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20대 총선 전에 기존의
아산시 선거구가 둘로 분리되었다. 이 곳은 읍면 지역으로만 구성된 선거구임에도 불구하고,
삼성디스플레이 산업단지의 노동자 표심과 신도시의 3040 표심으로 인해
갑 선거구보다 민주당계 정당세가 훨씬 강하다.
[1] 경기도 광주시 을도 비슷하게 읍면으로 이루어졌지만 갑 선거구보다 민주당 강세 지역이다.
현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강훈식 의원이다.
[image]
| 아산시 을 관할 구역
|
염치읍, 배방읍, 송악면, 탕정면, 음봉면, 둔포면, 영인면, 인주면
|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총선
| 당선자
| 당적
| 임기
| 선거구
|
제13대
| 황명수
|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 온양시·아산군
|
제14대
|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제15대
| 이상만
|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아산시
|
제16대
| 원철희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제17대
|
|
| 2004년 5월 30일 ~ 2005년 3월 10일
|
이진구
|
| 2005년 5월 1일 ~ 2008년 5월 29일
|
제18대
| 이명수
|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제19대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제20대
| 강훈식
|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아산시 을
|
제21대
| 2020년 5월 30일 ~
|
'''아산시 을''' (염치읍, 배방읍, 송악면, 탕정면, 음봉면, 둔포면, 영인면, 인주면)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이건영(李建榮)
| 새누리당
| 20,234
| 33.84%
| 2위
| 낙선
|
'''2'''
| '''강훈식(姜勳植)'''
| '''더불어민주당'''
| '''28,472'''
| '''47.61%'''
| '''1위'''
| <color=#373a3c> '''당선'''
|
3
| 김광만(金光萬)
| 국민의당
| 11,086
| 18.54%
| 3위
| 낙선
|
선거인수
| 112,841
| 투표수
| 60,633
|
무효표수
| 841
| 투표율
| 53.7%
|
현역
강훈식 의원이 단수공천을 받으면서 재선에 도전한다.
미래통합당에서는 김길년 아산발전연구소장, 박경귀 전 당협위원장이 예비후보로 등록했고 경선 끝에 박경귀가 공천을 받았다.
'''아산시 을''' 염치읍, 배방읍, 송악면, 탕정면, 음봉면, 둔포면, 영인면, 인주면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1'''
| '''강훈식(姜勳植)'''
| '''45,338'''
| '''1위'''
|
'''더불어민주당'''
| '''59.71%'''
| '''당선'''
|
'''2'''
| 박경귀(朴慶貴)
| 30,584
| 2위
|
미래통합당
| 40.28%
| 낙선
|
'''계'''
| '''선거인 수'''
| 126,172
| '''투표율''' 60.9%
|
'''투표 수'''
| 76,889
|
'''무효표 수'''
| 967
|
결과는 강훈식 후보가 60%에 가까운 득표율을 내면서 재선에 성공하였다. 세부적으로 보면 박경귀 후보는 염치읍(154표차), 송악면(19표차), 영인면(281표차)에서만 근소한 표차로 이겼을 뿐, 나머지 읍면에서는 다 패배했고 특히 인구 밀집지역인 배방읍과 탕정면에서 무려 60% 이상의 몰표가 강훈식 후보에게 쏟아졌다. 여기에 관외사전투표
[2]가 거들었고, 보수 후보가 대개 이기는 거소·선상투표에서도 패하면서 20% 가까운 차이로 강훈식 후보가 완승하였다.
여담으로
국가혁명배당금당에서 지역구 후보를 내지 않은 몇 안되는 곳 중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