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정식 병음
1. 개요
郵政式拼音 / Chinese postal romanization
중국어 병음의 일종으로, 중국 대륙에서 한어병음을 도입하기 전에 지명 표기에 썼던 로마자 표기법이다. 이 표기법은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 기초하되, 몇몇 지명들은 고어, 방언 등을 고려해서 케바케로 변형하여 정한 것이다. 이는 서양 사람들에게 그나마 만다린보다 익숙했던 광동어 등의 남부 방언을 고려해 표기를 정하거나 서양 사람들이 이미 정착시킨 표기를 그대로 사용하는 등 전반적으로 당시 서양 사람들에게 익숙하도록 표기를 결정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국어 발음을 1:1로 로마자로 옮겨 적는 표기법은 아니다. 일반적인 '병음'이나 '로마자 표기법' 개념과는 차이가 있지만 일단은 편의상 우정식 '병음'이라고 부르고 있다.
베이징을 과거에 Peking으로 적은 것도 우정식 병음에 따른 것이다. j가 아니라 k인 이유는 위에서 언급한 대로 당시 서양 사람들에게 그나마 익숙한 광동어나 민남어 등의 남부 방언 발음의 전사 표기나 만다린의 구개음화를 반영하지 않은 표기[1] 가 우정식 병음에 그대로 수용되었기 때문이다. Peking이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이라고 착각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정작 北京을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 따라 적으면 Pei³-ching¹이 된다.
대만에서는 아직도 일부의 지명을 이 방식으로 표기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지룽(Keelung), 진먼(Kinmen/Quemoy), 단수이(Tamsui) 등이 있다. 한편 홍콩에서 중국 대륙 지명을 딴 길 이름의 영문 표기에서도 쓰인다. Peking Road라든지. 그리고 중국 본토에서도 베이징대학(Peking University)처럼 지명을 딴 역사가 깊은 고유명사에서 우정식 병음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들이 있다.
우정식 병음의 표기법으로서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하면 '''규칙이 없다'''는 것. 중국 대륙(본토)에서 우정식 병음을 폐지하게 된 것도 그 극심한 불규칙성 탓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규칙성이 너무 없으니 중국어 발음을 알아도 여기에 대응되는 우정식 병음 표기를 쉽게 짐작할 수가 없다. 그래서 따로 영문으로 주소를 써서 중국 내 각 지역으로 우편을 부치려면 중국어 지명 표기와 우정식 병음 간의 대응 관계를 정리한 자료를 확인해야 하는 불편이 따랐다.
2. 표기 예
아래 표에서 광동어는 월병으로, 민남어는 백화자로 적었다.
1947년 발행된 중화민국 전도. 로마자 표기가 모두 우정식 병음이다.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을 변형해서 우정식 병음 표기로 채택한 경우, ssŭ(ㄙ)를 sze로 고치고 복합운모(複合韻母)에서 운두(韻頭)로 쓰인 u(ㄨ)와 운미(韻尾)로 쓰인 u[15] 를 w로 고치는 대응 규칙이 확인된다. 오늘날도 대만에서 '중화(中華, 한어병음: Zhōngh'''u'''á,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 Chung¹-h'''u'''a², 주음부호: ㄓㄨㄥ ㄏ'''ㄨ'''ㄚˊ)'를 음역할 때 Chungh'''w'''a[16] 로 표기하는 경향이 있는데(예: 중화우정=Chungh'''w'''a Post, 중화전신=Chungh'''w'''a Telecom) 이것도 우정식 병음의 표기 관행과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17]
그리고 i 모음 앞에서 현행 표준 음이 아닌 노국음이나 아니면 그보다 더 고어형인 표기도 보이는데, 표준중국어 발음과 한국 한자음을 함께 안다면 우정식 병음 표기가 무엇일지 대략적으로 짐작할 수 있다. 한국 한자음에서 치음(ㅅㅈㅊ) 계열인 경우 모음이 i로 시작해도 구개음화된 설면음 ch(ㄐ, 한어병음: j), chʻ(ㄑ, 한어병음: q), hs(ㄒ, 한어병음: x)이 아닌 구개음화되지 않은 설치음 ts(ㄗ, 한어병음: z), ts(←tsʻ; ㄘ, 한어병음: c), s(ㄙ, 한어병음도 s)로 적히는데 이것은 노국음을 반영한 것이다. 또, 한국 한자음에서 ㅣ 모음 앞에 ㄱ[18] 이 오는 경우 역시 구개음화된 설면음 ch(ㄐ, 한어병음: j), chʻ(ㄑ, 한어병음: q) 대신 설근음 k(ㄍ, 한어병음: g), k(←kʻ; ㄎ, 한어병음도 k)을 써서 고어 형태를 유지한다. 단 한국 한자음에서 ㅣ 모음 앞에 ㅎ이 오는 경우 설면음 hs(ㄒ, 한어병음: x)는 설근음/후음[19] h(ㄏ, 한어병음도 h)으로 바꾸지 않는다[20] . 또한 Hope'''h'''(허베이)처럼 -h 표기가 자주 보이는데, 이건 위 표의 주석에서 설명했듯이 노국음이나 난징 방언의 입성(入聲) 발음에 수반되는 성문 폐쇄음 [ʔ]을 역시 로마자의 성문음 기호인 h로 대용해서 표기한 것이다.
간혹 영어식 철자의 영향을 받아 i, u 대신 ee, oo로 바뀐 경우도 있다. K'''ee'''lung, F'''oo'''chow가 그 예.
대만에는 우정식 병음이 아직 많이 남아있다. 단수이구를 '''Tamsui'''로 표기한다거나, 진먼현을 '''Kinmen, Quemoy'''[21] 로 쓴다거나. 신주시도 '''Hsinchu'''이다. 신주 옆동네 주베이는 원래 우정식 병음인 Chupei를 쓰다가 '''Zhubei'''로 바꿨는데 신주시는 바꾸지 않았다.
[1] ㄱ계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은 발음이 많다. 즉 '지, 치'가 '기, 키'에 가깝게 발음되었다.[2] 만주의 다른 이름.[3] 이 철자는 광저우 시를 가리킬 때 쓰기도 한다.[4] 바로 아래의 산시성(섬서성)과 혼동될 수 있는데, 상세한 내용은 산시성 문서 참고. 참고로 오늘날 산시성(산서성)을 영어 등 외국어로 표기할 때 성조 부호를 생략한 한어병음 Shanxi 그대로 적고(참고로 국어라마자 표기법대로 적으면 Shanshi로 적히는데 현재 이 표기는 잘 안 쓰인다), 산시성(섬서성)을 첫 음절만 국어라마자 표기법대로 쓴 Shaanxi로 적어서 양자를 구분하는 경우가 많다. 산시성(섬서성)의 표기에 대해서는 다음 주석 참고.[西] A B 중화민국 초창기에 제정된 노국음(老國音)이나, 관화 내 보수적 발음 체계를 가진 방언들에 따르면 첫 음절이 웨이드식 표기법으로 hsi¹(한어병음: xī '씨'와 비슷)이 아니라 구개음화 안 된 si¹(한어병음 응용: siī. 굳이 적자면 '씌' 정도의 발음)으로 발음된다.[5] 바로 위의 산시성(산서성)과 혼동될 수 있는데, 상세한 내용은 산시성 문서 참고. 참고로 오늘날 산시성(섬서성)을 영어 등 외국으로 표기할 때 첫 음절을 국어라마자 표기법대로 쓰고 두 번째 음절을 성조 부호를 생략한 한어병음 표기대로 적어 Shaanxi로 적어서(참고로 모든 음절을 국어라마자 표기법대로 적으면 Shaanshi가 되는데 현재 이 표기는 잘 안 쓰인다), 한어병음에서 성조 부호만 뗀 Shanxi로 적는 산시성과 구분하는 경우가 많다.[6] 중국 대륙의 번체자(정체자)로는 厦門. 중국 대륙에서는 원칙적으로 간화자를 쓰지만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번체자의 표준 자형도 정해 놓고 있다.[7] Sin은 옛 표준음인 노국음(老國音)에서 구개음화되지 않은 발음(굳이 한글로 비슷하게 적자면 '씐')을 반영한 것이고, kiang은 고어에서 구개음화되지 않은 발음을 반영한 것이다.[8] 중국어 음역으로는 吉林烏拉/吉林乌拉. 중국어 명칭의 유래도 이것이다.[9] 한국의 전산 처리에서 주로 쓰는 한자 표기, 강희자전체, 일본 구자체 표기는 靑島.[10] 칭다오 맥주도 이 표기를 쓴다.[11] 중화민국 초창기에 제정된 노국음(老國音)이나, 관화 내 보수적 발음 체계를 가진 방언들에 따르면 첫 음절이 웨이드식 표기법으로 chʻing¹(한어병음: qīng '칭'과 비슷)이 아니라 구개음화 안 된 tsʻing¹(한어병음 응용: cīng. 굳이 적자면 '칑' 정도의 발음)으로 발음된다. 중국 대륙과 대만에 있는 두 (국립)칭화대학도 같은 원리를 따르는데, 중국 대륙의 칭화대학은 Tsinghua University로, 대만의 국립칭화대학은 National Tsing Hua University로 적힌다.[12] 중화민국 초창기에 제정된 노국음(老國音)이나, 관화 내 보수적 발음 체계를 가진 방언들에 따르면 첫 음절이 웨이드식 표기법으로 chʻin¹(한어병음: qīn '친'과 비슷)이 아니라 구개음화 안 된 tsʻin¹(한어병음 응용: cīn. 굳이 적자면 '칀' 정도의 발음)으로 발음된다.[13] 민남어의 영어 명칭도 Hokkien이다.[14] 중화민국 초창기에 제정된 노국음(老國音)이나, 관화 내 보수적 발음 체계를 가진 방언들에 따르면 두 번째 음절이 웨이드식 표기법으로 pê(한어병음: be)에 해당하는 발음을 입성(入聲)으로 읽은 음절이 된다. 그런데 관화의 입성에서는 음성적으로 성문 폐쇄음 [ʔ\]이 맨 뒤에 첨가돼서 발음된다. 로마자 표기에서 이것을 h로 옮기는 경우가 있다. 중국어의 어떤 방언에서든 음절 끝에서 ㅎ 발음([h\] 또는 [x\])이 나는 경우가 없으니 음절 말의 성문 폐쇄음을 표기하는 기호로도 사용한 것. 따라서 peh라는 표기는 pê(보조 부호를 생략해서 pe)의 입성([ʔ\] h) 발음을 웨이드식을 응용하여 나타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타이베이의 독일어 표기 Taipeh도 같은 원리에 따라 나온 철자이다.[15] ou(ㄡ)의 마지막 음소.[16] 최근 대만의 범록연맹 일각에서 중화민국의 영문 국호를 Republic of China에서 Republic of Chunghwa로 바꾸자고 주장하며 중화인민공화국과 별개의 국가임을 강조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타이완 독립운동 문서의 절충안 단락을 참고할 것.[17] 단, 지명은 아니지만 칭화대학(중국 대륙)/국립칭화대학(대만)의 영문 표기인 Tsingh'''u'''a Uniersity와 National Tsing H'''u'''a University의 경우 운두 u를 w로 고치는 관행을 따르지 않았다.[18] 한국 한자음에서는 본래 /ㅋ/로 발음됐을 법한 초성이 무슨 이유에서인지 일제히 /ㄱ/로 통합되었다. 단 '쾌'(예: 快, 噲)라는 음절만 예외로 /ㅋ/를 유지하고 있다.[19] 역사적으로는 후음(喉音: 성문음)이었다.[20] 단, 몽골어나 만주어 등 소수 민족 언어가 어원인 경우는 h로 적힐 수 있다. 이 점은 한어병음이 쓰이는 현재도 같다. 현재 중국 대륙에서 지명을 표기할 때 중국어라는 인식이 희박한 지명들은 한어병음에 의거하지 않고, 원어에 가깝게 표기한다.[21] Quemoy는 '''키모이'''라고 읽으며 포르투갈어에서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