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아웃 4/전설 시스템

 


1. 전설 시스템
1.1. 전설 효과 모음
1.1.1. 오리지널 무기 접두어
1.1.2. 파 하버 무기 접두어
1.1.3. 오리지널 방어구 접두어
1.1.4. 파 하버 방어구 접두어
1.2. 전설 무기 파밍 방법


1. 전설 시스템


전작과 비교하면 전설 아이템 시스템이 달라졌다. 스카이림의 인챈트 아이템 처럼 아이템에 특수한 효과가 붙어 있으며 개조는 가능하지만 분해는 불가능하다.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전작처럼 특정한 방법으로만 얻을 수 있고 특별한 외관과 이름을 가지는 전설 아이템도 있는 반면에, 접두사, 접미사 효과가 붙어 나오는 전설 아이템도 존재한다. 후자는 상인에게 사거나 전설적인(Legendary) 적을 죽여서 구할 수 있으며, 난이도를 높게 하면 드랍율이 올라간다. 전설 아이템의 이름의 오른쪽에는 별이 붙기 때문에 핍보이 상에서 쉽게 식별가능하며, 습득시 깨알같은 주인공의 "yes"와 함께 아이템의 상세정보가 뜨면서 시간이 정지한다.[1] 본 문서에서는 편의상 전자의 전설적 아이템을 "고유 전설", 후자의 전설적 아이템을 "일반 전설"로 지칭하기로 한다.
특수 효과의 종류는 낙하 대미지 감소, 맨손 대미지 상승, S.P.E.C.I.A.L 능력 상승, AP 소모량 감소나 치명타 시 특수 효과 발동, 체력 감소시 시간이 느려지게 하거나 재장전이 필요없는 등 상당히 다양하다.
고유 무기 목록에 일반 전설을 기재하는 일을 막기 위해, 일반 전설과 유니크를 구분하는 방법을 서술하자면 다음과 같다.
  • 일반 전설은 개조할 때 일반 아이템처럼 손잡이 모듈에 따라서 이름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암살자의 파이프 리볼버"에 정확성 개머리판과 장거리 조준경을 장착하면 "암살자의 정확한 파이프 리볼버 저격 소총"이 되는 식이다.
  • 고유 전설 무기는 개조를 해도 이름이 달라지지 않는다. 예를 들어 특수효과를 제외하면 무기 개조는 스톡 레이저 라이플과 동일한 "정당한 권위"에 무슨 개조를 해도 이름은 "정당한 권위"로 계속 남는 식이다.
예외로, 입수 방법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통상적으로는 일반 전설인 "맹렬한 파워 피스트"는 고유 항목에 게재되어 있다.
전설적인(Legendary) 적을 죽여서 얻을 시에, 얻는 아이템은 완전히 랜덤이다. 애초에 방어구나 무기를 사용할 수 없는 비 인간형 적에게서 이러한 전설 장비가 나오는 건 차치하더라도 인간형 적이라고 해서 본인이 사용하는 장비가 전설 장비일 필요는 없다. 따라서 적이 사용하는 무기와 전설 무기가 따로 노는 경우도 왕왕 있다. 이로 인해 한 가지 재밌는 현상이 생기는데, DLC 무기인 라듐 소총이나 수제 소총 등을 본편에서 전설 무기로 얻을수 있다는 점이다.[2] 문제는 라듐 소총 같은 경우에는 .45탄을 사용하니까 그대로 사용하면 되는데 작살 총이나 수제 소총, 레버 액션 라이플 등은 DLC 전용 탄환을 사용하기 때문에 해당 DLC 지역에 갈 때까지 사용할 수가 없다. [3]

1.1. 전설 효과 모음


일반 전설 아이템에만 붙을 수 있는 효과 접두어 목록이다. 접두어가 붙은 아이템은 보통의 아이템과 다른 일종의 인챈트 효과를 가지고 있다. 당연히 판타지 세계가 아니니 전설 효과를 뽑아내서 다른 무기에 붙일 수는 없지만, 유니크 아이템도 보통 아이템과 같이 개조가 가능하니 이미 풀개조된 동종의 일반 아이템에서 부품을 뽑아서 전설 무기에 붙이면 되니 결과적으론 별 차이 없다.
유니크 아이템도 일부를 제외하면 대부분 일반 아이템에 특정 전설 접두어를 붙여놓은 조합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잘 확인해서 입수가 편한 쪽을 택해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Automatic 접두사가 붙은 레이저 머스킷을 갖고 싶을 때에는 전설 몬스터를 잡아서 입수를 하는 방법도 있고 후술하는 미닛맨 루트의 전개를 이용해서 유니크 아이템을 얻는 방법이 있으니 둘 중 더 편한쪽을 택하는 식. 유니크는 조건을 만족하면 고정출현 하기 때문에 유니크 중에서 쓸만한게 있다면 유니크 아이템을 선택하는 것이 편하다. 파밍 자체도 힘들 뿐더러 레벨 스케일링 시스템 때문에 전설 파밍을 통해 원하는 무기를 얻으려면 해당 무기가 해금되는 레벨까지 플레이어의 레벨(정확히는 전설 몬스터의 레벨)을 올려야 하기 때문.
전설 접두사는 무기의 종류와 방어구의 착용 부위에 따라 붙을 수 있는 것이 있고 붙을 수 없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Automatic 접두사는 오직 레이저 머스킷에만 붙으며 Explosive는 레이저나 플라즈마 무기엔 붙을 수 없고 실탄 무기에만 붙는다.
개조로 붙는 접두사는 각 무기/방어구 항목 참조. 모든 무기 접두사는 여기 참고.
PC 유저고 템 파밍이 번거롭다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서 원하는 템에 원하는 전설 효과를 맞출 수 있다.
1. 전설 효과를 부여할 장비를 준비한다. 개조여부는 상관없으며 효과 부여 후 개조도 무방하다. 심지어는 이미 효과가 부여된 장비에 새롭게 덮어쓰는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런 경우 스크립트상으로 완벽히 안전한지는 보장되지 않았으므로 주의 요망.
2. 장비를 바닥에 떨어트린 다음 물건줍기로 들어올린다.
3. 장비가 들린 상태에서 콘솔을 열어 getplayergrabbedref 를 친다. 해당 장비의 레퍼런스 아이디가 표기될 것이다. 이 아이디는 랜덤이다.
4. 폴아웃 위키아 등의 사이트를 참고해 원하는 전설 효과의 폼 아이디를 알아낸다. 이곳을 참고
5. (레퍼런스 아이디).amod (폼 아이디)를 입력하면 들린 아이템에 폼 아이디에 해당되는 전설 효과가 부여된다.
6. 이때 부여하는 전설 효과와 아이템의 조건이 일치해야 한다. 가령 투 샷, 날렵한, 끝없는 같이 원거리 무기에만 적용되는 효과는 마체테나 컴뱃 나이프에 적용할 수 없다. 시스템상 전설 효과가 지원 안 되는 일반 의복을 대상으로는 당연히 아무런 효과도 생기지 않는다. 다만 파워아머의 경우 loot table에는 없지만 전설 효과가 부여된 유니크 부위 장비는 엄연히 존재하므로 일반 부위 장비에도 효과 부여가 가능하다. 또 근접 전용으로 붙는 일부 효과의 경우 원거리 무기에도 적용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가령 맹렬한 효과의 경우 본래 근접/격투 전용이지만 누카 월드에서 유니크 사격무기에 붙어 나온 전적이 있으며 콘솔로도 정상적으로 효과 부여가 된다.
ex) 3번 단계를 실행해서 f00726b라는 레퍼런스 아이디를 얻어냈다고 가정하자. 이제 f00726b.amod 001f04b8 라고 입력하면 시작의 효과가 해당 장비에 부여된다. 그러나 해당 장비가 근거리 무기라면 시작의 효과 부여조건과 맞지 않으므로 아무 효과도 부여되지 않는다.
이 모든게 너무 귀찮으면 작업대에서 물건들에 전설효과를 부여하게 해주는 모드가 있으니 그걸 써도 좋다.

1.1.1. 오리지널 무기 접두어


  • 암살자 (Assassin's): 인간 대상에게 50% 추가 피해. 모든 무기에 적용.
오직 인간을 대상으로만 적용 되고 어썰트론, 구울, 슈퍼 뮤턴트 등에는 먹히지 않는다. 인간에게 특히 치명적인 감마건과 시너지가 매우 좋다. 주의점은 플레이어도 인간이라, 레전더리 개체가 소지하고 있다면 끔살당할 수 있다.
  • 광전사 (Berserker's): 플레이어의 방어구 저항(Armor Resistance)이 낮아질수록 추가 피해. 격투 및 근접무기에만 적용.
저항이 0일 때 피해량이 200%까지 증가한다. 툴팁엔 방어구 저항이라고 되어 있는데, 실제론 DR에만 영향을 받는다. Toughness 퍽으로 받는 DR보너스에도 영향을 받으므로 해당 퍽을 찍었다면 이 접두사의 효과는 없는 셈 치는게 낫다. 파워 아머를 착용한다면 특성상 잉여가 되는데, 헐벗은 주민들에게 던져주면 침입해 온 적들을 상대로 무쌍을 찍는다… 접근할 수만 있다면.
숨은 사기효과. 체력 90%부터 발동되며, 체력이 5%감소할 때마다 공격력이 5% 증가한다. Nerd Rage나 순교자 효과의 생명력 20% 이하 불렛타임과 조합하면 엄청난 상승효과를 보인다. 근접무기라면 스트롱 동료퍽과도 추가적인 시너지를 자랑한다. V.A.T.S를 안쓰고 적에게 직접 달려나가야하는 근접/언암드 캐릭터는 다른 공격력 증가 전설옵보다 안정적인 공격력 증가를 볼 수 있다. 특히 파워아머도 못입는 언암드 캐릭터는 더더욱. 근접무기에만 붙는 전용 효과지만, 예외로 유니크 레이저 피스톨인 Survivor's Special에도 붙어있다. 사족으로 폴아웃 76에서도 그 사기성은 여전해서, 웨이스트랜더가 업데이트되도록 대세인 저체력메타를 위해 거의 필수로 챙겨야할 전설옵션이라는데에 이견이 없을 정도.
  • 기병대 (Cavailer's): 방어하거나 달리고 있을 때 받는 피해량 15% 감소. 격투 및 근접무기에만 적용.
  • 감시자 (Sentinel’s): 움직이지 않고 있을 때 받는 피해량 15% 감소. 격투 및 근접무기에만 적용.
때리려면 적에게 다가가야 하지만 일단 공격도중에는 멈춰서게 되고, V.A.T.S와 블리츠 퍽, 뿌리박기 퍽이 존재하기에 효과를 받을수 있는 상황이 많다.
  • 불구의 (Crippling): 신체부위에 주는 피해 50% 증가. 모든 무기에 적용.
전투 산탄총에 붙으면 소총수 5레벨 기준 VATS 사격 딱 한 발로 데스클로 다리를 작살낼 수 있다. 다만 원하는 부위를 정확히 노릴 만큼 컨트롤이 되거나 V.A.T.S를 활용해야 하는 등 다소 손을 타는 효과다. 쏘는 족족 자동적으로 다리를 꺾어버리는 니캐핑에 비하면 다소 아쉬운 감이 있긴 하지만 일장일단이 있다. 니캐핑은 확률싸움이라 연사력이 좋은 무기에 달리면 효과가 좋지만 연사력이 약하고 데미지가 강한 무기일수록 불구 옵션이 더 효과를 보기 좋아진다
  • 날렵한 (Nimble): 정조준 상태에서 이동속도 75% 증가. 원거리 무기에만 적용.
정조준하면서 천천히 움직이는 속도가 빨라지는 것이지 달리는 것에 비하면 한참 느리다. 심히 잉여로운 옵션 같으나 실제로는 매우 변태적인 효과인데 은신 상태에서도 저 효과가 반영되기 때문. 양쪽 다리에 은신이속 증가 개조를 하고 일반 이속 버프까지 받으면 일반 이동속도에 근접할 정도로 빨라진다! 느리게 이동하는 은신플레이가 빨라져서 근접은신 캐릭터에게 특히 유용한 옵션. 노개조로 최대한 가볍게 만들고 부스터용으로 사용하면 된다.
  • 구울 사냥꾼 (Ghoul Slayer's): 구울 상대로 50% 추가 피해. 모든 무기에 적용.
일단 일반 구울은 적으로 나오는 경우가 볼트 117외에는 얼굴 구경도 힘든 트리거맨과 레이더 보스 신진, 퀸시 채석장의 레이더 뿐이라 크게 효과가 없지만 페럴 구울은 여기저기 얼굴을 비추기 때문에 효과자체는 쉽게 볼수 있다. 다만 상위종 페럴 구울은 레벨 스케일링을 받아도 잘 안나오고 하위종 구울들은 맷집이 형편없는지라 굳이 이 전설무기 효과없이도 잘 죽기 때문에 초반이 아니라면 애매한 효과다. 드물게 감마선 방사기에 이게 붙어 나오는 경우도 있는데, 방사능 피해를 받으면 오히려 체력을 회복하는 구울 특성상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아 그냥 효과없는 일반 감마건과 별 차이가 없게 된다. 감마선 방사기의 메카니즘상 구울 주변의 땅을 맞춰서 폭발 피해를 주면 피해를 줄 수 있긴한데, 그 폭발 피해도 방사능 저항의 영향을 받는터라 방사능 저항이 1000인 구울에게는 피해가 거의 박히지 않는다.
  • 뮤턴트 사냥꾼 (Mutant Slayer's): 슈퍼 뮤턴트 상대로 50% 추가 피해. 모든 무기에 적용.
커먼웰스에서는 슈퍼 뮤턴트가 군소세력이라 그다지 인기없는 효과다.
  • 기계 수리공 (Troubleshooter's): 로봇형 대상에게 50% 추가 피해. 모든 무기에 적용.
신스 처리용으로도 좋고, 오토매트론 DLC가 있다면 로봇들과 싸울 일이 많아져서 더욱 유용하다.
  • 사냥꾼 (Hunter’s): 동물에게 50% 추가 피해. 모든 무기에 적용.
벌레나 갑각류가 아닌 야생동물 전반에게 적용된다. 몰랫, 들개, 돌연변이 사냥개, 야오과이, 데스클로, 래드스택, 브라민을 처리할 때 유용. 커먼웰스에선 그다지 유용한 효과가 아니나, 파 하버에선 심심하면 뜨는게 걸퍼, 앵글러, 야오과이 인지라 훨씬 더 잘 써먹을수 있다.
더미 전설 효과이므로 콘솔이나 모드를 사용하지 않는 이상 절대 뜨지 않는다. 치료 효과는 중립과 우호판정의 NPC에게만 적용된다. 콘솔 사용에 부담감이 없다면 무기에 이 효과를 적용한 뒤 동료나 정착민에게 유용하게 사용 할 수 있다.
  • 오염된 (Irradiated): 50의 방사능 추가 피해. 모든 무기에 적용.
무기의 실 스탯 창에서는 피해 값이 다른 경우도 있다. 핵 물리학자(Nuclear Physicist) 퍽의 효과가 적용되며, 인간에게 강한 방사능 피해 특성상 고연사력 무기(기관단총 등) 혹은 그렇게 개조할 수 있는 무기(파이프 피스톨 등)에 붙으면 방사능에 취약한 인간형 강적 (e. g. 전설적 거너 등 고렙 인간형) 상대로 흉악한 위력을 뽑을 수 있다. 반대로 사냥용 소총 같은 곳에 붙으면 접두어가 거의 체감이 안 될 정도. 방사능 피해를 받을 경우 오히려 피를 회복하는 구울의 특성상 구울등을 처리할 땐 주의해야한다.
  • 맹렬한 (Furious): 동일대상을 연속해서 공격할수록 피해량이 15%씩 증가한다. 격투 및 근접무기에만 적용.[4]
공격 속도가 빠른 무기의 경우 강력한 효과. 공격속도가 빠른 리퍼나 미스터 핸디의 팔 등의 공격력을 짧은 시간내에 빠르게 상승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이런 무기들에 한해서는 "강력한" 접두사 보다 훨씬 효과가 뛰어나다. 극후반 사기 옵션으로, 폴아웃은 플레이어와 적 모두 HP 공식에 레벨이 관여하기 때문에 레벨이 세자리수에 달하기 시작하면 미사일, 팻 맨 정도를 제외하면 맞아도 간지러운 수준이 된다. 때문에 극후반엔 공격하면 할수록 공격력이 올라가는 이 옵션이 붙은 무기만이 유일하게 밥값을 하는 무기가 된다. 스플래터 캐논은 수제 소총 특성상 데미지도 높은편이라 이거 앞에선 슈퍼뮤턴트 오버로드고 베헤모스고 간에 얄짤없이 녹는다.
  • 방화 (Incendiary): 대상에게 중첩되지 않는 불을 붙여 3초간 15의 피해를 입힌다. 모든 무기에 적용.
좋아보이지만 실제로는 거의 지뢰 특성이다. 일단 화염피해는 저항이 있는 방어구가 없어 데미지 가감이 없긴 한데 이게 한번에 15가 아닌, 초당 5씩 천천히 들어가는데 문제는 중첩이 안되고, 퍽의 데미지 증가도 못받는다. 레벨 25정도만 넘어가도 방화 공격력은 레벨링한 적의 체력에 비해 너무 낮다는 것이 체감된다. 유일한 장점이라면 발사체 하나하나마다 화려한 점화 효과가 붙어서 한발 맞췄을 때 적의 위치가 정확히 보인다는 점이나, 그만큼 타격감이 끝내준다는 것. 샷건류에 붙으면 드래곤 브레스가 따로 없다.
  • 플라즈마가 함유된 (Plasma Infused): 10의 추가 에너지 피해가 붙으며, 맞아 죽은 적이 융해될 가능성이 생긴다. 실탄 화기에만 적용.
플라즈마 무기의 특성을 실탄무기에 적용시켜주는 옵션. 탄환에 플라즈마 이펙트와 함께 약간의 추가 에너지 데미지가 첨가되며 이 효과가 붙은 무기로 처치시 그 적은 일정한 확률로 융해되어 핵물질을 남긴다. 플라즈마 무기의 성능이 원체 좋은 지라 우수한 옵션은 아니지만 핵물질 파밍할 때 플라즈마 탄환이 필요없어지고 실탄무기라 소음기를 장착시켜줄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 된다. 추가 데미지가 아무래도 적어 단발 화력이 약한 연사 무기와 궁합이 좋다. 코만도(Commando) / 소총수(Rifleman) / 총잡이(Gunslinger) 등의 무기 강화 퍽의 효과가 적용된다.
  • 끈질긴 (Relentless): 치명타 적중시 AP 충전. 모든 무기에 적용.
치명타를 날려야만 AP가 채워지니 썩 좋은 효과는 아니지만 권총류같이 v.a.t.s 소모량이 적은 무기라면 약간이나마 도움이 된다. 마지막 v.a.t.s 샷을 치명타로 사용해 AP를 회복해 다시 v.a.t.s를 난사하는 플레이를 할 수 있다.
  • 연사 (Rapid): 무기 발사속도가 25% 빨라지고 재장전 또한 15% 빨라진다. 원거리 무기에만 적용.
자동 발사 모드가 있는 무기에 붙으면 DPS가 엄청나게 상승한다. 그리고 의외로 연사력을 낮추는 모드가 있는 무기에도 유용한데, 저 25%는 원판의 연사력에서 가져온 고정값이기 때문. 즉 이 효과가 붙은 개틀링 레이저를 차저 배럴로 개조하면. 위력이 어마무시해진다. 아쉽게도 연사 전설옵은 중화기에 붙어나오지 않는다 한다. 중화기 중에서는 유일하게 아서 맥슨의 무기인 개틀링 레이저 "최후의 심판" 만이 이 효과를 달고 있다.
  • 구제업자의[5] (Exterminator's): 마이어러크와 곤충에게 50% 추가 피해. 모든 무기에 적용.
전작에서 같은 포지션에 있던 곤충학자 퍽은 잉여였지만, 본작은 적용 대상에 마이어러크, 스팅윙, 흡혈벌레 같은 강적들이 즐비하기 때문에 상당히 쓸만한 효과다. 주무장으로는 미묘하지만 부무장으로 하나 쯤 챙길 가치는 충분하며, 특히 연사 가능 총기에 붙어 나오면 매우 유용하다. 악명높은 마이어러크 퀸이나 전설 흡혈벌레도 기관권총으로 충분히 잡을 수 있을 정도. 유니크 헌터 라이플인 Reba II에 붙어있다. 단점이 있다면 라드스콜피온은 적용이 안된다는 정도.
  • 빨리뽑기 (Quickdraw): V.A.T.S.시 AP 소모량 -25%. 모든 무기에 적용. V.A.T.S. 강화의 하위호환,
  • 스토커의 (Stalker's): 전투중이 아닐 때 첫 V.A.T.S 공격의 정확도를 100%높이고 AP를 100% 더 소모한다. 원거리 무기에만 적용.
레일로드의 땜장이 톰이 판매하는 유니크 저격소총에 붙어있는데 은신 중장거리 저격에 탁월하다. 다만 효과 발동 조건상 스코프를 쓰는 초장거리 저격에는 아무 쓸모가 없으니 해당 효과를 노리고 파밍할 예정이라면 신중하게 고려해볼 것.
  • 충격적인 (Staggering): 매 공격마다 [6]의 확률로 적을 휘청이게 만든다. 모든 무기에 적용.
연사가 느리면 적이 회복하고 공격할 수 있기에 충분히 빠른 무기인 경우 매우 좋다. 연사력이 좀 되는 무기에 붙으면 화망에 걸린 적은 휘청휘청대다가 반격도 못 하고 죽는다. 플레이머에 붙어도 의외로 효과가 쏠쏠하다. 플레이머는 범위가 좁긴 해도 콘 형태의 범위공격을 하는 무기이기 때문에 덮어놓고 일렬로 달려오는 페럴 구울같은 적들을 집단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 효과가 붙은 플레이머를 주력으로 사용할 경우 공격력을 올리는 대신 사거리를 대폭 감소시키는 노즐 개조를 포기해야 하므로 일장일단이라 할 수 있겠다.
  • 격분하는 (Enraging): 치명타 적중 시 대상을 광란(Frenzy)상태로 만듬. 모든 무기에 적용.
적이 피아식별 없이 마구잡이로 공격한다. 대부분의 경우 다대일 상황이 되는 본작의 특성상 쓸만할 것 같지만 치명타에 맞은 적은 체력소모가 상당하므로 꼭 그렇지도 않다. 스태깅처럼 쓸래도 발동조건이 조건이다보니 결과적으로 미묘한 효과 중 하나. 제대로 효과를 볼려면 최대한 데미지를 낮춘 cc기 전용무기로 사용해야할판. 원거리무기이고 은신으로 공격한다면 더 좋다.
  • 무릎따개 (Kneecapper): 20% 확률로 피격 대상의 다리를 부러뜨림. 모든 무기에 적용.
연발무기 사기효과중 하나. 산탄이나 연사 무기에 붙어 나올 경우 흉악한 cc기 무기가 돼서 근접형 적을 완벽하게 농락할 수 있다. 부위 피해량 증가가 아니라 피격마다 양 다리가 부러지는 20% 짜리 체크를 하기 때문에 좀 쏘다보면 어썰트론은 양 다리가 다이나믹 폭발하고, 데스클로는 어기적댄다. 사격해대는 적도 제대로 도망치거나 추적하지 못하니 깡뎀 추가가 없는 대신 전술적 우위를 점하게 해 주는 효과. 달리 말하자면 처음부터 깡뎀 강한 무기에 붙어나오면 완전체가 된다. 쓰다보면 사기무기임을 알 수 있는게 데스클로고 베히모스고 뭐고 두다다 갈겨주면 다리가 분질러져 그냥 농락할 수 있다. 연사형 권총에 붙어서 나오면 골치아픈 데스클로나 라드스콜피온, 베히모스 등을 제압하는 효자무기가 된다. 플라즈마 쓰로워와도 궁합이 좋은데, 많은 장탄수와 높은 연사속도 덕분에 근접몹 상대로 흉악한 성능을 보여준다. 다만, 버티버드를 맞출 경우 격추되지 않고 제자리에서 뱅글뱅글 돌기만 하는 버그가 발생한다. 이 버그를 피하려면 한발로 2개 모터를 동시에 파괴해야 한다는데, 이는 사실상 불가능...
  • V.A.T.S. 강화 (V.A.T.S. Enhanced): 원거리용과 근거리, 격투용의 두 가지 효과로 나뉜다.
- V.A.T.S 사용 시 명중률 33%증가, V.A.T.S. 사용시의 AP 소모량 25% 감소. 원거리 무기에만 적용.
- V.A.T.S. 사용 시의 AP 소모량 40% 감소. 격투 및 근접무기에만 적용.
근접무기든 원거리 무기든 V.A.T.S를 자주 쓰게되므로 꽤 유용하다. 특히 가우스 소총 처럼 V.A.T.S. 사용시 AP소모량이 많은 무기의 경우 도움이 많이 된다.
  • 행운의 (Lucky): 치명타 피해량 100% 추가, V.A.T.S 사용시 치명타 게이지가 15% 빨리 증가한다. 모든 무기에 적용.
행운 관련 퍽을 찍었다면 '시작의(Instigating)' 못지않게 유용한 효과. 치명타 저장퍽과 권총과 시너지가 좋다.
  • 중독자 (Junkie's): 겪고있는 금단 현상이 많을수록 적에게 가하는 피해량 증가. 모든 무기에 적용.
현재 중독 중인 상태는 핍보이의 STAT에 표시되는 아이콘의 유무로 확인 가능. 여기에 떠있는 아이콘의 갯수 × 15%의 공격력 증가 효과가 있다. 폴아웃에 존재하는 중독은 총 12종(Buffout, Med-X, Psycho, Overdive, Fury, Daddy-O, Day Tripper, Mentats, Jet, X-Cell, Calmex, 알콜중독)이니, 최대 180%까지 올라갈 수 있지만, 중독된 약물을 복용하면 약물중독이 풀리는데다 약물중독 패널티도 감수해야 한다.
  • 끝없는 (Never ending): 재장전이 필요 없다. 원거리 무기에만 적용.
"탄창 크기가 무한"이 되는 거라 착용 상태로 사용탄을 추가 입수하면 장전해서 더 우겨 넣을 수 있다. 탄이 무한인 게 아니라 장탄 수가 무한이 된다. 작은 탄창이 한계가 되는 무기에 붙으면 사기 적인 위력을 낸다. 근데 장점이라는 게 장전을 안 해도 된다는 것 하나 뿐이기 때문에 탄창이 크거나 장전이 빠른, 혹은 크게 개조할 수 있는 10mm 권총이나 어설트 라이플같은 대부분의 실탄 무기에 붙으면 잉여가 되며, 레이저 라이플 같이 리시버에 따라 탄창 크기가 결정 나는 에너지 무기의 경우 유용하다. 가우스 소총은 풀충전 데미지를 뽑을려면 여전히 충전이 필요하지만. 또한 탄약이 적은 게 단점인 더블 배럴 샷건에 이 효과가 붙으면 둠가이처럼 근접한 적에게 재앙을 선사해줄 수 있으며, 미사일 발사기에 붙으면 발사대 개조가 필요 없어져서 무게 절약이 많이된다. 무턱대고 난사하기 좋아서 탄약 값이 좀 들기는 하지만.
  • 야행성 (Nocturnal): 야간에는 공격력이 증가하며, 주간에는 공격력이 감소한다. 모든 무기에 적용.
야간에는 최대 100% 공격력 증가가 붙지만, 낮에는 최대 66%의 공격력 감소가 붙는다.
  • 폭력적인 (Violent): 신체 피해와 공격력이 25% 추가되지만, 반동이 200%증가하여 쏠 때마다 총이 위로 들린다. 실탄 화기에만 적용.
자동화기는 약간의 반동 보정이 있어서 괜찮지만 단발 화기는 반동이 짧은 대신 비주얼 리코일이 커서 광클 사격을 하다 보면 조준이 산으로 간다. 물론 V.A.T.S 중심이라면 이런 문제가 해결되니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다.
  • 독살자 (Poisoner's): 맞은 적에게 10초동안 3의 독 피해를 입힌다. 모든 무기에 적용.
출혈처럼 대상 제한은 없지만 중첩이 안되므로 좋지않다. 효과 덕분에 적이 잘 빛나기는 한다.
  • 관통하는 (Penetrating): 상대방의 DR과 ER 30%를 무시하고 공격한다. 모든 무기에 적용.
%라 방어력이 높을수록 효율이 좋아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상대방의 방어력이 아무리 높아도 공격력 14%증가의 효율을 초과할 수 없다. 자세한것은 항목 참고. 해당 내용을 요약하면 한 방 데미지로 승부하는 무기일수록 효율이 급격하게 떨어진다. 따라서 연사무기에서나 효과를 볼 수 있다. 마이티/파워풀의 하위호환 격.
  • 강력한 (Mighty), 강력한 (Powerful): 반동 페널티 없이 피해량이 25% 증가한다. 총기류는 Mighty가, 근접 무기류는 Powerful이 붙는다.
다른 접두어에 비해 개성은 떨어지지만 상당히 강력한 효과로, 발당 화력이 높을수록 증가폭도 높아지기에 한 방이 강력한 가우스 소총. 슈퍼 슬렛지등의 무기에 붙으면 상당히 좋은 효과.
연발 무기/산탄 무기 사기 효과 1위. 얼핏 생각하면 다른 추가 피해를 주는 효과들이나 공격력을 25%, 50% 올려주는 효과와 별 차이 없을 거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본작에서는 폭발의 스플래시 범위가 매우 크고 폭발 피해가 사지 절단에 아주 탁월하기 때문에 실제 사용해 보면 타 효과와는 차원이 다른 위력을 보인다. 폭발로 사지 파괴가 쉽게 일어나니 저지력이 매우 강하며, 죽은 적은 평소보다 심한 반동이 걸려 날아가며 시체가 걸레짝이 되는 건 덤이다. 연사력이 빠른 총기에 붙어 나올 경우 기관포가 되며 게임의 장르가 180도 바뀐다… 연사속도 하나는 끝내주는 미니건에 붙어 나오면 걸어다니는 GAU-8이 된다. 심지어는 파이프 라이플에 붙어 나와도 최상위 티어 장비가 된다. .38탄은 싸구려에다 수급도 무지무지 잘 되는 탄이라 황무지의 걸어다니는 화약고가 될 수 있다. 반면 사냥용 소총같은 단발 고화력 무기에 붙으면 단순 추가 피해 + 작은 폭발 하나만 붙은 상대적으로 초라한 효과가 된다.
특히 산탄총에 붙어 나올 경우 무슨 파쇄탄도 아니고 산탄 하나하나가 폭발하여 폭발 피해가 엄청나게 뻥튀기된다. 플레이어들이 입을 모아 너무 사기라고 비난하는 효과로, 라이플맨 퍽 만렙 + 단발 산탄총의 경우 전설급이 아닌 일반 적들은 근처에만 쏴줘도 뻥뻥 터져나가고, 폭발 피해 덕에 사지절단이 들어가는 적들은 가지고 놀 수 있다. 총기로는 상당히 처리가 곤란한 마이어러크 도 한두방 쏴주면 껍데기 집게발 다 날려버리고 데꿀멍시킬 수 있고, 데스클로조차 하반신에 두어방 쏴주면 양다리를 절단시켜 무력화시킬 수 있는데다가 무시무시한 센트리봇조차 양쪽 팔에 한 방씩 쏴주면 간단히 양팔이 절단되어 버린다. 전설적인 접두사가 붙은 데스클로 마저 양쪽 다리를 간단하게 박살내버리는 정신나간 위력.
이 효과가 붙으면 사실상 탄환공격이 범위 공격이 되므로, 파리나 모기를 비롯해 크기가 작고 움직임이 빨라서 노려쏘기 번거로운 적들은 대충 근처 지면을 쏴서 죽인다거나, 또는 적들이 어느 정도 뭉치게 만들어서 한꺼번에 쓸어버린다는 느낌으로 쓸 수 있다. 대충 쏴도 다 맞는다는 점에서 에임의 중요성과 정확도, 스코프에 투자할 필요가 거의 없어지며[7] 방사피해 범위를 믿고 샷건 같은 무기로 초장거리 폭격을 해볼 수도 있다. 은신 지향이라면 폭발 이펙트에 딸려나오는 조명효과를 주의하자. 폭음까지는 높은 민첩과 은신퍽과 소음기로 무마할 수 있지만 불 비추면 은신 효율이 확 떨어진다… 근데 후술할 오폭 문제도 있으니 크게 신경쓸 부분은 아니다.
방사 피해는 피아 구분없이 전부 받기 때문에 아군오사를 조심해야 한다. 동료야 기본 에센셜이니 문제없다 쳐도 정착민이 폭발에 쓸려나가면… 또 가까이 다가온 적에게 직사를 갈겨버릴 경우 폭발물 퍽 랭크에 따라서는 플레이어까지 폭사당할 수 있고 멋모르고 오브젝트에 갈겨버려도 죽는다. 폭발 효과가 붙은 연사계 무기를 운용할 경우 폭파 전문가 퍽도 끝까지 찍는 경우가 많을텐데 랭크가 올라갈수록 스플래쉬 범위가 늘어난다. 이쯤까진 괜찮겠지 하다가 비명횡사하는 수가 있으니 극구 조심하자. 전갈이나 두더지처럼 밑에서 초근거리로 접근하는 놈들 상대로는 사실상 답이 없으니 보조무기를 챙겨야 한다.[8] 플레이어의 성향에 달린 효과.
강력한 화력과 사지 파괴력으로 인해 잊어버리기 쉽지만, 사실 폭발 자체의 공격력은 15로 대단히 약하다. 해당 전설옵이 달린 무기 퍽과 폭파 전문가 퍽을 찍지 않은 경우 플라즈마가 함유된, 얼어붙는 전설 옵션의 추가 화력과 별반 다를 게 없다. 단, 폭발 대미지는 해당 옵션이 붙은 무기 종류의 대미지를 올려주는 퍽과 폭파전문가의 퍽의 영향을 받아 시너지를 내어 강해진다. 핍보이상으로 폭발 대미지는 폭파퍽만 적용되어 표기되나, 실제로는 퍽을 다 찍을 경우 중화기를 제외한 총기의 경우 무기퍽(2배) 폭파퍽(2배)로 4배, 중화기의 경우 무기퍽(2배) 폭파퍽(4배로) 무려 8배라는 화력이 추가된다.[9] 이래서 연사형 실탄 중화기(미니건)에 폭발성 옵션이 붙으면 15 x 8 = 120 이라는 폭발 대미지를 연사할 수 있게 되어 매우 강력해지는 것이다.[10] 이 효과가 붙은 네임드 총기로는 본편에 등장하는 '뿌리고 기도해라'와, 파 하버에 등장하는 '킬로톤 라듐소총'이 있다.
정리하자면, 직격하지 않아도 유효 피해 누적 + 상대 방어력을 무시하는 폭발 효과 + 몸통에 맞아도 모든 신체 부위에 스플래시 피해가 중첩 + 미친듯이 쌓이는 부위 파괴 효과 + 코만도 또는 소총수/폭파 전문가 퍽으로 중첩강화까지 적용으로 치자면 최강.
레이저 무기에는 이 옵션이 안붙게 설정되어있어서 콘솔이나 모드가 아니면 볼 수 없지만 의외로 가장 강력한 적용 대상은 레이저 무기인데, 산란 효과를 달고 연사 옵션을 달면 8발짜리 폭발 펠릿이 초당 몇 발씩 쏘아져 나가기 때문이다. 데스클로고 아힘이고 나발이고 3초만에 녹아내리는 걸 볼 수 있다.
  • 상처주는 (Wounding): 맞은 적에게 5초동안 매 초 5의 출혈 피해를 준다. 모든 무기에 적용.
연발 무기/산탄 무기 사기 효과 2위. 경우에 따라 폭발보다 더 좋은 효과가 될 수 있다. 단일 딜은 폭발보다도 더 강하다. 지속 피해의 수치는 좀 낮아보이지만 중첩이 가능하며, 생체가 아닌 기계류에게도 적용된다. 이로 인해 샷건에 붙어버리면 한 번에 6중첩이 쌓여 150의 추가피해를 입히며, 파이프 피스톨 따위에 붙어있어도 조금 긁어주면 피가 쭉쭉 닳는 것을 볼 수 있다. 전설적인 적이 이게 붙은 무기를 들고 나올 경우 그걸 상대하는 플레이어는 똥줄을 타게 된다.[11] 또한 물리 저항, 에너지 저항, 독 저항은 있어도 출혈 저항이 있는 적이 없어서 완전한 방어력 무시 공격이기도 하다. 또한 이 효과와 플라즈마 효과의 피해는 라이플맨, 건슬링어 등의 캐릭터 퍽에 영향을 받는다. 폭발 효과와의 장단점을 비교해보자면 이렇다.
폭발: 화려한 이펙트, 높은 공격력의 범위 공격, 매우 높은 저지력, 아군 오사 및 자폭의 위험성
출혈: 수수한 이펙트, 피해 중첩 공격, 낮은 저지력, 거리 상관없는 유연한 대응성
즉 폭발은 와글와글 몰려나오는 호드몹 전용이고 출혈은 레전더리 몬스터나 네임드 같은 특정 개체 전용으로 분류될 수 있다.
  • 투 샷 (Two Shot): 사격 시 무기 특성이 적용되지 않는 추가적인 총알 1발이 소모없이 더 나간다. 공격력 약 50%증가, 반동 100%증가, 원거리 무기에만 적용.
단발 무기 사기 효과 2위. 연발 무기에도 효과만 따지면 사기성이 3위 정도는 한다. 산탄총의 경우는 전투 산탄총만 펠릿수가 두배가 되고, 나머지는 펠릿 하나가 증가한다. 두번째 탄환은 리시버 개조 시의 공격력 향상 보너스를 받지 못하고 기본 리시버의 위력만 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100%가 아닌 50~60% 정도의 공격력이 증가하게 된다. 팻 맨, 로켓런처는 데미지를 올려주는 개조가 없어 2배 위력이 다 들어간다. 즉 미사일런처 한정에서는 사기효과 1위였을 터이나 아쉽게도 폴아웃 위키에 따르면 중화기는 투 샷 옵션이 나오지 않는다 한다(빅 보이 같은 유니크 무기는 제외)
위력은 확실하나 반동이 100% 증가하며 탄퍼짐도 150% 증가하므로 개조되지 않은 연사무기가 이 효과를 달고 나오면 사용이 좀 힘들다. 하지만 중후반 티어에 속하는 고급 부품들을 달아주면 산탄도가 어느정도 잡히기에 성능이 크게 상승한다. 전투 소총이나 어썰트 라이플 등에 롱 배럴과 반동 억제용 개머리판, 컴펜세이터를 장착하고 조준 사격을 하면 두발이 무조건 한 곳에 맞는 것을 볼 수 있고, 탄퍼짐이 저들보다 더 심한 투 샷 가우스 소총도 충실히 개조하면 발사된 탄들이 따로 놀 일이 거의 없어진다. 오히려 VATS 사용시 탄들이 서로 엉뚱한 곳에 꽂히는 일이 더 잦으므로, 투 샷 무기를 쓸 때는 정조준해서 사격하는 방식에 익숙해지면 좋다. 다만 샷건 류의 경우 탄 퍼짐 때문에 오히려 실위력이 떨어진다. 권총에 붙어나와도 나쁘지 않다. 특히 투샷 10mm를 최고티어로 업그레이드하고 소음기를 붙여주면 딜리버러에 버금가는 공격력을 가진 은신용 권총화기가 된다. 딜리버러가 v.a.t.s 특화라면 투샷 10mm는 프리 액션 특화라고 할 수 있다. 다만 딜리버러는 레일로드 가입을 통해 확정적으로 먹을 수 있지만 투샷 10mm는 루팅 운이 따라줘야 하는 편이고 또 그렇게까지 노력을 투자하기엔 다소 미묘하다는게 단점이다. 상점제 투샷 효과 무기로는 비교적 싼 가격에 구매할 수 있으면서 게임 후반까지 통할 정도로 위력도 강력한 오버시어의 수호자(Overseer's Guardian)라는 전투 소총이 있다. 또한 다이아몬드 시티에서 살수 있는 유니크 팻맨인 빅 보이(Big Boy)와 파 하버의 아카디아에 있는 상인인 디젠에게서 구매할 수 있는 유니크 레버액션 라이플인 믿음직한 구닥다리(Old Reliable)도 이 효과를 달고 있다.
  • 시작의 (Instigating): 체력이 소진되지 않은 적에게 100% 추가 피해를 준다. 모든 무기에 적용.
'선동의' 라는 명칭으로도 번역된다. (고위력 한정)단발 무기 사기 효과 1위. 저격총이나 가우스 라이플, 파워 피스트같은 강력한 단발 무기에 이게 달려 나오면 원샷 원킬 무쌍을 찍을 수 있다. 무기 개조 정도와 퍽 랭크의 여부에 따라서는 전설 회복도 씹어버리고 한방에 죽인다. 추천되는 무기로는 50구경으로 개조한 사냥용 소총, 레버액션 라이플, 레이저 머스킷, 플라즈마 라이플, 디사이플 블레이드, 파워 피스트, 누카월드가 깔린 슬렛지 해머 아니면 야구방망이 등이 있다. 가우스 라이플이나 미사일 런쳐, 팻맨같은 진정한 한방급 무기들도 종종 언급되는 편이지만 이것들은 시작 효과가 안 붙어도 대부분 원샷 원킬이 나오는 공격력을 가지고 있어[12] 시작 효과가 붙으면 오버킬 화력이 된다.[13] 반대로 전투 소총이나 레이저 라이플, 리퍼 따위의 기본 공격력이 낮게 잡힌 연사계통 무기에 이게 붙어나오면 없는것과 큰 차이가 없다. 리퍼는 애당초 답이 없으니 제쳐놓고, 전투 소총은 단사 리시버로 개조해서 공격력 상승을 꾀할 수도 있지만 그래봤자 시작 효과의 두배 공격력 기능을 활용하기엔 깡뎀이 턱없이 부족하다. 레이저 라이플도 비슷비슷하고. 이런 무기들을 은신저격 올인용이 아니라 Mighty나 Two Shot이 붙은 것을 노려서 DMR처럼 굴리는 편이 좋다. 또 시작 효과 무기를 주력으로 삼고자 한다면 동료는 버리도록 하자. 괜히 도와준답시고 적들 피에 흠집만 내놓아 시작 효과 발동도 안되게 만들어 이도저도 아닌 상황만 만들어놓을 것이다. 누카 월드의 마지막 메인퀘스트에서 디사이플의 편을 들면 선동 전설옵이 붙은 디사이플 블레이드를 얻을 수 있다.
단발 무기 사기 효과 1위. 저격총이나 가우스 소총, 파워 피스트같은 강력한 단발 무기에 이게 달려 나오면 원샷 원킬 무쌍을 찍을 수 있다. 무기 개조 정도와 퍽 랭크의 여부에 따라서는 전설 회복도 씹어버리고 한방에 죽인다. 추천되는 무기로는 50구경으로 개조한 사냥용 소총, 레버액션 라이플, 레이저 머스킷, 플라즈마 라이플, 디사이플 블레이드, 파워 피스트, 누카월드가 깔린 슬렛지 해머 아니면 야구방망이 등이 있다. 가우스 소총이나 미사일 런쳐, 팻맨같은 진정한 한방급 무기들도 종종 언급되는 편이지만 이것들은 시작 효과가 안 붙어도 대부분 원샷 원킬이 나오는 공격력을 가지고 있어[14] 시작 효과가 붙으면 오버킬 화력이 된다. 반대로 전투 소총이나 레이저 라이플, 리퍼 따위의 기본 공격력이 낮게 잡힌 연사계통 무기에 이게 붙어나오면 없는것과 큰 차이가 없다. 리퍼는 애당초 답이 없으니 제쳐놓고, 전투 소총은 단사 리시버로 개조해서 공격력 상승을 꾀할 수도 있지만 그래봤자 시작 효과의 두배 공격력 기능을 활용하기엔 깡뎀이 턱없이 부족하다. 레이저 라이플도 비슷비슷하고. 이런 무기들을 은신저격 올인용이 아니라 Mighty나 Two Shot이 붙은 것을 노려서 DMR처럼 굴리는 편이 좋다. 또 시작 효과 무기를 주력으로 삼고자 한다면 동료는 버리도록 하자. 괜히 도와준답시고 적들 피에 흠집만 내놓아 시작 효과 발동도 안되게 만들어 이도저도 아닌 상황만 만들어놓을 것이다.
  • 얼리는 (Freezing): 맞은 적에게 10의 냉기 피해를 주고, 치명타가 적을 얼린다. 모든 무기에 적용.
이 얼어붙는 건 전설이건 뭐건 가차없이 얼어붙고, 꽤나 오래 유지된다. 크리티컬을 발동시키지 않으면 그냥 +10 에너지 피해를 주는 접두사로 전락한다. 일반 공격시에 크리티컬 확률을 부여해주는 약물 오버드라이브와 상성이 좋다. 코만도(Commando) / 소총수(Rifleman) / 총잡이(Gunslinger) 등의 무기 강화 퍽의 효과가 적용된다. 가끔 물리엔진 오류로 이걸로 치명타를 가해 얼려버리면 팽이처럼 빠른속도로 빙글빙글 도는 기현상이 나기도 한다.

1.1.2. 파 하버 무기 접두어


Far Harbor#s-3.1 참고. 파 하버 뿐 아니라 커먼웰스에도 파 하버 추가 전설 효과가 달린 전설 아이템이 나올 수 있다.
  • 충전된(Charged) : 성공적으로 방어할 시 10%의 확률로 100의 전격 피해를 준다. 근접무기 전용 효과.
  • 타오르는(Blazing) : 성공적으로 방어할 시 25%의 확률로 50의 화염 피해를 준다. 근접무기 전용 효과.
  • 냉혹한(Frigid) : 성공적으로 방어할 시 20%의 확률로 적을 얼린다. 근접무기 전용 효과.
  • 히트맨(Hitman's) : 조준하고 있는 동안 공격력 10% 증가. 원거리 무기 전용 효과.
보면 알겠지만 강력한 옵션의 하위호환이다. 그래도 스코프가 있는 무기라면 보통 조준을 하게 되므로 써먹을수는 있다.
  • 데드아이(Deadeye) : 조준 중 불렛타임이 적용된다. 원거리 무기 전용 효과.
조준 시작 시점부터 시간이 느려지며 AP 소모가 없는 대신 지속시간이 대략 3초정도로 상당히 짧다. 이후 다시 정조준을 하면 또 발동되기는 하나 다소 텀이 생긴다. 즉 각 불렛타임 간에는 한 호흡 쉬는 시간이 생긴다고 할 수 있다. 사용자에 따라서 호불호가 갈리는 효과인데, 적의 움직임 자체가 느려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적중률이 상승할 수 밖에 없고, 개인의 역량에 따라 V.A.T.S가 아닐때도 약점을 쏴서 피해를 줄수 있다는 점에 좋은 점수를 주는 유저도 있지만, 반대로 조준할 때마다 매번 발동하는 불렛타임이 불편하고 번거롭게 느껴져서 전혀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거나 싫어하는 유저도 있다.
  • 단호한(Resolute) : 탄창의 마지막 탄환이 장전된 동안 불렛타임이 적용된다. 원거리 무기 전용 효과.
데드아이와 반항적인 옵션의 단점만 모아놓은 괴 옵션. 불렛타임은 조준보조용인데 막탄이 장전된 시점에야 저 효과가 나온다.
  • 탄력있는(Resilient) : 재장전 중 DR 150 증가. 원거리 무기 전용 효과.
조금만 생각해보면 조삼모사가 따로없는 효과다. 장전하는 도중에 죽지 말라는 효과인데 이걸 해결하려고 빠른 장전 퍽이나 개조를 해버리면 효과를 못 보게 된다. 결국 있으나 마나한 효과.
  • 변함없는(Steadfast) : 조준 중 DR 50 증가. 원거리 무기 전용 효과.
조준중에 피격당하면 에임이 흐트러지니 역시 있으나 마나다.
  • 반항적인(Defiant) : 탄창의 마지막 탄환은 공격력이 2배가 된다. 원거리 무기 전용 효과.
마지막 탄환으로 사격할때 V.A.T.S를 걸어서 크리티컬까지 발동해주면 상당한 데미지가 나온다. 탄창이 작은 무기일 수록 효과적이기 때문에 더블배럴에 붙어도 아주 좋은데 한방으로 기세를 꺾고 남은 한방으로 반드시 죽이는 진정한 사나이의 무기가 된다. 한방 쏘고 장비 스텟을 확인하면 최대 7백대에 달하는 변태같은 데미지량을 볼 수 있다. DB의 특성상 두발마다 일격필살급 데미지가 나오는 만큼 컨트롤만 된다면 금니 빼고 모조리 씹어먹는 플레이를 할 수 있다. 더블배럴 샷건의 짧은 교전거리가 부담이 된다면, 올레인지 무기로서는 위력이 괜찮고 탄창 크기가 매우 작은 (5발) 레버액션 라이플[15]과의 궁합 역시 최상급이다.
  • 원기 (Duelist) : 상대의 공격을 방어시 25%의 확률로 공격자의 무장을 해제시킴.
이상하게 위키아에는 Duelist 효과가 기재되어 있지 않으나 실제로 게임 상에는 등장한다. 팀왈도 기준으로 오리지널에 있는 동명의 방어구 효과가 결투사로 번역되어 있는데 반해, 무기에 붙는 이 효과는 번역이 원기로 되어 있다.
  • : 통상적인 드랍으로 얻을 수 있는 전설옵은 아니고 파 하버 DLC의 유니크 무기인 12월의 아이 전용 효과다. 해당 무기가 5.56 mm탄을 쓰도록 하며, 연사력 25% 및 재장전 속도 15% 증가하는 효과. 명칭은 농담일 것 같지만 뜯어보면 정말로 M4 카빈이라 되어 있으며 Legendary modification같은 모드로 효과와 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

1.1.3. 오리지널 방어구 접두어


모든 방어구 접두사는 여기 참고. 파워 아머에 딸려오는 경우도 있다.
방어구 전설의 경우 공통적으로 물리, 에너지 저항(DR) +2가 붙는다.
  • 암살자 (Assassin's) : 인간형 대상에게 받는 피해가 15% 감소한다.[16]
레이더, 거너, 브라더후드 오브 스틸 등 널리고 널린게 인간형 npc고 얘네들의 화력이 장난 아니므로 그럭저럭 유용하다.
  • 곡예사 (Acrobat's) : 낙하 피해가 50% 감소한다.
합연산인지 이 효과가 붙은 장비를 2개 착용하면 낙하 피해를 아예 받지 않는다. 아니면 다리 방어구 부분에 낙하 피해 감소 개조품(낙하 대미지 25%감소)을 달면 한 개만 있어도 낙하 피해를 받지 않는다.
  • 거의 부서지지않는 (Almost Unbreakable) : 내구도가 4배 증가한다.
본작에서 내구도가 붙은 아이템은 파워 아머밖에 없기 때문에 파워 아머에만 붙는 효과. X-01 파워 아머 같은 것에 이 접두어가 붙어있다면 수리따윈 필요 없었을 것이지만, 아쉽게도 본편에서는 유니크 레이더 파워 아머 부품인 테사의 주먹에만 적용이 되어있다. 모드를 사용하지 않는이상 본편의 전설 효과가 붙은 파워아머 파츠는 단 6개만 나오며, 에초 파워아머는 전설 드랍이 안되기 때문에 얻는게 불가능하다. 콘솔 명령어로 효과를 부여할 경우 이따금씩 파워아머 상태창에서 해당 파츠가 망가진 상태로 뜨는 경우가 있다. 내구도 총량보다 실제 내구도가 초과되는 버그 때문인데 따라서 워크벤치에서 수리하는 식으로는 고칠 수 없다. 공격을 몇대 맞아주면 초과된 분량이 깎이면서 정상으로 돌아온다.
  • 북돋우는 (Bolstering) : 플레이어의 체력이 낮아질수록 방어력이 상승한다.(최대 +35) 서바이벌 난이도에서는 겨우 방어도+35로는 막을 수 있는게 없어서 잉여 옵션이다. 비공식 한글패치에선 '끈기의' 라는 이름으로 번역되었다.
  • 기병대 (Cavalier's) : 질주하거나 방어중일때 받는 피해가 15% 감소한다.
  • 교활한 (Cunning) : 인지력 +1, 민첩성 +1
둘다 원거리 빌드에 도움이 되는 수치다. 필수는 아니지만 얻어두면 잘 써먹을수 있다.
  • 결투사 (Duelist's) : 근접 공격한 상대를 10%의 확률로 무장해제 시킨다.
유감스럽게도 근접무기를 들고 덤비는 인간형 적들은 그다지 강하지 않고, 오히려 무기를 장착하지 않는 로봇이나 야생동물이 더 위험하기 때문에 그다지 쓸모있진 않다.
  • 자유낙하 (Freefall) : 다리 방어구 두쪽을 다 착용할 시 낙하피해를 받지 않는다.
두 개를 다 착용한다면 사실상 곡예사 접두사랑 똑같은 효과다. 얻는 방법이 게임 내에서 최고로 골때리는데, 제트팩을 가지고 Mass Fusion building 건물 내부로 들어가서 벽을 타며 꼭대기까지 올라가야 된다! 영상참조 낙상 방지 아이템을 얻기 위해 낙상 방지 기능이 있는 파워아머를 풀업해야 한다는 조삼모사. 게다가 영상에서도 보이듯이 콘솔 커맨드를 사용하지 않으면 AP가 금세 바닥나게 된다. 결국 정공법 대신 중간중간 벽의 폴리곤에 걸터앉으며 올라갈 수밖에 없다. 치트의 힘을 빌리거나 조잡한 벽타기가 싫은 유저라면 사실 간단한 방법이있다, 정상적으로 제트팩까지 써서 올라갈 수 있는데까지 다 올라갔다면 준비물로 제트 연료, AP회복 요리인 마이어러크 알 오믈렛이 있으면 된다. 제트 퓨얼 약물을 복용하고 마이얼럭 알 오믈렛을 사용하기 편하게 즐겨찾기로 지정한 다음 준비가 됐다면 목표지점으로 제트팩으로 도약하면서 즐겨찾기로 지정한 마이얼럭 알 오믈렛을 연속으로 흡입하자, 이렇게 하면 오믈렛이 충분하다는 전제 하에 순수한 방법으로 AP 부족없이 제트팩으로 목표지점까지 도달할 수 있다.
여기에 같이 있는 터미널을 조사해 보면 이 물건의 탄생비화를 알 수 있는데, 계단을 빼먹은 거지같은 빌딩설계 덕에 출퇴근하는 유일한 수단이 툭하면 고장나는 엘리베이터 뿐이던 직원[17]이 골머리를 썩히던 끝에 파워 아머를 모방해 만든 파워 퇴근용 부츠였던 것. 이 사람은 자기 발명품을 자랑할 마음에 희희낙락하며 이걸 금고에 보관했는데 그만 열쇠를 잃어버린다. 때마침 설상가상으로 전쟁이 터져 빌딩이 폭격을 당해 옴짝달싹 못하고 꼭대기층에 유폐된 불쌍한 인물.
  • 요새화 (Fortifying) : 힘 +1, 지구력 +1
근접빌드의 핵심 방어구. 힘은 공격력을 올려주니 더 말할것도 없고, 지구력 또한 달리기, V.A.T.S와 관련이 있으니 사실상 필수라고 봐도 무방하다. 단 의도된 것인지는 모르나 폴아웃 위키에 따르면, 요새화로 상승한 지구력은 체력(HP)을 올려주지 않는다고 한다. 아쉬운 부분. 이 전설 접두어의 존재때문에 근접빌드에서의 파워아머의 역할은 다소 위상이 떨어졌다.
제트(폴아웃 시리즈) 흡입, 공돌이의 분노 퍽 효과처럼 시간이 느려진다. 즉 다굴당하다가 체력이 떨어지면 번개같이 안전한 곳으로 도망치거나 아니면 주위 적들에게 헤드샷을 선사해 줄 수 있다. 그러나 낙하 대미지로 인해 체력이 떨어진 경우에는 발동하지 않는다. 공돌이의 분노 퍽을 사용할 경우, 발동되면 순교자의 효과를 대체한다. 고로 해당 퍽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괜찮은 효과다(특히 서바이벌 난이도에서).
  • 단거리 주자 (Sprinter's) : 이동 속도 10% 증가.
기본적으로 다리 방어구에만 달려 나오며, 이외에도 모자와 팔 방어구에 이 옵션이 달린 것을 퀘스트나 구매를 통해 얻을 수 있다. 4파츠를 모두 착용시 속도 증가가 장난 아니다. 다만 1인칭일 때만 적용이 되기에 3인칭 플레이어에겐 심각한 문제가 있다. 이건 이동속도에 관련된 모든 것이 그런데, 파워아머의 이동속도 증가 모드도 3인칭일때는 적용되지 않는다. 이동 속도 증가를 3인칭에도 적용할 경우 캐릭터의 달리기 애니메이션이 부자연스럽기 때문이라고 하는데,[18] 때문에 베데스다는 이것을 버그로 생각하지 않으며 고칠 생각도 없는 듯 하다. 그렇다고 아주 의미 없는 것은 아닌것이, 전력질주는 1인칭일때만 확실히 적용되지만, 일반 달리기의 경우는 3인칭도 정상적으로 적용된다는 것이다. 전설효과를 부여하는 모드를 깔고 파워아머를 포함한 모든 착용장비에 단거리 주자 전설효과를 부여한다면, 전력질주는 1인칭일때만 적용되지만, 일반 달리기는 1인칭, 3인칭 가리지 않고, 확실하게 빨리 움직이는 것을 확인 할수 있다. 즉, 루팅을 겁나 열심히 해서 항상 무게제한으로 전력질주를 잘 하지 못하는 생존자들의 경우 애초에 딜은 완성되었는데 더이상의 데미지 증가나 방어력 증가가 의미가 없으면 단거리 주자로 도배를 하는 것도 나쁘지많은 않은 선택이된다. 무게제한으로 강제되는 일반 달리기에서도 1인칭, 3인칭 모두 정상적으로 속도증가가 적용받는다.
  • 독살범 (Poisoner's) : 독 저항 증가.
이걸 제외하면 독 저항을 증가시킬 방법은 메드-X 뿐이다. 파워아머도 독 저항은 0이니 독이 싫다면 몇개는 꼭 챙겨다니자. 특히 짜증나는 독 피해를 주는 흡혈벌레, 스팅윙. 라드스콜피온 상대로 특효약이다.
  • 전동 : (Powered) : AP의 회복 속도가 증가한다.
  • 기계 수리공 (Troubleshooter's) : 로봇형 대상에게 받는 피해가 감소한다.
  • 금고털이 (Safecracker`s) : 자물쇠 따기가 쉬워진다.
락픽은 루팅만 해도 질리도록 나오고, 퍽이 안되면 아예 상위 난이도 자물쇠를 딸수 없기 때문에 무용지물이 된다. 초반엔 유용하나 시간이 지날수록 유통기한이 끝나가게 된다.
  • 거인 (Titan's) : 서있거나 움직이지 않을때 받는 피해가 15% 감소한다.
무기의 "감사자의(Sentinel's)" 효과와 효과가 똑같다. 효과가 중첩된다. 이 효과가 붙은 방어구 6조각과 무기를 구할 수만 있다면 15x7=105%, 즉 가만히 서 있을 때는 무적이 된다. 실제로 실험해 본 플레이어의 말에 의하면 이 상태에서는 적들이 아예 공격을 안 한다고 하는데 이는 적이 플레이어에게 입힐수 있는 데미지가 일정 이하일 경우 무조건 도망가도록 설계되었기 떄문이다. 원거리 무기와의 궁합은 환상적이나 근접빌드의 경우 직접 다가가서 때려야 하니 그리 좋지는 않다. 다만 V.A.T.S로 공격하는 것 역시 제자리 판정이기 때문에 블리츠 퍽이 있고 지구력이나 민첩이 높다면 유용하게 써먹을수 있다.
  • 응징하는 (Punishing) : 근접 피해의 10%를 공격자에게 반사.
시스템상 헐벗고 다니지 않는 이상 쓰레기가 된다. 원래 공격 데미지가 아니라 방어 체크 후 받은 데미지의 10%를 반사하기 때문에 진짜 아무 의미가 없다. 크게 한방 먹어야 데미지가 좋게 나오는데, 이쯤 되면 반사 데미지고 뭐고 플레이어가 죽는다.
  • 예리한 (Sharp) : 매력 +1, 지능 +1
  • 카멜레온(Chameleon) : 은신 상태 중 움직이지 않을 때 적들이 찾기 더 힘들어짐. (스텔스 보이 효과)
이 효과를 쓰면 은신 중에 스코프 달린 무기 외에는 조준점도 같이 사라져 버리는 문제가 있다. 리플렉스 사이트를 달아도 아예 온몸이 투명해지면서 점까지 덩달아 사라지기 때문에 약간 왜곡된 조준기 및 크로스헤어로 적당히 때려 맞춰야 한다. 추가로 아예 핍보이가 안 보일 때도 많다. 이 방어구를 입고 나면 은신 상태에서 핍보이 켜기가 정말 성가셔진다. 스코프를 달거나 천천히 저격 플레이를 할 게 아니라면 비추천한다. 움직임이 많은 빠른 플레이를 원하면 쓰고 싶어도 저절로 짜증나서 버리게 되는 방어구. 파워 아머에는 이 효과를 업그레이드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쪽은 은신 중 AP를 소모한다.
  • VATS 강화 (VATS enhanced) : VATS에서 소모하는 AP 수치가 10% 감소한다.
V.A.T.S. + 크리티컬 위주로 플레이 한다면 최상의 효과. 5부위 장착 시 슈퍼슬렛지를 들고도 V.A.T.S. 9대를 때릴 수 있다.

1.1.4. 파 하버 방어구 접두어


Far Harbor#s-3.1 참고. 파 하버 뿐 아니라 커먼웰스에도 파 하버 추가 전설 효과가 달린 전설 아이템이 나올 수 있다.
  • 자동투여(Auto Stim) : 체력이 25% 이하일 때 공격당하면 자동으로 스팀팩을 사용한다. 60초에 한 번만 발동. 서바이벌 모드로 플레이할 경우 잉여일 수도 있고 좋을 수도 있는 기능인데 효과 발동시 회복은 회복대로 되지만 스팀팩에 따라오는 갈증 패널티가 발동되지 않는다. 즉 스팀팩의 순기능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이라 할 수 있다.
  • 은폐의(Cloaking) : 근접 공격에 맞을 경우 스텔스 보이 효과. 60초에 한 번만 발동.
사실상 카멜레온 접두어의 하위호환이라고 보면된다. 일단 근접 공격에 맞았다는 것부터 적에게 들킨 상황이고, 주의 상태로 바뀌기전엔 은신 추가 데미지가 안들어가는데다, 지속 시간도 1분이라 크게 도움이 되진 않는다. 그나마 쓸데가 있다면 비전투 상황으로 빠르게 전환할수 있다는 정도.
  • 냉각(Cryogenic) : 근접 공격에 맞을 경우 10%의 확률로 공격자를 얼린다. 20초에 한 번만 발동
  • 방화(Incendiary)[19] : 근접 공격에 맞을 경우 30%의 확률로 공격자를 불태운다. 쿨다운 20초.
  • 원자력(Rad Powered) : 방사능 누적 상태가 높을 수록 힘이 증가한다.
방사능 수치 133, 267, 400, 533, 667, 800, 933에 도달하면 각각 +1, +2, +3, +4, +5, +6, +7만큼의 힘 증가량을 얻을수 있다. 방사능 +1000에 도달하면 사망하며, 쌓인 방사능 수치만큼 체력 최대치가 깎이니 호불이 갈리는 옵션이다. 다만 이걸 이용해 방사능 수치를 높인다음, 저체력 빌드의 퍽을 얻어 근접으로 싸우는 변태 플레이가 가능하다. 물론 이걸 하려는데 방사능 수치가 자동으로 회복되면 곤란하니 '구울화 랭크4, 광합성 랭크 2는 찍지 말것'
  • 불굴의(Unyielding) : 체력이 25% 이하일 때 지구력을 제외한 모든 SPECIAL 스탯 +3.
체력 저하가 효과 발동 스위치로 사용되서 그런지 HP를 올려주는 지구력은 스탯 상승에 포함되지 않는다. 스탯 +3이 위급한 상황일 때는 크게 좋은 효과가 아니지만, 불굴 방어구가 늘어날 수록 근접공격 및 은신과 VATS 대폭 강화, 상점은 최저가격, 설득은 반드시 성공, 빠른 레벨업 등의 즐거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저체력 빌드에서 발동되는 퍽이나 전설효과들과의 궁합이 좋다.

1.2. 전설 무기 파밍 방법


폴아웃 4는 빠른저장을 불러오면 몬스터들이 새로 생성되고, 자동저장을 불러오면 몬스터와 보유 아이템은 그대로이면서 '''전설 아이템의 효과'''만 갱신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를 이용해서 다음과 같이 전설 무기 파밍이 가능하다. 예로 폭발 샷건을 원하는 경우.
이지~베리하드 기준
1. 실내에 들어가기 전에 퀵세이브를 한다.
2. 실내에 들어간다. 실내에 들어가면서 자동저장이 된다.
3. 전설 몹을 잡는다. 몹이 샷건을 드롭하지 않거나 전설 몹이 안나오면 퀵로드를 반복.
4. 이제 샷건을 드롭하는 것을 확인했으면 수동으로 '''자동저장된 파일을 불러온다'''.
5. 전설 몹은 앞으로 계속 샷건만 드롭하게 된다. 여기서 원하는 효과가 나올 때까지 반복한다.
서바이벌 기준
1.전설적인 적이 확정적으로 나올만한 지역 주변 혹은 내부(보스턴 공공 도서관 내부 등등)에서 잠 자기.(세이브)
2.전설 몹이 원하는 아이템을 드랍하지 않거나 전설 몹이 나오지 않으면 다시 로딩 후 파밍 반복.
제일 파밍하기 좋은 장소는 구울 5마리가 문 바로앞에 등장하는 주 방위군 훈련소(National Guard Training Yard)다. 파밍을 하다 보면 전설이 나오는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데, 그게 일정범위를 넘으면 파밍이 불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예로 2-3층에 전설 스폰하는 건물에서 무기를 보고 자동저장을 로드했는데 위 방식이 먹히지 않거나, 아예 전설 적이 안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만약 파밍을 하고자 하면 그냥 주 방위군 훈련소에서 파밍하는 것이 제일 정신적으로 편하다. 이 건물은 안정적으로 파밍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서바이벌 기준으로는 보스턴 공공 도서관 내부가 좋다. 보통 전설적인 뮤턴트가 도서관 옆문에서 1마리, 지하철 입구쪽에서 1마리정도 나오기 때문. 또한 내부의 프로텍트론이 전투를 보조해주기 때문에 편하다. 스피치 체크로 옆문을 통해 들어가서 적이 스폰하기 직전에 내부에 있는 침낭에서 세이브 한 후 바로 적이 스폰하면 전투만 하면 되므로 나름대로 편한 방법. 하지만 이 방법은 장비 아이템 종류 숫자X전설 옵션 수준의 운빨이 필요해서 시간만 날릴 수 있으므로 비추천하는 바이다.
단 이런 파밍 방법은 시스템상 숟가락으로 땅 파는 수준의 노가다에 불과하다.
1. 한 장면 당 전설 몹은 하나만 출현하도록 설정되어 있다.[20]
2. 세이브로드를 무진장 하다 보면 간혹 레벨을 다시 로드하면서 '''이 체크를 다시 한다.'''[21]
3. 게다가 전설 아이템 등급 상한은 해당 지역의 레벨 스케일링을 따라간다. [22]
4. 지역 별 스폰 전설 접사 테이블이 이미 정해져 있어서, 원하는 전설 접사가 나오지 않을 수 있다.[23]
여기 서술된 주방위군 훈련소는 끽해야 글로잉 원까지만 등장하는 초중반 지역이다. 써놓은 걸 보면 그럴싸하지만 실제로는 엄청난 노가다를 해야 하고 해봤자 나오는 템은 한정되어 있다는 소리다.
대신 비슷한 원리로 일부 퀘스트 때 만나게 되는 몬스터들 중에 확정적으로 전설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그럴 경우에는 위와 같은 방법으로 노려볼 만하다.
편하게 전설템 쓰는 방법은 서바이벌 난이도로 고레벨 지역인 동부 해안, 남부 늪지대, 글로잉 시 순회를 도는 것이다. 체력회복속도도 느리고 플레이어 무기의 데미지가 반토막나긴 하지만 전설 몹 출몰 빈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나중에 가면 팔거나 넘겨주다 못해서 그냥 버릴 정도로 전설 아이템이 흔해진다.


[1] 이미 습득한 전설아이템과 동일한 것을 얻을 경우 이러한 연출이 생략된다.[2] 전설 접두어가 붙지 않는 일반 무기는 얻을 수 없다.[3] 이건 NPC도 마찬가지여서 해당 전설 무기를 가지고 있는 적들은 무기를 사용하지 못한다.[4]Nuka World의 문제해결사/스플래터캐논은 예외적으로 이 효과가 유일하게 적용되는 총기다. 또 원거리 무기에 퓨리어스 효과를 치트로 부여하면 정상적으로 효과가 발동한다. 폴아웃 위키아 또한 퓨리어스 효과를 모든 무기 공통으로 분류하고 있다.[5] 직역하면 몰살자, 절멸자지만 추가 피해를 주는 대상으로 생각하면 해충 구제업자로 생각하는 것이 맞다.[6] 실제 데이터상, 연사무기에 5%, 단발무기에 30%, 근접무기에 50%의 확률이 적용된다.[7] 스코프 성능이 매우 저질스러운 파이프 라이플과 궁합이 좋은 이유 중 하나다.[8] 단 이 자폭 대미지를 줄일 방법이 있는데, 방어구 개조 중에 폭발 대미지를 줄여주는 덧대기와 고밀도 개조를 중첩시켜 주면 된다(고밀도 효과끼리는 아쉽게도 중복 안됨). 덧대기 개조는 가슴 부위에만 되며, 고밀도 개조가 팔다리에 되는 건 메탈 아머와 로봇 아머 뿐이다. 두 효과가 중첩되었을 때 폭발 대미지가 정말 간지러워 진다. 단 플레이어가 사용하는 폭발물은 퍽에다가 난이도 보정까지 함께 들어가므로 고난이도 플레이시에는 역시 자폭을 주의해야 된다.[9] 참고로 폭발성 전설 옵션이 붙지 않은, 원래부터 폭발 대미지를 가진 총기들도 이 공식이 적용된다[10] 폭발물 보블헤드로 이 대미지를 15퍼 증가 시킬 수 있다. 다만 피범벅퍽의 15퍼 대미지 증가는 적용되지 않는다[11] 매 발마다 방어력 무시 딜링이 누적되는 효과이므로, 이 옵션이 붙은 개틀링 레이저를 든 적을 만날 경우 풀개조 X-01 파워아머 세트를 입고 있는 플레이어도 순식간에 녹아내릴 수 있다.[12] 폭파 전문가 퍽 최대랭크를 찍을 경우 미사일 런쳐 공격력이 네자릿수로 뽑히는데 이거 맞고 안 죽을 적은 정말정말 손꼽힌다. AHAB도 노 스닉 원샷을 뽑을 수 있다. 팻맨에 붙었을 경우의 공격력을 이쪽 스크린샷을 참조할 것.[13] 다만 미사일 자체에도 조그만한 데미지가 붙어있기 때문에 직격으로 맞추면 '시작의' 효과를 받을 수 없다. 적 근처 바닥에 미사일을 맞춰서 폭발 데미지만 받게 해야 제대로 효과를 받는다.[14] 폭파 전문가 퍽 최대랭크를 찍을 경우 미사일 런쳐 공격력이 네자릿수로 뽑히는데 이거 맞고 안 죽을 적은 정말정말 손꼽힌다. AHAB도 노 스닉 원샷을 뽑을 수 있다. 팻맨에 붙었을 경우의 공격력을 이쪽 스크린샷을 참조할 것.[15] 파하버 DLC[16] 그러나 자해 폭발성 대미지는 영향을 받지 않는 듯 하다. 가령, 미사일이나 미니핵 공격을 했을 때 공격에 휘말렸다면 대미지를 감소시키지 못 한다. 오로지 타인 공격 한정인 듯.[17] 같은 방에 해골이 있다.[18] 에디터 수정으로 이걸 3인칭에 적용하면 이동하는 모션까지 빨라져서 우스운장면이 연출된다.[19] 이름 자체는 바닐라에 있는 무기 전설 효과와 같지만, 방어구에 붙은 효과는 DLC에서 나온다.[20] 등장 확률도 수치가 엄청나게 낮게 설정되어 있다. 괜히 전설몹이 아닌 것. 다만 반드시 전설 몹이 등장하는 특수한 상황은 좋은 전설템 하나 챙겨갈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착지 방어 시 출현하는 전설 레이더의 경우 출현이 확정되며, BOS 메인퀘스트 중 스트롱 요새 점령 시 등장하는 전설 슈퍼뮤턴트 역시 그러하다.[21] 일반적으로 원하는 무기종류 확정하고 접사 테이블 다 돌릴 때 까지는 버티는 경우가 많다.[22] 플레이어 레벨이 낮거나 해당 지역의 레벨 캡이 낮으면 특정 전설 아이템은 아예 스폰하지 않으며, 마찬가지로 고 레벨 지역에서는 파이프 건과 같은 저 레벨 아이템은 스폰되지 않는다.[23] 전설 접사 테이블은 게임플레이 시간 기준 일정 시간이 지나면 바뀌게 되므로, 나중에 다시 도전하면 좋은 전설 접사를 얻을 수 있을 지도 모른다.