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드레 지드

 


<colbgcolor=#000000> '''André Gide'''
[image]
[image] '''1947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본명'''
<colbgcolor=#ffffff>앙드레 폴 기욤 지드(André Paul Guillaume Gide)
'''국적'''
프랑스 [image]
'''출생'''
1869년 11월 22일, 프랑스 제2제국 파리
'''사망'''
1951년 2월 19일 (81세), 프랑스 제4공화국 파리
'''직업'''
소설가, 평론가
1. 개요
2. 생애


1. 개요


프랑스의 소설가이자 평론가. 신프랑스 평론지 주간의 한 사람으로서 프랑스 문단에 새로운 기풍을 불어넣어 20세기 문학의 진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으며, <사전꾼들>[1]의 발표를 통해 현대소설에 자극을 줬다. 주요 저서에는 <좁은 문> 등이 있으며 1947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

2. 생애


법학 교수의 아들로 파리에서 태어났으나 어린 나이에 아버지를 여의었다. 이후 엄격한 프로테스탄트였던 어머니 밑에서 자라났다. 신경발작으로 인한 허약한 몸으로 중퇴하고, 19세부터 창작을 시작하여 1891년 처녀작인 《앙드레 발테르의 수기》를 발표하였다. 아프리카 여행에서 돌아와 《팔뤼드》, 《지상의 양식》, 《배덕자》 등을 발표하였으며, 그가 유일한 소설이라 부른 《위폐범들》도 상징파의 궤도를 벗어나지 못하였다.
주요 작품은 1909년에 발표한 《좁은 문》, 《이자벨》, 《교황청의 지하실》 등이 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후에는 《전원 교향악》, 《한 알의 밀알이 죽지 않으면》 등이 있다. 1927년에 발표한 《콩고 기행》은 비평가로서의 그를 높이 인정할 수 있는 작품이며, 소련을 여행한 후 공산주의에 대한 회의를 그린 《소련 기행》은 좌파 언론계의 공격을 받기도 하였다.
그는 일찍이 쇼펜하우어·데카르트·니체 등의 철학서와 문학서를 읽고, 로마 가톨릭 교회와 개신교의 영향을 받으며 종교적 색채가 강한 작품들을 썼으나 이후 자신의 동성애 경향과 부딪히며 결국 무교로 전향하였다. 1947년 노벨 문학상을 받았다. 작품으로 《프레텍스트》, 《엥시당스》, 《지드의 일기》, 《상상적 면담기》, 《도스토옙스키론》 등이 있다.
아내 마들렌 롱도가 2살 연상의 사촌누나였다. 이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자전적인 소설 <좁은 문>을 저술했다. 그러나 어린 시절 때 영향을 받은 청교도적 사상은 성인이 된 지드의 결혼 생활에 걸림돌이 되었다. 지드와 마들렌은 평생 정신적인 사랑을 추구하는 백색결혼 상태로 지내게 되었다. 결국에는 이들 간의 관계는 서서히 금이 가기 시작하게 되었고 1914년부터 지드는 파리에, 마들렌은 1938년에 사망할 때까지 노르망디 교외에 위치한 작은 마을인 퀴베르빌에 따로 지냄으로써 24년 동안 별거 생활을 해야했다.

[1] 위폐범들이라는 제목으로도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