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디언자리

 


'''인디언자리'''
Indus / Ind
[image]
'''학명'''
Indus
'''약자'''
Ind
'''주요 별 수'''
3
'''가장 밝은 별'''
α Ind (3.11 등급)
'''가장 가까운 별'''
ε Ind (12 광년)
'''한자명'''

'''인접 별자리'''
현미경자리, 망원경자리, 공작자리, 팔분의자리, 큰부리새자리, 두루미자리, ''궁수자리''
'''관측 가능 여부'''

궁수자리는 인디언자리 경계선과 꼭짓점에서 간접적으로 인접하고 있다.
1. 개요
2. 상세

[clearfix]

1. 개요


'''Indus, Ind'''
남쪽 하늘의 별자리. 위도가 너무 낮아 우리나라에서는 북쪽 극일부만 겨우 볼 수 있다.

2. 상세


인디언자리는 두 명의 모험가(Pieter Dirkszoon Keyser, Frederick de Houtman)가 1595년 ~ 1597년에 만들어낸 별자리로, 1603년 요한 바이어의 《우라노메트리아(Uranometria)》에 수록되었다. 후대에 만들어진 별자리이기에 관련된 신화는 없다.
엡실론별이 지구와의 거리가 꽤 가깝다. 11.83광년 떨어져 있으며, 겉보기등급은 4.69등급이다. 또한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별 가운데 고유운동이 백조자리 61번별 다음으로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에서는 인도인자리로 오역되는 경우가 종종 있으나(그리고 직역하면 그게 맞긴 맞지만), 이 별자리는 아메리카 원주민을 나타낸 별자리이므로 아메리칸자리로 번역하는 것이 맞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