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조(음악)
1. 설명
곡의 조성을 바꾸는 작곡 기법(modulation). 곡에서 진행 중이던 조에서 다른 조로 바뀌어 곡이 계속 흘러가게 하는 기법이다. 순우리말을 써서 '조바꿈'이라 하기도 한다.
많은 경우는 조표가 바뀌어 전조되었다는 것을 쉽게 알아볼 수 있으나, 임시표만으로 곡이 다른 조처럼 들리게 한다든지, 나란한조(ex. C Major→a minor)로 전조하여 조표가 같은 경우도 있다. 세도막 이상 길이를 가진 악곡이라면 순간적인 전조라도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2. 종류
전조는 전조의 방법에 따라 이름이 달라지며 아래는 그 종류와 전조의 방법을 서술한 것이다.
- 이명동음 전조: 이명동음으로 표기되는 음을 공통음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전조다. 다른 음들은 새 조의 구성음으로 진행하여 급격한 화성 변화가 일어나지만, 이명동음 공통음이 같은 위치에 머물러 변화를 감소시킨다. [3]
3. 설명
아래는 각 전조가 어떻게 진행되는지에 대해서, 또 몇 가지 예시를 들어 전조의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는 글이다.
3.1. 온음계적 전조
위에서 설명한 공통화음을 이용하여 전조한다. 전조 가능한 공통화음 몇 가지를 예로 들자면
C; I (도미솔) → F; V (도미솔), G; IV(도미솔), e; VI(도미솔)
a; i (라도미) → e; iv (라도미), C; vi (라도미), G; ii(라도미), F; iii(라도미)
등이 있다. 변성화음을 포함하면 더욱 다양한 경우의 전조가 가능하다.
감3화음은 화음 자체가 불안정하므로 공통화음으로는 주로 쓰이지 않으며, 전조 이후에는 바뀐 조의 5도, V를 사용해서 바뀐 조를 확립하여야 한다. 네아폴리탄 6화음같은 경우도 온음계적 전조가 가능하다. [4]
3.2. 반음계적 전조
화음 중의 한 음 또는 그 이상의 음을 반음계적으로 변화시켜서 조바꿈하는 하는 것이다. 따라서 온음계적 조바꿈처럼 공통화음을 거치지 않고도 직접 조를 바꿀 수 있게 된다. 공통화음은 없으나 같은 음이름을 가진 두 음 중 뒤의 음이 반음 올려져서 조바꿈을 하는 요인이 된다. 이때 반음 올려진 음이 어떤 조의 이끔음으로 작용하여 으뜸음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조성이 확립된다.
3.3. 이명동음 전조
'''딴이름 한소리 조바꿈'''
화음 중 몇 개의 음 또는 화음 전체의 딴이름 한소리를 이용하여 조바꿈하는 것이다.
[1] ex) C; I(도미솔) → vi(라도미)=a; i(라도미) → v(미솔#시)[2] ex) a; i(라도미) → D; V7(라도#미솔)[3] ex) g#; i(솔#시레# → Db; V(라b도미b)[4] ex) C; I(도미솔) → N(레b파라b)=Db; I(레b파라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