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키하바라 전뇌조
[clearfix]
1. 개요
1998년 4월 4일부터 9월 26일까지 TBS 테레비에서 방영된 일본 애니메이션. 총 26화.
제목 그대로 아키하바라를 배경으로 삼고 있으며, 캐릭터의 성씨는 역명, 이름은 조류 이름에서 따왔다.
2010년의 일본을 배경으로[1] , 5명의 소녀들이 디바라는 신비로운 존재들을 부리면서 비밀결사 로젠크로이츠와 맞서 싸운다는 것이 주된 내용.
방송 전에는 구체적인 내용을 공개하지 않았으며, 1화 후반에 와서야 디바가 등장하며 처음으로 명학하게 배틀 요소가 있는 작품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대놓고 매니악한 노선을 따르는 캐릭터의 외형과는 달리 비교적 그럴듯한 설정과 난해한 대사도 많다.
일단은 마법소녀물의 범주에 들어가지만, SF적인 디자인과 설정을 차용한 것이 여러모로 특징인 작품. 작품의 기본적인 틀은 사랑과 희망을 강조하는 전형적인 마법소녀물의 정석을 따라가지만, 작품 내적으로 지속적으로 강조되는 가슴(...)과 판치라 및 주역이라 할 수 있는 아니마문디들의 디자인, 거기에 여러 모에요소들을 투영시킨 주역들 등 여러모로 일반적인 어린 소녀들을 타겟으로 한 작품이라기보단 남성 시청자들을 노리고 만든 작품이다.
이야기 곳곳에 도시전설에서 자주 나오는 여러 SF 요소가 포함되어있다는 것도 특징. 가령 1화에서 히바리가 왕자님에게 덴스케를 빌리는 장면은, 상황적으로 보면 프리뭄 모빌레 안으로 히바리가 유괴되어 최면 혹은 IC칩을 이식시켜 왕자님 꿈을 꾸게 된 것은 아닌가 하는 추측이 가능하다. 로젠크로이츠는 실제하는 비밀결사 집단이며, 여기서는 류가사키가 재건했다는 설정으로 나온다. 또한 파타Pi와의 영기융합은 AI와 인간이 융합한, 이른바 '트랜스휴머노이드'라고도 할 수 있다.
작화의 경우 비디오, LD, DVD 발매시 일부 스탭 교대 건을 포함하여 대폭 수정되었으며, 그 중에는 작화 감독이나 원화 담당이 모조리 변경된 편도 존재한다. 그 후 재방송 시에는 수정된 것이 사용되었다. 또한 마찬가지로 하청에 위탁한 11화는 작화 감독이 아예 존재하지 않았기에 리테이크되면서 새로 추가되었다.
어찌되건 나름대로 인기가 있었던 모양인지 1999년에 일종의 후일담이라 할 수 있는 극장판인 '아키하바라 전뇌조~ 2011년의 여름방학' 까지 만들어졌다.
2. 등장인물
2.1. 아키하바라 전뇌조
작품의 주역이라 볼 수 있는 5인방. 모두 아키하바라 제 3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이다. 하나같이 순수한 마음을 가지고 있기에디바를 강림시킬수 있는 아니마문디의 자격을 얻게 된다.
[image]
- 하나코가네 히바리(花小金井 ひばり) (성우: 시마 료카)
순수하게 사랑을 원하는 마음덕분에 아니마문디로 선택받아 하늘에서 내려온 파타피인 '덴스케'를 받게 되고, 자신의 디바인 아프로디테를 부릴 수 있게 된다. 그러면서 다른 아니마문디들과 함께 어울리면서, 동시에 로젠크로이츠의 일당과 맞서 싸우는 일상을 계속하게 된다.
그리고 결국 중 로젠크로이츠에서 만들어낸 인조 아니마문디인 오토리 츠바메를 만나게 되고, 그녀와의 싸움에서 디바와 하나가 되는 영기융합을 최초로 각성하게 된다.
이후 지상에 강림한 메타트론이 그녀를 비롯한 아니마문디를 신세계로 데려가려 했지만, 가족의 사랑과 아키하바라라는 거리에 대한 애정이 남아있던 히바리는 인류에 대해 절망하고 있던 메타트론을 설득한다. 극장판에서는 다른 동료들과 함께 동면 상태에 들어간 메타트론 대신 폭주하고 있는 인공지능을 정지시킨다.
[image]
- 사쿠라조스이 스즈메(桜上水 すずめ) (성우: 요시즈미 코즈에)
하지만 이렇게 재능이 있음에도 성격이 자기중심적에 승부욕과 독점욕이 강하다. 자신의 파타피인 프란체스카가 세계에서 제일 우수한 파타피라 믿고 있고, 자신의 소꿉친구인 히바리에게 다른 인무들을 연을 맺으면 일단 경계부터 하고 달려들 정도. 아예 디바를 각성시킨 계기가 히바리에게 지지 않겠다는 질투심이었다(...). 그럼에도 자신의 친구들을 진심으로 아끼고 있는지라 본성이 악한 건 아니다. 어디까지나 좀 비뚤어진 정도일 뿐...
부리는 디바는 헤스티아. TV 본편에서는 영기융합을 해내지 못했지만, 극장판에서 영기융합한 모습을 보여준다.
[image]
- 히가시주죠 츠구미(東十条 つぐみ) (성우: 아사카와 유우)
하지만 실상은 지독한 아이돌 빠순이로, 인기 아이돌인 하토코를 동경하고 본인도 아이돌 가수가 되고 싶어한다. 아예 방 전체가 하토코 관련 상품으로 가득 차 있다. 하토코를 아예 하토뿅이라는 본인만의 애칭으로 부르기도. 취미 생활도 아이돌로 분장하고 아이돌 노래를 따라부르는 것이지만, 기존의 이미지와의 갭을 본인도 워낙 잘 알고 있어서 철저하게 일코하는 중. 하지만 아이돌과 관련된 것이 들리기만 하면 혼자서 폭주하는지라 그녀의 실상을 알 사람들은 이미 다 알고 있다.
게다가 약간 백치미도 있어서 하토코가 다크 피전이라는 본인이 직접 입으로 밝히기 전까지는 전혀 모르고 있었다. 그리고 당연히 다른 멤버들은 다 알고 있었다(...)
자신의 파타피에는 테츠라는 이름을 붙여두었고, 아니마문디로써는 아테나를 부린다. TVA본편에서는 영기융합을 해내지 못했지만, 극장판에서 해내는 모습을 보여준다.
[image]
- 센가쿠지 카모메(泉岳寺 かもめ) (성우: 나가사와 미키)
센가쿠지 시마부쿠로가 로젠크로이츠의 실상에 어느정도 알고 있었던 만큼 그녀도 아니마문디와 디바에 대한 것을 할아버지에게 들어둔 상태였고, 때문에 먼저 3인방에게 접근하여 그들의 동료가 되었다.
아예 성장이 덜 돼서 유아체형이라는 히바리는 츠바메와는 달리 나름 성숙했음에도 불구하고 빈유. 덕분에 가슴 크기에 컴플렉스가 있어서 평소에는 가슴뽕을 넣고 다닌다.
파타피는 빌리켄인데, 주인을 닮아서인지 고작 인공지능 펫 주제에 카모메의 장사질을 척척 잘 도와주며, 저금통 역할을 겸한다(...) 다루는 디바는 암피트리테. 역시 TVA 본편에서는 영기융합을 해내지 못했지만, 극장판에서 해냈다.
[image]
- 오오토리이 츠바메(大鳥居 つばめ) (성우: 하야시바라 메구미)
원래는 로젠크로이츠에서 아니마문디가 될 수 있도록 인공적으로 만들어낸 인조인간 중 한 명이다. 나름대로 특별한 취급을 받아 시고뉴 밑에서 여러 특별대우를 받았지만, 정작 제대로 된 애정 없이 도구로써 교육받았기 때문에 사고방식이 굉장히 딱딱하고 냉정하기까지 하다. 약한 것은 존재할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며, 놀이라는 것도 한 쪽이 쓰러질때까지 싸우는 것으로 생각할 정도로 왜곡된 사고 방식을 가지고 있다.
이런 사고방식 때문에 처음에는 일행들과 마찰을 불러일으켰지만, 영기융합한 히바리에게 패하고나서 강함에 대해 의구심을 품게 된다. 그 후에도 지속적으로 그녀를 배려해주는 히바리의 수고 덕분에 주변인들과의 교류와 사랑의 소중함을 느끼고서 두번째로 영기융합을 해내게 된다.
파타피로는 쁘띠앙쥬를 가지고 있다. 사용하는 디바는 에리누스.
2.2. 로젠크로이츠(장미십자단)
작중 악의 결사 포지션. 이미 현시대의 기술을 아득히 뛰어넘은 기술력을 가지고 있다. 이제 막 아니마문디로 각성한 아키하바라 전뇌조를 압도해낼 수 있는 기술력과 물량을 진즉에 갖추고 있었지만, 본래 목적은 아니마문디를 이용해 메타트론을 지상으로 강림시키는 것이었기 때문에 처음에는 일부러 살살 싸워줬다(...).
- 류우가사키 와시우(竜ヶ崎 鷲羽) = 크리스챤 로젠크로이츠(クリスチャン・ローゼンクロイツ) (성우: 스즈오키 히로타카)
'''실상은 모든 일의 원흉 중 하나'''. 본명은 크리스챤 로젠크로이츠로써 로젠크로이츠의 창립자인 동시에 수장이다. 본래는 연금술사로써, 500년 전 불로불사의 비약 에르키실을 만들어 수백년과 인간 사회의 뒷면에 암약해왔다. 본래 로젠크로이츠의 창립 이유는 갈등과 분쟁이 없는 인류 사회를 만들어내는 것으로, 과학기술이 그것을 가능하게 만들어주리라는 기술만능주의 사상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로젠크로이츠도 그 조직 스스로가 과학과 진리를 탐구하면서도 현대의 인류가 감당할 수 없이 시대를 앞서버린 기술들은 보존하는 나름대로 건실한 비밀결사이기도 했다.
그러나 제1차 세계대전에서 인류가 발전된 기술로 서로를 죽이는 무기를 만드는데만 쓰는 것에 크게 실망해버렸고, 여기에 엎친데 덮친격으로 자신의 수제자이자 최고의 파트너였던 크레인 반슈타이크가 그 동안의 연구자료를 가지고 우주로 잠적해버리면서 성격이 크게 뒤틀려 버렸다. 천재인 본인과 자신이 인정한 또다른 천재인 크레인이 같이 어리석은 인류를 인도해야 한다고 여기고, 크레인을 다시 지구로 불러들이기 위해 온갖 갖은 수를 쓰게 된다. 프라이멀 모빌이 착륙할 장소인 아키하바라의 개발에 투자하면서 동시에 아니마문디를 각성시킬 매개체로 파타피를 생산하여 유통시키고, 아니마문디인 아키하바라 전뇌조 일원들을 감시할 목적으로 중학교 교장의 역할을 맡아왔던 것. 그러면서 자신의 주변 인물들을 장기말처럼 쓰고 버리는 것도 서슴치 않았다.
결국 프라이멀 모빌이 지구에 착륙했을 때 100년 만에 크레인과 재회하지만, 애초에 크레인은 인류라는 종 전체에 대해 실망하고 신세계를 찾는 것에 몰두하고 있던 상황이었고 그는 로젠크로이츠 역시 낡은 인류에 불과하다면서 부정당한다. 자신이 믿고 아꼈던 수제자에게 부정당한 그는 그 쇼크로 급격히 노화되어 사망하고 만다.
덤으로 불로불사의 비약인 에르키실을 먹었지만, 완전한 건 아니어서 약에 의존하지 않는 육체인 디바를 원했다고 한다. 기계육체인 디바와 영기융합하면 먹지도 마시지 않아도 불로불사를 누릴 수 있기 때문. 근데 디바가 죄다 여성형인 걸 생각해보면....[2]
- 시고뉴 라스파일(シゴーニュ・ラスパイユ) (성우: 키타가와 타쿠로)
그 역시 300년에 가까운 세월을 살아온 인물로, 예전에는 생 제르맹 백작이라 불렸다. 스스로를 불사자이자, 로젠크로이츠의 일원이라고 구라를 치고 다녔는데 오히려 이런 입담을 좋게 로젠크로이츠에 의해 진짜 로젠크로이츠 조직에 들어오게 된다. 그 후로 오랫도안 로젠크로이츠의 오른팔이자 조언가로써 활동해왔다.
그러나 그랬던 그도 최후에는 친우에게 배신당해 강제로 아포스톨루스를 강제로 장착당해 히바리와 싸우게 된다. 그럼에도 로젠크로이츠에게 "우리의 비원을 이뤄달라!"고 말하면서 분투하지만 영기융합한 디바의 힘에 그대로 떡실신 당하면서 리타이어. 근데 어찌저찌 살아남았다...
- 슈팅스타 = 류우가사키 타카시(竜ヶ崎 鷹士) (성우: 세키 토모카즈)
본명은 류우가사키 타카시. 그러니까 류우가사키 왓슈의 아들. 하지만 동시에 생김새가 크레인 반슈타이크와 동일하게 생겼는데, 이는 그가 크레인의 클론이기 때문. 아무튼 외모가 닮아서 히바리는 처음 그를 보고서 자신이 찾던 왕자님이라고 착각하기도 했다.
이후 아키하라바 전뇌조가 아니마문디로 각성한 후에 더 이상 자신이 할 일이 없어졌다는 것을 깨닫게 되고, 어떻게든 자신의 능력을 입증해보려 했지만 애초에 그를 도구로 본 왓슈는 그를 버려버린다. 버림받은 것에 절망한 그는 아포스톨루스인 루시퍼를 장착하고서 아키하바라 전뇌조와 최후의 결전을 벌여 압도적 전력 열세에서도 영기융합한 히바리를 몰아붙이는 활약을 펼치지만, 애초에 루시퍼에 미리 손을 써둔 왓슈에 의해 리타이어 당해 버린다.
이후 엔딩에서 츠바메와 같은 로젠크로이츠에서 만들어진 인조인간으로 보이는 소녀와 함께 여행을 떠나는 모습을 보여준다.
여담이지만 여자 후리는 솜씨가 장난이 아니다. 수하로 부리는 3명이 모두 연상의 여성에다가, 이들이 그에게 충성을 바치는 것도 사실상 그를 사랑해서라는 걸 생각해보면... 거기에 아무리 착각이었다 해도 히바리도 그의 외모와 매너에 잠깐이나마 뿅 가버리기도.
류우가사키 와시우의 비서. 그리고 동시에 최초의 디바, 즉 디바의 프로토타입이다. 기본적으로는 다른 디바들보다 우월한 성능을 가지고 있지만, 영기융합해낸 디바들은 당해내지 못한다. 로젠크로이츠가 사망한 후에 본인도 주인의 뒤를 따라 죽음을 택했다.
- 블러드팔콘 = 고토쿠지 쥰(豪徳寺 じゅん) (성우: 혼다 치에코)
- 데스크로우 = 소시기야 미야마(祖師谷 みやま) (성우: 타마가와 사키코)
- 다크피전 = 다이칸야마 하토코(代官山 はとこ) (성우: 카카즈 유미)
평상시에는 나름대로의 일상을 살아가는 평범한 소시민들. 오히려 이 쪽은 갭이 너무 심할 정도로 정상인이다(...). 쥰은 OL, 미야마는 대학원생, 하토코는 아이돌로써 활동하고 있다. 평소에도 가끔 사적인 만남을 가지기도 하는데, 일단은 연적인지라 여러모로 악우라는 느낌. 그럼에도 같이 지내면서 죽이 잘 맞기도 한다. 아예 이들을 주인공으로 에피소드들도 있을 정도.
슈팅스타를 위해서라면 목숨까지 바치려하는 어찌보면 참 위험한 처자들. 이후 슈팅스타가 아키하바라 전뇌조에게 패배하고 잠적한 후에는 아예 아군으로 돌아서버렸다.
2.3. 그 외
- 메타트론 = 크레인 반슈타이크(クレイン・バーンシュタイク) (성우: 야마구치 캇페이)
그 역시 로젠크로이츠처럼 과학과 기술의 인간의 삶을 윤택하게 해 줄 수 있을거라 믿었지만 1차 세계대전으로 그 꿈이 산산조각 나게 된다. 동시에 이런 전쟁에 아무 개입도 못하는 로젠크로이츠에 대해서도 실망하여 그 동안의 연구자료를 가지고 도주하였으며, 아예 로켓을 만들어서 우주로 잠적해버린다. 이 때가 1918년(...). 메타트론은 그의 코드네임으로, 작 중 여러번 언급되는 메타트론의 강림은 크레인 반슈타이크가 동면에서 깨어나 다시 지구로 돌아온다는 소리이다.
아무튼 인간에게 절망해버린 크레인은 자신이 만들어낸 인공위성, 프라이멀 모빌에서 동면에 빠지고, 그 사이에 인공지능이 지상의 기술과 크레인의 기술을 이용하여 수많은 초과학적 자산들을 대신 만들어낸다. 디바 역시 그 중 하나로, 크레인은 훗날 디바와 하나가 될 수 있는 순수한 이들을 찾아 신세계를 찾아 떠날 계획이었다.
그 후, 히바리 일행과 함께 우주로 나가 신세계로 떠나자는 제안을 하지만, 히바리는 이를 거절하게 되고 그녀의 설득에 마음이 움직인 크레인은 다시 한 번 인간들을 믿어보겠다면서 다시 우주로 나가 동면에 빠진다.
한편, 그가 다시 동면에 빠졌을 때, 프라이멀 모빌이 인공지능이 폭주하여 문제를 일으키는데, 이걸 해결하는 것이 극장판의 내용이다.
아키하바라 거리를 어슬렁 거리는 변태 할아범. 소녀들의 팬티나 훔쳐보는 변태지만, 디바나 아니마문디에 대해서는 상당한 지식을 갖춘 기인.
중반부터 밝혀지는 것으로는 센가쿠지 카모메의 할아버지이며, 젊었을 적에는 NASA의 일원이었다(!). 당시 그가 속했던 그룹은 로젠크로이츠가 프라이멀 모빌을 찾기 위해 만들었던 부서였다. 아폴로의 달 착륙 이후, 달에도 프라이멀 모빌이 없다는 걸 확인한 로젠크로이츠는 시마부쿠로가 있던 팀을 해산시켰는데, 이에 불만을 품은 그는 뒷조사를 하던 중 1918년에 쏘아올려진 로켓에 대한 정보를 알게 된다.
이를 추궁하자, 로젠크로이츠는 의외로 순순히 자신들의 정체와 숨겨왔던 기술들에 대해 어느정도 풀어줬던 모양. 로젠크로이츠는 시마부쿠로의 재능을 꽤 눈여겨 봐라 그를 조직에 스카웃할 생각이 있었지만 그는 일본으로 도망치듯이 귀국했다.
이후 로젠크로이츠가 류우가사키 왓슈라는 이름으로 일본에 입국하자, 그의 음모를 파헤치고 있던 중이었다. 여러모로 조력자 포지션.
3. 설정
- 파타Pi(パタPi)
작 중 등장하능 인공지능 로봇 펫. 뭔가 성의 없어보이는 디자인이지만, 어찌되든 10대 소년 소녀라면 누구라도 하나씩은 가지고 있을 정도로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기본적으로는 움직이고, 주인의 말을 인식하는 수준에서 그치지만 여러 파츠를 부착하여 자유롭게 튜닝이 가능한 것이 특징. 대표적으로 스즈메의 파타피인 프란체스카는 아예 소형 미사일들을 내장하고 있다(...)
본래 목적은 로젠크로이츠가 아니마문디를 각성시키고 최종적으로는 크레인을 각성시키기 위해 만든 수단이다. 아이들이 파타피와 같이 지내며면 그 파타피들이 아이들의 뇌파를 우주로 보내게 설계되 있어서, 프라이멀 모빌에서 그 뇌파를 받아들이고서 그 중에 적합한 이를 아니마문디로 각성시켜 디바를 다룰 수 있게 만들기 때문. 하지만 크레인은 로젠크로이츠의 행동을 이미 알고서 파타피의 설계도를 남겨둔 것이었다. 즉 모든 것은 크레인의 계획대로.
본래 목적은 로젠크로이츠가 아니마문디를 각성시키고 최종적으로는 크레인을 각성시키기 위해 만든 수단이다. 아이들이 파타피와 같이 지내며면 그 파타피들이 아이들의 뇌파를 우주로 보내게 설계되 있어서, 프라이멀 모빌에서 그 뇌파를 받아들이고서 그 중에 적합한 이를 아니마문디로 각성시켜 디바를 다룰 수 있게 만들기 때문. 하지만 크레인은 로젠크로이츠의 행동을 이미 알고서 파타피의 설계도를 남겨둔 것이었다. 즉 모든 것은 크레인의 계획대로.
- 디바(기동여신)
크레인 반슈타이크가 완성한 '기계 천사'. 로젠크로이츠가 보유한 나노머신 등의 하이퍼 테크놀로지를 바탕으로 제작된 여성형 기동병기. 신장은 220cm 전후. 기본적으로는 로봇이라 볼 수 있지만, 인간과의 융합을 전제로 한 생체파츠가 섞여 있다. 동력은 아이테르라 불리는 중성미자로, 반영구적으로 작동할 수가 있다. 히바리를 포함한 아니마 문디라 불리는 소녀의 의지, 감정이 열쇠가 되어 각자가 가진 파타Pi를 통해 소환 명령이 발동, 우주 공간에 존재하는 백의 왕자=크레인의 성(프리뭄 모빌레)의 격납고에서 순간 전송된다.
외형은 소환자인 각 아니마 문디가 그대로 성인이 된 모습을 본따고 있다. 소환시에는 파타Pi가 각 아니마 문디와 쏙빼닮은 모습으로 알몸 상태로 변화해 출현한 후, 급성장을 거쳐 모든 방어구의 언더웨어가 되는 슈트가 장착되고, 거기서 갑옷이 장비되어 소환이 완료된다.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아니마 문디의 명령을 듣고 싸우는 로봇이지만, 아니마문디들의 정신력에 따라 영기융합을 통해 아니마문디 본인들과 융합이 가능하다. 이 상태가 진정한 디바의 모습으로, 크레인과 로젠크로이츠가 추구한 신인류의 모습이라고. 아무튼 이 상태에서는 전투력이 훨씬 더 높게 상승한다. 작 중 내에서 완성된 디바는 5대가 존재한다.
아니마 문디와 디바의 정신이 링크되어 서로가 영기융합, 즉 일체화할 수 있으며, 융합 후에는 성능 향상과 동시에 각 아머의 형상, 색 등이 변화한다. 영기융합시에는 처음에 머리에서부터 아래로 옷이 사라지고, 그 다음 머리의 액세서리까지 사라져서 알몸이 된 뒤, 일반 디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변신한다. 극장판에서는 우주라는 배경도 있어 바이저가 턱 밑 파츠에 접촉할 때까지 연장되었다.
각 디바의 이름은 그리스 신화의 여신 이름에서 따왔다.
외형은 소환자인 각 아니마 문디가 그대로 성인이 된 모습을 본따고 있다. 소환시에는 파타Pi가 각 아니마 문디와 쏙빼닮은 모습으로 알몸 상태로 변화해 출현한 후, 급성장을 거쳐 모든 방어구의 언더웨어가 되는 슈트가 장착되고, 거기서 갑옷이 장비되어 소환이 완료된다.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아니마 문디의 명령을 듣고 싸우는 로봇이지만, 아니마문디들의 정신력에 따라 영기융합을 통해 아니마문디 본인들과 융합이 가능하다. 이 상태가 진정한 디바의 모습으로, 크레인과 로젠크로이츠가 추구한 신인류의 모습이라고. 아무튼 이 상태에서는 전투력이 훨씬 더 높게 상승한다. 작 중 내에서 완성된 디바는 5대가 존재한다.
아니마 문디와 디바의 정신이 링크되어 서로가 영기융합, 즉 일체화할 수 있으며, 융합 후에는 성능 향상과 동시에 각 아머의 형상, 색 등이 변화한다. 영기융합시에는 처음에 머리에서부터 아래로 옷이 사라지고, 그 다음 머리의 액세서리까지 사라져서 알몸이 된 뒤, 일반 디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변신한다. 극장판에서는 우주라는 배경도 있어 바이저가 턱 밑 파츠에 접촉할 때까지 연장되었다.
각 디바의 이름은 그리스 신화의 여신 이름에서 따왔다.
- 아프로디테: 히바리의 디바. 천사를 연상시키는 흰 날개가 특징. 다른 디바들에 비해 크게 특출나는 개성은 딱히 없지만, 반대로 전체적인 성능은 개조를 걸친 에리누스를 제외한 나머지 3보다 우월한 것으로 묘사된다.
- 헤스티아 : 스즈메의 디바. 방패를 만들어내거나, 방벽을 만드는 등의 방어에 특화된 디바.
- 아테네 : 츠구미의 디바. 강력한 파워를 가지고 있는 파워에 특화된 디바.
- 암피트리테: 카모메의 디바. 빠른 스피드와 원거리 공격에 특화되 있다.
- 에리누스: 츠바메의 디바. 아프로디테와는 대비되는 검은 날개가 포인트. 이런저런 개조를 해서 기본적으로 다른 디바들보다 강력하여 1:4로 싸워 털어버린 적도 있다. 그 외에 팔 부분에 칼날이 장착되 있어서 이거로 베거나 검기를 날리는 것도 가능하다.
- 아포스틀루스
로젠크로이츠 조직에서 사용하는 파워드슈트. 굉장히 강력하여 조직 내에서도 금지된 힘이라고 언급되며, 실제로 아포스톨루스를 장착하면 기본상태의 디바들로는 상대할 수가 없다. 그러나 영기융합한 디바들 상대로는 턱도 안 되고 털려버린다(...)
4. 주제가
- 오프닝 테마 Birth
- 작사, 노래: 오쿠이 마사미
- 작곡: 오쿠이 마사미, 야부키 토시로(矢吹俊郎)
- 편곡: 야부키 토시로
- 엔딩 테마 太陽の花
- 작사, 작곡, 노래: 오쿠이 마사미
- 편곡: 야부키 토시로
- 20화 엔딩 테마 シンシア・愛する人
- 작사, 작곡, 노래: 오카자키 리츠코
- 편곡: 미츠무네 신키치(光宗信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