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동양 기병은 칼기병, 창기병, 궁기병이 골고루 섞여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4성 기병부터는 4품 몽골마를 요구한다. 5성인 관녕 철기병은 해금하기까지 소모되는 전공이 많기로 악명이 높다.
1.1. 양주 표기장군
- 상세 정보
'''[image]'''
|
'''2성'''
| '''양주 표기장군'''
|
'''1레벨 기준 성능'''
| '''최고 레벨'''
| 14
|
'''요구 통솔도'''
| '''115'''
| 인원
| 18
|
원기(생명력)
| 5627
| 이동속도
| 10.3
|
채집 능력
| 2.30
| 사거리 및 탄약
| . / .
|
'''공격 능력'''
|
찌르기 관통력 / 피해량
| 660 / 606
|
절단 관통력 / 피해량
| 1193 / 834
|
타격 충격력 / 피해량
| 0 / 0
|
'''방어 능력'''
|
찌르기 방어
| 163
|
절단 방어
| 224
|
타격 방어
| 104
|
'''진형'''
|
'''완화 방진'''
| 병사가 완화 방진을 갖추어 집중 공격을 피합니다
|
'''장사진'''
| 병사가 두 줄로 교차해 서서 면대면 공격에 유리합니다.
|
'''사용 가능한 스킬(병종의 액티브 스킬)'''
|
'''없음'''
|
'''부대 특성(병종 패시브)'''
|
빠른 기동성
| 이동 속도가 비교적 빠르다.
|
'''레벨 특전 효과'''
|
(윗트리) '''설형진''' 습득, 이동속도 10% 증가, '''돌격''' 스킬 습득, 돌격피해 21% 증가
| (엘리트) 돌격 피해 22% 증가
|
(아랫트리) '''부대 편제 인원수 3명 증가''', 부대 보충 및 군량 소모 20% 감소
| (엘리트) 필드전 시 피해 5% 증가
|
가성비가 좋은 2성 칼기병.
칼기병이기에 기동성과 반응속도가 우수하다. 전투력 자체는 빈약하고 내구성도 낮지만 돌격력은 3성까지의 유닛들을 상대하기에 충분한 수준이며, 2품 군마는 승마장에서 말을 채집하면 대량으로 쏟아지기 때문에 군복 걱정 없이 쉽게 내던질 수 있다.
통솔이 115밖에 먹지 않기 때문에 공방에서 쉽게 쓸 수 있다. 특히 막거점 때는 5성이고 4성이고 일단 거점으로 급하게 달려가며 병력 컨트롤을 하지 않는 장군들이 있다. 이를 노린다면 양주로도 4성, 5성에게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단점은 레벨을 올리고 특성을 찍기 전까지는 돌격 스킬이 없다는 점. 최소한 돌격을 배워야만 기병다운 운용을 기대할 수 있다.
윗트리가 필수적이다. 돌진 스킬이 없는채로 시작하기 때문에 반드시 윗트리를 타도록 하자.
1.2. 고밀 궁마대
- 상세 정보
'''[image]'''
|
'''2성'''
| '''고밀 궁마대'''
|
'''1레벨 기준 성능'''
| '''최고 레벨'''
| 14
|
'''요구 통솔도'''
| '''105'''
| 인원
| 18
|
원기(생명력)
| 3973
| 이동속도
| 7.5
|
채집 능력
| 2.30
| 사거리 및 탄약
| 50 / 600
|
'''공격 능력'''
|
찌르기 관통력 / 피해량
| 1076 / 1351
|
절단 관통력 / 피해량
| 858 / 725
|
타격 충격력 / 피해량
| 0 / 0
|
'''방어 능력'''
|
찌르기 방어
| 113
|
절단 방어
| 137
|
타격 방어
| 137
|
'''진형'''
|
'''완화 방진'''
| 병사가 완화 방진을 갖추어 집중 공격을 피합니다
|
'''학익진'''
| 병사가 학의 날개같이 펼쳐지며, 정렬하며 전방 집중 공격에 유리합니다.
|
'''사용 가능한 스킬(병종의 액티브 스킬)'''
|
'''없음'''
|
'''부대 특성(병종 패시브)'''
|
기동 유격
| 자신의 높은 기동성을 이용해 유격으로 적을 방해하는 것에 능하다.
|
빠른 기동성
| 이동 속도가 비교적 빠르다.
|
'''레벨 특전 효과'''
|
(윗트리) '''이동 속도가 비교적 낮을 시 사격 정확도 50% 증가''', 이동 속도가 비교적 높을 시 사격 속도 20% 증가, 탄약량 20% 증가, '''일제 사격''' 스킬 습득
| (엘리트) '''부대 편제 인원수 2명 증가'''
|
(아랫트리) '''부대 편제 인원수 4명 증가''', '''이동 속도 높을 경우 자유 공격 시 목표와 유지하는 거리 증가'''
| (엘리트) '''필드전 시 피해 5% 증가'''
|
병서 트리의 단 하나뿐인 궁기병이자, 1시즌의 걸안 바투루와 함께 단 둘뿐인 궁기병이다(...)
궁기병답게 빠르게 달리면서 자유 사격을 가할 수 있어 근접 병사들을 농락하는 스커미싱이 가능하다.
하지만 기병이라서 머릿수가 적고 몸집이 큰데 맷집은 약하다보니 사격 보병의 견제로부터 매우 취약하며, 화자도 평범한 사격 보병들에 비해 떨어지고 돌격 스킬도 없어서 눈에 띄는 활약을 하지 못한다.
1.3. 정원 패도 기병
- 상세 정보
'''[image]'''
|
'''4성'''
| '''정원 패도 기병'''
|
'''1레벨 기준 성능'''
| '''최고 레벨'''
| 18
|
'''요구 통솔도'''
| '''260'''
| 인원
| 16
|
원기(생명력)
| 6565
| 이동속도
| 10.3
|
채집 능력
| 1.79
| 사거리 및 탄약
| . / .
|
'''공격 능력'''
|
찌르기 관통력 / 피해량
| 1404 / 618
|
절단 관통력 / 피해량
| 1482 / 1136
|
타격 충격력 / 피해량
| 0 / 0
|
'''방어 능력'''
|
찌르기 방어
| 295
|
절단 방어
| 369
|
타격 방어
| 144
|
'''진형'''
|
'''완화 방진'''
| 병사가 완화 방진을 갖추어 집중 공격을 피합니다
|
'''장사진'''
| 병사가 두 줄로 교차해 서서 면대면 공격에 유리합니다.
|
'''설형진'''
| 병사가 삼각형으로 정렬하여 돌격에 유리합니다. 해당 진형을 갖춘 부대의 돌격 능력은 대폭 상승합니다.
|
'''사용 가능한 스킬(병종의 액티브 스킬)'''
|
'''돌격'''
| 경기병이 지정 지점에 돌격하여 도중에 만난 적군을 공격합니다.
|
'''부대 특성(병종 패시브)'''
|
자유 왕래
| 말의 힘으로 보병의 포위를 뚫고 진형을 재정비해 재돌격하는 것에 능하다.
|
욕화의 전투
| 강인한 의지로 화염에 저항해 받는 화염 피해를 감소시킨다.
|
화염 방어 갑옷
| 화염 방어 갑옷을 입을 시 같은 등급의 부대와는 다르게 불에 잘 타지 않습니다.
|
'''레벨 특전 효과'''
|
(윗트리) 포위 돌파 피해 21% 증가, 포위 돌파 쿨타임 18%, '''포위 돌파 시 작용 가능한 적군 인원수 1명 증가''', '''포위 돌파로 장수 경직 가능'''
| (엘리트) '''입히는 피해 5% 감소''', '''보병에 입히는 피해 15% 증가'''
|
(아랫트리) HP 9% 증가, '''기병류 적군이 입히는 피해 20% 감소''', '''부대 편제 인원수 2명 증가'''
| (엘리트) '''보병 유형 적군이 입히는 피해 20% 감소'''
|
동양 계열의 4성 칼기병.
양주 표기장군의 강화판으로 4성이니만큼 스펙이 좀 더 좋아졌다.
칼기병다운 기동성과 전투력을 보여주지만 돌격 돌파력과 제압력은 칼기병답게 비슷하다. 특이하게 '''돌격 시 끊김이 거의 없는 칼기병''' 중 하나이고, 돌진 후 남은 잔병들을 xv컨트롤을 통해 확실하게 정리해줄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언제나 4성 기병들은 말 때문에(...) 가성비가 떨어져 잘 사용되지 않으며, 정원 패도 기병 또한 예외는 아니다.
1.4. 유림 표기장군영
- 상세 정보
'''[image]'''
|
'''4.5성'''
| '''유림 표기장군영'''
|
'''1레벨 기준 성능'''
| '''최고 레벨'''
| 20
|
'''요구 통솔도'''
| '''270'''
| 인원
| 18
|
원기(생명력)
| 7029
| 이동속도
| 7.5
|
채집 능력
| 2.02
| 사거리 및 탄약
| . / .
|
'''공격 능력'''
|
찌르기 관통력 / 피해량
| 1378 / 828
|
절단 관통력 / 피해량
| 1074 / 644
|
타격 충격력 / 피해량
| 0 / 0
|
'''방어 능력'''
|
찌르기 방어
| 409
|
절단 방어
| 451
|
타격 방어
| 221
|
'''진형'''
|
'''완화 방진'''
| 병사가 완화 방진을 갖추어 집중 공격을 피합니다
|
'''장사진'''
| 병사가 두 줄로 교차해 서서 면대면 공격에 유리합니다.
|
'''설형진'''
| 병사가 삼각형으로 정렬하여 돌격에 유리합니다. 해당 진형을 갖춘 부대의 돌격 능력은 대폭 상승합니다.
|
'''사용 가능한 스킬(병종의 액티브 스킬)'''
|
'''돌격'''
| 중기병이 목표 지점을 향해 돌격하고 도중에 만나는 적군을 쳐부숩니다.
|
'''부대 특성(병종 패시브)'''
|
혈전 기병
| 돌격 외에도 무기를 사용하여 적과 육탄전을 벌일 수 있는 기병이다.
|
근거리 돌격
| 돌격 거리가 비교적 짧으며, 지속 시간이 짧다.
|
화기 방어
| 화승총 병종류에 대한 저항성이 높다.
|
'''레벨 특전 효과'''
|
(윗트리) 돌격 지속 시간 4초 증가, 돌격 쿨타임 6초감소, 돌격 피해 14% 증가, 보병에 입히는 피해 15% 증가, '''나를 따르라''' 스킬 습득
| (엘리트) '''돌격 시 받는 원거리 피해 30% 감소'''
|
(아랫트리) 받는 원거리 피해 20% 감소, 찌르기 및 절단 방어도 6% 증가, 화승총에 입는 피해 20% 감소
| (엘리트) '''최대 공격 목표 수 1 증가'''
|
동양 계열의 4성 창기병.
두정갑 스타일의 마갑을 착용했는데, 원정대 교관 난이도에서 익히 봤을 모습이다. 성능은 무난한 스펙의 4성 창기병으로 기동성과 돌격력이 준수하지만, 돌격거리가 다소 짧다는 단점이 있다. 스킬트리는 전체적으로 원거리 저항 및 화승총 저항에 특징을 두고 있어서 다른 기병들에 비해 높은 방어력을 무기로 사격병과 전담 킬러로도 고려할 수 있다.
4성 기병들은 보라말을 먹기 때문에 가성비가 떨어져 잘 사용되지 않으며, 유림 표기장군영도 예외는 아니다.
1.5. 관녕 철기병
- 상세 정보
'''[image]'''
|
'''5성'''
| '''관녕 철기병'''
|
'''1레벨 기준 성능'''
| '''최고 레벨'''
| 30
|
'''요구 통솔도'''
| '''320'''
| 인원
| 16
|
원기(생명력)
| 8629
| 이동속도
| 7.5
|
채집 능력
| 1.54
| 사거리 및 탄약
| . / .
|
'''공격 능력'''
|
찌르기 관통력 / 피해량
| 2730 / 1681
|
절단 관통력 / 피해량
| 0 / 332
|
타격 충격력 / 피해량
| 1554 / 1184
|
'''방어 능력'''
|
찌르기 방어
| 452
|
절단 방어
| 577
|
타격 방어
| 422
|
'''진형'''
|
'''완화 방진'''
| 병사가 완화 방진을 갖추어 집중 공격을 피합니다
|
'''구형진'''
| 갈고리 모양으로 펼치고 입구가 전방을 향해 있어 돌격하여 제압하기 유리합니다.
|
'''충시진'''
| 병사가 밀집한 직사각형 진형을 이루고 전선면이 비교적 좁아, 비좁은 지역에서 돌격하기 유리합니다.
|
'''사용 가능한 스킬(병종의 액티브 스킬)'''
|
'''돌격'''
| 지정 지점에 돌격을 하여 적군 진영 앞에서 삼안총으로 일제 사격을 하고 진형을 뚫습니다.
|
'''부대 특성(병종 패시브)'''
|
ㅁㅁㅁㅁ
| 패시브 설명 1
|
ㅁㅁㅁㅁ
| 패시브 설명 2
|
ㅁㅁㅁㅁ
| 패시브 설명 2
|
'''레벨 특전 효과'''
|
(윗트리) 보병에 입히는 피해 10% 증가, 공격 강도+30[1], '''공격 시 일정 확률로 적 넉아웃''', '''최대 공격 목표 수 1명 증가'''
| (엘리트) '''타격피해 8% 증가'''
|
(아랫트리) 기병에게 입히는 피해 10% 증가, 원거리 피해 30% 증가, '''사격으로 적군 부대 경직''', 사격 속도 18% 증가, 사거리 8% 증가, '''사격 시 부대 넉아웃 가능'''
| (엘리트) '''찌르기 관통도 10% 증가'''
|
둔기인 동시에 총기로도 쓰이는 삼안총을 다루는 중기병.
말과 병사 모두 중갑을 입어서 상당히 튼튼하며, 중거리에서는 삼안총으로 관통력이 높은 사격을 하고 근거리에서는 타격 피해로 두들겨 팬다. 기병의 카운터 기병.
사격과 둔기 공격이 가능한 무기 특성상 '''사격을 통한 견제와 백병전 능력 양쪽이 강한 병종이다.''' 사격은 화승총의 특성을 그대로 따온 듯 유효 사거리가 짧은 편이고 거리에 의한 명중률 감소폭이 큰 편에다가, 다음 사격까지의 텀이 길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지만 '''어쨌든 총알이 나가는만큼 맞출 경우 위력이 강력한 편'''이다. 특히 멀리서도 히트박스가 큰 기병들에게 강력한데, 아무리 찌르기 방어도가 높아도 관통력이 방어도를 훨씬 상회하면 피해가 잘 들어가기 때문. 중거리 이상의 견제 능력이 없는 뚜벅이 병종들에게도 사격 후 빠지면서 계속 치고 빠지기를 반복하면 유효한 피해를 입힐 수 있다. 여기에 부대훈련을 통해 위트리를 타건 아래트리를 타건 공통으로 기병 대상 피해증가 10%, 사격 피해 증가 30%를 습득할 수 있어서 기병을 상대로는 정말 악랄한 견제능력을 보여준다.
게다가 근접 공격이 '''대부분의 병종들에게 효과적인''' 타격 피해로 들어가기 때문에, 사격으로 계속 견제를 하면서 빈틈을 찾다가 기습으로 두들겨 팰 수 있기 때문에 소규모 교전이나 추노에 매우 능하다. 특히 병종 레벨을 높이고 레벨 특전을 찍으면 사격과 타격 둘 중 하나에 경직과 확률 넉아웃까지 추가되기 때문에 제압력이 더더욱 커진다. 이렇다보니 관녕 철기병은 기병 병과끼리의 전투에서 상위권의 압박력을 가지고 있고, 소규모 전투에서도 유효타가 잘 들어가는 사격를 통해 고유한 압박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단점은 다른 기병과 다른 독특한 스타일의 돌격 스킬, 비교적 떨어지는 기동성, 백병전 특화 기병이라는 특징 탓에 '''안 그래도 독특한 병종 운용 난이도가 매우 높으며''' 안정적인 성과를 내기 어렵다는 점에 있다. 특히 원거리 견제인 삼안총이 '''개별 병종마다 사거리 내에 들어오면 무조건 쏜다'''는 괴랄한 AI 때문에 더욱이 골머리가 아픈 편. 부딪힌 적들을 짓밟고 지나가는 다른 기병들의 돌격 스킬과 달리 관녕 철기병의 돌격은 지정한 방향으로 달려가면서 '''적이 사격 사거리 내에 들어오면 무조건 쏘고''', 적에게 접근하면 멈춰서서 몽둥이질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른 기병이었더라면 큰 성과를 거둘 타이밍에 돌격 후에도 관녕 철기병은 많은 적을 한순간에 제압할 수가 없다, 이 특수한 돌격 성능 때문에 보통은 적이 있는 곳까지 직접 이동하여 자동 공격으로 들이받은 뒤에야 스킬을 써서 추가적인 돌파력을 얻는 식으로 사용된다. 맷집이 튼튼한 편이지만 덩치가 큰 기병의 특성상 백병전을 벌일 때마다 피해가 누적되기 쉽기에 튼튼한 맷집은 결국 총합 제로가 되는 장점.
1.5.1. 관녕 철기병 - 진북
관녕 철기병의 5시즌 진급 퀘스트 병종. 몽골풍의 방한복과 두정갑 형태의 마갑을 착용한 모습이다.
여전히 삼안총을 사용하지만, 특이한 점으로 카라콜 전법 스킬을 가지고 있다. 사용시 관녕 철기병이 빠르게 좌우로 산개하여 사용한 지점을 중심으로 우회, 포위 기동하며 공격한다. 스킬 사용시 기존 관녕 철기병 시절에 비해 빠른 가속과 선회력을 선보인다.
시즌5를 기준으로 말도 안되는 오버 사기 병종이다.
보통 기병들의 카운터 병종이라고 할수있는 진충과 아필린을 그냥 분쇄해버리는데다
창기병이 아니라서 선회병도 좋고, 몸방도 기병중 제일 높은 몰타 기사 다음으로 높아서 노밀 삼단 사격에도 잘 안죽는다.
문제는 저런 능력에 삼안총까지 사용하기 때문에 성벽위를 제외하고 모든 병종을 다 박살낼수있는
그야말로 사기중에 사기 병종이 되어버린 것이다.
기병의 카운터로 할수있는 진충의 밀기조차, 밀기가 나오자마자 산부수기로 받아치면 진충만 다 죽는..
그야말로 '중국겜이 중국했다.'라는 말밖에 안나오는 막장 사기급 병종이다
기병이라서 성벽위를 오를수없다는 단점을 제외하면 모든 장점을 다 가지고 있으며,
진급 관녕을 잡기위해서는 최소 2개의 병종을 꺼내서 연계하여 잡아야하는데, 잡는다는 보장도 없고 잡으면 잘된수준.
심하면 진급 관녕혼자서 3~4 병종을 잡아먹을수 있다.
같은 5성 윙드 후샤르는 돌격을 잘 써야하는데다 물몸이라는 단점이 있지만,
진급 관녕은 돌격이 빠진 상태에서 서있기만해도 산부수기라는 스킬로 인하여
말도 안되게 강하다는점에서 시즌5 최고의 사기 병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