찌르호크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image] 395 엠페르트
[image] '''396 찌르꼬'''
[image] '''397 찌르버드'''
[image] '''398 찌르호크'''
[image] 399 비버니
지역 도감 나열 순서
신오도감
접기·펼치기
[image] 009 엠페르트
[image] '''010 찌르꼬'''
[image] '''011 찌르버드'''
[image] '''012 찌르호크'''
[image] 013 비버니

코스트칼로스도감
접기·펼치기
[image] 098 타격귀
[image] '''099 찌르꼬'''
[image] '''100 찌르버드'''
[image] '''101 찌르호크'''
[image] 102 스컹뿡

'''정보 내 바로가기 '''
일러스트
기본 정보
특성
세부 정보
진화
방어 상성
종족치
도감 설명
skip
1. 정보
2. 개요
3. 포획 및 스토리
3.1. 4세대
3.1.1. DPPt
3.1.2. HGSS
3.2. 5세대
3.3. 6세대
3.4. 7세대
3.5.
4. 대전
4.1.1. 확정 1타가 불가능한 포켓몬
4.1.2. HP 노력치에 따라 확정 1타가 갈리는 포켓몬
6. 기타

[clearfix]

1. 정보



[image]
[image]
[image]
찌르꼬
찌르버드
찌르호크

기본 정보
이름
도감 번호
성비
타입
한국어
일본어
영어
[image] 찌르꼬
ムックル
Starly
전국: 396
신오: 010
코스트칼로스: 099
수컷: 50%
암컷: 50%


[image] 찌르버드
ムクバード
Staravia
전국: 397
신오: 011
코스트칼로스: 100
[image] 찌르호크
ムクホーク
Staraptor
전국: 398
신오: 012
코스트칼로스: 101

특성(숨겨진 특성은 *)
찌르꼬
날카로운눈
명중률이 떨어지지 않으며, 상대의 회피율 증가를 무시한다.
찌르버드
위협
배틀에 나오면 모든 상대방의 공격을 1랭크 떨어뜨린다.[1]
찌르호크
(공통)
*이판사판
반동 데미지를 받는 기술들의 위력이 1.2배 증가한다.

세부 정보
포켓몬
분류
신장
체중
알 그룹
포획률
396 찌르꼬
찌르레기 포켓몬
0.3m
2.0kg
비행
255
397 찌르버드
0.6m
15.5kg
120
398 찌르호크
맹금 포켓몬
1.2m
24.9kg
45

진화
진화
[image]
396 찌르꼬
레벨 14

[image]
397 찌르버드
레벨 34

[image]
398 찌르호크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2배
1배
0.5배
0배





종족치
포켓몬
HP
공격
방어
특수공격
특수방어
스피드
합계
[image] 찌르꼬
30
55
30
30
30
60
235
[image] 찌르버드
55
75
50
40
40
80
340
[image] 찌르호크
85
120
70
50
60[2]
100
485[3]

도감 설명
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skip을 눌러주세요.

[image] 396 찌르꼬
디아루가
많은 수가 무리를 이루어 행동한다. 몸은 작지만 날개치는 힘은 매우 강하다.
X
오메가루비
펄기아
평소에는 무리로 살고 있지만 1마리가 되면 눈에 띄지 않는다. 울음소리가 무척 시끄럽다.
기라티나
무리를 만드는 것으로 한 마리로는 약하다는 단점을 커버하고 있지만
무리가 커지면 다투기 시작한다.
5세대
하트골드·소울실버
벌레 포켓몬을 노리고 산과 들을 많은 무리로 날아다닌다. 울음소리가 무척 시끄럽다.
Y
알파사파이어
포켓몬 GO
[image] 397 찌르버드
디아루가
벌레 포켓몬을 노리고 숲이나 초원을 날아다닌다. 큰 무리를 이루어 행동한다.
펄기아
숲이나 초원에 서식한다. 그룹이 마주치면 영역을 건 분쟁이 시작된다.
Y
알파사파이어
포켓몬 GO
기라티나
자신의 약함을 잘 알고 있기에 항상 무리를 지어 살고 있다. 혼자가 되면 요란하게 운다.
5세대
하트골드·소울실버
큰 그룹을 만들어 행동하는 습성이 있다. 그룹 간의 분쟁이 격하다.
X
오메가루비
[image] 398 찌르호크
디아루가
사나운 성격의 포켓몬이다. 자신보다도 몸이 큰 상대에게도 과감하게 도전한다.
펄기아
날개와 발의 근육이 강해 작은 포켓몬을 붙잡은 채로 너끈히 날 수 있다.
X
오메가루비
기라티나
자신의 몸이 상처를 입더라도 공격을 그만두지 않게 되었다. 볏의 모양을 신경 쓴다.
5세대
하트골드·소울실버
찌르호크가 되면 무리에서 떨어져 혼자서 살아간다. 강인한 날개를 가지고 있다.
Y
알파사파이어
포켓몬 GO


2. 개요


4세대에 추가된 포켓몬. 모티브는 분명 초반엔 찌르레기인데 막판에는 로 진화해 버린다. 게다가 머리의 리젠트를 연상시켜서 깡패의 이미지가 강해졌다. 이름의 유래는 찌르레기+hawk(매).
HGSS의 비상이 재대결에서 레벨 50짜리를 사용한다. 기술은 브레이브버드, 헤롱헤롱, 인파이트, 유턴#s-2.

3. 포획 및 스토리


스토리 진행 가능 작품
DPPt, XY, SM[섬스캔]
포지션
높은 물리공격과 스피드를 통한 물리 스위퍼, 공중날기 요원
장점
높은 물리공격과 스피드, 넓은 기술폭, 위협 특성, 쉬운 진화
이른 출현(DPPt), 적은 경쟁자(DP)
단점
낮은 특수 내구, 브레이브버드의 늦은 습득[4]
추천되는 도구
실크스카프, 예리한부리
보좌 가능한 스타팅 포켓몬
'''토대부기, 초염몽, 엠페르트''', 브리가론, 마폭시, 개굴닌자, '''모크나이퍼''', 어흥염, 누리레느
추천 기술배치
브레이브버드(필수)/은혜갚기#s-2 or 전광석화#s-2(필수)/인파이트(사실상 필수)/유턴#s-2, 강철날개 중 택 1
레벨 5에는 전광석화#s-2, 레벨 9에는 날개치기를 배우고 진화 레벨도 14, 34로 꽤 낮기 때문에 성장이 빠르다. 메인 웨폰으로는 은혜갚기와 4세대에 추가된 신기술 브레이브버드가 주로 채택되며 특히 브레이브버드를 자력으로 배울 수 있어서 리그전에서도 크게 활약할 수 있다.
하지만 위의 장점들은 여타 다른 초반 새 포켓몬에게도 거의 통용되는 부분이지만, 이후에 공중날기 요원 내지는 안습한 성능으로 도감 채우기용이 되어 버리는 피죤투, 깨비드릴조, 켄호로우 등의 초반 앞마당 비행 포켓몬들과는 그야말로 '''비교를 불허하는 성능을 보여준다.'''[5] 별명이 '''깡패새''', '''매느님'''이라 붙은 것도 스토리에서 독보적인 활약이 가능하기 때문에 붙은 것이다. 아머까오의 대선배격인 포켓몬.
우선 첫 번째 장점은 위협이라는 최상위급 특성. 찌르호크와 비교대상에 놓일 수 있는 포켓몬들이 다소 활용하기 힘든 특성들을 가지고 있을 때 대놓고 등장하면서 상대의 물리화력을 낮출 수 있다는 것은 매우 큰 장점이다. 스토리의 특성 상 교체가 자유로운 편인데 까다롭게 느껴질 수 있는 포켓몬 앞에서 찌르호크가 2번 이상 등장하면서 쉽게 돌파하는 전략도 수행 가능하기 때문.
또 하나는 찌르호크로 진화하자마자 자력으로 배우는 '''인파이트'''. 다른 노말/비행 포켓몬들의 기술폭이 좁아 노말과 비행 기술 외 배우는 기술이 거의 없을 때, 찌르호크는 대놓고 자속기를 반감하는 바위, 강철이나 약점인 얼음을 찌를 수 있는 기술을 그것도 자력으로 배울 수 있다. 특히 인파이트를 채용하는 시점에서는 스타팅 포켓몬 3마리의 약점을 모두 찌를 수 있기 때문에[6] 라이벌전에 대응하기도 좋으며 마침 진화하는 시점쯤 마주하게 될 강철 타입 체육관 또한 난이도가 급감한다.
견제폭을 보강하는 방법은 강철날개와 도둑질, 유턴 세 기술 중 하나를 배워 보강할 순 있지만 사실 큰 의미는 없다. 그나마 추천하자면 불리한 상황에 치고 빠질 수 있는 유턴.

3.1. 4세대



3.1.1. DPPt


스토리에서는 상대 포켓몬을 쓰러뜨린 다음에 턴 소모 없이 바로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스타팅과 찌르호크, 둘의 약점을 보완해 줄 포켓몬 한 마리만 있어도 거의 무적에 가깝다. 스피드도 제법 높고 공격도 원체 강하기 때문. 스토리에서 가장 쓰기 편한 고화력·고스핏 포켓몬의 정석이라고 할 수 있다. 토게키스의 경우 토게피친밀도 220 이상으로 진화, 토게틱은 빛의돌을 필요로 해서 복잡하고 제대로 써먹으려면 하트비늘을 부지런히 모아야 한다. 토게키스의 강함은 하늘의은총 특성에서 나오는데 의욕 특성이 나온다면 위상이 떨어진다. 개체치, 성격을 크게 신경 쓸 것 없는 스토리여도 토게키스를 쓰기에는 절차가 복잡하다. 경험치량은 그렇다쳐도 하트비늘, 진화의돌, 친밀도 진화 3가지가 필요하다.
역시 초반에 잡을 수 있는 잉어킹을 진화시킨 갸라도스와 함께라면 스토리 불도저가 아니라 스토리 디스트로이어가 되버리는데, 안그래도 4세대의 물리 특수 분리의 최대 수혜자로 메이저 반열에 오른데다 특성도 위협인 갸라도스와 함께 선두-2번째 포켓몬으로 두고 더블배틀을 하면 시작부터 위협을 통해서 상대 포켓몬의 공격력을 2랭크 다운 시키고 시작하는 말도 안되는 일도 레벨 20대 부터 가능하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초반에 잡히는 비행 포켓몬이 스타팅 포켓몬들보다도 높은 공격력을 지닌데다가 자속성 고위력 브레이브버드와 고위력 격투 견제기 인파이트를 자력으로 익힌다는 점은 스토리에서나 실전에서나 엄청난 차별화가 가능하다. 유채자두를 상성으로 발라버릴 수 있으며,[7] 레벨만 받쳐준다면 동관도 처리 가능.[8][9] 무청선공기 얼음뭉치만 조심하면 인파이트로 모조리 털어버릴 수 있다.[10][11] 사천왕전에서는 충호가 벌레 타입이라 핫삼과 드래피온을 제외한 나머지들을 브레이브버드로 잡아먹을 수 있고, 챔피언전에서는 난천 로즈레이드와 루카리오를 상대로 우위를 점할 수 있다.

3.1.2. HGSS


역시나 구할 수 있긴 한데 좀 찾기가 힘든 곳에 숨어 있다. 상록숲에서 나온 뒤 2번도로에서 회색시티로 들어가는 부분에서 정면으로 들어가지 않고 왼쪽의 나무-울타리 사이로 비집고 그대로 회색시티로 들어간 뒤 막다른 곳 바로 옆에 있는 나무에다가 박치기#s-2를 하면 찌르꼬가 나오기도 한다. 토게키스와 함께 4세대 포켓몬으로 깽판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다만, 포켓슬론 노가다를 통해 진화라도 시킬 수 있는 토게키스와는 달리, 찌르꼬를 잡을 시기에는 이미 스토리가 막바지에 접어들 시점이라 활약할 구석이 마땅치 않다.

3.2. 5세대


화이트 버전 한정으로 화이트포리스트에서 '카를로스'라는 백팩커가 거주하면 풀숲에서 찌르꼬를 잡을 수 있다. 그러나 엔딩 후에야 갈 수 있는 장소이기 때문에 여기서 잡은 찌르꼬를 스토리에 쓰는 것은 불가능하다.

3.3. 6세대


XY에서는 11번도로에서 찌르꼬[12]와 찌르버드를 모두 잡을 수 있다. 여담으로 두트리오와 스왈로도 등장하지만, 두트리오야 초반에 나오니 그렇다 치더라도 스왈로는 아예 밀려버리게 되었다. 강철날개 습득 시기가 아쉽지만 도둑질을 채용해 견제폭을 늘려 잘 키우면 다음 관장 2명이 모두 비행에 약점을 찔리는 격투 타입이므로 쉽게 클리어할 수 있다. 하지만 다음 체육관전기 타입이므로 주의.[13] 마슈고지카는 무난하고, 마지막 우르프는 얼음 타입이라 불리하겠지만 이 녀석에게는 인파이트가 있기 때문에 얼마든지 활약이 가능하다. 다만 눈설왕은 얼음뭉치를 배우고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사천왕전에서는 간피가 강철 타입이라 인파이트로 잡아낼 수 있...을 것 같지만 포켓몬 4마리 중 둘(클레피, 핫삼)이 격투에 1배에 하나는 아예 격투를 무효화시킨다. 그나마 대코파스는 격투에 4배이지만 특성이 옹골참(...) 그러나 챔피언전에서는 사천왕전과 별개로 활약이 쉬운데, 멤버 6마리 중 무려 4마리(루차불, 견고라스, 아마루르가, 펌킨인)가 이 녀석에게 약점을 찔리기 때문이다.[14]

3.4. 7세대


썬문에서는 매주 목요일 울라울라섬 10번도로에서 섬 스캔으로 찌르버드가 나온다. 하지만 다음 시련이 전기 타입이라 활약이 힘들고 그 다음은 고스트 타입이라 유리할지 모르지만 페어리에 1배를 받기 때문에 순삭당할 수도 있고 동료 부르기로 나오는 포켓몬은 최면술#s-3을 익히고 있어 더욱 힘들다.[15] 하지만 큰 시련나누와의 대결은 인파이트로 잡아낼 수 있고 그 후에 가는 에테르파라다이스에서 싸우는 벌레 전문 구즈마루자미네가 쓰는 드레디어이븐곰에게 유리하니 쓸 만하다. 그 다음 포니섬의 시련의 주인 포켓몬 짜랑고우거는 비행에 2배라 괴력몬 라이드와 비행Z를 얻고 위력 190짜리 파이널다이브클래시를 사용하면 1타가 나니 더 유리하다. 그 후 루자미네와의 2차전에서는 상술한 대전과 비슷하지만 능력치가 업되어 잘못하면 당할 수 있으니 주의. 포켓몬리그에서 할라는 격투 타입이라 한 끼 식사고 라이치는 바위 타입이라 인파이트 덕에 발악이 가능...하지만 소유하고 있는 포켓몬 5마리 중 2마리가 옹골참 특성인 데다가 1마리는 격투에 1배 데미지를 받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아세로라카일리는 무난하다. 게다가 도둑질은 초반에, 강철날개와 유턴은 말리에시티에서 얻을 수 있어 견제폭 보강도 쉽다.
울트라썬문에서는 썬문에서 gts 등록용 찌르꼬를 보내와서 찌르꼬부터 키워도, 켄타로스만 타면 비행Z를 바로 얻을 수 있어서 찌르호크가 강해지는 타이밍이 더 빨라졌다. 울라울라섬에서 얻고서 잡은 직후만 조심하면 나누 이후의 스토리가 훨씬 쉬워지는 해결사 포지션. 스피드도 100이라 스피드 80짜리도 빠르다고 평가받는 7세대에서는 웬만하면 선공할 수 있다. 다만 섬 스캔에서는 빠졌다.
또한 의외로 포획 요원, 그중에서도 카푸나비나의 포획 요원 중 하나로 쓰일 수 있는데 목숨걸기를 배운다는 점에서 HP 개체치가 반드시 V이고 스피드에 V가 붙으면 안 되는 잠재파워-불꽃 개체를 뽑아내기 위해 HP와 스피드 실수치를 카푸나비나보다 1 낮추고 선 목숨걸기를 통해 쉽게 노가다를 할 수 있다는 게 연구되어 주목받고 있다.

3.5.


시리즈 최초로 지방도감에 없는 기존 포켓몬은 게임 내에 존재가 불가능하도록 정책이 바뀐 소드ㆍ실드에서는, 수많은 4세대 포켓몬이 나올수 없게 되었는데, 찌르호크 역시 금지 대상이 되었다. 2회에 걸친 DLC에서도 출현이 불발되었다. 만약 나왔다면 어쨌거나 자속 다이제트를 쓸 수 있어[16] 어느정도의 실전가치는 확보했을 것을 생각하면 더더욱 아쉽다.

4. 대전


'''본격 새포켓몬계의 핵폭탄.''' 내구를 포기하고 높은 스핏으로 상대에게 폭딜을 선사하는 원조 자살새다. 지금은 파이어로가 자살새로 불리고 있지만, 사실 자살새란 이름은 6세대 이전부터 있었고 그 주인공이 바로 찌르호크였다.
종족치 총합으로 보자면 다른 새들과 큰 차이가 없고 딱히 내세울 것도 없지만, '''분배가 매우 깔끔하게 되어 있다.''' 쓸 일도 없는 특수공격은 내다 버린 덕분에 공격은 비전설 노말 타입 7위, 비행 타입 10위[17]나 되고 스토리 초반에 입수할 수 있는 비행 포켓몬들 중 왕큰부리와 함께 가장 높다. 스피드도 제법 높아서 종족치 합계로만 볼 때 찌르호크보다 겨우 6 낮은 피죤투가 두트리오보다 종족값 총합이 높지만 죄다 애매한 것과 비교된다. 종족치의 한계는 어쩔 수가 없는지 특수방어는 포기하면 편한 수준이고 방어도 조금 나은 수준에 불과하다. 내구는 거의 보정하지 않고 주력기들이 반동 데미지나 방어/특수방어 하락 등의 리스크가 큰 탓에 2배기는 물론 좀 센 자속 고위력기에도 사경을 헤멘다.
습득 가능한 기술을 보면 그저 입이 벌어진다. 브레이브버드 외에도 토게틱과 토게키스에게서 유전기이판사판태클을 배울 수 있다. 상술했다시피 새면서도 '''인파이트'''를 배운다는 점이 이 포켓몬의 최대 차별점. 찌르호크의 약점을 찌르는 얼음과 바위, 노말/비행을 모두 반감하는 강철 타입 포켓몬들을 견제를 넘어 아예 역관광까지 시켜줄 수 있다. 보통 채용되는 기술에는 자속을 살린 이판사판태클과 브레이브버드, 훌륭한 견제기 인파이트가 있으며, 나머지 하나는 내구가 약한 상대를 노릴 은혜갚기#s-2나 자속 선공기 전광석화, 또는 위협 특성과 궁합이 잘 맞는 유턴 등이 들어간다. 노말/비행 카테고리에 속한 포켓몬답게 기술폭이 상당히 좁은 편이긴 하지만, 상술한 저 3개가 거의 필수로 들어가서 플레이어가 선택해서 가르칠 만한 기술은 1개밖에 없기에 별다른 문제가 되지 않는다.
비전설 비행 타입 중 브레이브버드로 낼 수 있는 화력이 근성 스왈로, 돈크로우에 이어 3위였다가 5세대에서 숨겨진 특성 이판사판이 추가됨으로써 1위가 되었다.
신 특성 이판사판은 이판사판태클과 브레이브버드의 화력을 한층 더 높여준다. 주력기 2개의 위력을 모두 높여주기 때문에 화력이 엄청나게 올라간다.[18] 다만 반동 피해도 자폭 수준으로 올라가므로 '''네가 내 브레이브버드를 맞고도 살아있으면 그때는 내가 죽겠지''' 하는 마음가짐으로 싸워야 한다. 물론 위협도 좋은 특성이지만, 한방 화력에 치중하는 찌르호크의 특성상 압도적인 결정력을 자랑하는 이판사판을 버리긴 힘들다. 따라서 보통 싱글에서는 이판사판, 더블/트리플에서는 위협이 채용된다.
5세대에 새로 추가된 워글과는 여러모로 비교된다. 워글은 스피드를 제외한 모든 종족치가 찌르호크보다 더 높지만, 공격 차이는 겨우 3 정도 뿐인데 스피드는 20이나 낮다. 거기에 싱글이라면 찌르호크는 대부분 이판사판 특성을 채용하기 때문에 화력마저도 밀리고, 더블/트리플로 가도 찌르호크에게는 이판사판 말고도 위협이 있기 때문에 실질 물리내구도 약간 떨어진다. 거기에 워글은 채용할 만한 노말 타입 고위력기가 은혜갚기와 난동부리기, 우격다짐 보정을 받는 브레이크크루 정도 뿐이다. 즉, 이판사판태클을 배울 수 없다. 그나마 위력이 가장 높은 난동부리기 역시 2~3턴 동안 다른 기술을 쓸 수가 없고 교체도 불가능한 데다가, 사용 후에 혼란에 빠져 버린다. 차라리 반동 피해 한 번 받고 끝나는 이판사판태클이 더 낫다. 또 바위/강철 타입에 대한 견제도 불안정한데, 인파이트를 못 배우고 부담 없이 내지르기 힘든 엄청난힘으로 때워야 하기 때문. 간단히 말하면, 찌르호크는 워글에 비해 화력, 스피드, 기술배치, 특성 면에서 모두 우위에 있지만 내구는 워글에 비해 밀린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주력기가 반동기인 데다가 견제기조차 방어 하락이라는 디메리트가 있는 초반 새 포켓몬들은 내구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내구가 높으면 자신보다 빠른 상대를 만났을 때 버티기가 수월해지지만 그럴 바에야 차라리 높은 스피드로 선공을 하는 것이 낫다.
근성조 스왈로와 비교할 때는 서로 일장일단이 있는데, 일단 기본 화력은 찌르호크가 35나 높지만 스피드는 25 낮다. 또 도구가 맹독/화염구슬로 고정되는 스왈로에 비해 찌르호크는 구애머리띠, 생명의구슬 등 아이템을 다양하게 고를 수 있다. 게다가 스왈로는 바위/강철 타입 견제기가 기사회생#s-2이나 강철날개 정도 뿐이지만 찌르호크에게는 인파이트라는 위엄 넘치는 기술이 있다. 대신 스피드가 스왈로보다 훨씬 느리다. 또 찌르호크가 내구가 좀 더 높지만 상술했다시피 내구 비교는 별 의미가 없다.
6세대에서 특수방어 종족치가 10 올랐지만,애초에 내구는 포기하고 써먹는 포켓몬이라 딱히 눈에 띄지 않는 편. 게다가 버드 미사일킬가르도라는 두 천적이 등장하게 되었다. 고집+A252+구애머리띠 파이어로가 결정력 39420의 브레이브버드를 날리면 H4 찌르호크가 확정 1타로 쓰러지는 데다가, 찌르호크 쪽에서는 구애스카프 달고 전광석화를 쓰지 않는 이상 무슨 수를 써도 파이어로의 브레이브버드보다 먼저 행동할 수 없으므로 파이어로와의 전면전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킬가르도 역시 강철 타입이면서 인파이트가 통하지 않기 때문에 제대로 피해를 줄 수가 없어 그냥 교체해야 한다. 다만 파이어로의 경우 7세대에서 심각한 너프를 먹어서 배틀에 전혀 나오지 않게 되었기 때문에 신경 쓸 필요가 없어졌다.
이러니저러니 해도 강력한 비행 포켓몬임에는 반론의 여지가 없다. 찌르호크 올킬 영상 높은 공격 종족치와 높은 위력의 주력기, 거기에 화력을 보강하는 특성이 서로 맞물려 화력이 매우 높은데, 거기에 스피드도 준수하고 S급 견제기 인파이트까지 배우니 상당히 강력한 새 포켓몬이 탄생한 것. 다만 기술 하나하나가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이고, 운용조차 단기간 화력에 치중되어 있기에 위협을 채용한다고 해도 찌르호크의 내구를 생각하면 장기전을 유도하는 건 무리가 있다. 위협적인 상대를 대상으로 동귀어진을 하거나 한두방 맞고 죽을 걸 각오하고 공격을 내지르고 튀는 게 주 전법. 그리고 저내구 고화력 어태커들이 흔히 그렇듯 찌르호크보다 빠른 카푸꼬꼬꼭이나 포푸니라 같은 고스핏 포켓몬들이 나오면 아무것도 못하고 볼로 돌아가야 한다. 이 때문에 구애스카프를 달아 스피드를 보완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19] 또 찌르호크보다 빨리 약점을 찌르는 포켓몬 말고도 야도란이나 무장조, 울퉁불퉁멧 크레세리아 내지 하마돈같이 물리내구가 높은 막이형 포켓몬 역시 주의 대상이다. 약점을 찌를 수 있으면 좀 나아도, 그렇지 않은 경우 오히려 밀리기 쉽다.
7세대 기준으로 이판사판 특성에 이판사판태클을 알고 있는 찌르꼬를 얻는 방법은 딱 한 가지뿐으로, 많고 많은 교배 포켓몬 중 어려운 입수 경로를 자랑한다. 일단 이판사판 특성의 경우 XY에서 무리배틀로 등장하는 찌르버드 중에 낮은 확률로 이판사판 특성이 섞여서 나온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이판사판태클도 오직 토게틱에게서만 유전시킬 수 있다. 게다가 이렇게 부화시킨 토게피를 친밀도가 최대가 될 때까지 키워서 진화시키고, 하트비늘로 이판사판태클을 되살리는 과정까지 거쳐야만 비로소 상기한 조건의 찌르꼬를 부화시킬 수 있는 환경이 갖추어진다.

4.1. 목숨걸기


비전설 목숨걸기 사용자 중 HP가 제일 높다는 점을 이용해서 아예 성격을 명랑으로 맞춘 후 HS252+구애스카프로 목숨걸기를 주축으로 하는 찌르호크도 가끔 있다.[20] H252 기준 실수치는 192로, 이 형태의 장점은 원래부터 공격 종족값과 기술의 위력이 높으므로 공격에 보정하지 않아도 원래 유리한 적에겐 그럭저럭 싸울 수 있다는 점과 휘석럭키 같은 극단적인 경우가 아니라면 메가보만다+위협처럼 일반적으로는 절대로 혼자 못 잡을 상대를 끌고 갈 수 있다는 점이 꼽힌다. 럭키에 인파이트가 꽂히며 HP 보정한 글라이온이나 무장조[21]도 목숨걸기로 잡을 수 있다. 다만 확정 1타였던 적이 확정 1타가 안 나오는 경우가 많으며 찌르호크가 원체 반동기가 많은 데다가 대폭발과는 다르게 목숨걸기 자체가 잘해야 1:1 교환인 점을 고려하면 장점보단 단점이 더 많다.
다음은 레이팅 배틀에 출전 가능한 포켓몬 중 목숨걸기로 확정 1타가 가능/불가능한 포켓몬 목록이다. 진화의휘석을 끼고 실전성이 있는 포켓몬을 제외한 최종진화형만 기재하였다. 괄호 안의 수치는 HP 종족치이다. 18년 2월 3일 기준으로 1:1에서 사용률 1% 이상인 포켓몬은 '''볼드체'''로 표시하였다.

4.1.1. 확정 1타가 불가능한 포켓몬


  • 럭키(250) - 해피너스(255)
  • 악식킹(223)
  • 마자용(190)
  • 고래왕(170)
  • 맘복치(165)
  • 잠만보(160)
  • 게을킹, 둥실라이드(150)
  • 하리뭉(144)
  • 푸크린(140)
  • 라프라스, 샤미드(130)
  • 랜턴(125)
  • 고고트, 아마루르가(123)
  • 던지미, 이븐곰, 크레세리아(120)
  • 고스트 타입, 옹골참 특성 포켓몬 및 기합의띠 소지 포켓몬

4.1.2. HP 노력치에 따라 확정 1타가 갈리는 포켓몬


여기의 포켓몬은 HP 노력치에 따라 확정 1타 여부가 갈린다. 가령 한카리아스처럼 HP에 투자를 거의 하지 않는 포켓몬은 확정 1타이지만 하마돈처럼 투자를 많이 하는 포켓몬은 확정 1타가 나지 않는다.
  • 몽얌나(116)
  • 앤테이, 거대코뿌리(115)
  • 뽀록나(114)
  • 트리토돈(111)
  • 메깅, 씨카이저, 내룸벨트, 레지기가스, 염무왕, 란쿨루스, 버랜지나, 몰드류, 맘모꾸리(110)
  • 메더, 텅비드(109)
  • (메가)한카리아스, 하마돈(108)
  • 매시붕(107)
  • 두빅굴, 노보청, 불비달마, (알로라)질뻐기, (메가)캥카(105)
  • 폭음룡(104)
  • (메가)다부니, 스컹탱크(103)
  • 프레프티르(101)
  • 꿀꺽몬, 시라칸, 돈크로우, 덩쿠림보, 탱탱겔, 워글, 야부엉, 노고치, 내던숭이, 만마드, 스이쿤, 마릴리, (메가)마기라스, (메가)대짱이(100)
  • 트로피우스(99)
  • 램펄드, 모단단게, 철화구야(97)
  • (알로라)나시, 누오, 야도킹, 밀탱크, 밀로틱, 토대부기, 악비아르, 툰베어, 버프론, 부란다, 크레베이스, 어흥염, 실버디, 님피아, 픽시, 블래키, (메가)갸라도스, (메가)야도란, (메가)보만다(95)
  • 삼삼드래(92)
  • 망나뇽, 히드런(91)
  • 니드퀸, 윈디, 강챙이, 괴력몬, 쥬레곤, 프리져, 파이어, 그랑블루, 링곰, 코리갑, 라이코, 다탱구, 루나톤, 솔록, 미끄래곤, 하랑우탄, (메가)눈설왕, (메가)전룡, 왕구리, 썬더(90)
  • 랜드로스(89)
  • 형사구스, 브리가론(88)
  • 릴리요, 메가자리, 화염레오, 칼라마네로(86)

5. 포켓몬 GO


2018년 10월 17일, 4세대 포켓몬 업데이트로 모부기, 불꽃숭이, 팽도리, 귀뚤뚜기, 꼬링크, 이어롤 등과 함께 공개되었다.
최대 CP는 무려 2825로 본가에서와 마찬가지로 흔히 출몰하나 다른 새 포켓몬들 따위와는 감히 비교를 할 수 없는 강자. 특히 공격 종족값이 234나 되어서 화력 하나는 끝내준다. 물론 망나뇽이나 보만다 같은 비행 타입 드래곤들과 완전히 대등하진 않지만 육성이 드래곤들보다 비교도 안되게 쉽다.
퀵 무브는 전광석화, 날개치기를 배우고 차지 무브는 브레이브버드, 열풍#s-2.1, 인파이트를 배운다. 찌르호크의 정체성이나 다름없었던 인파이트가 역시 돋보이는 구성. 인파이트와 브레이브버드를 모두 써서 풀/격투/벌레 타입을 비롯해 얼음/바위/강철 타입에게도 대응 가능하다. 2번째 기술 해방에 드는 별의모래는 10,000개, 사탕은 25개로 자기보다 최대 CP가 낮은 포켓몬들보다 해방에 드는 비용이 적다는 것도 큰 장점. 브레이브버드의 위력이 130으로 오르면서 상당한 상향을 받았는데 하이퍼리그에서 찌르호크의 브레이브버드 한방이면 보만다나 망나뇽이 한번에 쓰러지는 일도 종종 있다. 잘 버텨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있으나 인파이트로 딱구리나 마기라스, 자포코일 등을 잡아낼 수 있고 메타그로스에게도 어느 정도 대들어볼 수 있다. 열풍은 자속도 아닌데다 인파이트에 비해 약해 무조건 지뢰 취급한다.
퀵 무브의 경우 강철날개를 배우지 않는 대신 두 기술 모두 자속을 받고 DPS도 완전히 똑같으니 취향에 따라 선택하면 된다. 에너지 차지는 전광석화가 조금 더 우월하지만, 날개치기의 비행 타입 통일의 이점도 무시할 수는 없으니.

6. 기타


포켓몬스터 DP에서 한지우가 첫 번째로 잡은 포켓몬으로 등장한다. 역할은 다른 새들과 마찬가지로 정찰병.
5세대까지만 해도 도감설명을 반영한 건지 울음소리가 '''굉장히 높고 시끄러웠다.''' 직접 들어보자. 다행히 6세대에선 약간 조용하게 수정되었다. 꽤나 요란한 울음소리 때문에 6세대 신기술 폭음파를 배울 거 같은데 엉뚱하게 스왈로가 배운다.
도감설명에 사나운 성격을 가졌다고 나오고, 깡패 이미지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난동부리기를 못 배운다. 물론 이 기술 역시 특성 보정을 받는 이판사판태클에 밀려 사용되지 않았을 터이니 아쉬울 건 없다.

2020 POTY 총선거에서 신오 부문 16위를 기록했다.

[1] 선두에 둘 경우 해당 포켓몬보다 레벨이 낮은 야생 포켓몬과 조우할 확률을 낮춘다. 난입배틀의 확률을 높이는 효과도 있다.[2] 5세대까지는 50[3] 5세대까지는 475[섬스캔] [4] 49 레벨이 돼서야 브레이브버드를 배우기 때문에 그 전까지는 제비반환 같은 저위력 비행타입 기술로 버텨야 한다. 찌르호크의 공격력이 높고 레벨업도 쉽긴 하지만 50 레벨 가까이 돼서야 고위력 자속 자력기를 배우는건 확실히 버겁다고 느낄 수 있다.[5] 1세대 피죤투, 깨비드릴조, 2세대 야부엉, 3세대 패리퍼, 스왈로, 5세대 '''켄호로우'''의 경우 스토리에서 키우기엔 능력치나 기술폭에 하자가 있어 상위 포켓몬으로 갈아치우는 경우가 많아진다.[6] 단 엠페르트는 높은 내구 때문에 레벨 차이가 크지 않다면 인파이트 확정 1타가 안 날수도 있으므로 주의. 비자속이라지만 냉동빔에 잘못 맞는다면 종이비행기인 찌르호크는 한방에 갈 수도 있다.[7] 자두의 에이스 루카리오는 격투/강철이라 비행 타입을 1배만 받지만 찌르호크로 진화시켜 인파이트를 배운다면 레벨빨과 상성으로 쉽게 이길 수 있다.[8] 단, DP의 경우 격투에 1배의 피해를 받는 동미러는 주의. 동관의 에이스 바리톱스는 인파이트에 4배이기에 레벨차가 꽤 나지 않는 이상 확정 1타로 쓰러트릴 수 있다. 또 강철톤은 방어력이 미치도록 높아 인파이트 1방을 버틸 가능성이 크므로 자속으로 약점을 찌를 수 있는 스타팅 포켓몬을 데려가자.[9] 라고는 해도 4세대의 스타팅은 전부 동관의 강철톤을 털어버릴 수 있다. 강철톤은 강철/땅 타입인데 초염몽은 불과 격투, 토대부기는 땅, 엠페르트는 물을 쓰면 효과가 2배다.[10] 참고로 얼음뭉치는 DP에서는 눈쓰개가, Pt에서는 포푸니가 배우고 있다.[11] DP에서는 포푸니는 인파이트로 박살낼 수 있고, 눈쓰개, 눈설왕은 자속 비행 타입 기술이나 인파이트로, 요가램도 비행에 2배이기 때문에 쉽게 쓰러뜨릴 수 있지만, Pt에서는 고스트 타입도 겸하고 있어서 인파이트가 효과가 없는 눈여아를 데리고 있으니 주의.[12] 무리배틀로 나온다.[13] 하지만 시트론이 쓰는 포켓몬들 중 레어코일일레도리자드가 모두 인파이트에 약점을 찔리므로 그럭저럭 활약할 순 있긴 하다. [14] 다만 견고라스는 물리내구가 높아서 레벨 차가 크지 않다면 인파이트 한 방을 버티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15] 썬문에서는 찌르호크도 좋지만 스킬링크 왕큰부리가 더 나을 수 있다. 스토리 내내 옹골참이 정말 지긋지긋하다 못해 미쳐 돌아버릴 정도로 많이 나오고, 격투타입 기술은 약하지만 자속 비행타입 주력기+기관총+락블레스트의 힘으로 강철타입을 제외한 거의 모든 적을 상대로 이길 수 있다. 특히 비접촉으로 갈기는 락블레스트와 기관총은 스토리 한정으로 저세상 꿀 기술.[16] 단 숨특 이판사판과 다이맥스의 궁합은 그다지 좋지 않다.[17] 메가진화를 제외하면 노말 타입 5위, 비행 타입 7위[18] A252+이판사판 기준으로, 고집+구애머리띠는 '''61236''', 명랑+구애머리띠는 '''55728''', 고집+생명의구슬은 '''53071''', 명랑+생명의구슬은 '''48297'''이라는 결정력이 나온다. 화력만 보면 얼추 구애안경 라티오스 급. 이 정도면 어지간한 1배 막이들도 2타 내로 정리할 수 있는 수준이다.[19] 이 경우, 성격을 고집으로 맞춘다면 특성 보정 받는 이판사판태클로 H4 카푸꼬꼬꼭을 확정 1타로 보낼 수 있다.[20] 전체 포켓몬으로 따지면 환상의 포켓몬 비크티니가 제일 높다. 레벨 50에서 H252 기준 207.[21] 이쪽은 옹골참 때문에 HP가 1 남긴 하지만 그 시점에서 이미 막이 역할로서는 제 구실을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