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이츠 혜성군

 

1. 개요
2. 발견과 역사적 관측
3. 최근의 연구와 관찰

'''Kreutz sungrazers'''

1. 개요


태양에 매우 가깝게 접근하는 혜성들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군(群)이다. 이 군에 속하는 혜성들은 서로 비슷한 궤도 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태양 코로나 안에 들어가거나 자폭할 정도로 가깝게 접근하는 비슷한 궤도 요소들을 공유한다. 그런데, 궤도 요소는 6가지나 되며 이게 전부다 비슷하다고 하기에는 말이 안된다. 오로지 어느 엄청나게 큰 혜성 하나에서 갈라져 나왔다고 설명하는것이 더 타당하다. 실제로 태양에 아주 가깝게 접근하는 혜성은 기조력으로 인해 갈라지는 경우가 많다.

2. 발견과 역사적 관측


혜성 궤도를 계산할 정도로 수학이 발달한 뒤에서야 사람들은 몇몇 혜성이 태양에 엄청나게 가깝게 접근한다는 것을 알았는데 첫번째로 발견한 것은 1680년 대혜성 (c/1680 v1)이다. 이 혜성은 0.0013AU만큼 태양에 접근했다는 것을 알아냈다. 하지만 이는 크로이츠 혜성군에 속하지 않는 혜성이었지만 이로 인해 천문학자들은 특이한 궤도를 가진 혜성에 주목하기 시작한다. 에드먼드 헬리를 포함한 많은 천문학자들은 이 혜성이 1116년 대혜성이 돌아온 것이 아닌가 추측하였다. [1] 163년이 지난 다음에는 1843년 대혜성이 나타났는데, 이는 1680년 대혜성의 주기가 몇십만년 이상으로 추측됨에도 불구하고 태양에 가깝게 접근한다는 이유만으로 1680년 대혜성이 또 온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도 하였다. 수십년이 지난 1880년에는 1843년 대혜성과 궤도가 비슷한 혜성이 또 왔고 1882년에도 왔다. 이쯤 되자 독일의 하인리히 크로이츠[2]는 1843, 1880년 대혜성 등이 이전 근일점때 태양의 조석력 때문에 바스러저버린 혜성의 조각들이라는 논문을 출간하였고 1680년 대혜성은 이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을 밝혀냈다. 그리고 이 혜성군에 자신의 이름을 집어넣는 쾌거를 이루었다.
[image]
그림은 1843년 대혜성. 꼬리가 미친듯이 길다.
계속된 연구로 사람들은 이전의 관측 기록까지 뒤져 가며 여기에 해당하는 혜성들을 찾아내었다. 궤도를 계산해서 연구한 결과는 적어도 이 혜성들은 2 궤도주기 이상에서 분리되었다는 것이고 2개의 큰 그룹으로 나뉘는 걸로 봐서 그때 2개의 큰 덩어리로 쪼개졌을 가능성이 높다. 이 “할아버지” 혜성의 가능한 후보는 기원전 371년에 아리스토텔레스와 에호루스가 관측한 혜성일 가능성이 있다. 그들은 이 혜성이 2개로 갈라지는 것을 보았다고 한다. 하지만 이는 교차검증이 안돼서 어쩌면 영원히 밝혀지지 못할 수도 있겠다. 대신 214, 426, 457년 대혜성은 가능한 부모 혜성이 될 수도 있다.

3. 최근의 연구와 관찰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할아버지 혜성은 100km이상의 엄청나게 거대한 혜성일 가능성도 높다고 한다. 근일점이 0.9AU로 보통 혜성 같았으면 눈에도 보이지 않았었을 혜성이었던 헤일-밥 혜성이 1997년 대혜성으로 이름을 날린 것은 혜성핵이 40km에 달할 정도로 엄청나게 컸기 때문이다. 저 혜성은 더군다나 태양에 아주 가깝게 붙었을 것이기 때문에 당시의 하늘은 얼마나 황홀한 광경이었을지 상상하기도 어렵다. 최근에는 태양관찰위성 SOHO에서 이 혜성군들이 남기고 간 잔해들을 많이 관찰하고 있다.
[image]
사진은 소호 위성을 통해서 보이는 2개의 혜성이다.
태양 근처를 관찰하기 때문에 태양을 스치듯이 지나가는 선그레이져 혜성들이 많이 관찰되는 것이다. 대략 83%의 선그레이져들이 크로이츠 혜성군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인터넷이 많이 보급된 후인 2000년 중반 이후에는 75%이상의 혜성들이 소호 위성의 사진을 보면서 혜성을 검출하는 아마추어 천문학자들에 의해 발견된다.


[1] 1160년 대혜성은 크로이츠 혜성이지만 1680년 대혜성은 독립적인 존재이다. 두 혜성 모두 근일점이 매우 가까운 특이한 궤도를 그려서 그런 듯.[2] 하켄 크로이츠나 히틀러랑은 상관 없다. 애초에 시대가 다르며, 덧붙여 하켄 크로이츠의 kreuz는 십자가를 의미하고 하인리히 크로이츠의 kreu"t"z는 독일의 성씨중 하나다. 물론 십자를 의미하는 크로이츠도 성씨로 사용하기도 하며 발음도 비슷해서 동음이의어로 생각할 수도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