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리터러시
1. 개요
Information Literacy, 정보 리터러시는 한글로 번역하면 '정보 문해', '정보사용능력', '정보처리능력', '정보소양능력', '정보를 읽고 쓰는 능력' 등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영어 단어 Literacy(문해)가 '글을 읽고 쓸 줄 아는 능력'을 말하듯, 정보 리터러시는 정보를 활용하는 능력을 말하는 것이다. 정보 리터러시라는 단어의 창시자인 주르코프스키(Zurkowski)나 기타 학자들의 정의를 보아도, 상세한 문장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기본적인 틀은 '원하는 정보를 찾아서, 그 정보에 접근하고, 필요한 정보인지 아닌지 판단한 후, 적절하게 활용하는 능력'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정보 리터러시는 1974년에 제창된 개념이지만 1980년대 후반부터 주목받기 시작했는데, 그 이유는 인터넷의 발전으로 정보가 범람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그 이전까지는 연구와 학습을 위해서 글을 읽고 쓸 줄 아는 능력(Literacy)만 있으면 되었지만, 인터넷의 등장 이후에는 정보를 검색하고 활용할 줄 아는 능력이 있어야 연구든 공부든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만 보면 현대인이 일상적으로 진행하는 네이버 검색이 여기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도 이런 검색 능력 또한 정보 리터러시에 포함된다. 그러나 글을 읽을 줄 아는 사람들이 모두 수준 높은 연구를 할 줄 아는 것이 아니듯, 단순히 네이버나 구글에서 검색하는 것만으로는 정보 문해 능력이 있다고 하기는 힘들다. 정보 리터러시에도 기술 리터러시, 디지털 리터러시, 미디어 리터러시, 비주얼 리터러시, 비즈니스 리터러시, 커뮤니티 리터러시, 컴퓨터 리터러시 등 다양한 분야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 핵심이 되는 능력은 4가지가 있다.[1]
- 도구 리터러시(Tool literacy) : 도구와 하드웨어의 사용 능력을 말한다. 흔히 말하는 컴맹은 일반적으로 이 능력이 부족한 케이스이다.
- 정보 리터러시(Information literacy) : 정보 자료를 조사하고 옥석을 가려 종합하는 능력을 말한다.
- 소통 리터러시(Communications literacy) : 읽고, 쓰고, 이해하는 능력을 말한다. 다만 리터러시의 기본 전제 자체가 소통인만큼 그냥 고전적인 형태의 리터러시라고 보면 될 것이다.
- 문화 리터러시(Cultural literary) : 다른 리터러시들이 집단 및 개인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능력이다. 즉, 사회적 합의에 대해 이해하는 능력을 말한다.
2. 정보 리터러시 모델
정보 리터러시를 어떻게 하면 증진시킬 수 있는가? 에 대한 해결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하 내용은 앞에서 언급한 것과 마찬가지로, 단순히 인터넷에서 맛집을 검색하는 것부터 교수나 연구원이 인터넷에서 논문 등의 연구자료를 검색하는 것까지 적용될 수 있는 것들이다.
- 쿨타우의 정보탐색과정 모델(Model of the Information Search Process, ISP6,1989)
정보를 탐색하는 과정, 특히 정보을 탐색하는 우리가 어떻게 질문을 구체화시키고 검색하여 정보를 활용하는가에 대한 6단계를 묘사한 것이다. 시작-선정-탐구-형성-수집-제시의 6단계로 분류된다.
- 파피스와 피페의 지적정보능력 개척 모델(Pathways to Knowledge Information Skills Model,P to K,1995)
정보 활용의 과정을 감상-예비조사-탐색-해석-커뮤니케이션-평가의 6단계로 구분하는 모델이다. 다른 모델과는 다르게 순서를 강조하지 않는다는 것도 특징. 각각의 활용 단계의 상세한 내용은 아래쪽 표를 참고하다.
- REACT 모형
미국의 사서교사들이 학생들의 연구 조사를 돕기 위해 개발한 모형이다. 독서뿐 아니라 다른 교과 과목의 교육 과정에서도 응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 여기에서는 정보 리터러시의 발전 과정을 회상, 설명, 분석, 도전, 변형, 종합의 6단계로 제시하였다.
- Big 6
정보 리터러시 모형 중 가장 실용적이며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다. 대상의 수준에 따라 프로그램을 세분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으로, 일반적으로는 6단계짜리를 활용하지만 어린이들에게는 3단계로, 성인에게는 12단계로 적용하는 식이다.
[1] Denise G. Easton의 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