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머드 코어 3/아레나

 


1. 개요
2. 일반 랭커
2.1. 에이스 / 아르카디아
2.2. BB / 타이런트
2.3. 로얄 미스트 / 카이저
2.4. 그랜드 치프 / 헬 해머
2.5. 팡파레 / 인터피드
2.6. 콜레트 / 아를르캥
2.7. 왈큐레 / 그나
2.8. 녹턴 / 자인
2.9. 플라잉 픽스 / 플래그
2.10. 사이프러스 / 텐 커맨드먼츠
2.11. 파우스트 / 메이거스
2.12. 임펄스 / 스탤리온
2.13. 브레멘 / 멀티박스
2.14. 퍼네틱 / 레드아이
2.15. 미다스 / 세밀라티스
2.16. 스트리트 에너미 / 스태틱 맨
2.17. 트루퍼 / 바이퍼
2.18. 호스타일 / 아토믹 포드
2.19. 트라팔가 / 더블 트리거
2.20. 밀키웨이 / 네이쥬
2.21. 배드 브레인 / 블러디 혼
2.22. 섀도우 엣지 / 크래시 본
2.23. OX / 파르테논
2.24. 바체터 / 카르마
2.25. 썬더 하우스 / 배틀필드
2.26. 파티 플레이 / 조커
2.27. 클라이젠 / 인섬니어
2.28. 파이선 / 건틀릿
2.29. 스위트 스위퍼 / 바르나
2.30. 프래자일 / 나이트 플라이어
2.31. 하드 엣지 / 리바이벌
2.32. 플레어 / 다이나모
2.33. 도럴 / 블랙 크로스
2.34. 서버번 킹 / 거스트
2.35. 옐로 보트 / 에퍼시
2.36. 애스터 / 메가로
2.37. 체인 임팩트 / 배리언트
2.38. 픽서 / 아인한더
2.39. 백 브레이커 / 캐스톨
2.40. 파일런 / 타워 오브 윈드
2.41. 트윈 헤드 W / 스크리밍 애니멀
2.42. 바이스 / 파이어 플라이
2.43. 게도 / 게르니카
2.44. 캐스케이드 / 시그널
2.45. 스네이크 우드 / 게이트웨이
2.46. 트윈 헤드 B / 패트리어트
2.47. 스트라스보그 / 볼케이노
2.48. 웨이크 업 / 에코 헤드
2.49. 아듀 / 스카이 댄서
3. 보충 랭커
3.1. 브래스 / 쿨 헤드
3.2. 빌바오 / 그린 위치
3.3. 패러노이어 / ICE WALLS
3.4. 패러독스 / 자카트
3.5. 패스 어헤드 / 프로그레스
3.6. 덕스 / 잉고트
3.7. 엔디미온 / 심퍼시 키스
3.8. 애플 보이 / 에스페란자
3.9. 레지나 / 에키드나
3.10. 콜 하트 / 더 선
3.11. 립 헌터 / 루쥬
3.12. 스킬라 / 델타
3.13. 스파르탄 / 템페스트
3.14. 캐스트 다운/ 브라우저
3.15. 샌도벌 / 바타이유
3.16. 호즈미 / 아이젠
3.17. 츠쿠요 / 사라시나
3.18. 칼카스 / 코럴 스카이
3.19. 어사일럼 / 기간테스
3.20. 벡터 / 히프노스
3.21. 엑자일 / 애프터 페인
3.22. 서티 / 마워르스
4. 엑스트라 아레나
4.1. 고용가능 동료기 목록
4.2. 랭커 목록


1. 개요


아머드 코어 3의 아레나 랭커 일람.
정식발매판에서는 아레나 랭커 번역에 북미판을 참고한 건지, 북미판과 일어판의 명칭이 다른 경우 북미판을 따른 경우가 꽤 있다. (예: 콜레트, 사이프러스, 왈큐레) 그런가 하면 또 일어판 기준으로 번역된 경우도 있다. (예: 밀키웨이, 블러디 혼, 파티 플레이) 미션은 일어판 기준으로 번역되었는데, 덕분에 후속작인 사일런트 라인의 미션에서 등장한 사이프러스는 뜬금없이 기체명이 바뀌어 버리는 사태가 발생했다.
B랭크부터 본격적으로 강화인간보정 레이븐들로 구성되어있다. 에너지 수급량이 유저와는 비교도 안되게 높으며 앉아쏴 자세가 필요한 병기들을 자유자제로 사격하니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디코이나 요격장치를 본격적으로 사용하는 기체가 많은 편이 아니기 때문에 막힌다 싶으면 미사일위주 공격을 추천한다.
본 문서에서는 상기한 경우는 일어판 명칭으로 통일, 정발판 명칭은 따로 표기하였으며, 오역 등 일부는 수정하였다.

2. 일반 랭커



2.1. 에이스 / 아르카디아



2.2. BB / 타이런트


경기가 끝난 후 관전 상태로 보면 AC가 무게 초과 상태다(...). 즉, 기체에 부품을 조립할 때 밸런스 생각 안하고 개념없이 맞췄다는 뜻.
그 때문에 시작하자마자 오버부스트를 사용하고 돌격해 오지만 무게 초과 상태라 느려터진건 기본이고 뒤로 도망쳐주면 멈출 생각을 안하기 때문에 잠시 후 부스터 게이지를 다 써서 걸어다니는 바보가 된다.
어떻게 아레나 랭킹 2위 까지 올라간건지가 의문

2.3. 로얄 미스트 / 카이저


초반에 미사일을 전부 쏟아부은다음 돌격해오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2.4. 그랜드 치프 / 헬 해머



2.5. 팡파레 / 인터피드



2.6. 콜레트 / 아를르캥


정발판 명칭은 콜러 / 할러퀸. 영어판 이름 Caller를 사용했다. 기체명은 아를르캥(Arlequin)의 영어 발음인 할리퀸으로 번역.

2.7. 왈큐레 / 그나


정발판 명칭은 북미판과 같은 발키리 / 스위프트. 스텔스파츠를 착용하고 고고도로 상승하여 스나이퍼 라이플로 플레이어에게 사격을 가한다. 상대하기가 껄그러운 전법을 구사한다. 미사일을 사용해보자. 재미있는 점은 특유의 전법 때문에, 장외패가 존재하는 맵에서 싸울시 종종 스스로 장외패 당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아레나에서 패배할 경우, 플레이어를 칭찬하면서도 상위랭커들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메일을 보내온다.

2.8. 녹턴 / 자인



2.9. 플라잉 픽스 / 플래그



2.10. 사이프러스 / 텐 커맨드먼츠


원래 일본판에서의 기체명은 텐 커맨드먼츠(テン・コマンドメンツ). 정발판은 북미판 이름인 셰이드로 번역되었다. 상술한 대로 후속작인 사일런트 라인에서는 일본판 기체명으로 나와버려서 기체명이 바뀐 걸로 혼동한 유저들이 많았다.
인생이 관리자에 의해 결정된다고 믿고 있으며, 아레나 시합을 치루기 전에는 기도까지 올린다고 한다. 관리자에 대한 일종의 신앙을 가지고 있는 인물. 아레나에서 만날 때에는 상당히 까다로운 패턴을 사용하는데, 강화인간 시술을 받았는지 플롯트형 레그를 사용하면서도 숄더무기인 체인건을 공중에서 자유자재로 사용한다. B랭크로 올라가기 위한 관문과 같은 랭커라고 볼 수 있겠다. 방심하면 화력과 기동성에 밀려 제대로 저항도 못하고 패배하기 쉽다.

2.11. 파우스트 / 메이거스



2.12. 임펄스 / 스탤리온



2.13. 브레멘 / 멀티박스



2.14. 퍼네틱 / 레드아이



2.15. 미다스 / 세밀라티스


정발판 명칭은 마이더스 / 시메랫. 북미판 기체명 Semilat을 번역한 것으로 보이는데 뭔가 이상한 발음이 나와버렸다. 사실 Semilat 자체도 사전에 없는 단어.

2.16. 스트리트 에너미 / 스태틱 맨


빈곤한 환경에서 벗어나 성공하기 위해서 무수한 악행을 저질렀다고 한다. 아레나에서 만닐시 플레이어의 시야를 벗어나며 라이플과 로켓으로 지속적인 공격을 퍼붓기 때문에 상대하기 까다롭다. 키사라기 토벌 미션에서는 파트너로 만날 수 있다. 플레이어의 선택에 따라 미션내용이 달라지기에 상당히 흥미로운 미션. 의외로 악행을 저지르며 살아왔다는 설명과 다르게 미션에서 파트너로서 보여주는 모습은 상당히 점잖다.

2.17. 트루퍼 / 바이퍼



2.18. 호스타일 / 아토믹 포드



2.19. 트라팔가 / 더블 트리거



2.20. 밀키웨이 / 네이쥬



2.21. 배드 브레인 / 블러디 혼


정발판에서는 기체명이 블러디 호른으로 번역되었다. 엠블렘을 보면 이름의 의미는 뿔(Horn)이 맞으므로 본작의 오역 중 하나. 무슨 우드호른이나 스마트호른도 아니고...

2.22. 섀도우 엣지 / 크래시 본



2.23. OX / 파르테논



2.24. 바체터 / 카르마



2.25. 썬더 하우스 / 배틀필드



2.26. 파티 플레이 / 조커



2.27. 클라이젠 / 인섬니어



2.28. 파이선 / 건틀릿


정발판 이름은 피톤. 일본판 표기가 パイソン이므로 본 항목에는 영어 발음으로 표기하였다.

2.29. 스위트 스위퍼 / 바르나



2.30. 프래자일 / 나이트 플라이어


4족 경량형 기체를 사용하는 레이븐. 초반부 미션에서 파트너로 고용할 수 있는 레이븐이라 플레이어에게 친숙하게 다가온다.
중앙연구소 방어 미션에서도 등장. 관리자의 AC를 빨리 처리하지 못하면 관리자AC 공격에 당해 사망한다. 당연히 사망한 레이븐은 아레나에서 사라진다. 아레나에서 만날시 사용하는 공격패턴은, 공중에서 고도를 유지하며 라이플을 난사하는 방식이다.

2.31. 하드 엣지 / 리바이벌



2.32. 플레어 / 다이나모



2.33. 도럴 / 블랙 크로스



2.34. 서버번 킹 / 거스트



2.35. 옐로 보트 / 에퍼시



2.36. 애스터 / 메가로



2.37. 체인 임팩트 / 배리언트



2.38. 픽서 / 아인한더



2.39. 백 브레이커 / 캐스톨



2.40. 파일런 / 타워 오브 윈드



2.41. 트윈 헤드 W / 스크리밍 애니멀



2.42. 바이스 / 파이어 플라이



2.43. 게도 / 게르니카


정발판 이름은 게도즈. 프랑스어 이름인 Gaidoz인데 z는 묵음이므로 일어판 표기인 게도가 맞다.
초반 미션인 아레나 방어에 등장. 플레이어와 같은 편이 되어서 싸운다. 플레이어가 적을 빨리 처리하면 솜씨가 좋다고 칭찬하는 반면, 적을 빨리 처리하지 못하게 되면 실망했다는 식으로 말을 한다. 미션이 끝나면 플레이어의 행보를 기대하겠다는 식으로의 메일도 보낸다. 플레이어 이외의 다른 레이븐이 미션을 수행하며 활동하고 있다는 점을 초반부에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인물. 아레나에서 사용하는 전법은 확산형 레이저를 근접에서 난사하는 방식이다. 근접전을 허용하면 패배할 확률이 높아지니 주의해야 한다.

2.44. 캐스케이드 / 시그널



2.45. 스네이크 우드 / 게이트웨이



2.46. 트윈 헤드 B / 패트리어트



2.47. 스트라스보그 / 볼케이노



2.48. 웨이크 업 / 에코 헤드



2.49. 아듀 / 스카이 댄서



3. 보충 랭커


미션에서 사망한 랭커 대신 추가되는 랭커 및 아레나 제패 후 추가되는 랭커. 당연하지만 전원 E랭크다.

3.1. 브래스 / 쿨 헤드



3.2. 빌바오 / 그린 위치



3.3. 패러노이어 / ICE WALLS



3.4. 패러독스 / 자카트



3.5. 패스 어헤드 / 프로그레스



3.6. 덕스 / 잉고트



3.7. 엔디미온 / 심퍼시 키스



3.8. 애플 보이 / 에스페란자



3.9. 레지나 / 에키드나



3.10. 콜 하트 / 더 선



3.11. 립 헌터 / 루쥬



3.12. 스킬라 / 델타



3.13. 스파르탄 / 템페스트



3.14. 캐스트 다운/ 브라우저



3.15. 샌도벌 / 바타이유


정발판 기체명은 베타일. Bataille을 잘못 읽은 오역.

3.16. 호즈미 / 아이젠



3.17. 츠쿠요 / 사라시나



3.18. 칼카스 / 코럴 스카이



3.19. 어사일럼 / 기간테스


정발판 명칭은 애실럼 / 자이젠티스. 둘 다 오역으로 정확한 발음은 이쪽이 맞다.

3.20. 벡터 / 히프노스



3.21. 엑자일 / 애프터 페인



3.22. 서티 / 마워르스



4. 엑스트라 아레나


MOA의 엑스트라 아레나와는 다른 개념으로, 2:2의 매치를 진행하는 아레나. 동료기를 골라 참전할 수 있으며, 리더기를 격파한 쪽이 승리한다. 플레이어 쪽 팀은 플레이어가 리더기를 맡는다.

4.1. 고용가능 동료기 목록


  • 스파르탄
  • 콜 하트
  • 립 헌터
  • 스킬라
  • 애플 보이
  • 프래자일
  • 레지나
  • 게도
  • 스트리트 에너미
  • 서버번 킹
  • 퍼네틱
  • 트라팔가
  • 바체터
  • 로얄 미스트
  • 왈큐레
  • 브레멘
  • 옐로 보트
  • 파티 플레이
  • 브래스
  • 빌바오
  • 패러노이어

4.2. 랭커 목록


  • 에이스 & BB
  • 로얄 미스트 & 발키리
  • 그랜드 치프 & 플라잉 픽스
  • 팡파레 & 트라팔가
  • 콜레트 & 파티 플레이
  • 사이프러스 & 립 헌터
  • 파우스트 & 픽서
  • 호즈미 & 츠쿠요
  • 퍼네틱 & 밀키웨이
  • 미다스 & 바체터
  • 스트리트 에너미 & 클라이젠
  • 트루퍼 & 레지나
  • 배드 브레인 & 썬더 하우스
  • 섀도우 엣지 & 칼카스
  • 파이선 & 스파르탄
  • 프래자일 & 콜 하트
  • 하드 엣지 & 패스 어헤드
  • 플레어 & 백 브레이커
  • 서버번 킹 & 캐스케이드
  • 패러노이어 & 패러독스
  • 체인 임팩트 & 빌바오
  • 트윈 헤드 W & 트윈 헤드 B
  • 스트라스보그 & 웨이크 업
  • 아듀 & 애플 보이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