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광그룹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기업집단. 2020년 공정거래위원회 기준으로 재계서열 49위다.
이름이 같은 이음쇠 가공업체인 태광이나, 참여정부 당시 정관계 로비로 징역을 산 박연차 전 회장의 신발회사 태광실업과는 관련이 없다.[2]
2010년 배임횡령 혐의로 검찰의 본사 압수수색 후 당시 이호진 회장이 기소되었다. (황제 보석 문서 참조.) 2012년 이호진 전회장이 법정구속 되면서 회장직에서 물러났고, 현재는 허승조 고문, 진헌진 고문[3] , 임수빈 정도위원장의 3인 체제로 현재까지 경영이 이루어지고 있다.
2. 역사
1950년 10월, 공무원 출신인 일주 이임용 창업주[4] 가 경남 부산시 수정동[5] 동양실업에 지분을 투자한 게 그룹의 기원이다. 1953년 동양실업을 인수하고 1954년에 문현동에 '태광산업사'를 세운 후, 1961년에 태광산업사를 주식회사로 전환하고 주로 섬유업을 중심으로 사업을 확장했다.
1973년 흥국생명을 인수해 금융업에 진출하였고, 1975년 대한화섬 인수 후 본사를 부산직할시 동래구(현 금정구) 구서동[6] 에서 서울로 이전했다. 1978년 음향기기업체 천일사를 인수하고 1977년 학교법인 일주학원을 세워 육영사업을 개시했다.
1980년에는 둔촌동으로 이전한 장충동 舊 동북중학교 및 동북고등학교 부지와 건물 일체를 구입하여 본사 사옥으로 정착하게 되었으며[7] , 1988년 한보관광개발을 인수해 레저사업에도 진출하고 1997년에는 한국케이블TV안양방송을 세워 케이블SO사업에도 진출했다. 2000년에는 케이블 PP업체 '이채널'을 설립했다.
1996년 이임용 회장 작고 후에는 처남인 이기화 전 회장이 그룹 회장직에 올랐다. 이후 2004년 이임용 회장의 삼남 이호진이 회장 자리에 올랐으나 2011년 회사자금 횡령, 배임 혐의로 모친 이선애 전 상무와 같이 구속되면서 7년만에 자리에서 물러났다.
3. 역대 그룹임원
- 부회장
- 이식진 (1997~2004)
4. 기업정신
- 기업이념
'''상생·조화의 책임경영'''
'''근검·절약의 내실경영'''
'''신용·신의의 정도경영'''
'''기술·품질의 경영'''
'''집념·도전의 일등정신'''
- 핵심가치 (5C)
'''창조적 사고 (Creativity)'''
'''포기하지 않는 도전정신 (Challenge)'''
'''목표를 위한 단결 (Cooperation & Synergy)'''
'''고객을 위한 마음다짐 (Customer Satisfaction)'''
'''자유로운 의사소통 (Communication)'''
5. 계열사 목록
2018년 기준으로 재계순위 36위 기업이다. 사업분야는 섬유 석유화학, 금융, 미디어, 레저 사업을 펼치고 있다.
그룹 모체인 태광산업을 대표로 섬유 석유화학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흥국생명, 흥국화재를 중심으로 보험, 증권, 자산운용, 저축은행 등 금융 사업도 활발히 하고 있다. 특히, 태광산업은 국내 주식시장에서 수십 년 황제주로 유명하다. 1997년부터 미디어 사업에 진출해 현재 티캐스트(MPP-방송채널사업자) 등을 운영하고 있다. 그 외에도 국내 최초 도서상품권을 발행한 티알엔과 수도권에 위치해 최고의 접근성을 자랑하는 태광CC와 휘슬링락CC[8][9] 등을 보유하고 있다. 태광그룹은 그룹의 대표 계열사를 5개로 분류하고 있는데, 그 4개는 태광산업, 흥국금융, 티캐스트, 티시스 다섯개의 그룹 계열사이다.
5.1. 섬유/석유화학 부문
- 태광산업
- 태광화섬(상숙)유한공사: 중국 장쑤성 창수시 현지법인이다.
- 태광산업 개성: 개성공장 운영자회사로, 2016년 개성공단 폐쇄로 가동 중단 상태다.
- 대한화섬
- 서한물산: 2017년 서한실업(구 서한물산)에서 물적분할된 업체임.
- 세광패션
5.2. 금융 부문
다른 계열사와의 지분관계로 인해 금융지주회사를 설립하지 못하고 태광그룹 계열로 남아있지만, 편의상 '''흥국금융그룹'''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한화금융네트워크, DB금융네트워크와 같은 맥락이다.
5.3. 미디어 부문
5.4. 인프라/레저 부문
- 티시스: 구 태광관광개발. 태광CC 운영사이다.
- 큰희망: 헬스키퍼, 네일아트 등을 담당하는 장애인 표준사업장 업체이다.
- 티알엔: 구 한국도서보급. 북앤라이프 도서상품권 발행처이자 쇼핑엔티 운영사이다.
- 메르뱅: 구 바인하임. 와인 판매업체이다.
5.5. 비영리 부문
5.6. 해산/매각
- 과천중계유선방송: 2009년 청산종결됨.
- 광진섬유공업: 1973년 태광산업에서 분사됐다가 1994년 도로 합병됨.
- 그린스프링: 구 이미지티임, 2011년 계열제외됨. 꽃 전문업체이자 이호진 전 회장의 처제 신리나 소유다.
- 대구케이블방송: 2014년 티브로드도봉강북방송에 합병됨.
- 대평유선: 2013년 티브로드한빛방송에 합병됨.
- 동림건설: 구 동림이앤씨. 2017년 티시스에 합병됨.
- 동양합섬: 1971년 태광산업에 합병됨.
- (구)메르뱅: 2017년 바인하임에 합병됨.
- 북부산정보통신: 2007년 청산종결됨.
- 서한실업: 구 대우파일-서한물산. 2017년 티시스와 합병됨.
- 성광산업: 2011년 (구)서한물산에 합병됨.
- 쇼핑엔티: 2018년 한국도서보급에 합병됨.
- 아산케이블방송: 2009년 청산됨.
- 안성유선방송사: 2009년 청산종결됨.
- 에스티임: 2017년 티시스에 합병됨.
- 영화복장: 1977년 광진섬유공업에 인수합병됨.
- 유덕물산: 2011년 (구)서한물산에 합병됨.
- 이천유선방송사: 2009년 청산종결됨.
- 전주반도유선방송: 2006년 (구)티브로드전주방송에 합병됨.
- 큐릭스광진성동방송: 2010년 큐릭스서대문방송에 합병됨.
- 큐릭스네트웍스: 이하 동일함.
- 큐릭스대경방송: 구 DBS대경방송. 이하 동일함.
- 큐릭스대구방송: 이하 동일함.
- 큐릭스종로중구방송: 이하 동일함.
- 큐릭스홀딩스: 2015년 티브로드에 합병됨.
- 큐비젼: 영상 제작업체로, 2007년 계열제외 후 이듬해 폐업됨.
- 태광전자: 오디오, 전화기, TV, 씨티폰 생산, 2005년 철수. [10]
- 태광여자상업고등학교: 2004년 폐교됨.
- 태경물산: 구 한일염직. 2005년 청산됨.
- 템테크: 이호진 전 회장의 개인회사로, 2013년 청산됨.
- (구)티브로드: 2008년 (구)티브로드전주방송에 합병됨.
- (신)티브로드: 구 티브로드전주방송-티브로드홀딩스. 2020년 SK브로드밴드에 인수합병됨.
- (구)티브로드강서방송: 2007년 티브로드GSD방송으로 합병됨.
- (신)티브로드강서방송: 구 티브로드GSD방송. 2013년 티브로드한빛방송에 합병됨.
- 티브로드기남방송: 이하 동일.
- 티브로드낙동방송: 구 한국케이블TV낙동방송-한빛낙동방송. 이하 동일.
- 티브로드남동방송: 2008년 (구)티브로드전주방송에 합병됨.
- 티브로드네트워크: 구 수원네트워크. 2009년 청산됨.
- 티브로드노원방송(현 브로드밴드노원방송): 구 노원케이블종합방송. 2019년 SK그룹에 매각됨.
- 티브로드도봉강북방송: 2015년 티브로드에 합병됨.
- 티브로드동남방송: 2010년 티브로드낙동방송에 합병됨.
- 티브로드동대문방송: 2020년 SK브로드밴드에 인수합병됨.
- 티브로드북부산방송: 2010년 티브로드낙동방송에 합병됨.
- 티브로드새롬방송: 2013년 티브로드한빛방송에 합병됨.
- 티브로드서대문방송: 구 큐릭스서대문방송. 2013년 티브로드도봉강북방송에 합병됨.
- 티브로드서부산방송: 2010년 티브로드낙동방송에 합병됨.
- 티브로드서해방송: 2015년 티브로드에 합병됨.
- 티브로드수원방송: 2008년 (구)티브로드전주방송에 합병됨.
- 티브로드안양방송: 이하 동일.
- 티브로드온케이블방송: 2006년 (구)티브로드전주방송에 합병됨.
- 티브로드전주방송: 2013년 티브로드홀딩스에서 물적분할된 업체로, 몇달 후 티브로드한빛방송에 합병됨.
- (구)티브로드중부방송: 2007년 티브로드천안방송에 합병됨.
- (신)티브로드중부방송: 구 티브로드천안방송. 2008년 (구)티브로드전주방송에 합병됨.
- 티브로드한빛방송: 구 한국케이블TV한빛방송-한빛아이앤비. 2015년 티브로드에 합병됨.
- 티브로드ABC방송: 2009년 티브로드한빛방송에 합병됨.
- 티브로드KCN방송: 구 신갈유선방송-경기케이블네트워크. 2007년 티브로드기남방송에 합병됨.
- (구)티시스: 옛 동림관광개발. 2018년 태광관광개발에 합병됨.
- 티에이치엠컨설팅: 이호진 전 회장의 개인회사로, 2013년 청산됨.
- 티캐스트콘텐츠허브: 구 티브로드폭스코리아. 2015년 티캐스트에 합병됨.
- 티피엔에스: 영상 제작업체로, 이하 동일함.
- 페이토: 청소용역 전문업체로, 이임용 창업주의 차녀 이재훈 몫이며 2002년 계열제외됨.
- 하나컴: 용인 수지지역 인터넷 회선 설치업체로, 이하 동일함.
- 한국디지털케이블미디어센터(KDMC): 2020년 SK브로드밴드에 인수합병됨.
- 한국통신정보: 2007년 계열제외됨.
- ABC애니메이션TV: 2003년 청산됨.
- ABC어드벤처TV: 이하 동일함.
- ICN인천방송: 2009년 청산됨.
- JCB중앙케이블방송: 2010년 큐릭스서대문방송에 합병됨.
- TCN대구방송: 2014년 티브로드한빛방송에 합병됨.
6. 논란 및 사건사고
태광그룹은 2000년대 들어와 경영비리와 로비의혹으로 잦은 설화에 시달려왔다.
- 한국도서보급 논란 (2006) #
- 티브로드 성접대 사건 (2009) #
- 티브로드 큐릭스 인수 내사 (2009) #
- 태광그룹 경영권 편법 상속수사 (2010) #
- 정치권 로비의혹 수사 (2010) #
- 티브로드 비정규직 점거농성 (2013) #
- 하청업체 갑질 의혹 (2015) #
- 태광그룹 보석 재심 촉구 (2016) #
- 공정위 부당 일감몰아주기 조사 (2016) #
- 태광산업 방폐물 불법 보관 압수수색 (2016) #
- "정의당 그 미친X" 티브로드 막말 (2017) #
- 태광그룹 고추농사 토지 의혹 (2017) #
- 국회 농해수위 태광 회장 고발 (2017) #
- YTN, 이호진 전 회장 2차 파기환송심 (2018) #
- 태광 황제 보석, 불쌍하게 보기도 (2018) #
- 황제 보석 논란, 세번째 파기환송 (2018) #
- 태광 상품권 의혹, 비자금 수사 (2018) #
- 골프접대 로비리스트 의혹 (2018)#
- 이번엔 '황제 접견' (2019) #
- '김치 성과급으로 부당지원' 태광 이호진 고발 (2019) #
- 조국 법무장관, 前 태광 회장 보석 탄원 논란 (2019) #
- 이번엔 '황제접견' (2019) #
- ‘김치·와인 일감몰아주기’ 수십억 이익··· 검찰 고발 (2019)#
- "태광산업 방사능 유출 조사하니…2.25톤이나" (2020) #
- "공정위, 전 태광회장 '차명주식 허위신고' 檢 고발" (2021)#
2010년 이호진 전 회장의 구속판결로 2018년까지 8년에 가까운 법정공방 중에 실형 4년6월에서 3년6월로 감형되었으나, 병보석 출감 후 이 시기에 일감몰아주기, 해직자 문제, 하청갑질, 태광산업 방폐물 불법 보관 사건 등 논란이 지속되어 국회와 시민사회단체에서 지적이 이어졌다. 결국 공정위, 금감원 등 감독기관 제재가 반복되며 기업 이미지가 극도로 악화되었다. 황제 보석 문서 참조.
실제 구속 63일 만인 2012년부터 이호진 전회장은 간암 말기 병보석으로 출감했으나, 2018년 국회 국정감사와 KBS에서 무단 외출은 물론 온갖 행동을 하고다닌 사실이 폭로되며 '''"황제보석"''' 논란이 촉발되었고 결국 병보석 취소로 재수감되었다. 2019년 1월에는 '''"황제면회"''' 논란이 또 KBS에서 보도돼 논란을 낳았다.
이외에도 그룹 임직원에 김치를 성과급으로 나눠주고 와인을 계열사에 강매하여 공정거래위원회의 과징금과 검찰 고발을 당했는데, 이 김치와 와인의 생산, 유통 계열사가 이호진 전 회장의 개인기업이라 대기업 일감몰아주기의 대표적인 사례로 유명세를 떨쳤다.
KBS 드라마 '''닥터 프리즈너'''에서 이를 모티브로 "'태강그룹'의 총수 병보석"을 극화하였으며, 국회에서는 이른바 "이호진 방지법[11] 이 발의되기도 했다.
[1] 2018년 공정위 기준[2] 다만 공교롭게도 주식회사 태광 또한 부산에 있으며 태광실업은 인근 김해에 위치해 있다.[3] 티브로드의 SK 매각으로 SK브로드밴드의 등기임원이 되었으며, 여전히 태광그룹 인사로 알려짐.[4] 민주당 이기택 전 총재의 자형[5] 부산이 정부 직할 부산시로 승격한 것은 1963년이다.[6] 구서동 시절 본사 건물은 현재는 계열사 흥국화재 부산지점으로 쓰이고 있다.[7] 舊 동북중고등학교 건물(1956년 완공)은 아이러니하게도 구서동 시절에 쓰던 본사 건물(1969년 완공)보다 더 오래된 건물인데, 당시 이임용 회장이 舊 동북고등학교 부지와 건물을 구입했을 때 이제 겨우 20년 넘긴 멀쩡한 건물을 부수는 것은 낭비라고 하면서 舊 동북중고등학교 건물을 부수고 새로 짓는 대신에 약간의 리모델링만 하고 그대로 사옥으로 쓰게 되었다고 한다. 물론 구서동 시절 본사 건물은 현재는 흥국생명 동래금융플라자 사옥으로 사용 중.[8] 2018년 11월 MBC 탐사보도 '스트레이트'에서 "정관계 로비 의혹"을 보도한 그 곳이다.[9] 운영사는 티시스.[10] 1970년대 '별표전축', '에로이카'로 유명했던 천일사를 1978년에 인수한 것으로, 1982년 태광전자로 사명을 변경했다가 1983년 태광산업에 합병된 후 도시바 와 제휴해서 'Aurex'란 브랜드로 생산되었다. 에로이카, 쾨헬, 뮤텍 브랜드의 오디오나 TV 등을 안양공장에서 생산했으며 전화기도 주요 생산품이었다. 2005년에 전자제품 사업 철수를 선언하면서 없어졌고, 사후처리를 에이에스텍에 맡겼으나 2014년에 A/S 업무도 종료되었다.[11] 재벌총수나 권력자의 황제보석을 막기 위한 개정안으로 보석을 청구할 때 반드시 법무부장관이 정하는 병원에서 발급하는 진료기록을 법원에 제출해야 함. 2018.11.18 주광덕 국회의원 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