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멘틀 히어로

 




'''엘리멘틀 히어로'''
한국판 명칭
'''엘리멘틀 히어로'''
일본판 명칭
'''E・HERO(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
영어판 명칭
'''Elemental HERO'''
속성
다속성
종족
전사족 다수[1]
1. 개요
2. 상세
3. 메인 덱 엘리멘틀 히어로
3.1. 하급 몬스터
3.1.1. 애니메이션 출신 히어로
3.1.2. 코믹스 출신 히어로
3.1.3. OCG 출신 히어로
3.2. 상급 몬스터
3.2.1. 애니메이션 출신 히어로
3.2.2. 코믹스 출신 히어로
3.2.3. OCG 출신 히어로
4. 융합 몬스터
4.1. 애니메이션 출신 히어로
4.2. 코믹스 출신 히어로
4.3. OCG 출신 히어로
5. 서포트 몬스터
6. 엘리멘틀 히어로 관련 마법
6.1. 애니메이션 출신
6.1.1. 페이크 히어로
6.1.2. 다섯 번째 희망
6.1.3. 히어로 하트
6.2. 코믹스 출신
6.2.1. 히어로즈 본드
6.3. OCG 오리지널
6.3.1. Get Your Game On!
7. 엘리멘틀 히어로 관련 함정
7.1. 애니메이션 출신
7.1.1. 히어로 시그널
7.1.2. 이차원 터널 미러 게이트
7.1.3. 히어로 베리어
7.1.4. 영웅변화-리플렉터 레이
7.1.5. 엘리멘틀 차지
7.1.6. 히어로 스피릿
7.1.7. 히어로 역습
7.2. 코믹스 출신
7.3. OCG 오리지널
8. 미 OCG화 카드
8.1. 융합 몬스터
8.2. 마법 카드
8.2.1. 히어로 다이스
8.2.2. 엘레멘틀 스톰
8.2.3. 태그 리퀘스트
8.2.4. EN 셔플
8.2.5. 선량한 히어로
8.2.6. 크로스 체인지
8.3. 함정 카드
8.3.1. 엘리멘틀 미라지
8.3.2. 영혼의 결속 - 소울 유니온
9. 활용법


1. 개요


'''히어로는 반드시 이긴다!'''

유우키 쥬다이

유희왕 GX의 주인공 유우키 쥬다이의 상징이자, 최초의 히어로 카드군이자, '''명가 카드군.'''

2. 상세


GX의 주인공인 유우키 쥬다이의 카드들을 통칭하는 말로서 이름에서 부터 알 수 있듯이 각종 속성과 효과를 지닌 전사족 몬스터들을 칭하는 말이다. 유희왕 TCG사상 가장 관련카드가 많이 나온 카테고리로서 GX가 나오고 난 뒤 완결까지 출시된 부스터팩에 단 한번도 빠지지 않고 관련카드가 나왔다. 말 그대로 코나미의 밥줄.
GX가 종영한 뒤, 융합 소환보다 더 유용한 싱크로 소환, 엑시즈 소환의 등장과 엑스트라 덱의 15장 제한으로 인해 대폭 약화되는 듯...싶었으나, GX코믹스에서 새로운 히어로들이 나와주고 있다. 융합 몬스터 컨셉이 '''속성+엘리멘틀 히어로'''.[2] 이제서야 '''엘리멘틀''' 히어로라는 이름이 어울리는듯 하다. GX 코믹스에 등장한 새로운 엘리멘틀 히어로들은 융합 위주의 엘리멘틀 히어로에 비해 융합의 비중을 줄인 대신 다양한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코믹스판은 V-JUMP에서 연재되기 때문에 때문에 통칭 VJ 히어로로도 불린다. 싱크로의 시대가 온뒤 발매된 녀석들인지라 OCG에선 하나같이 융합 소재가 느슨해지고 효과가 대폭 상향되어 나오는게 특징. 당장 에어맨만 하더라도 전성기시절엔 히어로 테마덱이 아닌 어느 덱에 들어가도 제몫을 하는 고성능을 자랑한다. 때문에 원본 히어로 덱에도 하급 어택커로 에어맨을 채용하는 웃지못할 상황도 벌어진다. 쥬다이가 에드와의 대결을 기점으로 기존의 히어로를 버리고 "M HERO" 마스크드 히어로를 쓰면서 더는 카드가 안 나오는 줄 알았으나 여전히 이쪽 히어로도 신나게 애용해주었다.
사실 애니메이션에서는 쥬다이가 사용해서 곧잘 이기고는 하지만 상식적으로 그렇게 덱을 짜서 이기기는 힘들다(...) 물론 유우기를 비롯한 초창기 등장인물들의 덱 구성 자체는 형편없기 그지없지만, 하필이면 쥬다이, 그리고 E히어로 자체가 유희왕이라는 게임 정세가 격변하던 시기에 등장하던 물건이라 그당시 시점으로도 카드 자체로만 보면 매우매우 불합리한 경우가 많다. 가령 지나치게 낮은 타점의 공격력,[3] 범용성이 낮은 몬마함 효과, 부활을 못 하는 융합 몬스터들 등등. 애니를 잘 보면 알겠지만 쥬다이가 이겼던 대부분의 듀얼에서는 버블맨 + 욕망의 항아리 콤보로 '''마침 그 상황에서 필요한 카드들을''' 쏙쏙 뽑아 소환할 수 있었던데에 있다.
물론 듀얼 몬스터즈 수준의 초창기 유희왕이라면 몰라도[4] 후일 일어나는 하급 몬스터 인플레라던가, 좋은 효과를 가진데 비해 소환이 쉬운 몬스터가 기하 급수적으로 늘어나서 더 그렇게 느껴지는것도 있다. 그러나 애니 방영 당시에도 일대일 교환 제거카드의 가성비가 높았던 시절 제거내성 대부분 없는 상급 몬스터를 패 한짐 들여서 뽑아내는 그야말로 환경에 역행하는 콤보로 인해 실질 성능은 시궁창이었다. 그나마 융합소재 대체 몬스터와 미라클 퓨전으로 먹고 살아보려고 했지만 그 전에 견제력 좋고 코스트 가벼운[5] 대세 승률덱들에게 박살나는게 일상... 여하튼 후일 나오는 코믹스판에 비해서도 이쪽이 훨씬 더 사용하기 어려운 것은 부정하기 힘들다. 그나마 에어맨 같은 코믹스판 고성능 히어로들 및 라이벌의 사기카드인 사이버 드래곤 등의 범용성 높은 카드들로 받쳐줘야 간신히 융합 E히어로 로망덱을 돌릴 수 있었다.
애니메이션식 융합 말고 승률을 제대로 뽑아낸 OCG 히어로 덱의 성능 및 역사는 히어로 비트 문서 참조.
본래 일어로 엘리멘틀 히어로 라고 적었다간 명칭 텍스트 창이 남아나지 않기 때문에 줄여서 E.HERO로 변경시켰지만 국내 출시시 엘리멘틀 히어로로 번역하였다.[6][7] 덕분에 '''엘리멘틀 히어로 샤이닝 플레어 윙맨'''은 한때 한글판 카드중 최고로 이름 긴 몬스터에도 올라왔었다.[8]
여담으로 애니 방영 초창기 시절엔 몇몇 히어로들의 일러스트가 OCG와는 다른 일러스트로 그려져있었다. 일례로 프레임 윙맨의 경우 OCG에서는 그냥 대충 포즈를 잡는 일러스트지만 애니 초기판의 일러스트는 팔의 용 부분에서 화염을 정면으로 쏘는 강렬한 일러스트였으며 스파크맨이나 클레이맨의 경우 디지털 채색풍이 강한 OCG 일러스트와는 달리 애니메이션 초창기 시절엔 명암이 강하게 들어가고 포즈 또한 OCG와는 달랐던 적이 있다. 다만 이건 일본판과 그 판본을 그대로 사용한 한국어 더빙판에만 한정되며 나머지 언어판에서는 처음부터 OCG 일러스트로 통일되어 애니메이션에서 나왔다.
네오스와 네오 스페이시언, 엘리멘틀 히어로가 아닌 네오스 관련 융합 몬스터는 네오스 문서를 참조할것.

3. 메인 덱 엘리멘틀 히어로



3.1. 하급 몬스터



3.1.1. 애니메이션 출신 히어로


엘리멘틀 히어로 와일드 윙맨, 에릭실러, 템피스터, 피닉스 가이, 세일러맨, 프레임 윙맨의 융합 소재. 그 외에도 이블 히어로 인페르노 윙, 와일드 싸이크론의 융합 소재이기도 하다.
애니메이션 출신 엘리멘틀 히어로의 홍일점. 엘리멘틀 히어로 램파트 건맨, 피닉스 가이, 스팀 힐러, 에릭실러, 프레임 윙맨의 융합 소재. 그 외에도 이블 히어로 인페르노 윙, 헬 스나이퍼의 융합 소재이기도 하다.
수비력 2000의 벽 몬스터.
엘리멘틀 히어로 썬더 자이언트, 램파트 건맨, 에릭실러, 매드볼맨의 융합 소재. 그 외에도 이블 히어로 라이트닝 골렘, 헬 스나이퍼의 융합 소재이기도 하다.
엘리멘틀 히어로 썬더 자이언트, 다크 브라이트맨, 템피스터, 플라즈마 바이스맨, 샤이닝 피닉스 가이, 샤이닝 플레어 윙맨의 융합 소재. 그 외에도 이블 히어로 라이트닝 골렘의 융합 소재이기도 하다.
별명은 단지남으로, 재평가받은 카드들 중 하나이다. 엘리멘틀 히어로 세일러맨, 매드볼맨, 스팀 힐러, 에릭실러, 템피스터의 융합 소재.
돌연변이를 통해서 소환 가능한 녀석인데, 해당 카드가 금지를 먹어서 청천벽력을 사용할 수 밖에 없게 되었다.
함정내성을 가진 몬스터.
엘리멘틀 히어로 와일드 윙맨, 와일드 쟤기맨, 네크로이드 샤먼의 융합 소재. 그 외에도 이블 히어로 와일드 싸이크론의 융합 소재이기도 하다.
애니메이션 첫 등장시에는 레벨이 5였다.

3.1.2. 코믹스 출신 히어로


최강의 하급 히어로. 과거에는 그 강력함 덕에 금제 리스트에도 올랐으며 현재도 히어로 덱의 핵심 중 하나다. 강력한 서치 효과와 마함 견제 능력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전사족이 대다수인 이 카드군 중에서 특이하게 식물족.
전사족이 대다수인 이 카드군 중에서 특이하게 번개족.
전갈단의 클리프와 비슷한 효과를 가진 카드.
묘지에 존재하는 마법카드를 회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카드.
  • 엘리멘틀 히어로 섀도우 미스트[9]
에어맨에 이은 강력한 서쳐. 마스크드 히어로도 지원한다.

3.1.3. OCG 출신 히어로


마천루-스카이스크레이퍼-를 서치할 수 있는 카드.
추가로 일반 소환해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의 이름을 얻는 하급 듀얼 몬스터.
먼 시간이 지나, 넥스트 챌린저스에서 일본판 월프로 추가된 카드.
마찬가지로 먼 시간이 지나 출시된 카드.
마찬가지로 먼 시간이 지나 출시된 카드.

3.2. 상급 몬스터



3.2.1. 애니메이션 출신 히어로


엘리멘틀 히어로 플라즈마 바이스맨, 와일드 쟤기맨의 융합 소재.
엘리멘틀 히어로 다크 브라이트맨, 네크로이드 샤먼의 융합 소재.
쥬다이의 에이스.

3.2.2. 코믹스 출신 히어로


크노스페에서 로즈 버드를 사용해서 소환하는 몬스터. 마찬가지로 식물족이다.

3.2.3. OCG 출신 히어로


새롭게 등장한 네오스 카드.

4. 융합 몬스터


명실공히 '''E히어로의 꽃'''. 소재 역할일 메인 E 히어로의 수만큼, 융합 E히어로도 질릴 정도로 다양하게 나왔다.
기본적으로 엘리멘틀 히어로는 '''융합'''을 해서 강해지는 컨셉이다. 이건 GX 코믹스, 애니판 어느 쪽이든 마찬가지로, (따로 노는 성향이 강한 네오스는 차치하더라도) E히어로의 상급 몬스터들은 수도 적고 파워에도 한계가 있으니 메인 덱만으로 싸우는 데엔 한계가 있기 때문. 그렇다 보니 히어로 융합 몬스터들 중에서는 엘리멘틀 히어로가 44종으로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하게 된다.[10] 엘리멘틀 히어로 융합 몬스터들의 공통적인 특징이자 단점으로는 네오스 관련 융합체 중 일부[11]와 비(非)네오스 관련 융합 몬스터들은 전부 융합 소환으로만 특수 소환이 가능하며, 나머지 네오스 관련 융합체들은 소재를 덱으로 되돌려 특수 소환하는 것 외에는 특수 소환이 불가능하다.

4.1. 애니메이션 출신 히어로


한참뒤에 나와서 대폭 강화된 코믹스판 융합 히어로들이 소환 조건도 더 널널하면서 스탯이나 효과가 더 좋다보니 애니메이션판 융합 히어로들은 애정이 없다면 보기 힘들다. 더군다나 애니판이든 코믹스판이든 OCG판이든 모든 네오스 컨택트체들은 컨택트 융합만으로 정규 소환이 가능하고, 네오스 콘택트 융합체들이 아닌 애들은 전부 융합 소환으로만 특수 소환이 가능한 놈들이다 보니, 부르기도 귀찮고 효과도 애매해서 사실상 버려졌다.
그나마 와일드 쟤기맨, 플라즈마 바이스맨, 샤이닝 플레어 윙맨등 에지맨, 스파크맨을 소재로 하는 몬스터들은 조금은 쓸만하다.
쥬다이의 초기 에이스이자 페이버릿 카드. 네오스의 등장 이전에는 어지간한 듀얼 3번 중 2번에는 등장하며 피니시를 냈다. 그렇다보니 애니출신 융합 히어로 중 샤이닝 플레어와 함께 최초로 개별문서로 분리되었다. 초기 에이스라는 것을 감안해서인지 듀얼링크스에서 쥬다이의 에이스는 네오스지만, 이 카드도 소환씬이 별도로 존재한다. 자세한 건 항목 참조.
플레임 윙맨의 진화형이자 쥬다이의 초기 에이스.
이 카드의 경우, 주다이가 아니라 에드 피닉스가 사용했다. 플레임 윙맨과 대칭적인 포지션이다.
피닉스 가이와 마찬가지로 에드가 사용한 카드. 이 쪽은 피닉스 가이의 진화체인만큼, 샤이닝 플레어 윙맨과 대칭적인 포지션이다.
쥬다이의 최종 에이스.
유희왕 시공을 초월한 우정에서 유세이의 정크 가드너와 네오스를 쥬다이가 융합시킨 형태.

4.2. 코믹스 출신 히어로


이쪽은 플래임 블래스트와 어스를 빼면, 소환 조건이 널널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고, 공수는 물론, 효과도 애니판 융합 히어로에 비해 강력하다.
코믹스판 쥬다이의 에이스. 또한 플래닛 시리즈의 일원.
속성 융합 엘리멘틀 히어로 1. 땅 속성.
속성 융합 엘리멘틀 히어로 2. 물 속성. 단, 나머지 속성 융합 히어로와는 달리 엘리멘틀 히어로가 아니라 히어로 전체를 소재로 요구한다.
속성 융합 엘리멘틀 히어로 3. 빛 속성.
속성 융합 엘리멘틀 히어로 4. 바람 속성.
속성 융합 엘리멘틀 히어로 5. 어둠 속성.
GX 코믹스 특별 단편에 출연한 새로운 융합 몬스터로서 V점프 에디션으로 발매. 이 쪽은 주다이가 아닌 히비키 코요가 사용한 카드다.
스트럭처 덱 히어로즈 스트라이크의 메인 카드이자, 룰 상 "엘리멘틀 히어로"로도 취급되는 히어로. 코믹스판과 이어지는 단편에 출연.

4.3. OCG 출신 히어로


속성 융합 엘리멘틀 히어로. 화염 속성. 코믹스판이 아니라 OCG 출신이다.
엘리멘틀 히어로 중에서 유일한 마법사족.

5. 서포트 몬스터


융합과 히어로를 샐비지 할 수 있는 카드.

6. 엘리멘틀 히어로 관련 마법



6.1. 애니메이션 출신


1화부터 등장한 서포트 카드. 엘리멘틀 히어로 전용의 필드 마법.
스파크맨 전용 카드. 효과는 표시형식 변경.
버스트 레이디 전용 카드. 효과는 다른 엘리멘틀 히어로 몬스터 바운스.
페더맨 전용 카드. 효과는 연속 공격.
와일드맨 전용 카드. 효과는 공격력 상승 및 파괴되었을 때 상대 마법&함정 파괴 및 데미지.
버블맨 전용 카드. 효과는 패에서 함정 카드 발동.
버블맨 전용 카드. 효과는 다른 엘리멘틀 히어로 특소.
버블맨 전용 카드. 효과는 공격력 상승 및 전투 파괴 내성.
묘지 융합 카드.
아래의 4장의 카드를 발동한 후에 사용 가능.
  • H-히트 하트
사실 히어로 전용은 아니다.
서치 카드.
  • R-라이트 저스티스
마/함 파괴 카드.
  • O-오버 소울
소생 카드.
  • 페이크 히어로
아래 문단 참고.
쥬다이의 친구인 마에다 하야토가 만들어 준 2번째 마천루.
엘리멘틀 히어로 섀도우 미스트 덕분에 재평가된 카드.
히트 하트와 마찬가지로 히어로 전용은 아니지만, 주다이가 이 카드를 사용해서 융합한 적도 있었다.
사실 히어로 전용 융합카드는 아니지만 현재 존재하는 덱 중 이 카드를 사용하기 좋은 덱 중 하나가 바로 코믹스판 융합 엘리멘틀 히어로 주축의 융합덱이다.
  • 다섯 번째 희망
아래 문단 참고.
  • 히어로 하트
아래 문단 참고.

6.1.1. 페이크 히어로


[image]
한글판 명칭
'''페이크 히어로'''
일어판 명칭
'''フェイク・ヒーロー'''
영어판 명칭
'''Fake Hero'''
일반 마법
자신의 패에서 "엘리멘틀 히어로"라고 이름 붙은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그 몬스터는 공격할수 없고, 이 턴의 엔드 페이즈에 주인의 패로 돌아온다.
주 사용법은 컨택트 융합 보조나, 에지 해머의 발동보조 정도. 네오스의 소환 용도라면 고대의 룰이 좋지만 에어맨도 이 카드의 대상이 된다. 즉 에어맨의 효과를 반복 사용 가능하다. 플리즈마도 마찬가지. 하지만 에어맨이나 플리즈마 효과 여러번 쓰자고 이런 카드를 채용할 바에는 차라리 다른 카드를 쓰는게 이득이다.
애니에서는 쥬다이가 VS 에드 2차전에서 사용. 에지맨을 뽑아 아쿠아 돌핀의 효과를 도왔다. 그 뒤로는 컨택트 융합 보조로 종종 사용.
패왕 vs 초융합을 사용할 때 이 카드를 코스트로 버렸다. 당시 쥬다이의 상태와 이 카드의 이름을 연관지어보면 의미심장한 연출.

6.1.2. 다섯 번째 희망


[image]
[image]
내수판
해외판
한글판 명칭
'''다섯번째 희망'''
일어판 명칭
'''ホープ・オブ・フィフス'''
영어판 명칭
'''Fifth Hope'''
일반 마법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엘리멘틀 히어로"라고 이름 붙은 카드를 5장 선택해 덱에 넣고 셔플 한다. 그 후, 자신의 덱에서 카드를 2장 드로 한다. 이 카드의 발동시에 자신 필드위 및 패에 다른 카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카드를 3장 드로 한다.
엘리멘틀 히어로 전용 탐욕의 항아리. 그러나 묘지에 히어로 몬스터를 덱에 넣고 셔플하기 때문에 미러클 퓨전과의 궁합도 좋지 않다. 쓴다면 비트 관련 히어로덱에서 사용하는게 좋다. 일단 탐욕이 제한이었을 적엔 상대적으로 이 카드의 가치가 다소 올랐었다.
원작 애니에선 사이오전에서 처음 사용. 반격의 준비를 했다. 코브라전에서 필드와 패가 없는 상황에 드로하여 마그마 네오스의 포석이 되었다. 그 이후에도 쥬다이가 핀치에 몰릴 때마다 등장하여 쥬다이가 역전을 할 수 있게 해준, 쥬다이의 히든 에이스 카드격이라 할수 있다.
참고로 애니 초반에는 3장 드로우였지만 쥬다이가 3장을 드로우한 경우는 전부 텍스트처럼 패와 필드에 다른 카드가 한 장도 없었다. 초기에는 패나 필드 중 한 쪽에만 카드가 없어도 3장을 드로우할 수 있었지만 텍스트 변경 이후 패와 필드가 모두 없어야 3장 드로우로 변경되었다.
어떻게 보면 엘리멘틀 히어로의 정통 융합 기믹에 대한 철학이 담긴 카드. 정통 융합은 융합 마법 카드와 소재 둘 이상을 요구하는 것이 특징인데, 이 카드는 자신의 필드와 패에 아무것도 없을 시 딱 3장을 뽑을 수 있게 해준다. 융합 + 소재 2개를 단번에 뽑아 역전하는 E HERO의 모습을 그리는, 그야말로 E HERO 역전의 희망 카드.

6.1.3. 히어로 하트


[image]
한글판 명칭
'''히어로 하트'''
일어판 명칭
'''ヒーローハート'''
영어판 명칭
'''Hero Heart'''
일반 마법
자신 필드위에 앞면표시로 존재하는 "엘리멘틀 히어로"라고 이름 붙은 몬스터 1장을 선택해 발동한다. 이 턴 선택한 몬스터의 공격력은 반이 되어 1번의 배틀 페이즈중에 2회 공격할 수 있다.
토큰등의 대량 전개 몬스터를 한꺼번에 처리하는 카드. 다만 써도 데미지의 총량은 변화가 없다.
마천루와 플레임 윙맨에 콤보에 곁다리로 추가가 가능하다. 로빈 고블린과는 상성이 좋다. 그러나 범용성과 효율의 낮음으로 채용율은 거의 제로. 히어로 중 일반적으로 최강의 공격력을 가지는 샤이닝 플레어 윙맨을 기준으로 생각해도, 일반적으로 쓰이는 조합인 스파크맨과 융합 대체 몬스터를 사용해 융합했다고 가정 시 공격력 3100을 절반으로 나누면 1550이다. 이래서야 전투 파괴를 하기는 커녕 당하기 십상이다. 게다가 상위호환이기 십상인 더블어택이나 마타자, 그리고 어설트 아머의 존재가 이 카드를 더욱더 암울하게 만든다. 전사족이 아닌 볼텍 정도는 보조할수 있다. 하지만 필드에 마천루가 있다면? 그나마 사용할수있는 조합은 엘리멘틀 히어로 아이스 에지로 마/함을 두장 삭제하는것이 조합이다.
원작 애니에서는 버블맨에 사용해 모케모케 하나를 파괴한 뒤, 두번째 공격에서 이차원 터널 미러 게이트를 발동하여 공격력이 3000으로 올라간 상대의 모케모케와 바꿔치기 하였다. 그 뒤 '''쥬다이 and 아스카 VS 켄잔 and 레이 전'''에서 에지맨에게 사용해 양 토큰을 제거했다.

6.2. 코믹스 출신


크노스페를 포이즌 로즈로 만드는 전용 카드. 이 카드의 이름 때문에 로지즈 버드가 이름 변경의 피해를 입었다.
융합 카드군이기도 하고, 효과에 엘리멘틀 히어로가 언급되어있는 히어로 관련 카드군이기도 하다.
한때 금제를 오가다 2018년 10월 금제에서 또다시 제한이 된 카드. 2020년 3월 현재는 준제한이다.
  • 히어로즈 본드
아래 문단 참고

6.2.1. 히어로즈 본드


[image]
한글판 명칭
'''히어로즈 본드'''
일어판 명칭
'''HERO'S(ヒーローズ ボンド'''
영어판 명칭
'''HERO's BOND'''
일반 마법
필드 위에 "히어로"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레벨 4 이하의 "엘리멘틀 히어로"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2장을 특수 소환한다.
발동 조건은 히어로지만 소환하는 건 엘리멘틀 히어로 뿐인 점을 주의. 단순히 하급전개를 바란다면 효율이 나쁘다.
크노스페의 보조라면 나쁘지 않다. 포레스트맨이나 클레이맨 등의 벽 몬스터를 이용하면 편하다. 라이트 저스티스나 더 히트, 레이디 오브 파이어의 효력을 늘릴 수도 있다. 상대필드도 카운트 하기 때문에 미러매치나 자신의 빼앗긴 히어로가 있어도 발동은 가능하다.
코믹스에서는 쥬다이가 만죠메전에서 사용. 발동 조건은 엘리멘틀 히어로에 소환하는 장수도 1장인 안 좋은 카드였다.
프리즈마 3장을 한 방에 전개해서 혼돈환마 아미타일을 소환하는 데 쓰였다.
이 카드를 이용하여 패의 엘리멘틀 히어로 섀도우 미스트를 특수소환 → 덱에서 마스크 체인지or 마스크 체인지 세컨드 서치 → 마스크드 히어로 특수소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여담으로 대부분의 히어로 마함의 원문이 ヒーロー라 히어로 관련 서포트를 받지 못하는 반면 이 카드는 HERO라 쓰고 ヒーロー라 읽는 카드라 히어로 서포트를 받을 수 있다. 왠만해선 히어로 몬스터를 서치하지, 히어로 마법/함정 카드를 서치하는 카드가 없긴 하지만, 매지컬 실크햇 등으로 몬스터로 바꾸어버려도 얘는 히어로 카드이기 때문에 관련 서포트를 받는다.

6.3. OCG 오리지널


  • Get Your Game On!
아래 문단 참고
일러스트에 있는것은 페더맨, 클레이맨, 버스트 레이디. 자세히 보면 구도가 1기 OP당시의 구도임을 알 수 있다.

6.3.1. Get Your Game On!


[image]
한글판 명칭
'''Get Your Game On!'''
일어판 명칭
'''Get Your Game On!'''
영어판 명칭
'''Get Your Game On!'''
지속 마법
당신이 "2007 Yu-Gi-Oh! TRADING CARD GAME World Championship"에 참가했을 경우만 발동 가능. 자신 필드위의 "엘리멘틀 히어로"라고 이름 붙은 몬스터와"네오스페이시언"이라고 이름 붙은 몬스터의 공격력은 2배가 된다. '''※이 카드는 공식 듀얼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카드명인 'Get Your Game On!'은 원작 애니에서는 북미판에서 'That's game'(갓챠)과 함께 제이든(쥬다이)의 캐치프레이즈로 밀어주는 대사로, 듀얼 시작 전에 하는 대사다. 또한 애니메이션 북미판 판본의 오프닝 테마곡의 타이틀 제목으로도 사용되었다. 발동 조건에서 눈치챈 사람도 있겠지만 '''이 카드는 공식 듀얼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가 붙어 있다.

7. 엘리멘틀 히어로 관련 함정



7.1. 애니메이션 출신


  • 히어로 시그널
아래 문단 참고.
  • 이차원 터널 미러 게이트
아래 문단 참고.
묘지에 일반 엘리멘틀 히어로도 회수하고 상대 몬스터도 파괴할 수 있는 카드.
히어로 키즈가 있을 때 쓰는 프렌드 실드.
히어로 키즈가 있을 때 쓰는 공격력 하락 카드.
클레이맨 전용 카드. 효과는 공격 몬스터 파괴.
페더맨 전용 카드. 효과는 디메리트 없는마궁의 뇌물.
에지맨 전용 카드. 효과는 유사 파괴륜.
  • 히어로 배리어
아래 문단 참고.
에드 피닉스가 사용한 카드. "엘리멘틀 히어로"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를 지정하고 있다. 데스티니 히어로 문서 참조.
  • 영웅변화-리플렉터 레이
아래 문단 참고.
  • 엘리멘틀 차지
아래 문단 참고. 이 쪽도 에드가 사용했던 카드다.
  • 히어로 스피릿
아래 문단 참고.
  • 히어로 역습
아래 문단 참고.

7.1.1. 히어로 시그널


[image]
한글판 명칭
'''히어로 시그널'''
일어판 명칭
'''ヒーロー・シグナル'''
영어판 명칭
'''Hero Signal'''
일반 함정
①: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전투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에서 레벨 4 이하의 "엘리멘틀 히어로"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비명은 시그널이 되어 히어로들이 눈을 뜰 겁니다! 함정 카드 발동! 히어로 시그널!''' - 듀얼링크스에서 주다이 전용 대사
모티브는 배트맨배트 시그널.
패 뿐만 아니라 덱도 가능한 높은 범용성을 보인다. 상대턴 자신턴 가리지 않고 소환한 몬스터의 표시형식도 묻지 않는다.
그러나 보통 이걸 발동하는 상황은 어드밴티지를 잃는 상황. 그걸 커버할 에어맨이나 벽으로 쓸 클레이맨,포레스트맨등을 소환하는게 좋다. 효과 발동이 느린 오션도 보조해줄수 있다. 어드밴티지를 잃는다고는 하지만, 이 카드로 서치 & 리쿠르트 & 덱 압축까지 겸할 수 있으므로 이 카드 자체는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전투 파괴에만 대응한다는 점이 실로 아쉬운 점. 효과 파괴에도 대응했으면 더욱더 좋았을 것을….
원작 애니에서는 쥬다이가 나름대로 자주 써서 융합의 포석으로 삼거나 버블맨의 효과 보조를 하곤 했다. 코믹스에서도 많이 쓰는데 배틀 페이즈안의 파괴(효과 포함)이라는 더더욱 강력한 효과였다.

7.1.2. 이차원 터널 미러 게이트


[image]
한글판 명칭
'''이차원 터널 미러 게이트'''
일어판 명칭
'''異次元トンネル-ミラーゲート-'''
영어판 명칭
'''Mirror Gate'''
일반 함정
자신 필드위에 앞면표시로 존재하는 "엘리멘틀 히어로"라고 이름 붙은 몬스터를 공격 대상으로 한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의 공격 몬스터와 공격 대상이 된 자신 몬스터의 컨트롤을 바꿔 데미지 계산을 실시한다. 이 턴의 엔드 페이즈까지 컨트롤을 바꾼 몬스터의 컨트롤을 얻는다.
기본적으로 메리트를 얻기는 힘들다. 어차피 자신의 몬스터는 파괴되고 전투데미지도 상대가 받는다 해도 디멘션 월이나 매직 실린더가 우월하다.
그러나 히어로 시티로 몬스터를 부활시킬 방법을 강구하면 달라진다. 희생의 제물과 조합하는 것도 좋다. 상대의 그랜드 몰이나 이차원의 여전사를 탈취해 임의효과를 봉하는데에도 쓰인다. 다만 넘어간 자신의 몬스터의 안위나 받는 전투데미지는 아프다.
쓴다면 컨트롤 교환의 능력을 최대한 이용하는게 좋다. 신비의 중화냄비본진 강습의 코스트로 보내면 효율이 좋다. 특히 중화냄비는 이 카드로 받게될 데미지와도 상관관계가 있다.
원작 애니에서는 쥬다이가 초창기에 쓰던 공격방어계 함정. 그러나 자신이 공격선언을 할 때도 발동이 가능했 다.[12] 오랫동안 안쓰이다 미스터 T전에서 한번 쓰였다. 애니메이션 등장카드지만 OCG화까지 실로 먼 길을 걸었다. 이 카드의 OCG화에 걸린 시간은 무려 2년 반이다. 이 카드의 존재로 다른 카드의 OCG화를 바라는 팬들도 많다.

7.1.3. 히어로 베리어


[image]
한글판 명칭
'''히어로 베리어'''
일어판 명칭
'''ヒーローバリア'''
영어판 명칭
'''Hero Barrier'''
일반 함정
자신 필드 위에 "EㆍHERO(엘리멘틀 히어로)"라고 이름붙은 몬스터가 앞면 표시로 존재할 경우, 상대 몬스터의 공격을 1번만 무효로 한다.
화목의 사자, 위협하는 포효, 공격 무력화, 매직 실린더, 드레인 실드, 고철의 허수아비 등의 범용성 높은 상위호환 카드들의 존재 때문에 '''캐잉여''' 카드다. 이름에 히어로가 들어간 카드를 대상으로 하는 다른 카드가 있다면 그나마라도 차별화가 가능하겠지만 그런 카드가 있던가?
원작 애니에서는 쥬다이가 공격 무력화와 더불어 방어용으로 사용. 그러나 네크로 가드너, 크리보를 부르는 피리 등으로 활동이 뜸해졌다. 아유카와 선생전에서 사용하지만 후속의 공격은 막지 못해 공격 무력화가 우월하다는 꼴밖에 못 보여줬다. 다크니스 디스트로이어를 상대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다만 블랙 매지션 걸 전에서는 한번의 상쇄가 오히려 도움이 되었다. 코믹스 판에서 히비키 코요가 사용.
그러다가 극장판에서 튀어나와 Sin 패러독스 드래곤의 공격을 막기도 했다. 뭐 등장이라도 해주는게 어딘가. 여담이지만 이 때 깨알같이 듀얼디스크의 함정 발동 버튼을 누르는 묘사가 나온다.
참고로 착각하기 쉽지만 이 카드는 프리체인으로 발동할 수 있다. 메인 페이즈때에 미리 발동해두고 배틀페이즈에 공격을 막을 수 있다는 것.

7.1.4. 영웅변화-리플렉터 레이


[image]
한글판 명칭
'''영웅변화-리플렉터 레이'''
일어판 명칭
'''英雄変化-リフレクター・レイ'''
영어판 명칭
'''Change of Hero - Reflector Ray'''
일반 함정
자신 필드위에 존재하는 "엘리멘틀 히어로"라고 이름 붙은 융합 몬스터가 전투로 파괴되어 묘지에 보내졌을 때 발동할 수 있다. 파괴된 융합 몬스터의 레벨×300포인트 데미지를 상대 라이프에 준다.
갓 네오스라면 파격의 3600데미지를 입히는게 가능. 허나 공격력이 높은 융합몬스터는 전투로 지기 힘든지라 카드의 효과로 필드의 위에서 꺼지는 게 기본이고 쓰러진다 해도 기본적으로 1800내외의 데미지가 기본이다. 와일드 윙맨이라면 2400의 데미지를 줄수있지만 기본적으론 다른 공격반응형 함정이 많다.
원작 애니에서는 오딘 왕자전에서 등장. 새틀라이트 레이저의 공격을 받아쳐 그대로 승리한다.

7.1.5. 엘리멘틀 차지


[image]
한글판 명칭
'''엘리멘틀 차지'''
일어판 명칭
'''エレメンタル・チャージ'''
영어판 명칭
'''Elemental Recharge'''
일반 함정
자신 필드위에 앞면표시로 존재하는 "엘리멘틀 히어로"라고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마다 자신은 1000 라이프 포인트 회복한다.
가능한 한 많이 전개하고 쓰면 좋겠지만 신비의 중화냄비가 쓰기는 편하다. 그래도 코스트도 필요하고 회복효율도 괜찮으니 4장째 이후의 중화냄비 용도로 넣을수는 있다. 때때로 전투로 파괴되지 않는 피닉스 가이와 샤이닝 피닉스 가이의 콤보... 에릭실러와 융합 해제의 콤보로 4000이라는 파격의 회복량을 자랑하기도 한다.
원작 애니에서는 왠지 에드가 사용. 사이버 엔드의 공격을 참거나 태그듀얼때 쥬다이의 몬스터로 회복을 하거나 했다.

7.1.6. 히어로 스피릿


[image]
한글판 명칭
'''히어로 스피릿'''
일어판 명칭
'''ヒーロースピリッツ'''
영어판 명칭
'''Hero Spirit'''
일반 함정
①: 자신의 "엘리멘틀 히어로" 몬스터가 전투로 파괴된 턴의 배틀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상대 몬스터의 전투로 1번만, 상대 몬스터로부터 받는 전투 데미지는 0 이 되고, 자신 몬스터는 그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발동 타이밍도 실로 엿같고 다른 상위호환들도 존재한다. 멀리 갈 것도 없이 유희왕 초창기에 그냥 배틀 페이즈를 넘겨 버리는 공격 무력화가 있다는 것부터 이 녀석의 무능함을 증명해준다. 듀얼디스크 동봉이라 콜렉터라면 구해볼만 하다.
원작 애니에서는 효과로 파괴되어도 발동 가능. 그러나 별로 안 좋기는 매한가지다.

7.1.7. 히어로 역습


[image]
한글판 명칭
'''히어로 역습'''
일어판 명칭
'''ヒーロー逆襲'''
영어판 명칭
'''Hero Counterattack'''
일반 함정
자신 필드상에 존재하는 "엘리멘틀 히어로"라고 이름이 붙은 몬스터가 전투에 의해서 파괴되었을 때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에서 상대는 카드 1장을 랜덤으로 선택한다. 그 카드가 "엘리멘틀 히어로"라고 이름 붙은 몬스터 카드였을 경우, 상대 필드위의 몬스터 1장을 파괴해, 선택한 카드를 자신 필드위에 특수 소환한다.
기본적으로는 영웅 출현과 비슷한 감각으로 쓸 수 있다. 디멘션 매직과는 다르게 동시처리가 아니라 임의효과도 문제없이 발동가능하다. 에어맨과는 호궁합. 실패시의 리스크는 패 한장 공개로 그리 큰 편은 아니다.
원작 애니에서는 사이오의 더 월드를 파괴해 네오스를 소환했다.

7.2. 코믹스 출신


디 어스 전용 카드.

7.3. OCG 오리지널



8. 미 OCG화 카드



8.1. 융합 몬스터


애니메이션 출신 카드.

8.2. 마법 카드



8.2.1. 히어로 다이스


[image]
한글판 명칭
''' 히어로 다이스 '''
일어판 명칭
''' ヒーロー・ダイス '''
영어판 명칭
'''Hero Dice'''
일반 마법
주사위를 1회 던진다. 나온 수의 눈에 따라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엘리멘틀 히어로"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카드 1장은 이하의 효과를 얻는다.
1: 자신은 원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받는다.
2: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마법 카드 1장을 파괴한다.
3: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 카드 1장을 파괴한다.
4: 상대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 카드 1장을 파괴한다.
5: 상대 필드 위에 존재하는 마법 카드 1장을 파괴한다.
6: 상대 플레이어에게 직접 공격할 수 있다.

8.2.2. 엘레멘틀 스톰


[image]
한글판 명칭
'''엘레멘틀 스톰'''
일어판 명칭
'''エレメンタル・ストーム'''
영어판 명칭
'''Elemental Storm'''
일반 마법
자신 필드 위의 "엘리멘틀 히어로"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발동한다. 선택한 몬스터는 이 턴 공격선언할 수 없다. 선택한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보다 낮은 원래 공격력을 가진 상대 필드 위의 몬스터 1장을 파괴한다.

8.2.3. 태그 리퀘스트


[image]
한글판 명칭
'''태그 리퀘스트'''
일어판 명칭
'''タッグ・リクエスト'''
영어판 명칭
'''Tag Request'''
일반 마법
자신 필드 위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한다. 그 몬스터와 같은 공격력을 가진 패의 "엘리멘틀 히어로"라고 이름 붙은 몬스터 1장을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일러스트에 나오는 엘리멘틀 히어로 클레이맨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은 둘다 공격력이 800이라서 조건에 알맞는다.
애니에서는 유벨이 빙의한 카노 마르탄과의 듀얼에서 사용했다. 엘리멘틀 히어로 스파크맨이 있을 때 발동해서 엘리멘틀 히어로 네크로 다크맨을 필드로 불러냈다. 이후 순간융합으로 엘리멘틀 히어로 다크 브라이트맨까지 소환했지만, 크게 도움이 되지는 않았다. 오히려 삼환마를 부르는 데 도움이 됐으면 모를까 싶다.
이 카드는 쥬다이 덱에서나 순수 엘리멘틀 히어로 덱에서나 대상이 되는 카드가 많지 않아서 비효율적인 카드라고 본다.

8.2.4. EN 셔플


엘리멘틀 히어로네오 스페이시언을 동시에 지정하는 카드. 네오 스페이시언 문서 참조.

8.2.5. 선량한 히어로


[image]
한글판 명칭
'''선량한 히어로'''
일어판 명칭
'''良いヒーロー'''
영어판 명칭
'''Good Hero'''
일반 마법
덱에서 공격력 / 수비력 1000 이하의 일반 몬스터 1 장을 선택해 특수 소환하고, 이 카드를 장착한다. (그 후 덱을 셔플한다) 필드 위의 "엘리멘틀 히어로"라고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당, 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을 300 포인트 올린다.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때, 장착 몬스터를 파괴한다.
만죠메 쥰을 정신 차리게 하려고 이 카드로 방해꾼 옐로를 불러왔다.

8.2.6. 크로스 체인지


엘리멘틀 히어로네오 스페이시언을 동시에 지정하는 카드. 네오 스페이시언 문서 참조.

8.3. 함정 카드



8.3.1. 엘리멘틀 미라지


[image]
한글판 명칭
'''엘리멘틀 미라지 '''
일어판 명칭
'''エレメンタル・ミラージュ'''
영어판 명칭
'''Elemental Mirage'''
일반 함정
자신 필드 위의 "엘리멘틀 히어로"라고 이름붙은 몬스터가 상대의 카드의 효과에 의해 파괴되었을 때 발동할 수 있다. 파괴된 몬스터를 전부 원래의 표시형식으로 필드 위에 되돌린다.
비슷한 카드로, 데스티니 히어로에게는 데스티니 미라지가 있다. 데스티니 미라지는 OCG화가 되었음에도 어째 이 카드는 나올기미가 안보인다(...)
원작에서 처음 나온 것은 사이오 미즈치와 에드와 태그를 이루어 한 태그듀얼. 이 효과를 이용해 프레임 윙맨을 부활시켰다. 극장판에서는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나이트Sin 클로 스트림의 효과로 파괴되자 발동하여 네오스 나이트를 부활시켰다.
OCG룰 상 문제가 되는데, 이 카드의 효과로 필드로 돌아온 네오스 나이트가 융합 해제를 발동하자 융합 소재였던 네오스와 정크 가드너로 분리되었는데, 융합 몬스터가 필드를 벗어났다가 돌아오면 융합 소재의 정보가 없어진다. 따라서, 네오스 나이트는 필드를 벗어나지만 융합 소재는 필드로 돌아오는 건 불가능한 것.[13]
원작을 가능하게 하려면 '자신 필드 위의 "엘리멘틀 히어로"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가 상대의 카드의 효과의 대상이 되었을 경우, 혹은 효과로 파괴당할 경우, 그 효과를 무효로 한다.' 정도로 바뀌어야 한다. 공격력 변화 등에서 차이가 발생하지만 이런 효과라도 듀얼진행 중 문제되는 부분은 없었다.

8.3.2. 영혼의 결속 - 소울 유니온


[image]
한글판 명칭
'''영혼의 결속 - 소울 유니온 '''
일어판 명칭
'''魂の結束-ソウル・ユニオン'''
영어판 명칭
'''Soul Union'''
일반 함정
이 턴, 공격을 받은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은 자신의 묘지에서 선택한 "엘리멘틀 히어로"라고 이름붙은 몬스터 1장의 수치만큼 올린다.
마루후지 료의 졸업듀얼에서 발동. 엘리멘틀 히어로 와일드 쟤기맨이 파워 본드의 힘을 받은 사이버 엔드 드래곤에게 공격당하자 발동하여 엘리멘틀 히어로 에지맨의 공격력을 더했다.[14] 미스터 T와의 듀얼에서도 사용, 영웅 출현으로 튀어나온 네오스에 매드볼맨의 공격력을더해 메테오 블랙 드래곤을 역관광시켰다.

9. 활용법


요즘 들어 싱크로, 엑시즈, 펜듈럼같이 패소모가 적으면서 강한 소환법이 많이 생겨나는바람에 애니처럼 플레임 윙맨 등을 불러내는건 거의 승률이 없다. 이 카드들로 승률덱을 짜려면 비교적 강한 편인 스파크맨, 에지멘을 융합 소재로 쓰는 플라즈마 바이스맨과 아직도 강한 편인 샤이닝 플레어 윙맨[15]을 중심으로 짜는게 좋다.

전법은 늪지의 마신왕, 엘리멘틀 히어로 블레이즈맨등으로 융합을 서치→융합으로 샤이닝 플레어 윙맨 소환→미러클 퓨전으로 앱솔루트 제로 or 샤이닝 플레어 윙맨 소환→공격후 마스크 체인지로 마스크드 히어로 소환 등 이런식의 융합콤보를 쓰면 원턴킬도 충분히 노려볼만 하다. 나머지 융합몬스터들은 대부분 효율이 바닥을 쳐서 코믹스판 융합 히어로를 쓰는 게 좋다.[16]
[1] 레이디 오브 파이어 / 히트 / 플래임 블래스트는 화염족, 코노스페와 포이즌 로즈는 식물족, 볼테그는 번개족, 네오스 크루거는 마법사족이다.[2] 단, 앱제는 모든 히어로를 융합소재로 할 수 있다.[3] 특히 레벨4 이하의 하급 히어로들이 이런 경향이 심하다[4] 당시에는 높은 타점을 가진 일반몬스터도 적었고 특출한 효과를 가진 몬스터도 적었다. 설령 몇 있던 고타점 몬스터도 꽤 디메리트가 있었었고.[5] 물론 블레이드, 데미스 등 원턴킬 덱이 아닌 이상 이후 세대에 비해서 듀얼 스피드는 기하급수적으로 느렸지만, 융합형 엘리멘틀 히어로 덱에 비하면 그야말로 로우리스크 하이리턴이 넘쳐났다.[6] 이것은 표준어에 따른 번역이다.[7] 다만 애니메이션 국내 더빙판에서는 E.HERO로 번역되어 나왔다.[8] 현재 한글판 이름은 CNo.92 위해허룡 Heart-eartH Chaos Dragon이 가장 길다.[9] 엄밀히 따지자면 코믹스 당시에는 효과 자체는 불명 상태로 속성만 나왔던 히어로 카드다. 후에 OCG화되면서 대폭 강해진 케이스.[10] 나머지 히어로 융합 몬스터는 데스티니 히어로가 4종류, 이블 히어로가 7종류, 비전 히어로가 2종류, 마스크드 히어로가 9종류다.[11] 엘리멘틀 히어로 갓 네오스,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나이트, 엘리멘틀 히어로 브레이브 네오스,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크루거[12] 미스터 T전 전까지는 필드 귀환이 적용되기 전에 파괴되거나 그 전에 승부가 나서 의미가 없었다.[13] 이 듀얼 중 아템의 카드의 효과로 패러독스의 필드에서 컨트롤을 빼앗은 스타더스트가 효과를 발동하고도 유세이의 필드에 특수소환되었기에 보면 OCG와 룰이 조금 다른 것일지도. 스타더스트가 본래 유세이의 카드였긴 했으나 이 듀얼 중에서의 원래 소지자(컨트롤러)는 패러독스였다.[14] 에지맨을 융합소재로 한 몬스터의 공격력은 에지맨과 동일하기에 사실상 2배로 뻥튀기한 것 뿐이다.[15] 당연하지만 융합소재 대체몬스터, 특히 늪지의 마신왕은 필수다.[16] 네크로다크맨을 융합 소재로 묘지에 보낸다음 그 효과로 에지맨을 소환하는것도 한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