드의 너프로 활약할 여지가 생겼다. 로열 메이지의 얼음 트리는 적의 위협적인 유닛이나 영웅을 봉인하고 끊어먹는 데 특화되어 있고, 화염트리는 강력한 딜링을 보장하기 때문에 활용하기에 따라 오히려 울프가드 이상의 장점을 가지는 강력한 영웅으로 활약한다.
다만 마법사 영웅이 모두 그렇듯이 몸이 굉장히 약하므로, 컨트롤이 어긋나면 순식간에 죽어버릴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1.2. 병영 유닛
휴먼의 기본 정찰기병. 전작에 비해 기본 체력이 50 늘어났고 공격력이 1 증가했으며, 타격 저항과 관통 저항이 25 올라간 대신 마법 저항력이 25 감소했다.
전작에서 고급 장비 업그레이드를 거의 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식했는지 고급 장비 업그레이드의 공격력 증가치가 8에서 25로 크게 증가했다.
인간 진영의 1티어 근접 보병. 전작과 비교해 관통 저항이 25 올랐을 뿐 다른 스펙은 그대로지만, 치명타 확률 2%가 추가됐다는 것이 특징. 하지만 치명타 확률이 낮아 대미지 상승을 체감하기는 어렵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인간 진영의 핵심 궁수 유닛이지만, 기본 공격력이 10 너프되어 화력이 감소했다. 석궁병 자체의 느린 공격 속도와 맞물려 적의 영웅이나 고급 유닛을 저격할 때의 화력 감소가 체감되는 편이다. 또한 기본 사거리도 기존 30m에서 26m로 줄어 석궁병의 생존에 좀 더 신경을 써야 한다.
1.2.1. Support Garrison 유닛
휴먼의 치유 보조 유닛. 전작에 비해 영웅이나 유닛의 기본 집중 회복량이 상당한 너프를 먹은 것에 대한 대가로, 기본 치유량이 100에서 140으로 증가했다. 또한 제대로 적용되지 않던 빠른 투입 업그레이드가 적용되어 허브 주머니 업그레이드 시 정상적으로 40의 집중이 채워진 상태로 생산된다.
인간 진영의 공성 유닛. 전작에 비해 체력이 300 증가하여 생존성이 좀 더 좋아졌으나, 공성 타입 공격의 나사빠진 대유닛 성능은 어디 안 가니 여전히 각별한 보호가 필요하다.
1.2.2. Drill Hall 유닛
체력이 높고 이동 속도와 공격력, 저항력이 모두 우수하여 중, 후반부에 최전선을 맡는 인간 진영의 중기병. 전작에 비해 체력이 250 증가하였고 공격 속도도 증가하여 탱킹과 딜링면에서 좀 더 나아졌다. 갑옷 경량화 업그레이드 시 정찰병보다 속도가 빨라지며, 열성은 대미지가 절반으로 너프된 대신 디버프가 범위로 들어가고 집중 소모량이 상당이 줄어 부담없이 사용하기는 편해졌다.
전작과 달라진게 없는 휴먼 3티어 중보병. 여전히 후반 지상전의 한 축을 담당하는 강력함을 자랑한다. 하지만 공중공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 또한 여전히 가지고 있다.
1.3. 아카데미 유닛
인간 진영의 공중 유닛. 여전히 강력한 전투력을 자랑하나, 체력이 200 늘어난 대가로 관통 저항이 25 감소했다. 이 때문에 늘어난 체력에도 불구하고 전작보다도 궁수들에게 더 잘 격추되니 생존에 좀 더 신경을 써주는 것이 좋다. 또한 날카로운 울음이 침묵에서 약화로 변경되어 마법사 영웅 견제에는 나빠졌으나, 좀 더 범용성이 높아져 사용될 여지가 생겼다.
또한 그리핀의 비용에 철 1이 추가되어 2티어 양산 타이밍이 좀 더 늦춰지게 되었다.
전작에 비해 크게 상향받은 휴먼의 3티어 마법사 유닛. 전작에 비해 체력이 400 늘어났고, 공격력이 10 증가하였으며 관통저항이 사라진 대신 마법 저항이 25 올랐다. 또한 전작의 초신성 업그레이드가 기본적으로 적용되어 기본 공격이 범위 피해를 입힌다. 또한 혼동 업그레이드도 단순히 적을 느려지게 하는 것에서 공격속도와 주문시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상향되었다.
소소한 변경점으로, 전작에서 스킬도 없는데 존재했던 집중 스탯이 삭제되었다.
휴먼의 3티어 버프유닛. 하지만 전작에 비해 저항력 버프가 절반으로 칼질당했고, 공격력 증가치도 10%p 감소했다. 다만 여전히 범위 업그레이드로 상당한 범위에 버프를 줄 수 있고, 더욱이 유닛 기본 집중 재생이 굉장히 느려졌기 때문에 오라 범위 내 집중 재생으로 집중을 사용하는 마법 유닛들의 유지력을 상당히 보장할 수 있다.
1.4. 타이탄
오벨리스크에서 공물을 바친 뒤 아군 유닛 하나를 희생하면 소환 가능한 휴먼의 타이탄. 전작보다 티아라의 가호 범위가 10m 증가한 것 외에는 전작과 동일하다.
밸런스 패치#2에서 보호막 수치와 지속 시간이 너프된 대신, 기본 공격 속도가 올랐다.
2. 엘프
목재를 비교적 많이 소모하는 진영으로, 거점 당 일꾼이 가장 많다. 거점 건물을 특수 타워로 만들어 방어에 힘을 싣거나 적이 차지할 만한 거점을 먼저 차지하면서 격차를 벌릴 수 있으며, 초반에는 다소 약하지만 3티어까지 업그레이드하는 순간 강력한 화력을 자랑하는 아이스 피닉스를 양산할 수 있게 된다.
초반에는 약하지만 중후반부터 강한 면모를 보인다는 점은 다크 엘프와 비슷하지만, 초반에 석재를 크게 필요로 하지 않아 자원의 균형을 비교적 쉽게 맞출 수 있다.
2.1. 영웅
2.1.1. 레인저
원거리 공격을 하는 영웅으로, 화살 비 기술을 이용하면 강력한 범위 공격을 할 수 있고 소환술 계열에 투자하면 강력한 소환수를 불러낼 수 있어 방어와 공격 모두 강력하다. 적 개체 하나를 밀어내는 기술을 가지고 있어서 적의 위협적인 기술을 억제할 수도 있으며, 레인저라는 이름답게 기본 공격도 강력하다.
다만 아군 유닛들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기술이 없고 궁극기도 비교적 약한 편이라 시간이 지날수록 힘이 조금씩 빠진다는 것이 단점.
밸런스 패치로 주력 공격 스킬이 다소 너프되었지만, 여전히 선호받고 있다.
2.1.2. 드루이드
아군 유닛들을 지원하는 데 능하지만 공격력도 나쁘지 않은 영웅. 공격 계열 기술에 투자한다면 단일 공격기와 광역기, 채널링형 공성 마법을 활용하며 적의 거점을 견제할 수 있고, 지원 계열을 쓴다면 적에게는 온갖 디버프를 끼얹으면서 아군은 또 아군대로 치유할 수도 있다.
다만 공격력이 나쁘지 않다는 것은 지원형 영웅치고는 그렇다는 말이지 상위권이라고는 말하기 어려우며, 이 때문에 유닛들이 일정 수 이상 확보되기 전까지는 다른 영웅과의 주도권 싸움에서 밀리기 쉽다.
밸런스 패치#2에서 엘렌의 화염이 다소 상향되고, 기본 공격 사거리가 증가하였다.
2.2. Grove 유닛
엘프의 정찰 기병. 전작에 비해 마법 저항과 관통 저항이 25씩 올라 방어 상성이 덜 극단적이 되었다. 그 외에는 전작과 동일하며, 장인이 벼린 둔기 업그레이드도 그대로라 전작처럼 공성 길잡이 러시를 노려볼 수도 있다.
유일한 1티어 엘프 보병 유닛. 다만 전작에 비해 원거리 태세의 공격력이 20 감소하여 원거리 화력이 줄어들었다. 업그레이드 성능도 동일하여 타 종족에 비해 효율은 좋지 않아 보이지만, 가디언 자체의 빠른 공속에 힘입어 괜찮은 업그레이드 효율을 보인다.
밸런스 패치#2에서 체력이 50 증가하여 600이 되었다.
2티어 궁수 유닛. 전작의 복잡한 관통 화살 대미지 계산식이 사라지고 단순하게 직선 경로의 모든 적에게 피해를 입히는 것으로 바뀌었으며, 대미지 또한 5 올랐다. 전작에서 피해량을 올려주지 않던 업그레이드 또한 대미지가 10 올라가게 바뀌면서 쓸만해졌다.
스플래시형 유닛 업그레이드가 공격력 증가를 제공하는 것이 사기적이라고 생각했는지 밸런스 패치#2에서 업그레이드 시 공격력 증가가 삭제되었다.
2티어 궁수 유닛. 여전히 사거리가 짧고 공격속도가 느리며, 강력한 한방을 지녔다는 특징이 있다. 다만 전작보다 체력이 200 증가하였으며, 타이탄을 제외하면 최하를 달리던 공격속도 또한 휴먼의 석궁병과 동일하게 바뀌면서 상당히 상향되었다.
밸런스 패치#2에서 철 가격이 2에서 3으로 올랐다.
2티어 탱커 유닛이자 유일한 엘프 지상 탱커. 저항력 오라의 증가치가 50에서 20으로 감소한 대신 타격 저항과 관통 저항이 25 증가했고, 공격 대미지가 50에서 100으로 두 배 증가했다. 또한 정결한 갑옷이 저항력 증가치가 5로 낮아진 대신 모든 저항을 올려주도, 체력도 450이나 늘려줘서 전작에 비해 많은 상향을 받았다.
2.3. Heart of Forest 유닛
엘프의 치유 유닛. 전작에 비해 체력이 200 증가하였고, 초당 회복량이 65로 늘어난 대신 전작처럼 집중 1만 써서 9초간 초당 체력 50을 회복하는 사기성 짙은 짓거리는 불가능해졌다. 주문이 채널링으로 바뀌고 시전 시간 동안 집중이 지속적으로 소모되고, 모든 유닛들의 집중 재생량이 심각한 너프를 먹으면서 엘렌의 분노 상태의 체력 재생 오라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졌다.
현재 평온 업그레이드가 제대로 적용되지 않는 버그가 존재한다.
전작의 사기성을 의식했는지 공격 사거리가 10m 줄어들었으며, 50의 높은 관통 저항이 0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얼음 폭풍의 대유닛 대미지가 31에서 6으로 감소하면서 유닛이건 건물이건 가리지 않고 막강한 성능을 보여준 얼음 폭풍 태세가 유닛 상대로는 효율이 감소하였다.
또한 비용이 식량 20에서 식량 15와 레냐 잎사귀 4를 먹도록 바뀌었기 때문에, 무작정 3티어를 올려 얼음불사조를 조기에 스팸하는 전략은 불가능해졌다.
전작에서 약체 취급을 받아 상당히 상향되었다. 체력이 400 증가하였고, 공격력이 10 증가하여 좀 더 딜링면에서 나아졌다. 다만 겨울의 포옹 업그레이드는 오히려 쿨다운이 15초에서 40초로 너프되어 쓰기가 더욱 난감해졌다.
2.4. Arcane Smithery 유닛
엘프 공성 유닛. 병영이 아니라 대장간에서 생산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전작에 비해 체력이 200 늘어난 대신 관통 저항과 마법 저항이 25 감소하였다. 전체적으로 인간 투석기의 하위호환.
2.5. 타이탄
전작과 동일한 스펙을 지닌 타이탄. 다만 이제 생산에 레냐 잎사귀가 필수적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3티어가 되어야 소환할 수 있다.
3. 오크
[image]
쓰기에 따라 최강과 약체를 오가는 진영. 건물을 건설하는 비용이 저렴하고 워 핏만 건설하면 유닛이 거점 건물에서 즉시 생산된다는 장점이 있으며, 손쉽게 많은 병력을 불러낼 수 있다.
하지만 건물이나 유닛의 체력이 상대적으로 낮고 자원 건물의 효율도 낮다는 것이 단점. 즉 상대의 거점을 끊임없이 공격하며 격차를 벌려나가는 대신 적과 맵을 반반으로 나누는 데에서 만족한다면, 질적으로 우수한 적 유닛에게 제압당하기 쉽다.
3.1. 영웅
3.1.1. 고블린 주술사
전작과 달리 더 이상 오크의 주축 역할을 수행하지 않는데, 가장 큰 이유는 오크의 대전략이 변화하였기 때문이다. 짐마차와 고블린 잡병의 공성 대미지 삭제로 오크의 초반이 약해졌고, 더 이상 전작의 초반 사기성을 뽐내지 못하게 되면서 초반을 무사히 넘기려는 의도로 오컬티스트를 더 자주 채용한다.
3.1.2. 오컬티스트
강력한 오크 근접 전사 영웅. 각종 출혈 스킬과 납치 기술로 무장하여 강력한 딜링을 자랑하며, 튼튼한 편이라 잘 죽지 않는다. 초반 오크가 공격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핵심 영웅이다.
3.2. 유닛
3.2.1. 1티어
오크의 정찰 유닛. 전작에 비해 체력이 50 증가하고 공격력이 5 증가하였으며 타격 저항과 마법 저항이 25 올랐으나, 사거리가 전작에 비해 짧아졌다. 업그레이드 후 성능은 전작과 동일.
전작과 스펙은 동일하며 오히려 관통 저항이 25 증가하였으나, 공성 대미지의 삭제로 전작만큼의 위용은 내지 못하게 되었다. 현재는 오크 철유닛이 갖춰질 때까지의 탱킹용 소모품으로 활역한다.
1티어 궁수 유닛. 전작처럼 물량으로 승부하는 궁사 유닛. 전작에 비해 체력이 50 감소하는 너프를 받았으나 태생이 물량으로 승부하는 궁수라 크게 체감되지는 않는다. 그 외에는 전작과 동일.1티어 보조 유닛. 오크 화력의 전체적인 상향으로 인해 버프 수치가 20%p 감소했지만, 여전히 오크 화력을 보강하는 주축으로 많이 사용된다.
3.2.2. 2티어
2티어 오크 보병. 전작에 비해 체력이 100 늘어나고 공격력이 10 증가했으며, 관통 저항이 25 상향되는 등의 자잘한 상향을 받았다. 중반부부터 오크 지상군의 주축이 되는 강력한 유닛.
2티어 궁수 유닛으로, 사거리가 5m 너프당했지만 그 대가로 전작에 비해 공격력이 2배 증가했고, 사냥꾼의 빠른 공속에 힘입어 무시무시한 화력을 보여준다.
3.2.3. 3티어
3티어 기병. 전작에서 웃음거리였던 관통 저항이 0으로 상향되고 공격 속도가 2배로 늘어나 화력이 크게 증가했으며, 체력 또한 200 늘어나 좀 더 안정적인 탱킹을 제공한다. 전작에 비해 상당히 쓸만해진 유닛.
오크의 비행 유닛. 전작과 달리 더 이상 공성 피해를 입히지 않는 대신, 유닛에게 입히는 마법 피해가 2배 늘어나 120으로 상향되었다. 화력이 늘어난 대신 사거리가 전작의 절반으로 줄어들어 좀 더 생존에 신경써주어야 한다.
3티어 마법 유닛. 전작에 비해 체력이 300 늘어났지만 공격력은 10 줄어들었다. 대신 막강한 기름 상태이상 대미지는 여전해서, 풀업 시 고블린 말썽꾼과 함께 막강한 딜량을 자랑한다. 오크의 후반 주력 화력 유닛으로 활약한다.
강력한 한 방을 자랑하는 근접 공성 유닛. 전작에 비해 체력이 700 늘어났고, 관통 저항과 공성 저항이 줄어든 대신 타격 저항이 25 증가하였다. 상당히 튼튼해져 적진에서 벌이는 전면전에 활용성이 생겼다.
3.3. 타이탄
성능에는 변화가 없으나, 이제 타이탄 생산이 일괄적으로 고기 75, 철 50, 고유자원 75를 먹게 변경되면서 예전처럼 빠른 타이밍에 나와 유저들을 충격과 공포에 빠뜨리는 것은 불가능해졌다. 그 점 외에는 이전과 동일한 성능.
밸런스 패치#2로 철 비용이 75에서 50으로 감소하였다.
4. 드워프
[image]
채취 효율이 비교적 좋지 않은 석재를 주로 사용하는 진영. 엘프와 함께 거점 별 일꾼 숫자가 많고 건물의 체력이 비교적 높아 방어에 유리한 편이며, 초반에는 목재를 많이 필요로 하지 않아 자원의 균형을 맞추기도 편하다. 초반에는 유닛들의 성능이 애매하지만 업그레이드 하나하나가 모두 강력해 시간이 흐를수록 강력해진다. 공중 수송기가 있는 유일한 진영이고 터널이라는 고유 건물이 있어 기동성이 뛰어나다는 것도 장점.
4.1. 영웅
4.1.1. 심연의 전사
현재 많은 상향이 이루어지고, 인식이 바뀌어 쓸만한 근접 전사라는 의견이 대세. 여전히 고위 사제에 밀려 잘 쓰이지 않지만, 성능이 강력해졌다는 의견이 다수이다. 집중을 자가수급하는 기술이 쓸만해지면서 스킬 선택의 폭이 넓어졌고, 전면전에서 좀더 활약할 수 있게 되었다.
4.1.2. 고위 사제
전작에서 사기적인 성능을 자랑했던 토템이 너프되고 직접 딜링 트리가 재조명되며 운영이 조금 달라졌다. 여전히 빠른 캠핑 속도를 자랑하며, 초반 적을 괴롭히는데 특화된 영웅으로 활약하고 있다.
4.2. Stone Hall 유닛
드워프의 정찰 유닛. 전작에 비해 모든 저항력이 25 증가하여 생존성이 올랐으나, 최대 집중이 5 감소하고 짓밟기의 피해량이 감소하여 짓밟기 업그레이드 두더지 러시의 효율이 줄어들었다. 이외에는 평범한 정찰 유닛.
드워프의 기본 보병. 관통 저항이 25 증가했고, 공격 속도가 0.05 감소한 대신 공격력이 10 증가했다. 또한 집중 재생 너프로 인해 예기치 않게 방어태세의 효율이 감소하는 간접 너프를 받았다.
1티어 궁수이자 주력 궁수. 전작에 비해 체력이 200 오르고 초반 궁수 교전에서 불리하던 관통저항이 0으로 오르는 상향을 받았다. 또한 강력한 명사수 태세도 건재하여 전작보다 강력해졌다.
전작에 비해 사거리가 줄어든 대신 공격력이 10 증가하였다. 산의 메아리 업그레이드는 집중 증가량이 5 줄어드는 너프를 받았고, 수호 방패의 초기 집중 소모량이 7로 늘어난 대신 집중이 소모되는 속도가 전작에 비해 확연히 줄어들어 동일 집중 소모 시 수호 방패의 지속 시간은 오히려 전작보다 증가하였다. 아군에게 지속적으로 강력한 방어 버프를 걸어줄 수 있는 괜찮은 버프 유닛으로 탈바꿈했다.
3티어 원거리 마법사 유닛. 2명 동시타격에서 아예 범위 피해를 입히는 것으로 공격 메커니즘이 바뀌었고, 마법 피해에 극도로 취약했던 전작과 달리 마법 저항이 0으로 상향되고 대신 관통 저항이 -25로 하향되었다. 대신 소각 업그레이드 시 공격력 하향이 사라져 딜링이 크게 향상되었다.
최전선을 담당하는 3티어 보병 유닛. 전작에서도 빠른 공속 때문에 강력했지만, 이번 작품에서는 체력이 250 상향되고 공격력이 129에서 200으로 대거 상향되며 매우 강력해졌다. 또한 전투의 함성 버프는 그대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주변 아군과 자신에게 강력한 버프를 걸어줄 수도 있다.
4.3. Granit Hall 유닛
드워프만 보유하고 있는 비행 수송선. 전작처럼 최대 7명을 수송할 수 있으며, 지나치게 잘 격추되던 전작에 비해 마법 저항이 50 증가하고 관통 저항이 25 증가하여 튼튼해졌다.
드워프의 공성 유닛. 강력한 스펙은 그대로지만, 가격도 전작 그대로 비싸니 관리에 주의를 요한다.
드워프의 공중 유닛. 전작처럼 긴 사거리로 적을 제압하는 것은 동일하며, 공성 저항이 25 증가했다. 다만 체력이 200 증가하는 상향을 받아 화염 폭우를 사용하는 것이 좀 더 안정적이 되었다.
4.4. 타이탄
전작처럼 강력한 공성 대미지로 승부하는 타이탄. 전작과 스펙과 운영법이 동일하다.
현재 니에탈프의 망치를 사용하면 게임이 튕기는 현상이 있다.
5. 다크 엘프
[image]
숙련자용 진영으로, 거점별 일꾼 숫자가 가장 적고 목재를 많이 소모하는 주제에 병영에 해당하는 건물은 석재가 필요해서 초반 최적화가 굉장히 어렵다. 대신 초반부터 이동 속도가 빠른데다가 시야 공유를 하고 적의 속도를 느리게 하는 정찰병인 스펙터를 생산할 수 있고, 타란튤라 유닛을 쉽게 모을 수 있다. 타란튤라를 앞세우고 궁수를 적당히 확보하면서 2티어까지 업그레이드하면 고유 자원을 모으면서 고급 유닛을 모으고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다.
5.1. 영웅
5.1.1. 노르의 수호자
전작과 달리 거북이 태세의 삭제로 더이상 무적의 위용을 뽐낼 수는 없게 되었다. 다만 여전히 영웅 자체는 강력하고 단단한 편으로, 울프가드와 유사하게 운영할 수 있다.
5.1.2. 리퍼
강령술 계열의 상향과 디버프 구름의 재발견으로 다시 쓸만한 영웅이라는 평을 듣고 있다. 현재 리퍼를 사용하는 다크엘프는 언데드를 소환하며 끊임없이 디버프를 걸어주는 빌드가 주류로 자리잡고 있다.
5.2. Halls of Pain 유닛
다크 엘프의 정찰 유닛. 타격과 마법 저항이 25 상향되었으나, 소름끼치는 비명 특수능력의 집중 소모량이 3배 늘어나고 쿨타임이 5초 늘어나는 하향을 받았다.
1티어 보병. 전작과 같이 질보단 양으로 승부하는 유닛이다. 전작에 비해 변경점이 없다.
밸런스 패치#2로 체력이 25 증가하여 525가 되었다.
전작처럼 1티어 중 독보적 성능을 지녔고, 엘프 가디언의 궁수 태세 너프로 인해 1티어 대미지 딜링으로는 공동 1위이다. 대신 체력이 50 줄어드는 너프를 받았으나, 전격 공격 업그레이드의 성능은 그대로이기 때문에 생존성은 여전히 좋은 편이다.
2티어 근접 보병. 체력이 150 증가하였고 공격력이 20 증가한 대신 공격 속도가 0.08 줄어들었다. 전보다 탱킹이 올라가고 전투력도 늘어났으며, 출혈을 지속적으로 걸어주기 때문에 채용해 볼만해졌다.
3티어 기병. 낮은 체력이 500 증가하여 굉장히 높아졌고, 기본 피해량이 100 증가한데다가 출혈 추가 피해까지 합하면 전작보다 최대 피해량은 20 늘어났다. 또한 약점을 노려라 업그레이드가 이동속도 저하인 적에게 추가 피해를 주는 것이 아닌 자체적으로 출혈을 유발할 수 있게 됨으로써 활용성도 높아졌다.
5.3. Dark Temple 유닛
자폭 유닛. 20이던 체력이 200으로 크게 상향되어 적에게 한대 맞는다고 터지지는 않지만, 공성 저항이 50 낮아져 일장일단이 있다. 하지만 철을 먹던 전작에 비해 이번에는 에코만 먹어 활용 가치는 올라갔다.
2티어 공중 유닛. 전작에 비해 체력이 175 늘어나 생존성이 올랐고, 기본 공격력도 20 상향되어 초반 전투력이 강해진 대신 사거리가 줄어들었다. 대신 감염성 독 업그레이드가 더 이상 공격력을 올려주지 않고, 범위 피해 대신 뮤탈리스크처럼 전이되는 형식으로 바뀌었다.
공성 유닛. 체력이 500 늘어났고, 공성 대미지가 100 증가하여 원거리 공성 유닛 중 최대의 공격력을 자랑한다. 또한 시체 뱉기도 건재하여 노르의 전령을 여전히 잘 지원해줄 수 있다.
3티어 비행 유닛. 전작의 악명 때문에 공격력이 50 줄어들었고, 소환하는 언데드의 스펙도 줄어들었으며, 집중 재생 너프로 무한정 언데드를 뽑아내지는 못하게 되었고, 타격 저항이 25 너프당하고 관통 저항은 50 너프당했다. 대신 업그레이드 시 나오는 언데드 궁수의 화력이 굉장히 강해졌다.
사족으로 노르의 전령은 영혼의 첨탑에서 희생이 불가능하다.
3티어 마법 유닛. 전작처럼 악마 속성을 지니고 있어 대부분의 군중제어기에 면역이며, 공격력이 20 증가하여 전투력도 올라갔다. 다만 전작에서 굉장히 강력했던 약자 수확 업그레이드의 스턴이 약화로 바뀌면서 적을 완전히 제압했던 전작과는 위상이 조금 달라졌다.
5.4. Spire of Souls 유닛
전작과 동일하게 고유 자원을 모으는 유닛. 전작과 모든 특징이 동일하다.
5.5. 타이탄
스펙은 전작과 동일하나, 함부로 생산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인지 에코 소모량이 150으로 다른 종족 고유자원 소모량의 2배이다. 또한 노르의 아이들 스킬의 새끼 거미 생산량이 2초당 2마리에서 2초당 1마리로 줄어들어 새끼 거미 생산량이 절반으로 줄었다. 모든 타이탄 중 유일하게 너프를 받았다.
6. 트롤
신규 종족. 유닛 하나 하나가 무지막지만 스펙을 가지고 있지만 비싸고 인구수를 많이 잡아먹는 전형적인 소수 정예 종족. 특이사항으로 철을 사용하지 않는 대신 고유 자원이 두 종류이다. 또한, 기본 유닛을 다른 군사 건물에 집어넣는 방식으로 고급 유닛을 훈련할 수 있다. 이러한 종족적 특징 때문에 초반부터 강한 압박으로 이득을 최대한 얻어내야 강력함을 발휘할 수 있다.
6.1. 영웅
6.1.1. 족장
근접형 영웅. 자체 스펙이 울프가드 이상으로 무시무시한데다 아군 트롤을 강화시켜 스펙을 더 올려주는 스킬도 사용할 수 있다. 때문에 초반에 승부를 보는 트롤을 초반에 더욱 강력하게 만들어주어 가장 상성이 좋아 가장 많이 쓰이는 영웅이다.
6.1.2. 역병인도자
트롤의 마법사형 영웅. 기본적으로 평타가 다수를 타격할 수 있고 질병 디버프를 기반으로 한 강력한 스킬이 많다. 다만 역병인도자의 강력함은 질병 디버프가 걸려있다는 것을 전제로 나오기 때문에 스킬이 범용적인 족장에 비해 한계가 뚜렷하다.
6.2. Fight Hut 유닛
트롤의 가장 기본이 되는 유닛. 가격치고 엄청난 스펙을 자랑하는 강력한 보병이며, 족장의 스킬로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또한 분쇄자가 있어야 다른 고급 유닛을 훈련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많이 뽑게 될 유닛이기도 하다.
트롤의 정찰 유닛. 모든 정찰 유닛 가운데 공중 유닛이라는 이점이 있으며, 적 궁수진을 곤란하게 만들 만한 특수능력도 지니고 있다. 또한 철부리도 전투 유닛으로 훈련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수를 생산하는 것도 고려할 만하다.
6.3. Hitting Camp 유닛
분쇄자를 Hitting Camp에서 훈련하면 나오는 2티어 유닛. 더 나은 탱킹과 공격력을 지니고 있으며, 업그레이드 시 광역 피해까지 주기 때문에 더욱 막강해진다. 또한 저항력 분배도 좋은 편이기 때문에 전열에서 단단하게 버텨줄 수 있다.
트롤의 공성 유닛. 강력한 체력과 저항력, 그리고 마이너 어스섀터인 스톰프를 가지고 있어 자주 사용되는 유닛이다. 초반에는 분쇄자만으로 공성이 가능하지만, 게임이 중반 이상으로 넘어가면 꼭 필요한 유닛이 된다.
철부리를 Hitting Camp에 훈련시켜 생산가능한 유닛. 철부리에 비해 스펙이 조금 나아지고, 지상 공격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저항력이 약하고 공격력이 안정적이지 않기 때문에 주력으로 쓰기엔 무리가 따른다.
6.4. Throwing Camp 유닛
나쁘지 않은 공격속도와 강력한 공격력을 갖춘 트롤의 2티어 원거리 유닛. 하지만 적 보병에 약하기 때문에 보호에 주의를 요한다. 업그레이드 시 괜찮은 수치의 저항력 감소 디버프를 걸어준다.
트롤의 원거리 유닛. 무려 범위 피해를 입히고, 사거리도 압도적으로 길기 때문에 굉장히 위협적이다. 다만 피해량 범위가 넓어 딜이 들쭉날쭉하는 경향이 있는 것은 아쉬운 점.
범위 피해를 입히는 공중 유닛. 다만 범위가 매우 작고 공격력이 낮아 다수가 모이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 철부리 다수가 남아돌고, 적의 대공이 미약할 때 생산하는 것이 좋다.
6.5. Hex Camp 유닛
강력한 공격력과 피흡을 지니고 있는 원거리 마법 유닛. 성능이 괜찮지만 고유 자원 2종류를 모두 먹는다는 점이 초반 생산에 발목을 잡는다.
방어력은 좋지만 오히려 피해량과 생명 흡수량은 살점을 먹는 자보다 떨어진다. 하지만 업그레이드가 끝나면 사망시 오히려 스펙이 더 높아진 시체 트롤로 부활하여 싸우는 것으로 낮은 스펙을 커버한다. 죽어야 제 값을 하는 유닛.
전투력은 보잘것없지만 버프로 그것을 커버하는 버프형 공중유닛. 아군에게 걸어주는 버프는 있으면 좋은 수준이지만 적에게 지속적으로 걸리는 출혈은 전투 중 굉장한 이득을 가져다준다. 전투 중 섞어주면 좋을 법한 유닛.
6.6. 최종 테크 유닛
어디서든 분쇄자를 3번 훈련하면 튀어나오는 최종 유닛. 강력한 공격력에 막강한 체력과 준수한 방어력을 지니고, 주변 아군에게 공격력 버프까지 걸어주는 막강한 유닛이다. 또한 피의 수확을 지니고 있어 전투에서 살아남을수록 공격력이 점점 강해지는, 지상유닛으로서는 완전체 유닛이다. 비싸고 공중 공격을 하지 못한다는 것이 유일한 단점.
6.7. 타이탄
소환하는 데 막대한 양의 고유 자원과 10중첩 피의 수확 유닛이 필요하지만, 그 값을 충분히 한다. 공격 속도가 다른 타이탄에 비해 근소하게 빠르고, 이동 속도는 다른 타이탄과 달리 오히려 일반유닛보다도 빠른데다 고유 능력도 굉장히 공격적인 트롤다운 타이탄이다. 다만 이러한 공격적인 특징 때문인지 다른 타이탄에 비해 방어력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