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생전

 

<심생전>은 이옥[1]이 쓴 한문 소설이다. 17세기 이래로 가정소설, 영웅소설을 중심으로 고전소설은 국문, 장편 소설의 지분이 많아지기 시작하여 소설사의 한 축을 담당하게 된다. 그리고 이에 맞서는 한문 소설도 발전하게 되는데, 섬세한 묘사, 깔끔한 전개로 국문 소설의 통속성을 보완해주었다. 이러한 시기에 나온 작품이 곧 <심생전>이다.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심생전>은 한문 소설이고, 그렇기 때문에 섬세한 묘사와, 깔끔한 전개가 돋보인다. 다른 한문 소설과 비교해 보아도 압도적으로 짧은 <심생전>은 군더더기가 될 다른 서사를 지우고 오로지 남성과 여성의 결연과 이별을 다뤄 마치 잘 짜인 줄거리를 보는 것 같은 깔끔함을 자랑한다. 또한 문체가 상당히 자유로워 원문을 보면 번역문에서 보는 것과는 다른 재미를 느낄 수 있다.
<심생전>에서 갈등은 잘 드러나지 않는다. 이는 국문 소설에서 흔히 보이는 선명한 선악의 대립과는 확연히 다른 것이다. <심생전>에서 비극이 발생하는 원인은 남성의 우유부단함과 여성의 신분적 열등함에 있다. 처음에 심생은 여인의 집 앞에서 며칠씩이나 노숙할 만큼 열의가 있었지만, 결연이 이루어진 후에는 중인이라는 여인의 신분적 결함 때문에 여인의 집에 가지 않는 날이 없지만, 여인이 손수 마련해준 옷도 입지 않는 우유부단함을 보인다. 연구자들은 대체적으로 여성의 신분적 열등함을 비극의 주 원인으로 보지만, 몇몇 연구자들은 심생의 신분적 우월감, 편견에서 비극의 원인을 찾기도 한다.
여인의 편지가 애절하기로 (국어국문학과 학부생들 사이에서)유명하다. 여인의 편지는 자신이 얼마나 건강이 좋지 않은지에 대해 언급하고, 자신이 내면화한 양반의 규범을 지키지 못함을 한탄하는 것으로 끝이 난다. 여기서 나오는 3가지의 한은 모두 그 당시 여성들에게 내면화한 유교적 규범이었다.[2] 이를 당시 시대상의 한계라고 보는 시각도 있고, 은근히 심생을 원망하는 것 같은 문구들을 배치해 놓은 것으로 오히려 양반인 심생을 공격하려는 의도였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심생전>에서 심생이 과거를 포기하고 무인이 되는 결말은 전기소설의 부지소종을 패러디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심생의 적극성을 배우라는 다소 엉뚱한 후반처리는 <심생전>의 주제가 양반층에게는 다소 충격적일 수 있기 때문에 자신에게 주어질 비난을 회피하고자 하는 의도로 해석된다.[3]

[1] 1760~1815, 조선 후기의 문인이다. 서얼이었고, 당시 서얼의 불평등한 신분적 위치에서 유교의 예법에 맞는 문학이 아닌 순수 문학을 지향했다고 알려져 있다. 명청 소품체에 영향을 받았으며 정조의 문체반정때 심한 갈등을 겪었다.[2] 부모를 모시지 못하는 것, 며느리로써의 삶을 살지 못하는 것, 남편에게 봉사하지 못하는 것[3] 실제로 박지원의 소설도 다른 데서 본 것이라고 하며 자신에게 주어질 비난을 회피하는 모습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